KR100305762B1 - Device test device on board - Google Patents

Device test device on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762B1
KR100305762B1 KR1019980043259A KR19980043259A KR100305762B1 KR 100305762 B1 KR100305762 B1 KR 100305762B1 KR 1019980043259 A KR1019980043259 A KR 1019980043259A KR 19980043259 A KR19980043259 A KR 19980043259A KR 100305762 B1 KR100305762 B1 KR 10030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tag
fpga
command
tes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5950A (en
Inventor
조현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4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762B1/en
Publication of KR2000002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7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7Testing of devices without physical removal from the circuit of which they form part, e.g. compensating for effects surrounding elements
    • G01R31/275Testing of devices without physical removal from the circuit of which they form part, e.g. compensating for effects surrounding elements for testing individual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in integrated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5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 G01R31/318533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using scanning techniques, e.g. LSSD, Boundary Scan, JTAG
    • G01R31/318552Clock circuits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5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 G01R31/318533Reconfiguring for testing, e.g. LSSD, partitioning using scanning techniques, e.g. LSSD, Boundary Scan, JTAG
    • G01R31/318597JTAG or boundary scan test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4Indication or identification of errors, e.g. for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FPGA, 오실레이터, JTAG 지원 소자 및 상기 각 소자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메인컨트롤 유니트(MCU)가 구비된 보드 내에서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상기 각 소자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각각의 FPGA로부터 발생되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오실레이터의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여 얻어지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JTAG지원소자에 JTAG명령을 발생시켜 얻어지는 JTAG지원소자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용 FPGA와, 상기 시험용 FPGA에 의해 시험한 결과를 통해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표시해 주는 LED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est apparatus on a boar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is defective in a board equipped with an FPGA, an oscillator, a JTAG supporting device, and a main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devices.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esting each device from the main control unit, and a sequence output generated by dividing a predetermined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clock of the oscillator and a sequence output generated from each FPGA and a JTAG command to the JTAG supporting device. A test FPG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spective devices are defective based on the output of the JTAG supporting device obtained by generating a signal generator, and LE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whether the respective devices are defective based on the test result of the test FPGA.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이에 따라, 일반 전송장치의 보드 내에서 어느 소자가 동작 불량인지를 전송장비에 보드를 장착한 상태로 확인 가능하여, 보다 빠르게 장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device is malfunctioning in the board of the general transmission apparatus with the board mounted on the transmission equipmen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tabilizing the equipment more quickly.

Description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Device test device on board

본 발명은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장치에서 보드를 분리하지 않고도 보드내 각 소자의 불량 유/무를 JTAG을 통해 검색하고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that enables the JTAG to search for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element in the board is defective without removing the board from the device.

일반적으로 전송장치에 포함되는 보드가 제작되거나, 장치에서 동작되는 경우, 납땜 불량이나 보드상의 한 칩이 손상되어 보드작동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보드상의 어느 부분이 손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드를 장치에서 분리하여 테스터로 검사를 하거나, 별도의 테스트 보드를 사용하여 불량을 확인하곤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어느 부분이 손상되었는지 찾아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BIST(Built-In Self Test)방법이나 경계면 스캔 검사(JTAG)등은 보드내의 소자들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구조이다.Generally, when a board included in a transmission device is manufactured or operated in a device, a board operation error may occur due to a poor soldering or damage to a chip on the board. At this time, to check which part on the board is damaged, the board is detached from the device and inspected by a tester, or a separate test board is used to check for defects. However, using this method, it can take a long time to find out which part is damaged. On the other hand, the BIST (Built-In Self Test) method or boundary scan test (JTAG), which is widely used, is a structur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efect in devices on the board.

경계면 스캔 검사는 소자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회로에 대한 규약으로, 명령어와 데이터 클럭을 입력하여 출력으로 나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경계면 스캔 검사의 구조는 여러 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클럭과 데이터 라인을 사용하는 구조와, 병렬로 연결하여 여러개의 클럭과 데이터 라인을 사용하는 구조 등이 있다.The interface scan test is a protocol for test circuits to check if the device is working properly. It is a method of inputting a command and a data clock to analyze the serial data output. The boundary scan test has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use a single clock and data line, and a structure in which multiple devic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use multiple clock and data lines.

경계면 스캔 검사는 반드시 지원되어야 할 명령어를 3가지 지정하고 있는데, bypass, sample/preload, extest의 명령어이고, 그 외의 명령어들은 각 소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소자의 불량 여/부는 바이패스(bypass)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boundary scan test specifies three commands that must be supported. The commands of bypass, sample / preload, and extes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device. Here, the defect status of the device can be checked through a bypass test.

일반적으로 경계면 스캔 검사는 각 보드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사하도록 되어 있고, 장치에서 컨트롤 유니트(Control unit)를 통하여 검사정보를 읽기 위해서는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송장비 자체에서 확인하기 어려우며, 장비에서 분리하여 테스트를 위한 기구에 연결하거나 컴퓨터와 연결하여 출력결과를 확인해야 한다.In general, the boundary scan test is to test each board independently, and a separate circuit is required to read the test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in the devi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heck on the transmission equipment itself, and it must be disconnected from the equipment and connected to a test apparatus or a computer to check the output result.

FPGA의 경우는 롬(ROM)을 통해 초기화가 되는 경우는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핀을 LED와 연결하여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롬을 사용하지 않고 한 번 FPGA를 설정하면 전원에 상관없이 계속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퓨징(fusing) 방식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In the case of an FPGA, when initialization is performed through a ROM, a method of inspecting the LED by connecting a pin indicating that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is used. However, once the FPGA is set up without using ROM, it is not applicable to a fusing method that remains set regardless of power supply.

소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FPGA 소자가 동작하지 않을 때 어떤 특별한 핀이 특정값으로 고정되는 것을 이용하여 LED로 표시하는 것과, 이런 핀이 지원되지 않는 소자들은 장치에서 보드를 분리하여 테스터로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경계면 스캔 검사를 통하여 보드내 소자의 동작시험을 하는 방식이 있다. JTAG은 단일 스캔, 다중 스캔의 방식이 있는데 TCK, TMA, TDI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어기는 보드 외의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구현되어 있다.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if a device is defective are indicated by LEDs using certain pins held at specific values when the FPGA device is not working, and devices that do not support these pins can be used to There is a method of separating and verifying with a tester, and an operation test of an element in a board through a boundary scan test. JTAG has a single scan and multiple scan method, and a controller to control TCK, TMA, and TDI is required. Typically, these controllers are independent of the board or implemented in computer programming.

제1도 및 제2도에는 각각 단일 스캔 경로구조와 다중 스캔 경로가 도시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스캔 경로구조에서는 여러 소자가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클럭과 데이터 라인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스캔 경로 구조에서는 여러 개의 소자가 병렬로 연결되어 여러 개의 클럭과 데이터 라인을 사용하는 구조 등이 있다.1 and 2 show a single scan path structure and multiple scan path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in a single scan path structure, a plurality of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use one clock and data line. As shown in FIG.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uses multiple clocks and data lines.

경계면 스캔 검사는 일종의 소자 검사를 하는 회로를 위한 규약으로 입력되는 명령어에 대한 출력의 결과로 소자 동작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경계면 스캔 검사의 내부구조는 제3도에 도시되며, 각각의 스캔 상태는 제4도에 도시된다.The interface scan test is a protocol for a device inspection circuit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device operation as a result of an input comm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erface scan scan is shown in FIG. 3, and each scan state is shown in FIG.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 스캔 검사를 제어하는 신호는 모두 3가지인데, TCK, TDI, TMS이다. TMS는 현재 경계면 스캔 검사의 상태가 무엇인지를 제어하는 신호이고, TDI는 경계면 스캔 검사가 수행해야 할 명령어이다. TCK는 TDI와 TMS의 입력을 소자가 받기 위한 클럭신호이다.As shown in FIG. 3, there are three signals controlling the boundary scan test, TCK, TDI, and TMS. The TMS is a signal that controls what is the state of the current boundary scan test, and the TDI is a command to be performed by the interface scan test. TCK is a clock signal for the device to receive the inputs of TDI and TMS.

경계면 스캔 검사를 지원하는 소자의 명령어중 bypass 명령을 사용하면 소자의 불량 여/부를 가릴수 있는데, 바이패스(bypass)명령은 ‘1111…11’로 정의된다. 칩이 동작하지 않으면 TDO에서 원하는 출력이 나오지 않으므로, 칩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JTAG을 지원하는 소자는 반드시 이 명령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By using the bypass command among the devices that support the boundary scan test, the bypass command can be used to mask the failure of the device. 11 '. If the chip does not operate, the desired output is not output from the T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hip is bad or not, and devices that support JTAG must have this command.

그러나, 경계면 스캔 검사를 이용하여 보드내에서 불량 소자를 찾기 위해서는 TCK, TDI, TMS등의 신호를 제어하는 회로가 필요하며, 출력된 데이터를 검사하는 회로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구조는 보드 외부에 별도의 장치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사하고 제어하며, 전송장비에서 보드내의 소자 불량을 검사하기 어렵다. FPGA의 경우, 롬으로부터 설정이 끝났음을 알리는 핀을 사용하여 소자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퓨징(fusing) 방식의 FPGA의 경우는 이러한 핀이 없으므로,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오실레이터(Oscillator)의 출력을 단순히 카운트하여 일정 값이 되면 클럭이 나오고 있다고 판단하는 구조는 동작중에 오실레이터에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find a defective device in the board using the boundary scan test, a circuit for controlling signals such as TCK, TDI, and TMS is required, and a circuit or a program for checking the output data is required. The structure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is to inspect and control data by using a separate device or program outside the board,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device defects in the board in the transmission equipment. In the case of an FPGA, a pin indicating that configuration is completed from the ROM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evice is defective. However, in the case of a fusing FPGA, such a pin is not present,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In addition, the structure that simply counts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and judges that the clock is coming out when it reaches a certain value has a problem that cannot be notified immediately if a problem occurs in the oscillator during oper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반 전송장치의 보드내에서 FPGA, 오실레이터, JTAG을 지원하는 소자의 불량을 장치의 컨트롤 유니트와 연계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어느 소자가 동작 불량인지를 전송장비에 보드를 장착한 상태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enables the check of which device is malfunctioning in the transmission equipment by identifying a device defect supporting an FPGA, an oscillator, and a JTAG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that can be checked in a state where the is mounted.

제1도는 종래의 단일 스캔 경로구조도.1 is a conventional single scan path structure diagram.

제2도는 종래의 다중 스캔 경로 구조도.2 is a conventional multiple scan path structure diagram.

제3도는 경계면 스캔 검사(JTAG)의 내부구조도.3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boundary scan test (JTAG).

제4도는 경계면 스캔 검사(JTAG)의 스캔 상태도.4 is a scanning state diagram of a boundary scan test (JTAG).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험용 FPGA의 내부 동작블록도.6 is an internal operation block diagram of a test FPG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JTAG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JTA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a)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럭의 출력 확인 회로도.8 (a) is a circuit diagram for checking the output of a c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b)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PGA상의 특정 핀의 시퀀스 조사 회로도.8 (b) is a sequence investigation circuit diagram of a specific pin on an FPG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c)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FPGA상의 특정 핀에 대한 시퀀스 발생회로.8 (c) is a sequence generating circuit for a specific pin on an FPG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a)도 내지 제9(k)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험용FPGA의 JTAG 제어부의 상세한 회로도.9 (a) to 9 (k)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a JTAG control unit of a test FPG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명령부(Device Command)의 회로도.10 (a) to 10 (c) are circuit diagrams of a device comm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a)도 내지 제11(g)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트 리드(Byte Read)부의 상세 회로도.11 (a) to 11 (g) are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a byte r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a)도 내지 제12(d)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체크 돈(Device Check Done)부의 회로도.12 (a) to 12 (d) are circuit diagrams of a device check don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TCK의 타이밍 조절을 위한 Make JTAG Clk의 회로도.13 is a circuit diagram of Make JTAG Clk for timing adjustment of TCK.

제1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퀀스를 조절하는 카운트 4의 회로도.14 is a circuit diagram of Count 4 for adjusting a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오실레이터 200 : FPGA100: oscillator 200: FPGA

300 : JTAG 지원소자 400 : 시험용 FPGA300: JTAG supporting device 400: test FPGA

410 : FPGA 제어부 420 : 클럭 제어부410: FPGA control unit 420: clock control unit

430 : JTAG 제어부 431 : 디바이스 명령부430: JTAG control unit 431: device command unit

432 : 바이트 리드부 433 : 디바이스 체크 돈 부432: byte lead unit 433: device check money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는 FPGA, 오실레이터, JTAG 지원 소자 및 상기 각 소자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 유니트(MCU)가 구비된 보드내에 있는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상기 각 소자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각각의 FPGA로부터 발생되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오실레이터의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여 얻어지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JTAG지원소자에 JTAG명령을 발생시켜 얻어지는 JTAG지원소자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용 FPGA와, 상기 시험용 FPGA에 의해 시험한 결과를 통해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표시해 주는 LED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n on-board devi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determine whether each device in the board is equipped with an FPGA, an oscillator, a JTAG support device and a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devices. An apparatus comprising: a sequence output obtained by dividing a predetermined value by a sequence output generated from each FPGA and a clock of the oscillator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esting each device from the main control unit; A test FPGA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device is defective based on the output of a JTAG supporting device obtained by issuing a JTAG command to the LED, and an LED display indicating whether the respective devices are defective through the test results by the test FPG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상기 시험용 FPGA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기 각각의 FPGA로부터 시퀀스 출력값을 받아 각 FPGA의 상태정보를 파악하여 FPGA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FPGA 제어부와, 상기 오실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여 그 이분주되어 출력되는 시퀀스 출력에 의해 상기 오실레이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클럭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JTAG 지원소자에 JTAG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JTAG 지원소자에 바이패스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JTAG 지원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JTAG 제어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며 상기 MCU로부터 받은 명령을 처리하고 각 소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MCU에 보고하는 MCU명령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test FPGA, a FPG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an FPGA device is defective by identifying sequence information of each FPGA by receiving a sequence output value from each FPGA, and setting a constant value by a clock provided from the oscillator Based on the data divided into two parts, a clock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scillator is defective by the sequence output outputted by the two parts, and a JTAG command generated for each of the JTAG supporting elements and bypassed to the JTAG supporting elements. JTA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JTAG support element is defective, and the MCU command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each unit to process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MCU and report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to the MCU.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5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다.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오실레이터(100)와, 다단으로 배열되어 보드의 동작에 연관되는 복수개의 FPGA(200)와, 경계면 검사를 위한 복수개의 JTAG 지원소자(300)와, 보드내의 각 소자들과, 상기 FPGA의 각각으로부터 시퀀스 출력을 받고, 상기 오실레이터의 클럭에 의거하여 JTAG 제어신호(TCK, TCM, TDI)를 출력하여 JTAG 지원소자들의 불량여부를 시험하여 그 시험결과를 저장하고 메인컨트롤 유니트(MCU)에 보고하는 시험용 FPGA(400)와, 상기 시험용 FPGA에 의해 시험한 결과를 통해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LED소자(5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device test apparatus on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scillator 100 for generating a clock, a plurality of FPGAs 200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nd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the board, and a boundary inspection. Receives a sequence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JTAG support devices 300, the devices on the board, and each of the FPGAs, and outputs JTAG control signals (TCK, TCM, TDI) based on the clock of the oscillator to output JTAG support devices. Test FPGA 400 which stores the test results and stores the test results and reports them to a main control unit (MCU), and a plurality of devices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each device is defective through the test results of the test FPGA. It consists of an LED element 5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는 보드가 FPGA, 오실레이터, JTAG 지원 소자 등으로 구성된 보드 내에서 소자 불량을 검사하기 위하여 FPGA, Oscillator, 각 소자들의 시험/결과저장/장비의 컨트롤 유니트에 보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험용 FPGA(400)를 설정하고, 그 외에 실제 보드의 동작에 연관되는 FPGA들(200)에 각각 하나의 핀을 배정하여 “0101…01”의 시퀀스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시험 FPGA에서는 각각의 FPGA에서 시퀀스가 나오고 있는가를 검사하여 LED로 표시하고, 내부에 각 FPGA에 해당되는 상태(status)로 저장한다. 어느 하나의 FPGA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에러를 나타내는 LED(500)에 불이 들어오고, 해당되는 상태 비트(status bit)는 ‘1’로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test apparatus in th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test / results of the FPGA, the oscillator, and each device in order to check the device failure in the board including the FPGA, the oscillator, and the JTAG supporting device. Set up the test FPGA 400 which is responsible for reporting to the control unit of the equipment, and assign one pin to each of the FPGAs 200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l board. Generate a sequence of 01 ”. The test FPGA checks whether the sequence is coming from each FPGA and displays it as an LED, and stores it as a status corresponding to each FPGA internally. If an error occurs in one FPGA, the LED 500 indicating an error is turned on, and a corresponding status bit is set to '1'.

제6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의 시험용 FPGA(400)의 내부 구성이 블록으로 도시된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est FPGA 400 for a device test apparatus in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용 FPGA(400)는 상기 각각의 FPGA로부터 시퀀스 출력값을 받아 각 FPGA의 상태정보를 파악하여 FPGA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FPGA 제어부(410)와, 상기 오실레이터(100)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으로 이분주하여 그 이분주되어 출력되는 시퀀스 출력에 의해 상기 오실레이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클럭 제어부(420)와, 상기 각각의 JTAG 지원소자(300)에 JTAG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JTAG 지원소자(300)에 바이패스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JTAG 지원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JTAG 제어부(430)와, 상기 각 부(410,420,430)를 제어하며 상기 MCU로부터 받은 명령을 처리하고 각 소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MCU에 보고하는 MCU명령처리부(4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est FPGA 400 receives sequence output values from the respective FPGAs, checks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FPGA, and determines whether the FPGA device is defective or not from the oscillator 100. JTAG command is given to the clock control unit 420 and the JTAG supporting element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oscillator is defective by dividing the signal into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provided clock, and outputting the divided signal. A JTAG control unit 4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JTAG support element is defective or not based on data generated and bypassed by the JTAG support element 300, and controlling the units 410, 420, 430 and processing a command received from the MCU. And MCU command processing unit 440 for report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to the MCU.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에서 유니트 컨트롤을 수행하는 보드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서, 그 명령을 해석하여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FPGA 제어부(410)는 입력된 FPGA의 동작 확인 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클럭 제어부(420)는 오실레이터로부터 입력된 클럭에 의거하여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고 그 이분주되어 나오는 “010101…01”의 시퀀스가 정확히 출력되는지 확인하여 오실레이터로부터 클럭입력이 정확히 들어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오실레이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a board performing unit control, interprets the comman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task. The FPGA controller 410 stores information on an operation confirmation pin of an input FPGA, and the clock controller 420 divides a predetermined value based on a clock input from an oscillator, and divides a predetermined value into “010101... Check if the sequence of 01 ”is output correctly and judge whether the clock input is correct from oscillator and judge whether the oscillator is defective or not.

일 실시예에 의한 JTAG의 구조는 다중 스캔 구조를 사용하였고, 보드 내 소자 중 무엇을 검색할 것인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The structure of the J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s a multi-scan structure and is designed to select which of the devices on the board are to be searched.

제7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의 JTAG 제어부(430)가 도시된다.7 shows a JTAG control unit 430 of an on-board devi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JTAG 제어부(430)는 상기 MCM명령처리부(440)를 통해 선택된 시험할 JTAG 지원소자(300)에 JTAG 바이패스 시작 명령과 JTAG 제어신호(TCK, TMS, TDI)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 명령부(431)와, 상기 JTAG 지원소자로부터 바이패스된 데이터(TDO)를 읽어 상기 JTAG 지원소자에 입력한 데이터(TDI)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각 플래그에 래치하는 바이트 리드부(432)와, 상기 MCU에 상기 JTAG지원소자의 검사결과를 보고하고 JTAG 명령이 종료되도록 해당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 체크 돈 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JTAG control unit 430 generates a JTAG bypass start command and a JTAG control signal (TCK, TMS, TDI) to the JTAG support element 300 to be tested through the MCM command processing unit 440. A byte read section 432 for reading the data TDO bypassed from the JTAG supporting element and comparing the data TDI input to the JTAG supporting element and latching the result in each flag; And a device check donor 433 for reporting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JTAG supporting device to the MCU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equence to terminate the JTAG command.

상기 MCU명령처리부(440)로부터 소자를 시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바이스 명령부(431)에서는 선택된 JTAG 지원소자(300)에 JTAG 바이패스 시작 명령을 발생시키고, JTAG제어신호(TCK, TMS, TDI)를 발생시킨다.When a command for testing a device is input from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the device command unit 431 generates a JTAG bypass start command to the selected JTAG support device 300, and generates a JTAG control signal (TCK, TMS, TDI).

상기 바이트 리드부(432)에서는 상기 JTAG 지원소자로부터 바이패스된 데이터(TDO)를 읽어 상기 JTAG 지원소자에 입력한 데이터(TDI)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각 플래그에 래치한다.The byte read unit 432 reads the data TDO bypassed from the JTAG support element, compares it with the data TDI input to the JTAG support element, and latches the result in each flag.

상기 디바이스 체크 돈(Device Check Done) 부(433)에서는 상기 JTAG 지원소자의 검사결과를 MCU에 보고하고 JTAG 명령 시퀀스를 발생시켜 JTAG 명령을 종료시킨다.The device check donor unit 433 reports the test result of the JTAG supporting device to the MCU and generates a JTAG command sequence to terminate the JTAG comm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는 보드내의 FPGA, 오실레이터, JTAG 지원 소자의 불량을 장치의 컨트롤 유니트와 연계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An on-board devic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nspect a defect of an FPGA, an oscillator, and a JTAG supporting device on a board in connection with a control unit of the device.

제8(a)도 내지 제8(c)도에는 상기 FPGA제어부(410)와 상기 클럭 제어부(420)의 상세한 회로가 도시된다. 제8(a)도에는 클럭 제어부(420)의 논리 회로(801∼804)가 도시되고, 제8(b)도에는 상기 FPGA제어부(410)의 논리 회로(805∼807)가 도시되고, 제8(c)도에는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논리회로(808)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FPGA의 불량검사는 제8(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GA상의 특정 핀을 설정하여 “0101…01“의 시퀀스를 계속 발생시키도록 하여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용 FPGA에서 이 핀들의 값을 받아 시퀀스를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일 FPGA가 제대로 배열되지 않거나 동작 중 문제가 발생하면 출력 시퀀스에 이상이 있을 것이므로, 해당 LED를 통해 바로 에러가 표시되며, 문제가 생긴 FPGA에 해당되는 상태 비트는 ‘1’로 설정된다.8 (a) to 8 (c) show detailed circuits of the FPGA controller 410 and the clock controller 420. The logic circuits 801 to 804 of the clock controller 420 are shown in FIG. 8 (a), and the logic circuits 805 to 807 of the FPGA controller 410 are shown in FIG. 8 (b). 8 (c), a logic circuit 808 for generating a sequence is shown. As shown in FIG. 8 (c), failure inspection of the FPGA is performed by setting a specific pin on the FPGA as shown in FIG. The sequence of " 01 " is generated so that the test FPGA receives the values of these pins and examines the sequence as shown in FIG. 8 (b). If the FPGA is not properly aligned or there is a problem during operation, there will be a problem with the output sequence, so an error will be immediately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LED, and the status bit for the FPGA in question is set to '1'.

오실레이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오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에 의해 일정 값을 이분주하고, 이분주되어 나오는 “0101…01”의 시퀀스가 정확히 나오는지를 확인하여,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의 출력을 확인한다. 보드가 동작중에 오실레이터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클럭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LED에 불이 들어오고, 해당 상태가 비트가 1로 설정된다. 문제 발생을 나타내는 LED가 켜지면, 전송장비의 컨트롤 유니트에서 해당 상태 비트들을 읽으면 어느 소자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scillator is defective, a predetermined value is divided into two by a clock output from the oscillator, and the divided "0101..." Check that the 01 " sequence is correct, and check the output of the clock as shown in Fig. 8A. If the oscillator encounters a problem while the board is running, the LED will light up indicating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lock, and its state is set to bit 1. If the LED indicates a problem, reading the corresponding status bits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transmitting equipment will indicate which device has the problem.

제9(a)도 내지 제9(k)도에 상기 MCU명령처리부(440)와 JTAG 제어부(430)의 상세한 회로도가 도시된다.9 (a) to 9 (k),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and the JTAG controller 430 are shown.

제(9a)도에는 MCU명령처리부(440)의 세팅 상태(Setting Status)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의 유니트 컨트롤 보드에서 어드레스 선을 통해 명령을 받아 해석하여 어느 명령을 수행할지, 어떠한 소자를 선택할지를 결정한다. 현재 JTAG을 통해 검사될 소자는 3개라고 가정했으며, 명령을 내리는 어드레스 라인은 4bit, 소자를 선택하는 라인은 2bit로 설정하였다.(이 값은 필요에 따라 확장하면 된다.)FIG. 9A illustrates a setting status of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As shown in the figure, the unit control board of the device receives the command through the address line and interprets it to determine which command to perform and which device to select.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devices to be checked through JTAG, and the address line for commanding is set to 4 bits, and the line for selecting devices is set to 2 bits (this value can be expanded as necessary).

JTAG을 제어하는 부분은 모두 3부분으로 구분되어 있고, 외부에 TCK를 발생시키기 위한 카운터 회로가 있다. TCK는 8bit 단위로 생성되며, 각 소자의 JTAG 타이밍이 다를수 있으므로, 그것은 외부의 카운터 회로를 조절함으로써 TCK의 주기를 변환시키도록 했다.The part controlling JTAG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re is a counter circuit for generating TCK externally. The TCK is generated in 8-bit units, and the JTAG timing of each device can be different, so it adjusts the external counter circuit to change the period of the TCK.

제9(b)도에는 디바이스 명령부(431)와, 바이트 리드부(432)와, 디바이스 체크 돈(Device Check Done) 부(433)가 도시된다.FIG. 9B shows the device command unit 431, the byte read unit 432, and the device check donor unit 433.

제9(c)도에는 TMS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어 논리회로(901∼903)가 도시된다. 실시예에서 시험할 소자가 3개인 경우로 가정하였으므로 오어 논리회로가 3개가 구비된다.In Fig. 9 (c), the OR logic circuits 901 to 903 for outputting the TMS control signal are shown. In th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devices to be tested, so three OR logic circuits are provided.

제9(d)도에는 TDI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오어 논리회로(904∼906)가 도시된다. 역시 3개의 오어 논리회로가 구비된다. 제9(e)도에는 TCK클럭을 출력하는 오어 논리회로(907∼909)가 도시된다.In Fig. 9 (d), the OR logic circuits 904 to 906 for outputting a TDI control signal are shown. Three OR logic circuits are also provided. In Fig. 9E, the OR logic circuits 907 to 909 for outputting the TCK clock are shown.

제9(f)도에는 상기 제9(e)도에서 입력신호중의 하나인 TCK COMMAND신호를 출력하고, JTAG_COUNT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910∼921)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a)도의 MCU명령처리부(440)로부터 출력되는 EN_DEVICE신호와 상기 제9(b)도의 디바이스 명령부(431)로부터 출력되는 EN_COMMAND신호를 입력으로 받는다.FIG. 9 (f) shows logic circuits 910 to 921 which output a TCK COMMAND signal which is one of the input signals in FIG. 9 (e), and output a JTAG_COUNT signal. As shown, the EN_DEVICE signal output from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of FIG. 9 (a) and the EN_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device command unit 431 of FIG. 9 (b) are received as inputs.

제9(g)도에는 상기 제9(e)도에서 입력신호중의 하나인 TCK DATA신호를 출력하고, BIT8_COUNT_FIRST0∼3신호와 BIT8_COUNT_SECOND0∼3, BIT8_COUNT_THIRD0∼3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922∼936)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a)도의 MCU명령처리부(440)로부터 출력되는 EN_DEVICE신호와 제9(b)도의 바이트 리드부(432)로부터 출력되는 JTAG_READ_MODE신호를 입력으로 한다.In Fig. 9 (g), logic circuits 922 to 936 which output a TCK DATA signal which is one of the input signals in Fig. 9 (e), and output BIT8_COUNT_FIRST0 to 3, BIT8_COUNT_SECOND0 to 3, and BIT8_COUNT_THIRD0 to 3 signals. Is shown. As shown, the EN_DEVICE signal output from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of FIG. 9A and the JTAG_READ_MODE signal output from the byte readout part 432 of FIG. 9B are input.

제9(h)도에는 JTAG_COUNT 0∼4신호와 JTAG_COMMAND_DONE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937∼942)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JTAG_COUNT 0은 상기 제9(f)도의 출력신호인 JTAG_COUNT_FIST0와 JTAG_COUNT_SECOND0와 JTAG_COUNT_THIRD0를 입력으로 받아 오어 연산하여 출력된다. 또한 JTAG_COMMAND_DONE 신호는 JTAG_COMMAND_DONE_FIRST와 JTAG_COMMAND_DONE_SECOND와 JTAG_COMMAND_DONE_THIRD신호를 입력받아 오어 연산되어 출력된다.9 (h) shows logic circuits 937 to 942 for outputting the JTAG_COUNT 0-4 signals and the JTAG_COMMAND_DONE signal. As shown, JTAG_COUNT 0 is output by receiving the input signals JTAG_COUNT_FIST0, JTAG_COUNT_SECOND0, and JTAG_COUNT_THIRD0 as the input signals of FIG. 9 (f). In addition, the JTAG_COMMAND_DONE signal is calculated by outputting the JTAG_COMMAND_DONE_FIRST and JTAG_COMMAND_DONE_SECOND and JTAG_COMMAND_DONE_THIRD signals.

제9(i)도에는 BIT8_COUNT0∼3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943∼946)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신호 BIT8_COUNT 0는 상기 제9(h)도의 출력신호인 BIT8_COUNT_FIRST0와 BIT8_COUNT_SECOND0와 BIT8_COUNT_THIRD 0신호를 입력받아 오어 연산되어서 출력된다.9 (i) shows logic circuits 943 to 946 for outputting BIT8_COUNT0 to 3 signals. As shown, the output signal BIT8_COUNT 0 is calculated by outputting the BIT8_COUNT_FIRST0 and BIT8_COUNT_SECOND0 and BIT8_COUNT_THIRD 0 signals which are the output signals of FIG. 9 (h).

제9(j)도에는 상기 제9(e)도에서 입력신호중의 하나인 TCK_END신호를 출력하고, COUNT_END_FIRST0∼3신호와 COUNT_END_SECOND0∼3, COUNT_END_THIRD0∼3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947∼961)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9(a)도에 도시된 MCU명령처리부(440)의 출력신호인 EN_DEVICE신호와 상기 제9(b)도에 도시된 디바이스 체크 돈(Device Check Done)부(433)의 출력신호인 END_JTAG_COMMAND신호를 입력으로 받는다.In FIG. 9 (j), logic circuits 947 to 961 which output a TCK_END signal which is one of the input signals in FIG. 9 (e), and output COUNT_END_FIRST0 to 3, COUNT_END_SECOND0 to 3, and COUNT_END_THIRD0 to 3 signals Shown. As shown, the EN_DEVICE signal which is the output signal of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shown in FIG. 9 (a) and the device check donor unit 433 of FIG. 9 (b) are shown. It receives END_JTAG_COMMAND signal as an output signal.

제9(k)도에는 COUNT_END0∼3 신호가 출력되는 논리회로(962∼965)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신호 COUNT_END0는 COUNT_END_FIRST0와 COUNT_END_SECOND0와 COUNT_END_THIRD0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오어 연산되어 출력된다.In Fig. 9 (k), logic circuits 962 to 965 for outputting the COUNT_END0 to 3 signals are shown. As shown, the output signal COUNT_END0 receives the COUNT_END_FIRST0, COUNT_END_SECOND0, and COUNT_END_THIRD0 signals as inputs, and is output.

제10(a)도 내지 제10(e)도에는 상기 디바이스 명령부(431)의 상세한 회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JTAG의 시작 명령을 내려보내는 것으로, 여기서는 각 소자의 바이패스 명령이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 비트는 수의 조절은 외부의 TCK 카운터 부분들 중 JTAG COUNT를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바이패스 명령이 입력되고, 그 뒤에 입력되는 소자 확인 값들은 01010101의 8bit가 입력된다.10 (a) to 10 (e) show detailed circuits of the device command unit 431. As shown, the start command of JTAG is issu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bypass command of each device is 32 bits. The number of bit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JTAG COUNT of the external TCK counter parts. Bypass command is input, followed by 8bit of 01010101 for device identification.

제10(a)도에는 FIRST_BYTE_TMS를 출력하는 논리회로(1001,1002)가 도시되고, 제10(b)도에는 각각 SECOND_BYTE_TMS, FIRST_BYTE_TDI, SECOND_BYTE_TDI, THIRD_BYTE_TDI가 출력되는 앤드 논리회로(1003∼1006)가 도시되고, 제10(c)도에는 THIRD_BYTE_TMS가 출력되는 논리회로(1007,1008)가 도시되고, 제10(d)도에는 FOURTH_BYTE_TMS가 출력되는 논리회로(1009,1010)가 도시되고, 제10(e)도에는 FOURTH_BYTE_TDI가 출력되는 논리회로(1011,1012)가 도시된다.10 (a) shows logic circuits 1001 and 1002 for outputting FIRST_BYTE_TMS, and FIG. 10 (b) shows AND logic circuits 1003 to 1006 for outputting SECOND_BYTE_TMS, FIRST_BYTE_TDI, SECOND_BYTE_TDI, and THIRD_BYTE_TDI, respectively. Fig. 10 (c) shows logic circuits 1007 and 1008 outputting THIRD_BYTE_TMS, and Fig. 10 (d) shows logic circuits 1009 and 1010 outputting FOURTH_BYTE_TMS and Fig. 10 (e) In the diagram, logic circuits 1011 and 1012 in which FOURTH_BYTE_TDI are output are shown.

제11(a)도 내지 제11(d)도에는 바이트 리드(Byed read)부(432)의 상세한 회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JTAG의 TDO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현재 소자를 바이패스된 값이 01010101인지를 확인한다. 값을 확인하여 각 플래그(flag)에 값을 지정한다. 에러가 있을 때는 그 소자에 해당되는 플래그 값이 ‘1’로 설정된다. 하나의 플래그라도 ‘1’로 설정되면 소자가 불량임을 표시하는 LED를 밝히도록 되어 있다.11 (a) to 11 (d) show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byte read section 432. As shown, the data is read through the TTAG of the JTAG and the current device is checked to see if it is 01010101. Check the value and assign a value to each flag. If there is an error, the flag value for that device is set to '1'. If any flag is set to '1', the LED indicates that the device is bad.

제11(a)도에는 소자의 TDO를 읽기 위한 JTAG_READ_MODE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회로(1101)가 도시된다. 제11(b)도에는 소자의 8비트 TDO를 읽어서 래치한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그 시퀀스에 의거하여 플래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논리회로(1102∼1112)가 도시된다. 제11(c)도에는 상기 제11(b)도의 출력신호인 플래그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각 소자의 플래그 값을 출력하는 논리 회로(1113∼1115)가 도시된다. 제11(d)도에는 상기 제11(a)도의 JTAG_READ_MODE신호에 의거하여 8비트의 TDO데이터를 읽기 위한 데이터 래치신호인 LATCH_SIG0∼7을 출력하는 디먹스(1116)가 도시된다. 제11(e)도에는 JTAG_READ_MODE신호에 의거하여 8비트의 TDO 데이터를 읽으라는 명령을 위한 TDI를 출력하는 먹스(1117)가 도시된다. 제11(f)도 및 제11(g)도에는 상기 제11(d)도에 도시된 먹스의 출력신호인 LATCH_SIG0∼7의 변환신호인 LATCH_0∼7과 TDO_DATA를 입력받아 LATCHED_DATA0∼7로 출력하여 패러럴 형태로 바꾸어주는 논리회로(1118∼1125)가 도시된다. 상기 LATCHED_DATA0∼7은 상기 제11(b)도에 도시된 플래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논리회로의 입력데이터로 사용되어진다.11A shows a logic circuit 1101 for outputting a JTAG_READ_MODE signal for reading the TDO of the device. FIG. 11B shows logic circuits 1102 to 1112 for reading the 8-bit TDO of the element and receiving the latched data as inputs and outputting flag data based on the sequence. 11 (c) shows logic circuits 1113 to 1115 for receiving flag data as an output signal of FIG. 11 (b) as an input and outputting flag values of respective elements. FIG. 11 (d) shows a demux 1116 for outputting LATCH_SIG0 to 7 which are data latch signals for reading 8-bit TDO data based on the JTAG_READ_MODE signal of FIG. 11 (a). FIG. 11E shows a mux 1117 for outputting a TDI for a command to read 8-bit TDO data based on the JTAG_READ_MODE signal. 11 (f) and 11 (g) receive LATCH_0-7 and TDO_DATA, which are the conversion signals of LATCH_SIG0-7, which are the mux output signals shown in FIG. 11 (d), and output them as LATCHED_DATA0-7. Logic circuits 1118-1125 are shown for converting to parallel form. The LATCHED_DATA0 to 7 are used as input data of a logic circuit for outputting flag data shown in FIG. 11 (b).

제12(a)도 내지 제12(d)도에는 디바이스 체크 돈 부(Device Check Done)(433)의 상세한 회로가 도시된다. JTAG 명령이 종료되도록 해당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AD_DONE과 COUNT_END신호를 입력받아 TDO데이터의 읽기가 끝난 것이 확인되면 종료를 위한 종료명령신호인 END_JTAG_COMMAND신호가 출력된다(1201). 제12(b)도에는 상기 END_JTAG_COMMAND신호와 COUNT_END0∼3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TMS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논리회로(1202)가 도시된다. 제12(c)도에는 상기 TMS 제어신호와 SELECTED_FIRST, SELECTED_SECOND, SELECTED_THIRD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앤드 연산하여 TMS_FIRST, TMS_SECOND, TMS_THIRD를 출력하는 앤드 논리회로(1203∼1205)가 도시된다. 제12(d)도에는 상기 END_JTAG_COMMAND 신호와 SELECTED_FIRST, SELECTED_SECOND, SELECTED_THIRD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앤드 연산하여 TDI_FIRST, TDI_SECOND, TDI_THIRD를 출력하는 앤드 논리회로(1206∼1208)가 도시된다.12 (a) to 12 (d), detailed circuits of the device check donor 433 are shown. Generate the sequence to terminate the JTAG instruction. As shown in FIG. 12 (a),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DO data has been read by receiving the READ_DONE and COUNT_END signals, an END_JTAG_COMMAND signal, which is an end command signal for termination, is output (1201). 12B illustrates an AND logic circuit 1202 that receives the END_JTAG_COMMAND signal and the COUNT_END0 to 3 signals as inputs and outputs a TMS control signal. FIG. 12 (c) shows the AND logic circuits 1203 to 1205 for receiving the TMS control signal, the SELECTED_FIRST, SELECTED_SECOND, and SELECTED_THIRD signals as inputs, and performing an AND operation to output TMS_FIRST, TMS_SECOND, and TMS_THIRD. FIG. 12 (d) shows the AND logic circuits 1206 to 1208 for receiving the END_JTAG_COMMAND signal, the SELECTED_FIRST, SELECTED_SECOND, and SELECTED_THIRD signals as inputs, and performing an AND operation to output TDI_FIRST, TDI_SECOND, and TDI_THIRD.

TCK는 8비트 단위로 발생되며, TCK의 타이밍 조절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ke Jtag Clk에서 수행하고, 해당 시퀀스의 조절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트4 부분에서 처리된다.The TCK is generated in units of 8 bits, and the timing adjustment of the TCK is performed in Make Jtag Clk as shown in FIG. 13, and the adjustment of the sequence is processed in the count 4 portion as shown in FIG.

제13도에는 각 소자의 JTAG 타이밍이 다를수 있으므로 TCK의 주기를 변환시켜 제공하기 위한 카운터 회로(1301∼1314)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 단위의 TCK클럭을 발생시키는 3개의 플립플롭과 그 출력을 오어 연산하고 낸드 연산하여 각 소자에 맞는 JTAG_CLK이 출력된다. 제14도에는 시퀀스의 조절을 위한 4비트로 이루어지는 카운터 회로(1401∼1409)가 도시된다. 상기 TDO의 출력데이터가 읽혀지는 동작은 상기 카운터 회로(1401∼1409)에 의해 카운팅된다.13 shows counter circuits 1301 to 1314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the period of TCK since the JTAG timing of each element may be different. As shown, three flip-flops that generate an 8-bit TCK clock and their output are ORed and NAND-operated to output JTAG_CLK for each device. 14 shows counter circuits 1401-1409 that consist of four bits for adjusting the sequence. The operation of reading the output data of the TDO is counted by the counter circuits 1401-14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convers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전송장치의 보드내에서 FPGA, 오실레이터(OSCILLATOR), JTAG을 지원하는 소자의 불량을 장치의 컨트롤 유니트와 연계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새로 보드를 제작한 후나, 장비 시험 중에 소자에 충격이 가해져 특정 소자가 불량인 경우, 어느 소자가 동작 불량인지를 전송장비에 보드를 장착한 상태로 확인 가능하며, 보다 빠르게 장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ective devices supporting FPGA, oscillator, and JTAG in the board of a general transmission device can be confirmed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device. When a specific device is added due to the failure,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device is in operation with the board mounted on the transmission equipment, and provides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equipment more quickly.

Claims (4)

FPGA(200), 오실레이터(100), JTAG 지원 소자(300) 및 상기 각 소자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메인컨트롤 유니트(MCU)가 구비된 보드내에 있는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 유니트로부터 상기 각 소자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각각의 FPGA(200)로부터 발생되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오실레이터(100)의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여 얻어지는 시퀀스 출력과, 상기 JTAG지원소자(300)에 JTAG명령을 발생시켜 얻어지는 JTAG지원소자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FPGA(200)로부터 시퀀스 출력값을 받아 각 FPGA의 상태정보를 파악하여 FPGA 소자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FPGA 제어부(410)와; 상기 오실레이터(100)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에 의해 일정한 값을 이분주하여 그 이분주되어 출력되는 시퀀스 출력에 의해 상기 오실레이터(100)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클럭 제어부(420)와; 상기 각각의 JTAG 지원소자(300)에 JTAG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JTAG 지원소자(300)에 바이패스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JTAG 지원소자(300)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JTAG 제어부(430)와; 상기 각 부(410,420,430)를 제어하며 상기 메인콘트롤유니트(MCU)로부터 받은 명령을 처리하고 각 소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메인콘트롤유니트(MCU)에 보고하는 MCU명령처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험용FPGA(400)와; 상기 시험용 FPGA(400)에 의해 시험한 결과를 통해 상기 각 소자의 불량여부를 표시해주는 LED 표시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A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n element in a board including an FPGA 200, an oscillator 100, a JTAG support element 300, and a main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elements is defective. A sequence output generated from each FPGA 200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esting each device from a control unit, a sequence output obtained by dividing a predetermined value by a clock of the oscillator 100, and the JTAG Based on the output of the JTAG support device obtained by generating a JTAG command to the support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each device is defective, the sequen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spective FPGA 200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FPGA is grasped. An FPGA controller 41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PGA device is defective; A clock controller (42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scillator (100) is defective by dividing a predetermined value by a clock provided from the oscillator (100), and dividing the predetermined value by a sequence output that is divided and outputted; A JTAG control unit 430 for generating a JTAG command to each JTAG support element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JTAG support element 300 is defective based on data bypassed to the JTAG support element 300; For controlling the units 410, 420, 430 and processing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MCU), including a MCU command processing unit 440 for report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device to the main control unit (MCU) FPGA 400; Device testing apparatus on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D display means (500)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devices are defective through the test by the test FPGA (4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TAG 제어부(430)는 상기 MCU명령처리부(440)를 통해 선택된 시험할 JTAG 지원소자(300)에 JTAG 바이패스 시작 명령과 JTAG 제어신호(TCK, TMS, TDI)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 명령부(431)와; 상기 JTAG 지원소자로부터 바이패스된 데이터(TDO)를 읽어 상기 JTAG 지원소자에 입력한 데이터(TDI)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각 플래그에 래치하는 바이트 리드부(432)와; 상기 MCU에 상기 JTAG 지원소자의 검사결과를 보고하고 JTAG 명령이 종료되도록 해당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 체크 돈(Device Check Done) 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The JTAG controller 430 of claim 1, wherein the JTAG controller 430 generates a JTAG bypass start command and a JTAG control signal (TCK, TMS, TDI) to the JTAG supporting device 300 to be selected through the MCU command processor 440. A device command unit 431; A byte read portion 432 for reading the data TDO bypassed from the JTAG support element and comparing the data TDI input to the JTAG support element and latching the result in each flag; And a device check donor unit 433 for reporting a test result of the JTAG supporting device to the MCU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equence so that a JTAG command is termin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JTAG 제어부(430)는 상기 각 JTAG 지원소자의 JTAG 타이밍에 맞는 클럭을 제공하기 위한 JTAG 클럭발생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4. The device test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JTAG control unit (430) further includes a JTAG clock generator for providing a clock that matches the JTAG timing of each JTAG supporting ele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리드부(432)는 상기 JTAG 지원소자의 출력데이타를 읽어 해당소자의 바이패스된 값을 확인하여 에러가 있을 때는 그 소자에 해당하는 플래그 값을 1로 설정하고 하나의 플래그라도 1로 설정되면 소자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내의 소자 테스트 장치.4. The byte read unit 432 reads the output data of the JTAG supporting device, checks the bypassed valu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sets the flag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o 1 when there is an error. The device test apparatus of th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device is defective if the flag of is set to 1.
KR1019980043259A 1998-10-16 1998-10-16 Device test device on board KR100305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259A KR100305762B1 (en) 1998-10-16 1998-10-16 Device test device on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259A KR100305762B1 (en) 1998-10-16 1998-10-16 Device test device on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950A KR20000025950A (en) 2000-05-06
KR100305762B1 true KR100305762B1 (en) 2001-12-01

Family

ID=1955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259A KR100305762B1 (en) 1998-10-16 1998-10-16 Device test device on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76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950A (en)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2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parallel testing and access of electronic circuits
US5396170A (en) Single chip IC tester architecture
US9864003B1 (en) Automated waveform analysis using a parallel automated development system
US6766486B2 (en) Joint test action group (JTAG) tester, such as to test integrated circuits in parallel
US6347387B1 (en) Test circuits for testing inter-device FPGA links including a shift register configured from FPGA elements to form a shift block through said inter-device FPGA links
CN103592593A (en) Semiconductor circuit and methodology for in-system scan testing
US10151791B1 (en) Automated waveform analysis methods using a parallel automated development system
WO2008049104A2 (en) Interface to full and reduced pin jtag devices
US6058255A (en) JTAG instruction decode test register and method
Ramaprasad et al. Fully Automated PCB testing and analysis of SIM Module for Aircrafts
US708030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system therefor
US7607057B2 (en) Test wrapper including integrated scan chain for testing embedded hard macro in an integrated circuit chip
US20070079188A1 (en) Signal integrity self-test architecture
KR100305762B1 (en) Device test device on board
KR20030046801A (en) Parallel logic devices/circuits tester for plural logic devices/circuits and parallel memory chip repairing apparatus
US740302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utputting signals during self-heat burn-in modes of operation
KR100517604B1 (en) Programming apparatus of programmable device on board and the same method
KR20020087931A (en) A printed circuit assembly with configurable boundary scan paths
KR200141102Y1 (en) Automatic test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6292907B1 (en) State machine bit group selection apparatus for debugging a digital system
JPH1183946A (en) Testing apparatus for measured substrate
CN117517937A (en) Universal test structure and test system for digital chip
CN112462246A (en) Boundary scan test system and method thereof
Semiconductor Non-Contact Test Access for Surface Mount Technology IEEE
JPH11271400A (en) Structure for facilitating test to printed wir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