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581B1 -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581B1
KR100304581B1 KR1019990027066A KR19990027066A KR100304581B1 KR 100304581 B1 KR100304581 B1 KR 100304581B1 KR 1019990027066 A KR1019990027066 A KR 1019990027066A KR 19990027066 A KR19990027066 A KR 19990027066A KR 100304581 B1 KR100304581 B1 KR 10030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controller
device bay
ba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961A (ko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5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사용시, 피씨를 사용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피씨 전원을 온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를 사용하기 위해 모니터 전원을 온하여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준비 완료시 호스트 피씨의 전원인가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 인가시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디바이스 베이 인식시 그 디바이스 베이의 정보를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디바이스 베이 삽입시 모니터 컨트롤러에 디바이스 베이가 호스트 피씨와 접속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모니터 컨트롤러에서 디바이스 베이와 호스트 피씨의 미접속 인식시 삽입된 디바이스 베이의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여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는 제7단계로 동작하여, 모니터 전원만으로 디바이스의 내용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THE MONITOR SYSTEM BUILT IN DEVICE BAY AND DRIV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작자가 불편없이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씨(PC) 전원을 온(ON)시키지 않고, 디바이스 베이의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여 모니터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버스인 IEEE 1394나, 피씨(PC) 주변기기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버스로서 USB가 나왔다.
이를 위한 주변기기들이 계속해서 시장에 나오면서 주변기기들은 좀더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1394 버스와 USB 버스를 기반으로 주변기기(HDD, CD-ROM, DVD)를 담을 수 있는 슬롯 형태의 디바이스 베이(DEVICE BAY)라는 것이 개발되었다.
상기 디바이스 베이는 사용자가 피씨(PC)를 사용중에도 기기들을 추가, 교환할 수 있는 플러그(PLUG)와 플레이(PLAY) 기능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베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씨의 일부로 구성된 ACPI 방식의 내장형과, 1394 포트와 USB 포트가 외부로 연결되는 외장형이 있다.
상기에서 1394 포트와 USB 포트가 외부로 연결되는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HDD, DVD, USB Speaker 등의 디바이스를추가, 교환할 수 있도록 USB 포트와 1394 포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22)와, 상기 USB 포트와 1394 포트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받아들이는 호스트 피씨(21)와, 상기 호스트 피씨(21)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24)로 구성된다.
도 4는 종래의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바이스 베이(41)로의 디바이스 삽입 및 제거를 감지하고,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피씨측으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42)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41)로 삽입된 디바이스가 저속용일 경우 피씨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USB 허브 컨트롤러(43)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41)로 삽입된 디바이스가 고속용일 경우 피씨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1394 파이 컨트롤러(44)와, 디바이스 베이의 동작여부에 따라 모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컨트롤러(47)와,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47)의 제어에 의해 피씨로 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색신호(RGB)를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에 출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4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의거하여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면,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30)는 디바이스 베이(23)로 디바이스가 삽입되는지, 삽입되어 있는 디바이스가 제거되는지를 감지하여 USB 케이블을 통해 호스트 피씨(21)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 피씨(21)의 USB 인터페이스(26)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제어부(28)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30)는 디바이스 베이(23)에 HDD, DVD, USB Speaker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삽입된 경우, 그 삽입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피씨(21)의 제어부(28)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8)는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고속인 경우에 1394 케이블을 통해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1394 인터페이스(26)를 구동시키고,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저속인 경우에는 USB 케이블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USB 인터페이스(26)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1394 인터페이스(25) 또는 USB 인터페이스(26)를 구동시킨 후, 상기 제어부(28)는 그 구동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 베어 컨트롤러(30)에 어느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해 줄 것을 알려준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30)는 호스트 피씨(21)가 원하는 케이블을 인식한 후 디바이스 베이(23)에 삽입되어 있는 디바이스로 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케이블을 통해 호스트 피씨(21)로 전송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피씨(21)는 피씨 사용자에게 모니터(24)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를 도 3에서와 같이 모니터와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응용할 수 있다.
그러면 모니터에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를 일체화시킨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프론트 버튼 입력부(48)를 통해 모니터를 온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이를 모니터 컨트롤러(47)에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제어부(45)를 통해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를 온시킨다.
상기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를 온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45)는 호스트 피씨로 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색신호(analog RGB)를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42)는 디바이스 베이(41)로 디바이스가 삽입되는지, 삽입된 디바이스가 제거되는지를 감지하여 USB 허브 컨트롤러(43)를 통해 호스트 피씨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42)는 상기 디바이스 베이(41)에 디바이스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그 삽입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피씨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 피씨는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저속용일 경우, USB 허브 컨트롤러(43)를 통해 디바이스 베이(41)에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고속용일 경우 1394 파이 컨트롤러(44)를 통해 디바이스에 연결한다.
이렇게하여 상기 디바이스 베이(41)와 연결되면, 상기 호스트 피씨는 디바이스 베이(41)에 삽입되어 있는 디바이스로 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호스트 피씨는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의 화면상태, 크기, 색상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USB 허브 컨트롤러(43)를 통해 모니터 컨트롤러(47)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47)는 전송받은 각종 신호로 디스플레이 제어부(45)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 디스플레이기(46)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사용시, 피씨를 사용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피씨 전원을 온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씨 전원을 온시키지 않고, 모니터의 전원만을 켠 상태로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 전원만을 이용하여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주변기기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2는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의 외형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리모트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 52 : 1394 파이 컨트롤러
53 : USB 허브 컨트롤러 54 : 디바이스 베이
57 : 멀티플렉서 58 :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59 : 모니터 디스플레이기 510 : 모니터 컨트롤러
511 : 엠펙 디코더 512 : IR 수신부
513 : 스피커 518 : 프론트 버튼 입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로의 디바이스 삽입과 제거를 감지하고, 삽입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와, 상기 호스트 피씨와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에 삽입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고속데이터인 경우 호스트 피씨에 디바이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1394파이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와, 상기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엠펙 디코더로 전송하여 주는 또다른 1394 파이 컨트롤러와, 피씨 사용시 피씨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없을 경우 모니터 자체의 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수단과,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로 부터 호스트 피씨의 전원인가 여부와 디바이스 삽입유무에 따라 상기 상기 영상 선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컨트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바이스 베이를 사용하기 위해 모니터 전원을 온하여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준비 완료시 호스트 피씨의 전원인가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 인가시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디바이스 베이 인식시 그 디바이스 베이의 정보를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디바이스 베이 삽입시 모니터 컨트롤러에 디바이스 베이가 호스트 피씨와 접속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모니터 컨트롤러에서 디바이스 베이와 호스트 피씨의 미접속 인식시 삽입된 디바이스 베이의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여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바이스 베이(54)로의 디바이스 삽입, 제거 및 디바이스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와 정보를 교환하고,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주는 USB 허브 컨트롤러(53)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에 삽입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여 주는 1394 파이 컨트롤러(52)와,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면 피씨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니터 자체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하는 멀티플렉서(57)와, 상기 멀티플렉서(57)에서 선택된 신호를 받아 모니터 디스플레이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8)와,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1394 파이 컨트롤러(52)를 통해 디바이스의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인터페이스하여 주는 또 다른 1394 파이 컨트롤러(56)와, 상기 1394 파이 컨트롤러(56)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각각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513)로 출력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멀티플렉서(57)로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511)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 5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베이를 사용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원을 온시켜 준비한다(S61).
이렇게 하여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인가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한다.(S62)
판단 결과, 피씨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면 USB 허브 컨트롤러(53)와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는 초기화를 수행한다.(S63)
이때 디바이스 베이(54)로 DVD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삽입되면(S64),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는 디바이스 베이(54)로 삽입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USB 허브 컨트롤러(53)를 통해 호스트 피씨와 모니터 컨트롤러(510)로 전송한다.(S65)
그러면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로 부터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인식하고 멀티플렉서(57)가 피씨로 부터 출력되는 피씨의 아날로그 색신호(analog RGB)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58)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리모콘(517) 또는 프론트 버튼 입력부(518)를 통해 입력되는 기능(재생, 정지,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제어부(58)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8)는 상기 멀티플렉서(57)를 통해 선택된 피씨의 아날로그 색신호를 모니터 디스플레이기(59)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USB 허브 컨트롤러(53)로 부터 디바이스의 상태를 전달받은 호스트 피씨는 디바이스가 고속용인 경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로 1394 파이 컨트롤러(52)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알린다.
이에 1394 파이 컨트롤러(52)는 디바이스 베이(54)에 삽입된 DVD 디바이스로 부터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읽어들여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도록 한다.(S66)
그리고, 상기 S6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와 피씨측의 연결이 없는 상태가 된다.(S67)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DVD의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베이(54)로 삽입되면(S68),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는 DVD의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모니터 컨트롤러(510)로 디바이스가 삽입되었음을 알려준다.(S69)
이때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에서 모니터 컨트롤러(510)로 알리는 방식은 12C 또는 SMBUS를 이용하여 알린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엠펙 디코더(511)를 제어하여 멀티플렉서(57)로 인터페이스 메뉴를 출력하도록 한다.(S610)
그러면 상기 엠펙 디코더(511)에서 인터페이스 메뉴가 멀티플렉서(57)로 출력되고, 이때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멀티플렉서(57)가 엠펙 디코더(511)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플렉서(57)가 인터페이스 메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58)로 전송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8)는 상기 모니터 제어부(51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 디스플레이기(59)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모니터에 나타난 인터페이스 메뉴를 보고 리모콘(517)이나 모니터에 부착되어 있는 프론트 버튼 입력부(518)의 버튼을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내용을 재생, 검색과 같은 기능을 선택한다.
상기 기능을 전달받은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를 통해 1394 파이 컨트롤러(52)를 제어하여 디바이스 베이(54)에 삽입된 DVD 디바이스로 부터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읽어들이도록 하고, 엠펙 디코더(511)를 제어하여 디코딩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1394 파이 컨트롤러(52)에서 DVD 디바이스로 부터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읽어들여 또 다른 1394 파이 컨트롤러(56)를 통해 엠펙 디코더(511)로 인터페이스해준다.
그러면 상기 엠펙 디코더(511)는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얻은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514)로 전송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멀티플렉서(57)로 전송한다.
상기 멀티플렉서(57)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제어부(58)로 전송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8)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S611)
이와같은 동작을 수행하던 중에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체크한다.(S612)
체크한 결과,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는 USB 허브 컨트롤러(53)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가 진행된다.(S613)
이후,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51)는 디바이스 베이에 삽입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피씨에 전송한다.(S614)
이후에 디바이스 베어 컨트롤러(51)로 부터 피씨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알려주면 모니터 컨트롤러(510)로 알려주면, 상기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초기화를 수행(S615)한 후, 독립적인 디바이스의 제어를 중지한다.(S616)
그런다음 모니터 컨트롤러(510)는 피씨의 주변기기로서 본래의 기능을 수행한다.(S617)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호스트 피씨의 전원없이 모니터의 전원만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베이 모니터에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디바이스 베이를 사용하기 위해 모니터 전원을 온하여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준비 완료시 호스트 피씨의 전원인가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 인가시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의 초기화를 수행한 후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디바이스 베이 인식시 그 디바이스 베이의 정보를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바이스 베이의 삽입유무를 체크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디바이스 베이 삽입시 모니터 컨트롤러에 디바이스 베이가 호스트 피씨와 접속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모니터 컨트롤러에서 디바이스 베이와 호스트 피씨의 미접속 인식시 삽입된 디바이스 베이의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여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7단계에서 디바이스 베이 재생도중 호스트 피씨에 전원에 인가되면 제3단계로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방법.
  3. 디바이스 베이로의 디바이스 삽입과 제거를 감지하고, 삽입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여 호스트 피씨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와, 상기 호스트 피씨와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USB 허브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 베이에 삽입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고속데이터인 경우 호스트 피씨에 디바이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1394 파이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와, 상기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엠펙 디코더로 전송하여 주는 또다른 1394 파이 컨트롤러와, 피씨 사용시 피씨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호스트 피씨에 전원이 없을 경우 모니터 자체의 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수단과, 상기 디바이스 베이 컨트롤러로 부터 호스트 피씨의 전원인가 여부와 디바이스 삽입유무에 따라 상기 영상 선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니터 컨트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영상 선택수단은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KR1019990027066A 1999-07-06 1999-07-06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304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6A KR100304581B1 (ko) 1999-07-06 1999-07-06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066A KR100304581B1 (ko) 1999-07-06 1999-07-06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1A KR20010008961A (ko) 2001-02-05
KR100304581B1 true KR100304581B1 (ko) 2001-11-01

Family

ID=1959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66A KR100304581B1 (ko) 1999-07-06 1999-07-06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686A (ko) * 2009-10-30 2011-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 장치 및 영상출력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686A (ko) * 2009-10-30 2011-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 장치 및 영상출력 모니터링 방법
KR101660722B1 (ko) 2009-10-30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 장치 및 영상출력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961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2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329307B1 (ko) Usb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2439942B1 (en) Tv signal switching box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238530B1 (en) Discovery of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a control bus
EP2439924B1 (en) Extension module and television having the extension module
CN100410830C (zh) 便携式计算系统中的低功率dvd重放
US20150019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user interface via a secondary device
US633615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stop outputting data from a first port after detecting a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to a second port
US20070264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ctivating functions provided by a mobile phone
US7567295B2 (en) Video system and processor for computer
JP2002007064A (ja) 情報記録及びデコーダ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US20070123104A1 (en) Supply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as well as instruction method
EP2048652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EDID information thereof
JPH10137447A (ja) ある種のゲーム装置で、記述の異なるソフトウエアを実行するためのソフトウエアエミュレータ及び入出力装置
JP5335609B2 (ja) 通信装置
US200500218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304581B1 (ko) 디바이스 베이 일체형 모니터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US7257830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functioning as image reproduction medium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of
CN209015704U (zh) 一种接口电路及显示设备
KR200501080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JPH11145993A (ja) 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0281384B1 (ko) Usb모니터에 있어서 모니터 자동 구동방법
JP2002297273A (ja) 電子機器
WO2007071149A1 (fr) Procédé et appareil d'interface entre des sources de signaux et un dispositif de lecture
KR20050119288A (ko) 데이터재생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