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117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117B1
KR100304117B1 KR1019980055854A KR19980055854A KR100304117B1 KR 100304117 B1 KR100304117 B1 KR 100304117B1 KR 1019980055854 A KR1019980055854 A KR 1019980055854A KR 19980055854 A KR19980055854 A KR 19980055854A KR 100304117 B1 KR100304117 B1 KR 10030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priority value
voi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68A (ko
Inventor
김진대
표현명
한오형
강충구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1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여러 명의 사용자에 의해 음성과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상황에서, 서비스 우선순위 개념을 적용한 예약 방식과 채널 할당 방식으로,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성과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기지국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단말기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예약 패킷을 전달받아 채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전송할 채널을 예약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전달받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패킷 부호 분할 다원 접속(CDMA)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 등에서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 및 저궤도 위성 환경에서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는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의 예약과 채널 할당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토콜들에서는 음성 트래픽은 주로 예약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데이터는 단순히 경쟁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예약 패킷과 데이터 패킷이 전송 허용 확률에 따라 경쟁 방식으로 전송되므로써 채널의 효율과 음성 트래픽의 품질을 유지하기 힘들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서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경쟁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며, 음성 예약 트래픽을 제외한 대부분의 패킷 전송이 전송 허용 확률에 의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채널의 효율이 떨어지며, 음성 트래픽의 품질을 유지하기 힘들고, 음성 예약 트래픽을 제외한 대부분의 패킷 전송이 전송 허용 확률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여러 명의 사용자에 의해 음성과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상황에서, 서비스 우선순위 개념을 적용한 예약 방식과 채널 할당 방식으로,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성과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 프로토콜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일실시예 상태 천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설정하는 일실시예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 프로토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기지국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메체 접근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에 적용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단말기로 통보받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단말기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예약 팻킷을 전달받아 채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전송할 채널을 예약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전달받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지지국으로부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통보받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자신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기지국으로 예약 패킷을 전달하여 그에 따라 채널 할당 결과를 통보받는 제 2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예약된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 3 기능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국에, 기지국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1 기능;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단말기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예약 패킷을 전달받아 채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전송할 채널을 예약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전달받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전달받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자신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기지국으로 예약 패킷을 전달하여 그에 따른 채널 할당 결과를 통보받는 제 2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예약된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너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즉, 패킷 부호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 Access : 이하 "CDMA"이라함)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 등에서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다중 사용자에 의한 간섭을 적절히 제어해서 각 트래픽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
특히,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 부하를 채널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분산시켜 채널의 효율을 높이고 각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매체 제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각 단말은 버퍼에 대기하는 트래픽의 서비스 상태에 따라 우선권값을 동적으로 설정하며, 중앙의 기지국은 경쟁 방식과 피기백킹(piggy-backing)방식으로 전송되는 각 단말의 우선권값 정보를 수집하여 우선권 값의 순위에 따라 채널을 할당해서 모든 단말의 채널 액세스를 제어하며, 단말이 경쟁 방식으로 우선권 값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도 각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 값(cut-off prioirity) 개념을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 및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패킷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하는데 필요한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로서, 음성 및 데이터 단말이 채널을 요구하는 예약 방식과 기지국이 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우선, 각 단말은 자신의 트래픽 서비스 상태에 따라 우선권값을 동적으로 설정하며, 각 단말이 이를 경쟁 방식과 피기백킹(piggy-backing)방식으로 기지국에 알려준다. 이를 토대로 기지국은 채널 할당을 수행하고, 경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단말의 예약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계산한다.
기지국이 통보하는 채널 할당 결과 및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에 따라 모든 단말은 채널을 액세스하게 된다.
프로토콜의 구성은 도 5 와 같이 주어지며 예약 방식과 채널 할당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는 단말기와 기지국의 동작 순서는 도 6 와 같이 주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매체 접근 제어에 관련된 기술임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위 서비스 계층에서 만들어지는 사용자 데이터들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로지컬 링크 제어 계층(Wireless Logical Link Control layer : 이하 "W-LLC"이라함)과 무선 매체 접근 제어 계층(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layer : 이하 "W-MAC"이라함) 계층을 거쳐서 전송 형태로 처리한 후, 마지막으로 무선 피지컬 계층(Wireless Physical layer : 이하 "W-PHY"라함)에서 직접 전송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 프로토콜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로서, 특히, 부호 분할 다원 접속(CDMA)/히분할 다윈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TDMA"이라함) 기반의 우선권 있는 패킷 예약-부호 분할 다원 접속(Prioritized Packet Reserv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P2R-CDMA"이라함) 프로토콜에서 적용되는 상향 링크와 하향링크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CDMA방식에서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트래픽 전송시 발생하는 간섭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각 서비스의 품질과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체 접근 제어 기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P2R-CDMA프로토콜에서는 CDMA/TDMA방식으로 각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을 구성한다. 각 시분할 슬롯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수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비트 오류율에 따라(bit error rate) 결정된다.
우선, 하향링크는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과 하향링크 트래픽 채널(payload channel)로 구성된다. 브로드캐스트 채널은 각각의 상향 및 하향링크 채널에 대해 송신 및 수신 단말기 번호 정보와 이전 프레임의 상향 및 하향 링크 트래픽 채널과 예약 요청 채널의 확인 응답(acknowledgement)을 모든 단말기에게 통보하게 된다. 또한 예약과정에서 부하의 상태에 따른 불필요한 충돌을 줄이기 위한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cut-off priority)을 통보한다.
한편, 상향링크는 예약 요청 채널(random access channel ; 이하 "RACH"이라함)과 상향 트래픽 채널(payload channel)로 구성된다. 예약 요청 채널을 통해 각 단말들이 예약 패킷을 경쟁 방식으로 전송하여 채널할당을 요구하며, 이를 토대로 기지국이 채널을 단말기들에게 할당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브로드캐스트의 채널 할당 정보에 따라 각 채널에 패킷을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일실시예 상태 천이도이다.
즉, 각 단말이 자신의 트래픽 서비스 상태에 따라 우선권값을 설정하는 개념으로서 P2R-CDMA프로토콜에서는 각 단말들이 스스로 자신의 우선권값을 설정해서 예약 패킷이나 트래픽 패킷을 전송할 때 기지국에 알려준다. 단말의 우선권값이 설정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각 단말의 상태는 휴지 상태(idle state)(301), 초기 활성 상태(pro-active state)(302), 대기 상태(stand-by state)(303) 그리고 예약 상태(reserved state)(304)로 구분할 수 있다.
패킷 발생이 일어나지 않고 버퍼에 대기 중인 패킷이 없는 휴지상태(301)에서는 음성 및 데이터 단말 모두 우선권값을 0으로 설정한다.
휴지상태(301)에서 버퍼에 새로운 패킷이 발생하면 단말기는 초기 활성 상태(302)로 천이하면서 우선권값을 x 로 설정한다.
초기 활성 상태(302)에서는 각 단말들이 예약 패킷을 예약 요청채널로 전송하게 되는데 예약이 성공할 때까지 각 단말은 서로 다른 상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약 패킷이 전송에 성공할 때까지 버퍼에 대기하는 전체 패킷의 수와 대기중인 패킷의 지연시간 등이 각 단말마다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 활성 상태(302)에 있는 단말들은 자신의 버퍼에 대기하는 트래픽 상태를 정량화된 수치로서 우선권값 설정에 반영하여 예약 성공 이후 기지국이 채널을 할당할 때 적용하게 된다. 즉, 초기 활성 상태의 기본 우선권값을 단말의 버퍼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증가분(incremental unit) Δx 만큼 증가 시킨다.
예약 패킷 전송에 성공한 단말들은 대기 상태(303)로 천이하게 되며 채널 할당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대기 상태(303)에 있는 단말은 기지국의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 패킷을 정해진 채널에 전송하게 된다.
트래픽 채널을 할당 받아 예약 상태(304)로 천이하는 단말은 예약 상태의 기본 우선권값 y 와 단말의 버퍼 상태에 따라 설정하는 증가분(incremental unit) Δy 의 합으로 설정한다. 이 때 설정된 우선권값은 전송되는 트래픽 패킷에 피지백킹(piggy-backing)하므로써, 다음 프레임에서의 트래픽 채널할당을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반면, 채널을 할당 받지 못해서 트래픽 채널예약에 실패한 경우에는 단말이 피지백킹(piggy-backing)을 통해 우선권값을 전송할 기회가 없으므로 기지국이 가장 최근의 우선권값을 근거로 갱신하게 되며, 이 때 단말의 우선권값을 단말의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진 증가분(incremental unit) Δy 만큼 증가 시킨다.
한편, 음성 및 데이터 단말은 트래픽 패킷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발생하므로 대기 상태(303)에 있는 단말 중에서 버퍼에 전송할 패킷이 없는 경우가 존재하게 된다. 이 때에는 단말의 우선권값을 y' 로 설정하고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의 최근 우선권값과 패킷의 발생 주기 정보를 이용해 다음 패킷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단말의 우선권값을 다시 y 로 갱신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설정하는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음성 및 데이터 단말기들은 버퍼가 빈 상태에서 전송해야 할 새로운 패킷이 발생했을 때 예약 요구 채널을 통해 자신의 우선권값(priority)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예약 패킷의 전송이 경쟁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충돌로 인해 각 단말기들의 예약이 지연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경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예약 지연 시간을 줄이면서 음성과 데이터가 요구하는 서비스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효율적인 예약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P2R-CDMA 프로토콜에서는 트래픽 채널의 부하에 따라 불필요한 예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지국이 통보하는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cut-off priority)보다 높은 우선권값(priority)을 갖는 단말들만이 예약할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한다.
즉, 채널을 예약 받을 가능성이 큰 단말들로 제한해서 요청 채널에서의 접속시도를 허용함으로써 우선권값이 높은 단말들이 빠른 시간 내에 예약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은 기지국이 수집한 각 단말의 우선권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때, 마지막 순위로 채널을 할당 받게 된 단말로부터 아래로 임의의 순위에 있는 단말의 우선권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4 에서는 N 개의 상향 트래픽 채널이 있을 때 기지국이 우선권값 순서대로 채널을 할당했을 경우 N+k 번째 순위가 되는 단말의 우선권값을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cut-off priority)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 분할 다원 접속 프로토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특히 P2R-CDMA프로토콜의 구성과 동작원리를 나타낸다.
P2R-CDMA 프로토콜에서는 각 단말기가 자신의 버퍼에 대기하는 패킷의 지연시간을 이용해 우선권값을 설정한다. 음성 서비스는 주로 패킷 손실률에 따라 그 품질이 결정되는 반면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평균 처리지연시간에 의해 품질이 결정된다.
패킷 손실률 및 평균처리 지연시간은 모든 단말기가 전송채널을 할당 받을 때까지 버퍼에 패킷이 대기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각 단말기의 버퍼에 대기하는 트래픽 상태를 이용해 우선권값을 설정할 때 버퍼에 대기하는 첫번째 패킷의 대기 시간을 고려 한다.
즉, 각 패킷이 대기한 시간을 프레임 길이 단위로 확인해서 우선권값을 변화시킨다(=패킷 발생후 버퍼에서 대기한 시간/프레임 길이).
우선권값 정보는 단말기가 예약을 요청할 때 전송하는 예약 패킷 또는 채널을 할당받아 전송하는 트래픽 패킷에 피기백킹(piggy-backing)을 해서 기지국에 알려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된 각 단말들의 우선권값 정보를 토대로 기지국은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기지국이 통보하는 채널 할당 정보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에 따라 모든 단말들은 예약 요청 채널과 트래픽 채널에 접속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기지국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메체 접근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특히 P2R-CDMA프로토콜에 따른 단말기와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음성 및 데이터 단말들 중에서 비활성 상태에서 초기 활성 상태로 천이하면서 새로운 패킷이 발생하면 상향링크의 예약 요청 채널을 통해 경쟁 방식으로 예약 패킷을 전송한다. 이 때, 예약 패킷에는 단말의 우선권값 정보가 포함된다. 단,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채널로 통보한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 (cut-off priority)보다 큰 단말들만 예약을 시도한다.
기지국은 예약 요구 채널상에서 예약 패킷 전송에 성공한 초기 활성 상태의 단말들과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들의 우선권값들을 내림차순 순서로 정렬한 뒤 높은 순서부터 채널을 할당한다.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채널로 채널 예약 정보를 통보하면 각 단말기들은 해당 상향링크 트래픽 채널에 트래픽 패킷을 전송한다. 이 때 단말은 우선권값 정보를 패킷에 피기백킹(piggy-backing)해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 및 데이터 단말들 중에서 전송할 패킷이 없는 휴지 상태(601)로부터 최초 패킷이 발생하면(602), 초기 활성 상태로 천이한다(603).
이때, 기지국은 수집한 우선권값 정보와 채널 할당결과에 의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모든 단말에게 통보한다(604).
각 단말은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채널로 통보한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 (cut-off priority)보다 자신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만 예약 패킷을 전송한다(605,606).
기지국은 각 단말이 전송한 예약 패킷을 RACH채널로 수신한다(607).
예약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해당 패킷의 단말은 대기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대기 상태에서는 기지국의 채널 할당 정보에 따라 트래픽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608,609).
기지국이 우선권값 순위에 따라 채널 할당 결과를 모든 단말에게 통보한다(610).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전송할 채널을 예약 받은 단말은 예약 상태로 천이한 뒤에 트래픽 패킷을 정해진 시분할 슬롯과 전송 코드를 사용해 전송한다(611,612).
각 단말이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로 전송한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은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613).
한편, 단말의 버퍼에 더 이상의 전송할 트래픽 패킷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지 상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대기 상태 단계로 천이한다(6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장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cut-off priority)방식의 예약과정과 각 단말기의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른 채널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채널의 낭비를 줄이면서도 음성과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을 효과적으로 보장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패킷 예약 다중 접근(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 PRMA) 기법에 따라 음성 트래픽을 예약 방식으로 서비스 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확률에 따라 경쟁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시켜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트래픽 부하의 변동에 관계없이 음성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지국에 적용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단말기로 통보받는 제 1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단말기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예약 패킷을 전달받아 채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전송할 예약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전달받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은,
    상기 기지국이 수집한 각 단말기의 우선권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때, 마지막 순위로 채널을 할당받게 된 단말기로부터 아래로 임의의 순위에 있는 단말기의 우선권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3.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전달받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자신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기지국으로 예약 패킷을 전달하여 그에 따른 채널 할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예약된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 3 단계
    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은,
    각 무선통신 단말기의 우선권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때, 마지막 순위로 채널을 할당받게 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아래로 임의의 순위로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우선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5.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국에,
    기지국이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1 기능;
    상기 기지국이, 상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단말기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예약 패킷을 전달받아 채널 할당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트래픽에 전송할 채널을 예약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전달받는 제 3 기능
    을 실형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 음성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을 전달받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가능 최저 우선권값보다 자신의 우선권값이 큰 경우에, 상기 기지국으로 예약 패킷을 전달하여 그에 따른 채널 할당 결과를 통보받는 제 2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널 할당 결과에 따라 예약된 상향링크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9980055854A 1998-12-17 1998-12-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KR10030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54A KR100304117B1 (ko) 1998-12-17 1998-12-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54A KR100304117B1 (ko) 1998-12-17 1998-12-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68A KR20000040268A (ko) 2000-07-05
KR100304117B1 true KR100304117B1 (ko) 2001-11-22

Family

ID=1956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54A KR100304117B1 (ko) 1998-12-17 1998-12-17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096B1 (ko) * 2002-09-30 2009-08-06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rcma프로토콜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6232B1 (ko) * 2003-06-30 2009-11-09 주식회사 케이티 기지국의 제어를 이용한 d-tdma 프로토콜 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의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을저장하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6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0977B2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パフォーマンスを向上させる方法と装置
US5594738A (en) Time slot allocation method
EP1055296B1 (en) Packet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885868B1 (en) Fair packet scheduler and scheduling method for packet data radio
KR100212060B1 (ko) 시분할다중접속방식 통신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방법
US5515379A (en) Time slot allocation method
US5729540A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messages on a common channel
EP0877512B1 (en) A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EP1157486B1 (en) Method of rate allocation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1177865A (ja) 移動通信におけるスロット割当て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する基地局並びに移動局
KR10030411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음성및데이터통합서비스를위한매체접근제어방법
EP1595361B1 (en) Scheduling of signaling messages in a wireless tdma-based communication system
Wang et al. HAMAC: an adaptive channel access protocol for multimedia wireless networks
JP2000244535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アクセスの方法及び装置
WO2000062457A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ffic scheduling
JP2000078119A (ja) 再送制御情報の伝送方法
Kwok et al. A performance study of multiple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Kwok et al. A performance study of multiple access control protocols for
JP200015232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の無線リソ―ス割当方法
JPH11239090A (ja) 衛星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予約方法
KR2001000240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MXPA99009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of access based on random recoil in a communication system
MXPA99009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ccess priority based on re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