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087B1 - 탄창 - Google Patents

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087B1
KR100304087B1 KR1019960702412A KR19960702412A KR100304087B1 KR 100304087 B1 KR100304087 B1 KR 100304087B1 KR 1019960702412 A KR1019960702412 A KR 1019960702412A KR 19960702412 A KR19960702412 A KR 19960702412A KR 100304087 B1 KR100304087 B1 KR 10030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spacer
spring
protrusion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062A (ko
Inventor
마흐 에른스트
벨들레 헬무트
에프 에르빈
반틀레 요하네스-아우구스트
Original Assignee
바로이더 헬무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로이더 헬무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로이더 헬무트
Publication of KR9607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65Box magazines having a cartridge follower
    • F41A9/71Arrangements thereon for varying capacity; Adapters or inserts for changing cartridge size 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배출 단부를 갖는 탄창 튜브(1); 상기 배출 단부로부터 제한 정지부까지 연장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탄창 튜브(10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하는 급송기(7); 및 상기 급송기(7)를 편의시키는 탄창 스프링(4)을 포함하며, 상기 탄창 스프링(4)은 탄창의 배출 단부를 향하여 제한 정지부를 변위시켜 탄창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삽입물(6)에 의하여 지지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탄창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연발 소화기(小火器)용 탄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 단부를 갖는 탄창 튜브와, 배출 단부로부터 제한 정지부까지 연장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탄창 튜브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급송기와, 급송기를 편의시키는 탄창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 권총용 탄창에 관한 것이다(본원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
본원 청구항 제1항 및 제9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특징부를 갖는 자동 권총용 탄창은 독일 특허 제 DE-AS 1 269 91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그 최초의 설계에 있어서의 탄창[이하, "오리지널 탄창(original magazine)"이라 칭함] 내에 규정된 수의 탄환을 보유할 수 있는 연발 소화기가 스포츠 경기에서와 같이 소수의 탄환만이 허용되는 상황에서나 또는 소화기가 사용되는 지역에 유효한 법규나 규칙에 의하면 탄환의 수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때때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 장전 용량을 감소시킨 탄창이 사용되어야 한다.
해당 무기가 외장형 탄창을 갖는 것에까지 미친다면, 오리지널 탄창을 필요한 만큼 매우 간단하게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전 용량의 감소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탄창이 자동 권총의 손잡이부에서와 같이 부품 내부에 거의 또는 완전히 수납되는 무기의 경우에, 감소된 장전 용량을 갖는 탄창은 각각의 경우에 "오리지널 탄창"의 전장만큼 길어야 한다.
이러한 삽입식 탄창(plug-in magazines)에 의하면,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또한 신장부가 외측에서 부착될 수 있는 탄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탄창 고정부가 손잡이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탄창의 전장은 중요한 치수가 되고, 그것에 대한 공차가 매우 엄격할 수 있다.
또한, 잠재적 구매자가 감소된 장전 용량을 갖는 동시에, 그 외양은 보다 확실한 진정성(眞正性)(authenticity)(즉, 수집가에게 중요한 이유)을 위해 오리지널 탄창과 유사한 탄창을 선호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지 외양 때문에 신장부가 부착되어 있는 짧은 탄창을 구입하려고 하지 않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조 공정을 불필요하게 복잡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오리지널 탄창의 다수의 부품(제작자로부터 계속적으로 입수가능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창의 장전 용량을 감소시키는 상이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징부, 즉 배출 단부를 갖는 탄창 튜브와, 상기 배출 단부로부터 제한 정지부까지 연장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탄창 튜브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급송기와, 상기 급송기를 편의시키는 탄창 스프링을 포함하며, 탄창 스프링은 탄창 배출 단부를 향하여 제한 정지부를 변위시켜 탄창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삽입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탄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의 전체 장전 용량으로의 복원은 적어도 보통의 사격병이 이용할 수 있는 지식과 장비로는 불가능하다. 한편, 탄창이 완전 분해될 수 있는 보장이 있어야 한다.
제1단계에서, 본 발명은, 스페이서가 탄창 스프링과 탄창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그상에 짧은 탄창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스페이서가 제거되면, 탄창 스프링은 새로이 이용할 수 있는 탄창 튜브의 길이에 비하여 매우 짧아지므로, 최종 탄환은 더이상 전진할 수 없고, 이러한 최종 탄환의 처음 탄환 역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탄창 스프링을 삽입하기 전에 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기존의 전체 장전 용량을 이용하고자 하고 항상 탄창을 충전시키는 경우에, 스프링은 전술된 문제가 예견될 수 있는 지점까지 다시 압축될 것이다.
아마추어 기능공이 완전히 새로운 탄창 스프링을 제조하도록 기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스페이서 및 탄창 기판은 구조적인 변경을 할 수 없다면, 탄창이 스페이서와 함께 사용되도록, 단일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거나 상호 불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또는 부가적인 제2 단계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페이서가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 이외에는 탄창 기판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탄창 기판과 스페이서가 상호 보완적인 개별 부재로 설게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탄창 스프링의 힘이 스페이서상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탄창 기판상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에, 탄창 기판은 탄창 튜브 또는 탄창 하우징상에서의 장착부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된다. 이러한 경우에, 적절히 설계된 감소된 장전 용량보다 많은 탄환이 탄창에 장전되는 경우에(스페이서가 없는 경우)에, 전술된 분리나 파손이 최후에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청구한 바와 같이, 탄창 기판이 아닌 다진 스페이서 만이 탄창 튜브상에 고정되도록, 탄창 기판과 스페이서를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익하다. 이러한 두 부재가 상호 분리되고 또한 스페이서가 생략된 경우에, 탄창 기판을 탄창 튜브에 부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스페이서와 탄창 기판을 개별 구성 요소로 설계하고 스페이서가 탄창 기판과 탄창 튜브간의 잠금을 보장하는 장착 위치까지 밀리도록 스페이서상에 작용하는 탄창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러나, 스페이서가 생략되면, 탄창이 과장전되는 경우에, 탄창 기판이 분리되거나 이러한 탄창 기판의 장착 부품이 분리된다. 어떤 경우에도, 탄창은 감소된 장전 용량 이상으로 장전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스프링 판 부재는 엠보싱 처리된 시트 금속판(embossed sheet metal plate)일 수 있는 반면에, 스페이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판은 스페이서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설계되며, 이것은 스페이서가 제거되는 경우에, 스프링용의 적절한 안착면이 없어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이것은 달리 변경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일체형 구성 요소로 설계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몇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로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강으로 제조된 매우 가혹한 하중에 노출되는 세그먼트와, 주위의 플라스틱 부분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출될 수 있는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창 기판 및 스페이서는 서로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연결은 탄창 기판에 대해 스페이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들을 파손하지 않고서는 2개 부재를 완전히 분리할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의 이동성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 구성과 이점은 여전히 모두 유효하지만, 스페이서의 제거에 의하여 탄창이 궁극적으로 파손됨으로써, 스페이서의 강압적 제거의 결과로 탄창 기판이 손상되고 사용될 수 없도록 스페이서와 탄창 기판간의 연결이 선택될 수 있다.
스페이서를 장착 위치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슬롯을 탄창 튜브의 벽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페이서를 이동시키도록 공구가 그내에까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구에 의하여 스페이서가 급송기를 향하여 밀려질 수 있도록 탄창 기판에 구멍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구성의 특별한 장점은 탄창 스프링이 스페이서를 장착 위치에 항상 유지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창 기판에 있는 구멍과 상보형이며 스페이서가 장착 위치에 있으면 상기 구멍에 안착하도록 설계된 핀형 신장부(pin-like extension)가 스페이서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습기나 먼지가 탄창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스페이서의 장착 위치, 즉 사용 중에 구멍이 폐쇄될 뿐만 아니라, 필요 공구가 길고 얇지 않기 때문에 공구로서 탄환의 선단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냥꾼이 무기 분해용 공구를 가지고 다니지 않고 사냥하는 동안에 심지어 사용자는 탄창을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창에 침투하는 굵은 입자의 모래가 탄창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탄창이 푸석푸석한 모래에 떨어지는 경우에 이러한 세척을 필요로 한다.
기본적으로, 탄창 튜브의 두 편평한 측면을 베이스측 단부상에서 외향으로 절곡시키고 또한 탄창 기판을 안내부로 미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이점, 즉 탄창 튜브의 내부 공간 전체를 이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며, 전술된 종래 공보(독일 특허 제 DE-AS 1 269 918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경우에, 탄창 튜브의 적어도 두 대향 측면을 따라 탄창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가요성 레그부가 존재하며, 그 각각의 단부상에는, 탄창의 대응하는 벽에서 리세스에 고정되지만, 종래의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탄창벽을 통과하는 모든 방향으로 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의 가장자리상에 안착하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리세스의 가장자리 및/또는 그와 접촉하는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약간 내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페이서는 장착 위치에서 돌출부가 탄창의 내측상에 지지되어, 리세스의 외부로 이동될 수 없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스페이서가 장착 위치의 외부로 그것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는 돌출부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돌출부는 이제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탄창 기판을 해제시킨다.
스페이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탄창이 감소된 탄창 용량 이상으로 충전되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힘과 같은 충분히 강한 힘이 탄창 기판상에 부과되면, 이러한 내향 이동은 전술된 베벨(bevel)에 의하여 개시될 수 있다.
레그부가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는 사실 때문에 이러한 베벨이 불필요하며, 플라스틱의 가요성과 레그부의 단면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부하가 가해지면 힘이 리세스에 인가되는 영역에 측방향으로 바로 근접한 돌출부에 레그부가 부착되기 때문에 각각의 돌출부를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기능공이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탄창 스프링을 신장시키며 그리고 상기 방식으로 개량된 탄창을 장전하는 것을 시작하면, 탄창의 기판은 탄창이 충전되기 전에 그로부터 간단히 미끄러질 것이다. 그러나, 기능공이 탄창을 분해하고 세척한 후에 스페이서를 제자리에 놓는 것을 우연히 잊어버리면, 스페이서의 부존재에 의하여 정확하게 조립된 탄창을 갖는 경우와 달리, 짧은 탄창 스프링이 탄창 립부에 대항하여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탄창의 충전보다 일찍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탄창 튜브의 외형을 지나 외향으로 연장하지 않으므로, 탄창을 돌출부를 통과하는 탄창 슬롯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의 외측은 충분히 크게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취급되게 하고, 탄창이 분해될 때 돌출부에 용이하게 위치 설정 및 밀려질 수 있는 구조체(예를 들면, 리브)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파괴점(breaking point)을 갖는 레그부를 제공하거나, 심지어 레그부 자체를 소정의 파괴점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마추어 기능공은 고성능 접착제를 사용하여 돌출부를 리세스에 접착시켜, 심지어 스페이서 없이도 감소된 장전 용량 이상으로 탄창을 충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파괴점이 존재하면, 레그부는 파손되며 그리고 탄창은 완전히 무용지물이 된다. 그러나, 탄창을 간단히 변형시킴으로서 과정전(overload)시킬 수 있는 경우는 없다.
전술된 구성에 있어서, 돌출부상에 안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그 안착부에 대하여 장전 위치에서 내측으로부터 돌출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의 잠금 세그먼트가 숄더(shoulder)와 함께 안착한다. 그러므로, 탄창의 정상 사용중에, 탄창 스프링의 힘은 탄창 베이스에 전달되지 않지만, 돌출부에 의하여 리세스에 직접 전달되어 탄창 튜브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된 특징 대신에 또는 그것에 부과하여, 스페이서의 핀형 신장부가 위치하는 탄창 기판에 있는 개구 또는 구멍을 확대하므로써, 이 구멍의 크기에 의하여 탄창 기판은 탄창 스프링을 더이상 지지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것에 의해, 스페이서의 동등 부품의 핀형 신장부는 구멍의 상보형을 이루도록 설계되므로, 장착 위치에서 구멍을 폐쇄하여 스페이서를 센터링한다. 또한, 스페이서는 숄더를 구비하며, 그 숄더에 의하여 스페이서는 탄창 기판상에 위치하거나, 개구 둘레에 형성된 안착부상에 근접 위치하거나, 또는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된 전술한 숄더상에 위치한다.
탄창의 조립 도중에, 스페이서가 빠진 경우에, 탄창 기판에 있는 개구는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그리고 탄환이 탄창에 장전되면, 탄창 스프링은 구멍을 통과하므로서 탄창을 무용지물로 만든다.
전술된 실시예 이외에, 탄창 튜브의 내부면의 형상에 관해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형상은, 예를 들면 숙련된 아마추어 기능공이 탄창 튜브에 탄창 기판을 접착시킬 수 있으므로써, 본원에 청구된 특징부는 탄창 기판의 분리를 더이상 발생시키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에에 있어서, 그 자체는 이미 종래에 공개되었으며 그리고 탄창 튜브의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두 평탄 측면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가 제공된다. 종래 탄창에 있어서, 이러한 안내 돌출부는 탄창의 전체 높이에 걸쳐 탄환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며 탄환용 접촉면을 형성한다. 본원에 청구된 형상에 있어서, 안내 돌출부는 탄환이 감소된 장전 용량이 존재하는 영역에만 연장되며, 상기 영역 하방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스페이서의 제거 이후에, 규정된 갯수 보다 많은 탄환이 탄창에 삽입되면, 안내 돌출부의 하단부에 의하여 이동 방해 현상(jam)이 발생하거나, 안내 돌출부가 최하위 탄환의 전진을 방해하여, 이동 방해 현상이 예견될 수 있다.
전술된 특징부 대신에 또는 그 이외에, 평탄한 측면중 하나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차단 돌출부가 제공되어, 급송기가 그것에 의하여 얻을 수 있을 뿐이다.
탄창에 감소된 장전 용량에 대응하는 갯수의 탄환이 충전되면, 최하위 탄환은 실제로 차단 돌출부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스페이서가 제거되고 부가적인 탄환이 탄창에 장전되면, 최하위 탄환이 차단 돌출부와 다음 탄환 사이에서 이동 불능으로 되어, 더이상의 탄환을 장전하기 위하여 큰 힘을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추가 탄환을 장전하고자 하면, 차단 돌출부는 탄창에 있는 탄환의 전진을 방해하여, 일시적으로 사용 불능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원에 의하여 청구된 바와 같은 탄창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2도의 I-I선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탄창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원에 의하여 청구된 바와 같은 탄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4도의 Ⅲ-Ⅲ선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 실시예의 탄창을 도시하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상기 2개의 실시예는 자동 권총용 탄창을 각각 갖는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상방", "하방", "전방", "후방" 이라는 용어는 제2도에 적절히 도시된 탄창의 위치를 일컫으며, 제2도에 있어서, 탄창 립부(8)는 상방에, 탄창 기판(2)은 하방에, 그리고 좌측[탄창이 장전되면 탄환(9)의 선단이 가리키는 측면]이 전방이다.
제1 실시예(제1도 및 제2도) 및 제2 실시예(제3도 및 제4도)의 탄창은 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 상단부가 탄창 립부(8)를 갖는 탄창 튜브(1)를 각각 구비한다.
탄창 튜브에 있어서, 탄창 튜브의 하부측상에는 스프링 안착판(12)을 갖는 급송기(7)가 제공되며, 장착판의 상부에는 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점진적으로 가늘어지거나 또는 계단형 탄창 스프링(4)이 안착한다/
급송기(7)의 상부 측면과 탄창 립부(8) 사이에는 다수의 탄환(9)이 제공된다.
탄환(9)의 안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창 튜브(1)의 평탄한 측면의 내측면 각각에는 탄환에 대하여 직각으로 기본적으로 연장하는 스트립형 안내 돌출부(10)가 제공된다.
이러한 범우에서의 탄창은 종래의 유사한 탄창과 상이하지 않다.
제1도는 전체 장전 용량까지 탄환(9)이 장전된 본 발명에 의하여 청구된 탄창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장전 용량은 10개의 탄환이다.
그러나, 탄창 튜브는 15개의 탄환까지 장전될 수 있는 부조화 전장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후술된 본 발명의 요지를 나타낸다. 종래 탄창의 외부 치수(15개의 탄환을 가짐)는 준수되지만, 그 유효 용량(가능하면, 변경될 수 없음)은 감소된다(10개의 탄환까지).
종래 탄창에 의하면, 탄창 스프링(4)용 하부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안착판(13)을 직접 위치시키는 탄창 기판(2)이 제공되지만, 본원에 의하여 청구된 실시예에 있어서, 탄창 기판(2)과 스프링 안착판(13) 사이에는 스페이서(6)가 삽입된다. 이러한 스페이서(6)의 높이는 탄창 튜브(1)의 하부에서 5개의 탄환(9)이 지그재그형 배열로 점유된 공간에 거의 대응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탄창 기판(2)은 양 측면상에 상향으로 돌출하고, 탄창 튜브(1)의 평탄 측면을 따라 중간에서 거의 연장되며 그리고 그것과 접촉하는 레그부(11)를 구비한다.
레그부(11)의 상단부는 외향 연장하고 직사각형 리세스(15)에 안착되는 직사각형 돌출부(5)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탄창 튜브(1)의 평탄 측면에 있는 구멍으로 설계된다.
돌출부(5)의 외측에는 리브가 제공되며, 탄창 튜브(1)의 외부면과 접촉하고, 탄창 튜브(1)로부터 탄창 기판(2)을 분리시키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가압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스페이서(6)는 바닥부에서 폐쇄된 중공 본체로 설계되고 하부측에서 탄창 기판(2)에 있는 정합 구멍과 결합되는 중앙의 핀형 신장부(3)를 갖는다. 구멍 상방에서, 스페이서(6)는 이완된 센터링 상태로 레그부(11)의 내측과 접촉하는 확장부를 갖는다.
상부측에서, 스페이서(6)는 탄창 스프링(4)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판(13)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스프링 안착판(13) 하방에서, 스페이서(6)는 하부측상이 아니라 돌출부(5) 후방에서 레그부(11)에 대하여 내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상부 확장부와 유사한 확장부(14)를 갖는다. 이러한 확장부 하방에는 스페이서(6)의 가느다란 본체로의 베벨형 전이부가 존재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6)는 탄창 스프링(4)에 의하여 장전 위치로 가압되며, 탄창 기판(2)의 하면으로부터 구멍으로 삽입되고 또한 핀형 신장부(3)에 대하여 화살표(A)로 지시된 방향으로 밀리는 꽂을대(cleaning rod)와 같은 적절한 기구에 의하여 장전 위치의 외부로 밀려질 수 있다.
장전 위치에서, 확장부(14)는 돌출부(5)의 상부측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5)가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스페이서(6)가 화살표(A)로 지시된 방향으로 상승되면, 확장부(14)는 돌출부(5)상에 위치하며, 탄창 기판(2)이 분리될 때까지 상기 돌출부(5)가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확장부(14)의 베벨형 하부 가장자리는 탄창의 조립중에 돌출부(5)가 리세스(15)내에서 외부로 항상 가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탄창의 조립중에 스페이서(6)가 남겨지고, 탄창 스프링이 신장되거나 보다 긴 스프링으로 교환되면, 탄창 스프링(4)은 탄창 기판(2)상에 직접 위치하며 보다 높은 압력을 탄창 기판(2)상에 부과하여, 그 이상의 탄환(9)이 탄창에 장전된다.
이러한 힘은 레그부(11)에 의하여 돌출부(5)에 인장력으로 전달되어, 돌출부를 편심적으로 결합시켜, 돌출부(5)가 리세스(15) 외부로 미끄럼 이동할 때까지, 돌출부의 상부 가장자리를 내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탄창 기판이 가요성이 있으며 그리고 레그부(11)의 하부 벽 두께를 부여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특히 리세스(15)의 하부 경계면 및/또는 이러한 경계면과 접촉하는 돌출부(5)의 표면이 내향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스페이서(6)가 제거되면, 탄창을 15회의 전체 용량까지 장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스페이서(6)는 단일 부재 또는 다중 부재의 구성 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탄창은 차단 돌출부(16)를 구비하지만, 이러한 특징부는 임의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차단 돌출부는 탄창 튜브(1)의 평탄한 일측면에 엠보싱 처리된 돌출부로서 설계되기 때문에, 그것은 내향 돌출하며, 10개의 탄환(9) 중 최하위 탄환을 걸리게하며, 급송기(7)가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기에 충분한 만큼 탄창 내부로 돌출한다.
스페이서(6)가 존재하지 않고 탄창 기판(2)을 전술된 방식으로 분리할 수 없도록 어떤 수단으로 체결하기 위한 시도가 행하여지면, 열번째 탄환(9)이 차단 돌출부(16)상에 위치하고 또한 그것을 통과하여 하향으로 밀릴 수 없기 때문에, 열한번째의 탄환과 부가적인 탄환(9)을 탄창에 장전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그러나, 열번째 탄환이 상당한 힘을 인가함으로써 그것을 통과하도록 밀려질 수 있더라도, 차단 돌출부(16)는 탄환(9)의 정확한 전진을 방해하여 탄창을 무용 지물로 만든다.
차단 돌출부(16)가 생략되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부가 역할을 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안내 돌출부(10)는 탄창 튜브(1)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지 않지만, 열번째 탄환 바로 아래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스페이서(6)와 차단 돌출부(16)가 모두 생략되면[예를 들면, 차단 돌출부(16)가 제거되면], 그리고 10개 보다 많은 탄환(9)이 탄창에 장전되면, 탄환의 전진중에 열한번째 탄환(9)은 안내 돌출부(10)의 하단부와 하부로부터 충돌하여 탄환의 전진이 방해되며 그 결과 이동 불능 현상이 발생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단지 탄창 기판(2)과 스페이서(6)는 제1 실시에의 대응하는 부재와 상이하므로 이것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핀형 신장부(3)는 제1도에 도시된 것보다 직경이 크다. 예를 들면, 탄환과 같은 비교적 무딘 물체가 핀형 신장부(3)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탄창 기판(2)에 있는 구멍 부근은 조립중에 핀형 신장부(3)를 안내하고 센터링하기 위하여 측면상에서 원추형으로 테이퍼 가공된다. 그러므로, 안내 및 센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하부 확장부는 불필요하다.
더욱이, 각 돌출부(5) 각각의 내측면상에는 탄창 튜브(1)를 향하여 돌출부(5)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는 안착부(18)가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모든 안착부(18)의 높이는 동일하다.
스페이서(6) 상에는, 확장부(14)가 제1 실시예에서 위치되는 지점에 숄더(17)가 제공되며, 상기 숄더(17)는 스페이서(6)가 장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안착부(18)와 정합하여 그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탄창 스프링(4)의 힘은 스페이서(6)상의 스프링 안착판(13)으로부터 숄더(17)를 경유하여 돌출부(5)까지 그리고 리세스(15)를 경유하여 탄창 튜브(1)까지 전달된다. 돌출부(5) 이외에, 탄창 기판(2)상에 어떠한 힘도 부과되지 않는다.
정상 사용중에 어떠한 힘도 전달하지 않는 레그부(11)는 제3도에 있어서 각각의 레그부(11)에 홈 또는 채널로 나타낸 소정의 파괴점을 각기 갖는다.
소정의 파괴점은 스페이서(6)가 없는 경우에, 10개보다 많은 탄환(9)의 탄창 장전과 유사하게, 탄창 스프링(4)에 의하여 탄창 기판(2)상에 힘이 부과되는 경우에 확실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핀형 신장부(3)와 따라서 탄창 기판(2)에 개방되어 있는 위치설정기는 탄창 스프링(4)이 개구를 통하여 끼워지도록 확대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6)가 생략되는 경우에, 탄창 스프링(4)은 탄창 기판(2)상에서 더이상 지지될 수 없다.
제2 실시예는 차단 돌출부(16) 및/또는 짧는 스트립형 안내 돌출부(10)와 같이 작용에 기여하는 제1 실시예의 특징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

Claims (12)

  1. 배출 단부를 갖는 탄창 튜브와,
    상기 배출 단부로부터 제한 정지부까지 연장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탄창 튜브(1)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급송기(7)와,
    상기 급송기(7)를 편의시키는 탄창 스프링(4)을 포함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에 있어서,
    상기 탄창 스프링(4)은 탄창의 배출 단부를 향하여 제한 정지부를 변위시켜 탄창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삽입물(6)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은 탄창 스프링(4)을 향하여 탄창 기판(2) 상에 삽입되는 스페이서(6)로 형성되며,
    상기 탄창 스프링(4)은, 스페이서(6) 생략된 경우에, 잔존 탄환(9)를 탄창 튜브의 배출 단부까지 신뢰성있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급송기(7) 상에 충분히 강한 힘을 부과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안착판(13)이 스페이서(6)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 기판(2)은 개구를 구비하며, 그 개구를 통하여 상기 스페이서(6)가 상기 급송기(7)를 향하여 탄창 스프링(4)의 편의력에 대항하여(화살표 A) 분리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 기판(2)을 향하는 핀형 신장부(3)가 상기 스페이서(6) 상에 위치하거나 형성되며, 상기 신장부는 장착 위치에서 개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70)를 향하여 상기 탄창 튜브(1)의 대향 벽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탄창 베이스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레그부(11)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레그부(11)의 각 자유 단부상에 상기 탄창 튜브(1)의 대응하는 벽에 대응하는 리세스(15) 내로 연장되는 돌출부(5)가 제공되어, 상기 돌출부(5)와 상기 리세스(15)의 잠금 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5)와 상기 대응하는 리세스(15)는 상기 탄창 스프링의 전체 힘이 인가될 때에 상기 돌출부(5)가 상기 탄창 튜브(1)의 내부를 향하여 굴곡하여 상기 리세스(15)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스페이서(6)는, 그것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탄창 튜브(1)의 내부로부터 상기 돌출부(5) 각각으 지지하지만 그러나 상기 스페이서(6)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돌출부(5)를 분리시키는 잠금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 기판, 상기 레그부 및 상기 돌출부는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8. 제 6 항에 있어서,
    잠금 상태에 있는 상기 돌출부(5)의 외부면은 상기 탄창 튜브(1)의 외부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그것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부면은 탄창이 분리되는 경우에 손가락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5)의 측면상에는 힘을 전달하는 결합 숄더(17)를 갖는 상기 스페이서(6)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레그부(11)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파괴점을 갖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결합하는 숄더를 갖는 상기 돌출부의 마주보는 측면상에 안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안착부상에 스페이서가 위치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안착부 상에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탄창 기판에 있는 개구는, 탄창 스프링에 대하여 접촉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스페이서가 제거되면 상기 탄창 스프링이 개구내로 또는 개구를 통과하여 밀리도록 그리고 스페이서의 하부측이 개구와 정합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그것을 폐쇄하도록 하는, 크기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 튜브(1)의 평탄한 측면중 적어도 하나의 안쪽에는 전체 탄창에 있어서 탄창의 배출 단부의 대응하는 측면[탄창 립부(8)]으로부터 최하위 탄환(9) 위치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발 소화기용 탄창.
KR1019960702412A 1994-09-09 1995-09-08 탄창 KR100304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32192A DE4432192C1 (de) 1994-09-09 1994-09-09 Stangenmagazin
DEP4432192.9 1994-09-09
PCT/EP1995/003549 WO1996007866A1 (de) 1994-09-09 1995-09-08 Magaz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062A KR960706062A (ko) 1996-11-08
KR100304087B1 true KR100304087B1 (ko) 2001-11-22

Family

ID=652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412A KR100304087B1 (ko) 1994-09-09 1995-09-08 탄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68696A (ko)
EP (1) EP0728288B1 (ko)
KR (1) KR100304087B1 (ko)
AT (1) ATE167567T1 (ko)
CA (1) CA2175346C (ko)
DE (2) DE4432192C1 (ko)
ES (1) ES2119470T3 (ko)
WO (1) WO19960078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73B1 (ko) * 2021-07-29 2021-10-07 노태종 탄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148A (en) * 1995-08-31 1998-01-06 Fabbrica D'armi P. Beretta, S.P.A. Ten round magazine with fifteen round profile
KR100208383B1 (ko) 1997-06-03 1999-07-15 윤종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변환 생산방법
US6446156B1 (en) * 1999-04-21 2002-09-03 Seagate Technology Llc Proposal of capacity tun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storage disc drives
US6470872B1 (en) * 2000-04-03 2002-10-29 Benjamin T. Tiberius Semi-automatic firing compressed-gas gun
DE502004004805D1 (de) 2004-02-27 2007-10-11 Sat Swiss Arms Technology Ag Magazin für eine Handfeuerwaffe
US20110005115A1 (en) * 2009-07-09 2011-01-13 Cahill Jeffrey M Safety Magazine
US10041752B2 (en) 2011-03-28 2018-08-07 Zachary Daniel Ladner Universal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ably limiting capacity of firearm magazines
US11175106B2 (en) * 2011-03-28 2021-11-16 Magazineblocks Llc Universal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ably limiting capacity of firearm magazines
US9328982B2 (en) 2011-03-28 2016-05-03 Zachary Daniel Ladner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capacity of firearm magazines
US9420778B1 (en) 2013-09-30 2016-08-23 Tiberius Technology, Llc Noise-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9267749B1 (en) * 2015-01-27 2016-02-23 Michael Dukart Firearm magazine plug
RU2622324C2 (ru) * 2015-08-17 2017-06-14 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Симон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быстрое наполнение съемных коробчатых магазинов патронами
US9846004B2 (en) * 2015-12-21 2017-12-19 Mike Micllef Easy loading magazine
US10317153B2 (en) * 2016-07-11 2019-06-11 Sagi Faifer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capacity of an ammunition magazine
AT518391B1 (de) * 2017-02-14 2017-10-15 Bubits Wilhelm Magazin einer Pistole für Patronen mit Hülsenrand und Pistole mit einem solchen
US10190835B2 (en) * 2017-06-02 2019-01-29 ZEV Technologies, Inc. Ammunition magazine basepad extension
US10240893B2 (en) * 2017-06-14 2019-03-26 Gy6 Llc Rifle magazine with storage container
US20190285374A1 (en) * 2018-03-19 2019-09-19 STI Firearms, LLC Firearm Magazine
DE202021003571U1 (de) 2021-11-22 2022-01-12 Gunter Tannhäuser Aufstockbares Magazin-System für Patronenmunition
US20230266084A1 (en) * 2022-02-22 2023-08-24 Sig Sauer, Inc. Magazine spring and magazin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77678A (ko) * 1930-02-27
US2296729A (en) * 1939-04-01 1942-09-22 Mossberg & Sons O F Cartridge magazine for firearms
DE1269918B (de) * 1965-07-24 1968-06-06 Heckler & Koch Gmbh Halterung des Bodens fuer ein Magazin
GB8714894D0 (en) * 1987-06-25 1987-07-29 Blackshaw Anthony C Magazine assembly for firearm
DE3844112A1 (de) * 1988-12-28 1990-07-05 Roehm Guenter H Magazin fuer patronen
US4936037A (en) * 1989-07-05 1990-06-26 Jack N. Holcomb Pistol with concealed radio transmitter
US5113605A (en) * 1990-02-06 1992-05-19 Dae Sam Co., Ltd. Length-variable magaz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73B1 (ko) * 2021-07-29 2021-10-07 노태종 탄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5346A1 (en) 1996-03-14
DE59502593D1 (de) 1998-07-23
EP0728288B1 (de) 1998-06-17
EP0728288A1 (de) 1996-08-28
CA2175346C (en) 1998-06-23
WO1996007866A1 (de) 1996-03-14
ATE167567T1 (de) 1998-07-15
US5568696A (en) 1996-10-29
KR960706062A (ko) 1996-11-08
ES2119470T3 (es) 1998-10-01
DE4432192C1 (de) 199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087B1 (ko) 탄창
US10852086B1 (en) Magazine extension for a firearm
US4502237A (en) Magazine follower for automatic pistols
US7854083B1 (en) Cartridge magazine for firearms
US7293385B2 (en) Modular trigger group for firearms and firearm having a modular trigger group
US6754987B1 (en) Magazine loader for ammunition preloaded with striper clip
US10801792B2 (en) Magazine for a firearm
US7392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earm takedown
US9448022B2 (en) Magazine floor plate
US4304062A (en) Loading tool for cartridge magazine
US5216191A (en) Semi-automatic pistol
US20150316341A1 (en) Pistol magazine loader
US10775120B2 (en) Automatic magazine ejection system
EP0248772A2 (en) A pack-type clip for shotgun cartridges
US20220373280A1 (en) Firearm magazine loader
US4413437A (en) Cartridge magazine
US5493806A (en) Striker retaining system for a firearm
US7059074B1 (en) Muzzle-loading firearm
US5153359A (en) Catridge magazine for use with different type cartridges and method of dispensing cartridges
US7228780B1 (en) Handgun with two-sided breechblock mechanism
US10480879B2 (en) Automatic magazine ejection follower
US3098311A (en) Bolt stop for semiautomatic firearm
US3665631A (en) Self contained magazine
US8316755B2 (en) Cotter pin anti rotation mechanism for accommodating sub caliber ammunition utilized in an AR-15 type firearm
CN115298509B (zh) 散弹枪装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