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338B1 -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338B1
KR100303338B1 KR1019980027795A KR19980027795A KR100303338B1 KR 100303338 B1 KR100303338 B1 KR 100303338B1 KR 1019980027795 A KR1019980027795 A KR 1019980027795A KR 19980027795 A KR19980027795 A KR 19980027795A KR 100303338 B1 KR100303338 B1 KR 10030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cache memory
auxiliary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113A (ko
Inventor
천준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3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에서 데이터 손실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보조 기억 장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캐쉬 메모리로 사용하고, 데이터를 라이트할때에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직접 쓰지 않고, 상기 캐쉬 메모리에 일단 라이트하며 임시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전원 온시에 상기 캐쉬 메모리 또는 상기 임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라이트할때에 전원 이상이 발생하여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기억 장치에서의 데이터 손실 방지 방법{METHOD FOR PROTECTING LOSS OF DATA IN SECONDARY MEMORY}
본 발명은 보조 기억 장치에서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도중에 전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기억 장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자유롭게 리트/라이트할 수 있으며,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보조 기억 장치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드 디스크가 있다. 하지만, 요즘 대용량의 데이터를 쉽게 지우고 쓸 수 있는 소자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플래쉬 메모리가 그 대표적인 소자이다.
이러한 보조 기억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의 라이트 명령에 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리드 명령에 의해 데이터를 꺼내올 수 있다. 이중에서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라이트 동작중에 전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종래 보조 기억 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도중에 전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보조 기억 장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캐쉬 메모리로 사용하고, 데이터를 라이트할때에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직접 쓰지 않고, 상기 캐쉬 메모리에 일단 라이트하며 임시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전원 온시에 상기 캐쉬 메모리 또는 상기 임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조 기억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에서 데이터를 백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조 기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 기억 장치100은 플래쉬 메모리101과 제1버퍼102와 비휘발성 메모리103과 제2버퍼104로 구성되며, 호스트컴퓨터110과 연결된다. 플래쉬 메모리101은 보조 기억 장치100의 주저장매체로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버퍼102는 임시 버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03은 캐쉬 메모리로서 스태틱램(static RA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래쉬 메모리101에 데이터를 라이트하기 전에 우선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제2버퍼104는 송수신버퍼로서, 호스트컴퓨터110과 보조 기억 장치100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로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보조 기억 장치로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01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제2버퍼104를 통해 호스트컴퓨터110으로부터 라이트(write) 명령을 수신하면, 제202단계에서 송수신버퍼104를 통해 호스트컴퓨터110으로부터 라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제203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을 검색하고, 제204단계에서 해당 섹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섹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05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해당 섹터의 데이터를 제1버퍼102에 임시 저장한다. 이와 달리 해당 섹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206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수신된 데이터를 라이트하고, 더티 비트(dirty bit)를 세트시킨다. 상기 더티 비트는 캐쉬 메모리의 내용이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이다. 제207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제1버퍼의 내용을 삭제하므로써 라이트 동작을 완료한다. 이후 일정한 주기가 되어 제208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할 조건을 만족하면,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301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특정 블록에 대한 백업 조건이 만족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한 백업 조건이 만족하면, 제302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내용을 플래쉬 메모리101에 라이트한다.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한 백업이 완료되면, 제303단계에서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해당 블록에 대한 더티 비트를 삭제한다.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의 모든 블록에 대해 상기 제301단계에서 제303단계를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의 전원을 온시켰을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억 장치의 전원을 켰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러한 동작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도중에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03에서 플래쉬 메모리101로 데이터를 백업하는 도중에 전원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원을 켰을 때 다시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하기 위한 것이다. 제401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을 검색하여 제402단계에서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제403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한다. 이는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에 백업하는 도중에 전원의 이상이 생긴 경우에 대해서 다시 한번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거나 비휘발성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이 완료되면, 제404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제1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405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제1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시킨다. 제1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01로 백업하는 과정이 완료되었거나 제1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제406단계에서 보조 기억 장치100은 비휘발성 메모리103을 초기화한 후 정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를 주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보조 기억 장치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캐쉬 메모리로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 기억 장치의 전원이 온될때에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로 백업받으로써 데이터 라이트시에 전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쉬 메모리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와 캐쉬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는 보조 기억 장치에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데이터를 라이트할 때 상기 캐쉬 메모리의 블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캐쉬 메모리의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버퍼에 상기 캐쉬 메모리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캐쉬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라이트하고,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데이터가 백업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하는 과정과,
    상기 캐쉬 메모리의 특정 블록에 대해 백업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캐쉬 메모리의 상기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백업하고, 상기 플래그를 클리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억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캐쉬 메모리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플래쉬 메모리로 상기 캐쉬 메모리의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과정과,
    상기 버퍼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플래쉬 메모리로 상기 버퍼의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쉬 메모리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27795A 1998-07-10 1998-07-10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KR10030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95A KR100303338B1 (ko) 1998-07-10 1998-07-10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795A KR100303338B1 (ko) 1998-07-10 1998-07-10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13A KR20000008113A (ko) 2000-02-07
KR100303338B1 true KR100303338B1 (ko) 2001-09-24

Family

ID=1954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795A KR100303338B1 (ko) 1998-07-10 1998-07-10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28A (ko) * 2002-07-25 2002-08-21 두산티엠에스주식회사 외장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
CN108896099A (zh) * 2018-05-09 2018-11-27 南京思达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地壳灾难的检测用大数据平台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836A (ja) * 1992-08-25 1994-03-18 Nippon Densan Corp 補助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836A (ja) * 1992-08-25 1994-03-18 Nippon Densan Corp 補助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13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868B2 (en) Memory system s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640388B2 (en) File storage apparatus for storing file data and management information
US9183132B2 (en) Storage device, computer system, and storage system
US7911840B2 (en) Logged-based flash memory system and logged-based method for recovering a flash memory system
KR101215864B1 (ko) 전력 손실에 의한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는 플래시 메모리관리 방법
US8190812B2 (en) Memory system capable of restoring broken information
US5226157A (en) Backup control method and system in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identifiers for controlling block data transfer
US10061655B2 (en) Volatile cache reconstruction after power failure
US20050080985A1 (en) Data storage device
US20070124552A1 (en) Memory control method for restoring data in a cache memory
JP2005011317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を初期化する方法と装置
US6016536A (en) Method for backing up the system files in a hard disk drive
JP2008077519A (ja) 仮想テープ装置、仮想テープ装置のデータ管理方法、仮想テープ装置の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US20020027508A1 (en) Power failure manag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failure
KR100303338B1 (ko) 보조기억장치에서의데이터손실방지방법
KR20110018605A (ko) 자동 백업기능을 갖는 저장장치
KR19990019377A (ko) 플래시 메모리 이용 보조기억장치 및 그 방법
US7206893B2 (en) Linking method under mother and child block architecture for building check area and logic page of the child block
US20120124275A1 (en) Memory system and data storage method
US20070064514A1 (en) Control unit and portable terminal
JPH1031611A (ja) 不揮発性メモリ記憶媒体用ファイルシステム
US1073287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solid state drive
US10949128B2 (en) Data protection method
JPH09311827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KR101013465B1 (ko) 플래시디스크 시스템의 쓰기 기능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