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259B1 -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259B1
KR100302259B1 KR1019970071823A KR19970071823A KR100302259B1 KR 100302259 B1 KR100302259 B1 KR 100302259B1 KR 1019970071823 A KR1019970071823 A KR 1019970071823A KR 19970071823 A KR19970071823 A KR 19970071823A KR 100302259 B1 KR100302259 B1 KR 10030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ehicle
electrodes
shif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360A (ko
Inventor
감정헌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7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2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48Control units where shifting is directly initiated by the driver, e.g. semi-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0Inputs being a function of ambient conditions
    • F16H59/66Road conditions, e.g. slope, slippery
    • F16H2059/663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0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 F16H2061/205Hill hold control, e.g. with torque converter or a friction device slightly engaged to keep vehicle station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변속기에서 변속시 현재 자동차의 평형 상태를 검출하여 평형 상태에 대응하여 변속 시간을 가변하여 언덕길에서 변속시나 정지 후 출발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는 것으로서, 차속 감지 수단과 변속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 값에 기초하여 클러치를 단속하는 클러치 단속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변속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반자동 변속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제 1,3 전극(82,84)과 접지된 제 2 전극(83)을 중앙에 구비한 압전 소자(81)와, 제 2 전극(83)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판스프링(85)과, 판스프링(85)에 연결된 추(86)를 구비하여 추(86)의 진자 운동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 1,3전극(82,84)으로부터의 전압 레벨로 수평과 기울기 정도를 검출하는 수평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의 수평 상태와 차속에 대응하여 변속 속도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경사로에서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LIP IN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자동 변속기에서 변속시 현재 자동차의 평형 상태를 검출하여 평형 상태에 대응하여 변속 시간을 가변하여 언덕길에서 변속시나 정지 후 출발시 미끄러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자동 변속기는 기존의 기계식 수동 변속기와 토크 컨버터를 결합시킨 형태를 취하며, 변속하기 위해서는 토크 컨버터와 변속기 사이의 동력을 일시 차단시키기 위하여 변속 레버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클러치를 단속시킨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반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운전자의 변속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푸쉬풀(Push-Pull) 센서(10)와, 트로틀의 개폐량을 검출하는 트로틀 위치 센서(20)와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알피엠 센서(30)와 변속기의 입력 알피엠을 검출하여 전달하는 변속기 입력 알피엠 센서(40)와, 변속 기어의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변속 기어 위치 센서(50)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Semiautomatic Transmission Electronic Control Unit : SAT ECU, 60)는 상술한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 값에 기초하여 변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모터(7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액추에이터(73), 액추에이터(73)에서 클러치까지의 오일 변동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전기 벨브(72), 형성된 유압에 의거하여 푸쉬 로드를 밀어 클러치를 해방시키는 클러치 해방 실린더(74), 푸쉬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션 미터(75)를 포함하는 클러치 단속부(70)를 제어하여 클러치를 단속 시킨다.
한편, 이러한 반자동 변속기를 갖는 자동차는 언덕길 변속시 경사로 판별로 평지와 구분되는 변속 패턴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 수동식 변속 자동차와 동일한 작동 구조로 인해 언덕길 주행시 변속이나 언덕길 정차후 출발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자동 변속기에서 자동차의 수평 상태를 검출하여 수평 상태에 대응하여 변속시나 정차후 주행시의 변속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는, 차속 감지 수단과 변속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 값에 기초하여 클러치를 단속하는 클러치 단속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변속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반자동 변속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제 1,3 전극과 접지된 제 2 전극을 중앙에 구비한 압전 소자와, 제 2 전극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판스프링과, 판스프링에 연결된 추를 구비하여 추의 진자 운동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 1,3 전극으로부터의 전압 레벨로 수평과 기울기 정도를 검출하는 수평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의 수평 상태와 차속에 대응하여 변속 속도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반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변속기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수평 검출 센서에 대한 상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푸쉬풀 센서 20 : 트로틀 위치 센서
30 : 엔진 알피엠 센서 40 : 변속기 입력 알피엠 센서
50 : 변속 기어 위치 센서 60 : 제어부
70 : 클러치 단속부 71 : 모터
72 : 전기 밸브 73 : 액추에이터
74 : 클러치 해방 실린더 75 : 포텐션 미터
80 : 수평 검출 센서 81 : 압전 소자
82,83,84 : 제 1,2,3 전극 85 : 판스프링
86 : 추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제어부(60)와 종래의 각종 검출 센서 및 클러치 단속부(70)와 본 발명의 주된 구성부인 수평 검출부(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수평 검출부(80)로부터의 자동차의 전후 기울어짐의 정도와 종래의 입력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현재 차속에 대응하여 변속 속도를 가변하여 클러치 단속부(7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자동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검출하는 수평 검출부(80)에 대한 상세 도면으로서, 압전 소자(81), 제 1,2,3 전극(82,83,84), 판스프링(85) 및 추(8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압전 소자(81)는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물리적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자이며, 제 1,3 전극(82,84)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의 앞뒤에 해당하는 압전 소자(81)의 좌우 양단에 위치하며, 제 2 전극(83)은 압전 소자(81)의 중앙에 위치시켜서 그라운드에 접지한다.
한편, 판스프링(85)은 제 2 전극(83)에 수직으로 연결하며, 그 끝단에 소정중량을 갖는 추(86)가 고정되어 자동차의 수평 상태에 따라서 추가 좌우로 회동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반자동 변속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0)가 상술한 각종 검출 센서들 즉, 푸쉬풀(Push-Pull) 센서(10)와, 트로틀의 개폐량을 검출하는 트로틀 위치 센서(20)와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알피엠 센서(30)와 변속기의 입력 알피엠을 검출하여 전달하는 변속기 입력 알피엠 센서(40)와, 변속 기어의 현재 변속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변속 기어 위치 센서(50)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총합 제어하여 상술한 클러치 단속부(70)를 제어하여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원리는 유사하다.
한편, 수평 검출부(80)는 자동차의 현재 기울어짐 정도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60)로 인가한다.
수평 검출부(8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추(86)는 자동차의 수평 상태(예를 들면, 내리막길, 평지, 오르막길)에 따라 지지된 판스프링(85)의 탄성하에 이동하게되며, 이 추의 위치 이동에 따라 압전 소자(81)에는 상이한 압력이 가해지고, 압전 소자(81)는 그 특성에 힘이 비례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즉, 내리막길에서는 추(86)가 앞쪽으로 기울어져서 제 1 전극(82)과 제 2 전극(83) 사이의 압전 소자(81)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전극(82)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 3 전극(84)으로부터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높게 된다.
또한, 오르막길에서는 추(86)가 뒤쪽으로 기울어져서 제 2 전극(83)과 제 3 전극(84) 사이의 압전 소자(81)에 압력을 가하여 제 3 전극(84)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 1 전극(84)으로부터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높게된다.
한편, 추(86)가 크면 작은 진동에서도 감지가 가능하고 추(86)가 작으면 큰진동 변화를 측정하게 되므로 수평 상태 검출의 감도 특성은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추(86)의 크기와 판스프링(85)의 탄성 계수 조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 수평 검출부(80)의 상술한 동작에 의거하여 자동차의 수평 상태를 압전 소자(81)의 앞 뒤 가압 정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제 1,3 전극(82,84)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부(60)로 검출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60)는 수평 검출부(80)의 제 1,3 전극(82, 84)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현재 자동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60)는 수평 검출부(8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즉, 현재 자동차의 수평 정도에 따라 변속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클러치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오르막길에서의 변속 속도는 내리막길에서 보다 빠르게 설정하여 변속하게 된다.
이때, 오르막길에서 변속 시간을 단순히 빠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종래의 각종 검출 센서 중에서 엔진 알피엠 센서(30)와 변속기 입력 알피엠 센서(40)를 통하여 현재의 자동차 속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변속 시간으로 자동차의 운동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변속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자동 변속기에서 경사로와 평지를 판별하여 경사로와 평지 및 차량 속도에 대응하여 변속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변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경사로에서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속 감지 수단과 변속 감지 수단으로부터 입력 값에 기초하여 클러치를 단속하는 클러치 단속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변속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반자동 변속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제 1,3 전극(82,84)과 접지된 제 2 전극(8)을 중앙에 구비한 압전 소자(81)와, 상기 제 2 전극(83)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판스프링(85)과, 상기 판스프링(85)에 연결된 추(86)를 구비하여 상기 추(86)의 진자 운동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상기 제 1,3 전극(82,84)으로부터의 전압 레벨로 수평과 기울기 정도를 검출하는 수평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의 수평 상태와 차속에 대응하여 변속속도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KR1019970071823A 1997-12-22 1997-12-22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KR10030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823A KR100302259B1 (ko) 1997-12-22 1997-12-22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823A KR100302259B1 (ko) 1997-12-22 1997-12-22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360A KR19990052360A (ko) 1999-07-05
KR100302259B1 true KR100302259B1 (ko) 2001-11-22

Family

ID=3752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823A KR100302259B1 (ko) 1997-12-22 1997-12-22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518B1 (ko) * 2008-11-10 2010-10-01 하석봉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 구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594A (ko) * 1995-12-30 1997-07-26 전성원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패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594A (ko) * 1995-12-30 1997-07-26 전성원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패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36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602B1 (ko) 주행 제어장치
KR950029766A (ko) 자동차 주행도로의 기울기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960021812A (ko) 차량 구동의 토크 제어 시스템
JPH0262420B2 (ko)
JP2004314871A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US5913746A (en) System for adjusting the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302259B1 (ko) 반자동 변속기에서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
JPS647259B2 (ko)
KR100528944B1 (ko) 서보 클러치의 제어 시스템
KR10047125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JP2000039036A (ja) 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282887B1 (ko) 자동변속기의홀드모드자동전환장치
KR0151330B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 장치
JPH0725322A (ja) 車両用リターダ制御装置
KR100193224B1 (ko) 차속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마찰력 제어장치
KR970046612A (ko) 도로구배 판정에 의한 변속기어 구동장치
KR19980078694A (ko) 자동차의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70007996B1 (ko) 반자동 변속차량의 변속시 미끄럼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880012395A (ko) 차량용 엔진의 구동력 제어장치
KR970026210A (ko) 수동변속기 변속제어방법
KR970046594A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패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3901A (ko) 타이어 공기압 제어를 통한 트랙션제어장치
KR970044938A (ko) 등판길 재출발시 미끄럼 방지 rpm 보상장치 및 제어방법
KR960021810A (ko) 엔진 브레이크 선택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3227A (ko) 전자 스로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