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185B1 - 하역작업기 - Google Patents

하역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185B1
KR100301185B1 KR1019980029991A KR19980029991A KR100301185B1 KR 100301185 B1 KR100301185 B1 KR 100301185B1 KR 1019980029991 A KR1019980029991 A KR 1019980029991A KR 19980029991 A KR19980029991 A KR 19980029991A KR 100301185 B1 KR100301185 B1 KR 10030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rushing
unloading
crush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517A (ko
Inventor
안정권
Original Assignee
안성식
주식회사 오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식, 주식회사 오정기계 filed Critical 안성식
Priority to KR101998002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1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4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pick-up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4Pulverising loaded or unload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개화차내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편리하게, 그리고 능률적으로 하역할 수 있게 구성한 하역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역을 능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하역작업기와 하역된 처리물에 혼입된 딩어리를 파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것으로, 이동대차(1)에 전동기(2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01)을 수직으로 장치하여 그 하단에 각각 지지대(2)(2a)(2b)를 부착하고 각 지지대(2)(2a)(2b)에 승강기구와 굴절기구에 의하여 승강되고 굴절되는 버컷(4)과 삽(8)과 파쇄봉(90)을 갖추어서 이를 사용하여 화차내의 화물을 불편없이 하역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버킷에 파쇄작동기를 장치하여 버킷으로 하역할 때 버킷 내부에 들어오는 덩어리를 즉석에서 분쇄하여 하역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하며 하역물 안내통(11)위에 여과망(12)을 설치하여 그 일측에 파쇄실(110)을 만들어서 파쇄기(15)를 갖춘 구성을 통해 안내통(11)내에서의 파쇄작용이 가능케하여 능율적인 하역을 달성하는 것임.

Description

하역작업장치
본 발명은 무개화차내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편리하게 그리고 능률적으로 하역할 수 있게 구성한 하역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이동대차에 버킷과 삽, 파쇄기를 나란히 장치하면서 특히 버킷에는 내부에 파쇄장치를 구비한 하역기를 만들고 하역물 낙하관에 여과망을 장치하여 덩어리를 걸러 즉석에서 파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편리하고 능률적인 하역이 달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개화차를 이용하여 운반되는 화물은 석탄이나 강물, 토사와 같이 분말상태로 되어있거나 덩어리가 있는 화물이므로 하역작업에 힘이 많이 든다.
따라서 숙련된 노동자나 하역용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석탄이나 광물 또는 토사와 같은 화물은 분말이 수분과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덩어리 상태로 고형되게 되고 동절기의 경우는 결빙이 되어 단단한 덩어리로 변형이 되기 때문에 단순한 삽날로 이를 파쇄하는 것은 거의 붙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덩어리를 파쇄하는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부래커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이것은 가격이 비싸고 규모로 커서 사용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하역 버킷의 확대 파절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버킷이 외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의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진동파쇄봉의 확대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 예시도
제6도는 하역작업부의 여과망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대자 1a : 레일
2, 2a, 2b : 지지대 201 : 회전축
202 : 회전기어 20 : 전동기
21 : 기동기어 3 : 제1로드
30 : 제2로 4 : 버킷
401 : 분쇄물통과공 5, 5a, 5b : 유체압실린더
6 : 파쇄작동기 60 : 파쇄돌기
602 : 연결핀 7 : 유체압실린더
8 : 삽 9 : 진동파쇄기
90 : 파쇄봉 10 : 화차
11 : 화물안내통 12 : 여과망
13 : 컨베이어 14 : 안내홈통
15 : 파쇄기
도 1은 본 발명의 하역작업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하역작업기는 일정높이에서 레일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게 장치한 이동대차(1)에 수개의 회전축(201)을 수직으로 장치하여 각 회선축의 회전기어(202)를 전동기(20)의 구동기어(21)와 치합시켜 각각 회전시킬 수 있게 만들고 각 회전축을 이동대차 하측으로 돌출시켜 그 하단에 각각 기지대(2)(2a)(2b)를 부착하여 각 지지대에는 제1로드(3)와 제2로드(30)를 가설하여 유체압실린더(5)(5a)로 승강시키고 굴절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제2로드 하단에 버킷(4)과 삽(8)과 파쇄기(9)를 각각 장치하고 버킷(4)은 그 내부에 별도의 파쇄작동기(6)를 투입하여 내측은 버킷에 축핀(601)으로 연결시키고 선단은 버킷몸통과 유체압실린더(7)로 연결(602)하여 유체압실린더(7)를 통해 파쇄작동기(6)를 버킷(4)내부에서 작동시켜 면접촉시킬 수 있게 구성하며 버킷(4) 외벽에 다수의 분쇄물통과공(401)을 형성하고 파쇄작동기(6)의 내면에는 다수의 파쇄돌기(60)를 형성하여 파쇄기능을 갖추어 구성하고(도2참조) 삽(8)은 중간 기지대(2a)의 제2로드 끝에 장치하여 삽날을 회전시키면서 유체압실린더(5)(5a)(5b)를 통해 승강과 굴절이 자유롭고 개폐작동이 가능케 구성하며 외측 지지대(2b)에는 진동모우터가 내장된 파쇄기(9)를 제2로드(30) 끝에 장착하여 파쇄봉(90)을 돌출시키고 유체압실린더(5)(5a)(5b)를 통해 파쇄기(9)를 승강굴절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화차(10) 양측으로 설치된 하역물 안내통(11)은 상부에 여과망(12)을 설치하고 일측에 파쇄실(110)내에 파쇄기(15)를 장치하여서 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무게화차(10) 내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할때 하물이 분체이거나 분체와 비슷한 경우 삽날(8) 또는 버킷(4)을 이용하여 화차내의 화물을 버킷(4)으로 퍼올려 회차 밖에 있는 안내통(11)에 투입하므로서 하역이 달성되고 화물이 덩어리 상태로 화차 내에 존재해 있을 때는 작은 덩어리의 경우 버킷(4)을 이용하여 버킷에 퍼 담은 다음 그 속에 장치된 파쇄작동기(6)를 작동시켜 버컷 내부에서 파쇄하면 분쇄물통과공(401)을 통해 분쇄되어 낙하되므로 덩어리를 파쇄하여 하역할 수 있고 결빙되어 덩어리로 뭉처져 있을 때는 진동파쇄기(9)의 파쇄봉(90)을 이용하여 큰 덩어리를 강재로 파쇄한 다음 버킷(4)과 삽(8)으로 안내통(11)에 이적시키는 하역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하역작업기 하나만 있으면 별도의 장비가 없이 분체는 물론 덩어리 상태로 응고된 화물의 하역을 비롯하여 결빙된 화물도 쉽게 하역이 가능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물안내통(11)에는 투입구측에 여과망(12)이 장치되어 있어서 덩어리진 화역물이 안내통으로 들어오면 이것이 여과되어 파쇄실(110)로 보내어지고 파쇄실에서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파쇄기(15)로 파쇄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덩어리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역물의 원만한 하역 처리가 가능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역기는 이동대차(1)를 이용하여 화차내에 버킷(4)이나 삽(8) 또는 진동파쇄기(9)를 안전하게 투입시킬 수 있고 버킷(4)과 삽(8) 진동파쇄기(9)는 그 자체가 승강굴절은 물론이고 화차내에서 회전이동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신속한 하역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회전작동과 승강 및 골절작동은 이동대차에 장치된 모우터(20)와 지지대 그리고 로드가 유체압실린더(5)(5a)(5b)(7)와 협동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고 착오없는 작동이 가능케되며 이동대차 하나에 3가지 하역기구를 장치하였기 때문에 장소를 적게 찾이 할뿐 아니라 값비싼 고가의 장비인 부래카나 포크레인 같은 중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며 버킷(4)은 내향으로 꼬부려 화물을 퍼담는 방법과 볼록한 외면을 이용하여 화물을 밀어내는 방법으로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이용이 가능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동대차(1)에 다수개의 회전축(201)을 수직으로 장치하여 전동기(20)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각 회전축의 하단을 이동대차 하측으로 돌출시켜 그 하단에 각각 지지대(2)(2a)(2b)를 부착하여 각 지지대(2)(2a)(2b)에는 제1로드(3)와 제2로드(30) 및 유체압실린더(5)(5a)(5b)가 합동하는 승강굴절 이동수단을 갖추어서 버컷(4)과 삽(8)과 파쇄기(9)를 부착하고 버킷(4)은 외측벽에 다수의 분쇄물 통과공(401)을 뚫고 그 내측에 파쇄돌기(60)가 있는 파쇄작동기(6)를 장치하여 파쇄작동기의 내측은 버킷에 축봉(601)으로 연결하고 파쇄작동기의 외측단과 버킷몸통사이에 유체압실리더(7)를 장치하여 파쇄기능을 가지도록 하역작업기를 구성하고 하역물 안내통(11) 위에 여과망(12)을 설치하여 그 일측에 파쇄실(110)을 만들어서 파쇄기(15)를 갖춘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역작업장치.
KR1019980029991A 1998-07-21 1998-07-21 하역작업기 KR10030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991A KR100301185B1 (ko) 1998-07-21 1998-07-21 하역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991A KR100301185B1 (ko) 1998-07-21 1998-07-21 하역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17A KR20000009517A (ko) 2000-02-15
KR100301185B1 true KR100301185B1 (ko) 2001-11-22

Family

ID=1954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991A KR100301185B1 (ko) 1998-07-21 1998-07-21 하역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883U1 (ru) * 2022-03-17 2022-10-04 Вячеслав Петрович Сычев Привод дозатора хоппер-дозатор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49B1 (ko) 2000-11-17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배플을 갖는 드럼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883U1 (ru) * 2022-03-17 2022-10-04 Вячеслав Петрович Сычев Привод дозатора хоппер-дозатор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17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4322B (zh) 一种高效率横向与纵向式粉碎机
CN1911767B (zh) 车厢顶部物料压平机
CA2048584C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988542B1 (ko) 제설제 로딩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저장 탱크
CN110005008A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CN107542057A (zh) 除雪抛雪车
KR100301185B1 (ko) 하역작업기
CN201473063U (zh) 链斗式扒粮机
CN206613555U (zh) 一种高效率粉碎机
CN201793178U (zh) 分叉漏斗卸料装置
CN201730128U (zh) 小型移动式碎石机
CN102951429A (zh) 皮带自动清扫装煤机
CN213792124U (zh) 一种颚式移动破碎站
CN214827443U (zh) 一种散料卸船用料仓
CN100450902C (zh) 一种散料装卸方法及牵引式斗轮堆取料机
US6527209B1 (en) Comminuting apparatus
CN212040767U (zh) 一种便于出料的湿磨机
KR200256204Y1 (ko) 하역작업장치
CN200992438Y (zh) 刮板式装载机
CN110552386B (zh) 一种支点可调式齿轮齿条装岩铲斗牵引机构
CN107326843A (zh) 改进的多用途清洁车
CN113833460A (zh) 一种破碎采煤设备
CN218558825U (zh) 一种改造型电动力矿用车
CN216406898U (zh) 一种矿用煤泥装运装置
CN110844774A (zh) 一种矿机抓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