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079B1 -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079B1
KR100301079B1 KR1019960076913A KR19960076913A KR100301079B1 KR 100301079 B1 KR100301079 B1 KR 100301079B1 KR 1019960076913 A KR1019960076913 A KR 1019960076913A KR 19960076913 A KR19960076913 A KR 19960076913A KR 100301079 B1 KR100301079 B1 KR 10030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igment
xanthan g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14A (ko
Inventor
한종섭
김형진
유영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7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0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079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배합비의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료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고 실리콘오일을 유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자연스런 화장 표현을 발휘하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
본 발명은 일정한 배합비의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 혼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료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고 실리콘오일을 유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자연스런 화장 표현을 발휘하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화형 파운데이션 대부분은 W/O, O/W 유화에 의한 크림 또는 액상타입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피부결점 은폐력, 사용감, 색상 표현력, 내수성, 상용성 등의 여러가지 기능적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제조시 유화 및 안료 분산에 많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유화형 젤 화장료의 경우에는, 젤의 기본 조성에서 오일을 유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화제로서 HLB값(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Value)이 높은 다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높은 유화력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유화형 왁스나 유화보조제 등도 추가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유럽 공개특허 제 87-227012 호에는 계면활성제로 모노 알킬인산염을 사용한 젤타입의 수중유 유화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 소 62-039507 호 및 프랑스 공개특허 제 2703907 호 등에도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화형 젤타입 화장료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유화젤이 아닌 유화와 유사한 제형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이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평 5-117130 호에서는 투명젤에 색소를 분산시켜 아름다운 화장표현을 목적한 화장료 조성물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또한 충분한 안료를 완전히 분산시킨 파운데이션 제형과는 다르며, 더구나 유화와 분산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유화방식과 완전히 차별화된 방식에 따라 제조하면서도 젤의 기본적인 성질과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를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면 계면활성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안료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고 실리콘오일을 유화시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배합비의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로 구성된 혼합물을 초미립 안료의 분산 및 실리콘오일 유화제로 사용하며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음을 특징으로하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젤타입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종래에 유화제로서 사용되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료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고 오일을 유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계면활성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해서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조성물에서 오일로는 실리콘 오일, 바람직하게는 사이크로메티콘 및 디메티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3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뜻한 마무리 사용감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5.0 내지 20.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화가 쉽지 않고 뻑뻑한 사용감의 원인이 되므로 유의한다.
안료로는 직경 0.1㎛ 이하의 미립안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철 함유 초미립 산화티탄이 분산에 좋은 효과를 발휘하며 안료 자체가 갈색을 지니고 있어 별도의 색소를 첨가할 필요없이 자연스런 화장효과를 부여해주므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안료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조성물에서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 혼합물이 안료의 분산 및 오일의 유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기작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리콘 오일의 안정한 유화는 우수한 점증효과 및 입체장벽효과의 성질을 지녀 안정하고 균일한 유화를 만드는 카보머 940 과 3차원 격자구조를 지니는 무정형 실리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 장기 점도 안정성이 뛰어나며 미세입자의 분산에 효과적인 산탄검을 추가함으로서 복합 매트릭스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수용성 폴리머(즉, 카보머 940)와 실리카의 복합매트릭스 형성은 안정한 유화/분산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별도의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기 보존안정성이 뛰어난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유화 및 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 혼합물은 그들의 존재 유무는 물론 그 혼합물내의 구성비율 변화에 따라 조성물의 장기안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실험결과 이들을 2 : 1 : 1 내지 2 : 1 : 4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카보머 940 과 산탄검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각각 0.1 내지 2.0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사용한다.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격한 점도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으며, 0.1중량% 미만에서는 유화/분산 안정성의 불안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콘 오일의 유화 안정화는 물론, 특히 안료의 안정된 분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실리카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설명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상부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폴리올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올의 구체적인 예로는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이외에도 메이크업베이스, 여름용 선제품등 보습효과 및 자연스런 화장효과를 기대하는 모든 제품에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철 함유 초미립 산화 티탄이 분산된 안정한 실리콘 유화젤 타입을 예로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제수에 카보머 940 0.1 내지 1.0중량%, 산탄검 0.1 내지 1.0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1 내지 2.0중량%, 실리카 0.2 내지 0.5중량%, 폴리올 5.0 내지 20.0중량%를 혼합한 것을 수상으로 하고, 실리콘 오일 5.0 내지 20.0중량%를 유상으로 하며, 철 함유 초미립 산화티탄 0.5 내지 20.0 중량%를 안료로 구분한다. 먼저, 수상을 5분간 잘 혼합한 후 안료를 첨가하여 10분간 완전히 분산시킨다. 분산이 끝난 후 수상에 유상을 천천히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간 혼합, 교반한 다음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과 함께 에탄올을 투입하고 5분간 혼합, 교반하여 중화시킴으로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수상 성분을 평량하여 실온에서 5분간 잘 교반한 후, 여기에 10분간 안료를 분산시키고 유상을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혼합 교반하였다. 그 후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과 함께 첨가제를 투입하고 5분간 혼합, 교반하여 중화시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에 1 내지 4 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 예 1 2 3 4 5 비교 예 1 2 3 4
수상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2중량% 수용액)카보머 940(2중량% 수용액)산탄검(2중량% 수용액)실리카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정제수 20.020.010.00.210.04.0잔량 20.020.010.00.410.04.0잔량 20.020.010.00.610.04.0잔량 20.020.010.00.510.04.0잔량 20.020.010.00.510.04.0잔량 20.020.010.00.510.04.0잔량 40.05.0--10.04.0잔량 40.05.0--10.04.0잔량 40.05.0--10.04.0잔량
유화제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20E.O.)모노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20E.O.)솔비탄시스퀴올레이트 --- --- --- --- --- --- 1.0-1.0 -1.01.0 1.0-1.0
안료 철함유 초미립 산화티탄산화티탄 4.0- 4.0- 4.0- 4.0- 4.0- -4.0 4.0- 4.0- 4.0-
유상 사이크로메티콘디메티콘 6.0- 6.0- 6.0- 3.03.0 -6.0 6.0- 6.0- 6.0- 3.03.0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10중량% 수용액) 5.0 5.0 5.0 5.0 5.0 5.0 5.0 5.0 5.0
첨가제 에탄올향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5.0적량
주) 단위: 중량%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보존 안정성, 피부도포시 안정성, 사용감 등에 대하여 하기 실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장기보존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장기보존 안정성을 항온조(0℃, 40℃, 50℃, Cycle)및 실온에서 각각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이중, Cycle 평가는 0℃→25℃→45℃→25℃→0℃→-10℃를 1 Cycle로 하여 2일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유화 상태 및 분산 상태의 분리 현상을 관찰하는 순환 온도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온 및 항온조에서 조성물의 안정성
항 목 실시예1 2 3 4 5
0℃ 1개월3개월6개월 ◎ ◎ ◎ ◎ ◎◎ ◎ ◎ ◎ ◎◎ ◎ ◎ ◎ ◎
40℃ 1개월3개월6개월 ◎ ◎ ◎ ◎ ◎◎ ◎ ◎ ◎ ◎◎ ◎ ◎ ◎ ◎
50℃ 1개월3개월6개월 ◎ ◎ ◎ ◎ ◎◎ ◎ ◎ ◎ ◎◎ ◎ ◎ ◎ ◎
Cycle 1개월3개월6개월 ◎ ◎ ◎ ◎ ◎◎ ◎ ◎ ◎ ◎◎ ◎ ◎ ◎ ◎
실온 1개월3개월6개월 ◎ ◎ ◎ ◎ ◎◎ ◎ ◎ ◎ ◎◎ ◎ ◎ ◎ ◎
주) 평가기준 ◎ : 양호 △ : 불안정 × : 분리
표 2의 결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1 내지 5 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험이 수행된 모든 온도 및 Cycle 평가에서 모두 양호한 장기 보존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2: 피부안전성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8세에서 40세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팔 및 등 부위에 대한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를 부착한지 48시간이 경과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2시간 경과후 결과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항 목 양성반응수 %
실시예12345비교예1234 2 (+)1 (+)0 (-)2 (+)3 (+)4 (+)8 (+)10 (+)6 (+) 2.01.00.02.03.04.08.010.06.0
주) - :음성 + : 홍반
표 3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사용편리성
18세에서 40세 여성 50명으로 하여금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그 사용감을 피부밀착감, 흡수성, 산뜻한 마무리 및 화장표현의 4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항 목 실시예 비교예1 2 3 4 5 1 2 3 4
피부 밀착감흡수성산뜻한 마무리화장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 관능평가기준 ◎ ː 매우만족 ○ : 좋음 △ : 보통 × : 나쁨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피부밀착감, 흡수성 및 마무리의 산뜻함에 대한 항목에서 비교예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수용성 젤의 촉촉한 특징과 실리콘오일에 의한 마무리 사용감 개선에 따른 것이라 보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카보머 940, 산탄검 및 실리카를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초미립 안료의 분산 및 실리콘오일 유화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영양액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젤타입 화장료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살릴 뿐아니라 실리콘 오일의 산뜻한 마무리 사용감을 부여하여 미끈거림을 보완하였고, 철 함유 초미립 산화티탄을 주 안료로하여 제형내에 분산시킴으로서 자연스런 화장을 유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카보머 940, 산탄검 및 무정형 초미립 실리카를 2:1:1 내지 2:1:4의 비율로 구성시킨 혼합물을 초미립 안료의 분산 및 실리콘오일 유화제로 사용하며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음을 특징으로하는 실리콘 유화젤 파운데이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카보머 940 0.1 내지 1.0 중량%, 산탄검 0.1 내지 1.0 중량% 및 실리카 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크로메티콘 및 디메티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리콘 오일을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20.0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초미립안료로서 철 함유 초미립 산화티탄을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0 중량%를 함유한 조성물.
KR1019960076913A 1996-12-30 1996-12-30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KR10030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13A KR100301079B1 (ko) 1996-12-30 1996-12-30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13A KR100301079B1 (ko) 1996-12-30 1996-12-30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14A KR19980057614A (ko) 1998-09-25
KR100301079B1 true KR100301079B1 (ko) 2001-11-05

Family

ID=6639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13A KR100301079B1 (ko) 1996-12-30 1996-12-30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37B1 (ko) 2009-05-11 2012-06-20 (주)더페이스샵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428A (ko) * 1999-08-11 2001-03-05 유성운 유화제 비함유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111A (ja) * 1986-05-09 1987-11-16 Shiseido Co Ltd 粘性組成物
EP0680746A1 (de) * 1994-05-04 1995-11-08 Spirig Ag Pharmazeutische Präparate Lichtschutzmitt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3111A (ja) * 1986-05-09 1987-11-16 Shiseido Co Ltd 粘性組成物
EP0680746A1 (de) * 1994-05-04 1995-11-08 Spirig Ag Pharmazeutische Präparate Lichtschutzmitt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37B1 (ko) 2009-05-11 2012-06-20 (주)더페이스샵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1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976A (en) O/W type emulsion composition
DE69732464T2 (de) Äusserliches gelförmiges Hautpflegemittel
JPS6289611A (ja) 水中油または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
US4917891A (en) Composition having evaporative oil-like material
DE69900950T3 (de)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Pul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en
JPH10513179A (ja) ロール・オン発汗抑制組成物
EP0227012A1 (en) Gel-like emulsion and O/W emulsions obtained from the gel-like emulsion
KR20110048899A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2408663C2 (ko)
JP3363161B2 (ja) 非水ゲル化粧料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0301079B1 (ko) 계면활성제를함유하지않는실리콘유화젤파운데이션조성물
JPS6323962B2 (ko)
JPS627163B2 (ko)
KR102337010B1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JPS62135404A (ja) 低温安定性三層型液状化粧料
KR20130051544A (ko) 겔상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0194527B1 (ko) 고보습 립스틱 조성물
JP2003073226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3055129A (ja) 乳化型化粧料
KR100372773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0120276B1 (ko) 오일-프리형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KR102559066B1 (ko) 피부 보습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수분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