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201B1 -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201B1
KR100300201B1 KR1019980039720A KR19980039720A KR100300201B1 KR 100300201 B1 KR100300201 B1 KR 100300201B1 KR 1019980039720 A KR1019980039720 A KR 1019980039720A KR 19980039720 A KR19980039720 A KR 19980039720A KR 100300201 B1 KR100300201 B1 KR 10030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lose contact
electrical
groun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839A (ko
Inventor
유희옥
Original Assignee
유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옥 filed Critical 유희옥
Priority to KR101998003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2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각 조단위로 전기도선과 접지선이 트위스트로 배선된 후에 그 내부의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시킴으로써 노이즈의 방류/제거효과가 탁월하며, 전체도선을 일괄적으로 트위스트배선 할 때보다 제조공정이 용이하도록 된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심 축선을 갖고 데이터의 전송과 저압전원의 전송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된 전기 도선을 갖는 멀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은 복수의 선이 각각 1조의 전기도선군으로 분류되어 트위스트형상으로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조의 전기도선군마다 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접지선이 각각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자체 소멸되거나 대지에 방류될 수 있도록 트위스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기도선과 상기 접지선이 각각의 조를 이루는 전기도선군의 외측에 그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이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장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피복층이 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제어용 케이블의 소정위치에 도선과 도전성 접지선을 병행하여 트위스트 접속시킴으로써 선로상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시키기 위한 저압전원/신호 제어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 회로망들내의 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요소들 사이의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원형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은 쌍으로 꼬인 일측 도선이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쌍으로 꼬인 다른 도선은 그 신호의 복귀선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하나의 도선은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고, 나머지 도선들은 저압전원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의 일종인 절연비닐절연외장케이블(CVV)은 그 케이블의 외장 또는 내부에서 그 케이블의 제어선 상호간에 발생되는 상호 전자유도와, 상호 정전유도, 그 제어선상에 유입되는 외부 고조파 등에 의한 유도장애, 그 제어케이블의 귀로에 발생되는 인덕턴스 등을 접지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대지로 방류시키는 접지용 외장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되었다.
또한, 차폐부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피복 케이블(CVVS, CVV-SB)은 제어선 외부측에 차폐용으로 금속 테이프 또는 금속망이 층을 이루고 있어서, 제어선상에서 발생하는 상호유도에 의한 노이즈의 일부를 종단부 접지로써 대지에 방류하여 일부 노이즈에 의한 장애를 경감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차폐부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피복 케이블(CVVS, CVV-SB)은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체가 외측외장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일부를 종단부 접지로서 대지에 방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송되는 데이터의 정밀도가 정전유도, 전자유도, 고주파등의 장애에 의하여 월등히 떨어지는 실정이므로 각종 장애에 대한 보완처리 대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87-8510호(명칭: 주름진 격막을 가진 케이블)에서는 접지된 주름진 격막을 이용하여 각 전기도선이 전기적으로 차폐되도록 제안된 상태이다.
상기한 주름진 격막을 가진 케이블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주름진 격막을 가진 케이블은 원형 또는 평형 전기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각 도선들이 주름진 격막에 의해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분리되어 있고, 전자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선(1)은 보통의 절연자켓식 도선들은 이용하고, 각 도선(1)들을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전자기적으로 격리 시키도록 주름진 분리부재, 즉 제 1 및 제 2격막(2a, 2b)을 포함하는 원형 및 평형 케이블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 격막의 양면에는 각기 홈이 형성되고, 각 홈내에 전도충이 배치된다. 이 전도층들은 전기 접속되어 있다. 보통의 절연 자켓식 도선이 각 홈내에 놓이고, 그 도선의 축선들이 공통의 궤적에 있다. 한편, 그 사용시에, 이 전도층들은 각 도선이 그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전자기적으로 격리되도록 소정의 전기 전위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도선(1)은 내측의 제 1전도부재인 내측외장(3a)이 코어(4)를 둘러싸고, 반경방향으로 외측의 제 2전도부재인 외측외장(3b)이 내측외장(3a)으로부터 반경외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져 있다. 한편, 코어(4)와 내측외장(3a), 그리고 내측외장(3a)과 외측외장(3b)은 각각 케이블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의 제 1 및 제 2공간부(5a, 5b)를 형성한다.
그리고, 코어(4)와 내측외장(3a) 사이에 형성된 제 1공간부(5a)에는 주름진 제 1격막(2a)이 있고, 이 제 1격막(2a)은 그 내측면과 코어(4)의 외측면의 일부가 접촉하도록 제 1공간부(5a)내에 배치된다.
이때의 제 1격막(2a)은 내측면 및 외측면에 전도물질의 피복층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 1격막(2a)의 전체가 금속박판과 같은 전도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주름진 격막을 가진 케이블에서 내측 및 외측 외장(3a, 3b)과 주름진 제 1 및 제 2격막(2a, 2b)은 소정의 전기 전위, 일반적으로 접지 전위에 전기 접속되어 각 도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전자기적으로 격리되므로, 이러한 케이블은 신호운반 도선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제어용 케이블은 차폐부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피복 케이블(CVVS, CVV-SB)의 경우에만 제어선 외부측에 차폐용으로 금속테잎 또는 금속망이 층을 이루고 있어서 그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송되는 데이터의 정밀도가 정전유도, 전자유도, 고주파 등의 간섭에 의해 월등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주름진 격막을 가진 케이블은 도선의 외장들과 주름진 격막(2a, 2b)이 접지 전위에 전기 접속됨으로 접지선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그 단면으로 보아, 격막(2a, 2b)이 도선들 사이에서 굴곡된 막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그 격막의 부피 및 중량의 증가와 더불어 그 케이블의 부피와 중량이 일반 케이블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른 제조비용도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도선(1)에 그 격막(2a, 2b)이 밀착되어 제조될 때 밀착점이 많아지므로 밀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제조시 일반 케이블에 비하여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선과 밀착시켜 도전성 선재(접지선)를 선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제어선과 접지선을 트위스트배치함으로써 선로상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자체 감쇄시키고 잔여 노이즈성분을 대지에 방류하여 제거함으로 인해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전성 선재(접지용)의 선 굵기를 접촉되는 각각의 제어선들의 개수와 그 특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조절하여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내에 구성되는 접지선을 각각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선의 제조시 추가적으로 전기도선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에는 접지선이 각각 포함되는 전기도선군을 층별로 형성하고 그 도선층의 사이에 내측외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용이하게 도선층이 증설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축선을 갖고 데이터의 전송과 저압전원의 전송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된 전기 도선을 갖는 멀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은 복수의 선이 각각 1조의 전기도선군으로 분류되어 트위스트형상으로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조의 전기도선군마다 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접지선이 각각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자체 소멸되거나 대지에 방류될 수 있도록 트위스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기도선과 상기 접지선이 각각의 조를 이루는 전기도선군의 외측에 그 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장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피복층이 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도선군이 다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층사이에 절연 차폐용 내측외장이 각 층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에 형성된 외장과 상기 전연피복충 사이에 전도성 재질의 전도피복층이 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신호의 전송과 저압전원의 전송이 동시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전기도선을 그 내부에 갖는 멀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을 소정의 개수로 묶어 1조를 형성시키고 그 각각의 조에 해당하는 전기도선에 대응되게 단일의 접지선을 밀착시켜 해당 전기도선과 함께 트위스트형상으로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기도선의 외측에 그 외부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다수의 외장을 밀착시켜 제공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지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 방법에는 상기 전기도선이 복수개 배치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제 1단계를 반복하며 다층의 전기도선층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각 층사이에 내측외장을 설치하면 추가적인 전기도선층의 증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은 트위스트 형상으로 기제작된 도선과 접지선을 해당되는 위치에 밀착 배치하고 그 외부측에 전기적으로 절연가능하도록 각종의 절연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전력의 전송이나 데이터의 전송중 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자체 감쇄시키거나 대지로 방류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지용 격막이 구성된 케이블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 가능한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도시한 도면,
도 4a, 4b, 4c, 4d는 도 3a, 3b, 3c, 3d에 도시된 복합케이블의 각 도선들의 조중하나의 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5b, 5c, 5d, 5e, 5f, 5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코어 12a : 내측외장
13a : 1차 폐쇄공간부 14a : 제 1도선
15a : 제 1접지선 12b : 외측내장
13b : 2차 폐쇄공간부 14b : 제 2도선
15b : 제 2접지선 16 : 전도피복층
17a : 제 1절연피복층 17b : 제 2절연피복층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케이블은 축방향으로 중앙에 탄성중합체 충전재 또는 코어(11)를 포함하고, 케이블의 중심 축선이 코어(11)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코어(11)는 생략 가능하며, 그 재질로는 금속박판, 금속화 필름 등이 적절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코어(11)의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코어(11)의 축을 따라 내측외장(12a)이 비닐데잎 등을 재질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코어(11)와 상기 내측외장(12a)사이에는 케이블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1차 폐쇄공간부(13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1차 폐쇄공간부(13a)에는 상기 코어(11)에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개의 제1도선(14a)이 배치된다·그 제 1도선(14a)의 각각은 소정의 절연자켓(J1)로 둘러싸인 전선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도선을 하나의 조로 형성하여 상기 1차 폐쇄공간부(13a)내에 4개의 조가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단, 상기한 형태의 설계상태는 사용용도나 사양에 따라 용이하게 번경 가능하다.
상기 1차 폐쇄공간부(13a)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도선(14⒯이외의 공간에는 합성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충진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11)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 1도선(14a)은 상기 1차 폐쇄공간부(13a)의 내부에 메워진 상태인 상기 층전재에 의해 그 코어(11)에 밀착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개의 제 1도선(14a)에 사용되는 전선은 주석 도금된 연동선이나 그 밖의 다른 전도성이 우수한 전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도선(14a)의 절연자켓(J1)으로는 폴리올레핀 또는 플루오르카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도선(14a)의 절연자켓(J1)에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의 제1접지선(15a)이 구성되는 바, 그 제 1접지선(15a)은 나선(裸線)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 1도선(14a)의 선로상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제 1접지선(15a)을 매개하여 그 제 1접지선(15a)내부에서 자체 소멸되거나, 대지로 방류될 수 있도록 밀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각 조의 제 1도선(14a)에 대해서는 그 각각의 제 1도선(14a)에 대응되는 제 1접지선(15a)에 의해 노이즈가 대지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때 구성되는 제 1접지선(15a)은 각 조에 포함되는 상기 제 1도선(14a)의 개수에 무관하게 각각 하나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외장(12a)의 외측에는 반경방향으로 절연지 등으로 구성되는 외측외장(12a)이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외장(12a)과 상기 외측외장(12b)사이에는 케이블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차 폐쇄공간부(13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2차 폐쇄공간부(13b)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외장(12a)에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개의 제 2도선(14b)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1차 폐쇄공간부(13a)내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도선(14b)은 각각 상기한 절연자겟(J1)으로 둘러싸인 전선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도선을 하나의 조로 형성하여 상기 2차 폐쇄공간부(13b)내에 8개의 조가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기 제 2도선(14b)들의 절연자켓(Jl)에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의 제 2접지선(15b)이 각각의 조에 구성되는 바, 그 제 2접지선(15b)도 역시 나선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 2도선(14b)의 선로상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제 2접지선(15b)을 매개하여 그 제 2접지선(15b)내부에서 자체 소화되거나, 대지로 방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절연지로 감겨져 구성되는 상기 외측외장(12b)의 외부면에는 알루미늄이나 금속성테잎이 감겨지는 전모피복층(16)이 형성되는 데, 이는 본 케이블의 종단부에서 접지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측외장(12b)에서 발생되는 잔여 노이즈성분을 대지로 방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도피복층(16)의 외부에는 상기 외측외장(12b)과 같은 재질인 소정의 절연지가 둘러싸여 이루어진 제 1절연피복층(17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절연피복층(17a)의 외측으로 폴리에딜렌시드 등과 같은 절연강도를 갖는 제 2절연피복층(17b)이 형성된다.
이어, 도 3a,3b,3c,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 가능한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중앙에 탄성중합체 충전재 또는 코어(11)를 포함하고, 케이블의 중심 축선이 코어(11)를 통해 뻗어 있다. 이때, 상기한 코어(11)는 생략 가능하며, 그 재질로는 금속박판, 금속화 필름 등이 적절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코어(11)를 중심으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원형궤적으로 외장(12)이 형성되며, 그 외장(12)의 내부에는 폐쇄공간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11)의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의 도선(1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폐쇄공간부(13)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도선(14)은 각각 상기한 절연자겟(J1)으로 들러싸인 전선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a는 2개의 도선(14 : 141, 142)이 하나의 조로, 도 3b는 3개의 도선(14 : 141∼143)이, 도 3c는 4개의 도선(14 : 141∼144)이, 도 3d는 5개의 도선(14 : 141∼145)이 하나의 조로 각각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하지만, 상기 하나의 조를 형성하는 도선(14)의 개수와 상기 폐쇄공간부(13)에 배치되는 조의 개수 등은 고정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선(14)들의 절연자켓(J1)에 대해 본 케이블의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다수의 접지선(15)이 구성되는 바, 상기 도선(14)의 선로상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기 접지선(15)을 매개하여 그 접지선(15)내부에서 자체 소화되거나, 대지로 방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a,4b,4c,4d는 도 3a,3b,3c,3d에 도시된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각 도선들의 조중 하나의 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a,4b,4c,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를 형성하는 각 도선(14)과 접지선(15)은 병렬배선방식으로 트위스트 배치되어 선로상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자체적으로 상쇄될 수 있도록 하며, 잔여 노이즈성분은 상기 접지선(15)을 매개하여 대지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두 개의 도선(141,142)과 접지선(15)이면, 그 도선(141,142)과 접지선(15)은 각 조별로 각각 120도의 위상차를 유지한 채 트위스트 배치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선(141)의 시점이 0도인 사인(sin)곡선 형태라면, 도선(142)은 120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 상기 접지선(15)은 240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의 형태를 취하여 배치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4b 역시 하나의 조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세 개의 도선(141∼143)과 접지선(15)이면, 그 도선(141∼143)과 접지선(15)은 각각 90도의 위상차를 유지한 채 트위스트 배치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선(141)의 시점이 0도인 사인(sin)곡선 형태라면, 도선(142)은 90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 도선(143)은 180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 상기 접지선(15)은 270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의 형태를 췌하여 배치되어진다.
또한, 도 4c에서 하나의 조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네 개의 도선(141∼144)과 접지선(15)이면, 그 도선(141∼144)과 접지선(15)은 각각 72도의 위상차를 유지한 채트위스트 배치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선(141)의 시점이 0도이며, 도선(142)은 72도가 시점, 도선(143)은 144도, 도선(144)은 216도, 상기 접지선(15)은 288도가 시점이 되는 사인(sin)곡선의 형태를 취하여 배치되어진다.
도 4c와 마찬가지로, 도 4d에서 하나의 조를 구성하는 요소가 다섯 개의 도선(141∼145)과 접지선(15)이면, 각각의 도선(141∼145)과 접지선(15)은 60도의 위상차를 유지한 채 트위스트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나의 조를 이루는 도선(14 : 141∼14n)과 접지선(15)들은 케이블내부에서 배치될 때 반드시 상기한 각을 유지하며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도선(14)들사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적절하게 상쇄되기 위해서는 상기한 위상차를 유지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5a,5b,5c,5d,5e,5f,5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구성하는 데 요구되는 단계들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때의 참조부호들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먼저, 제 1단계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1)의 주위에 금속박판을 나선상으로 감은 다음, 내측열의 제 1도선들(14a)을 상기 코어(11) 상에 놓으며, 각각의 조에 해당되는 제 1도선들(14a)에 밀착되게 제 1접지선(15a)을 배치시킨다.
이때, 각각의 조에 해당되는 제 1도선들(14a)과 제 1접지선(15a)들이 이미 트위스트형태를 이루어 미리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제 1도선들(14a)에 밀착되게 상기 제 1접지선(15a)을 배치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단계로 각 조에 해당되는 상기 제 1도선들(14a)과 제 1접지선들(15b)의 외측에 내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내측외장(12a)이 제공된다(도 5b).
제 3단계에서는 제 1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제작되어 트위스트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 2도선들(14b)과 제 2접지선들(15b)의 각 조가 상기 내측외장(12a)에 밀착되어 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제공된다 (도 5C).
또한,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도선들(14b)과 제 2접지선들(15b)의 외측에 밀착되어 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절연지로 구성되는 외측외장(12b)이 제공된다(도 5d).
여기서, 상기한 제 1접지선(15a)과 제 2접지선(15b)은 그 전체가 본 케이블의 종단부에서 서로 묶여 대지의 접지전위와 접속되게 되는 바, 이때의 각 접지선(15a, 15b)들은 막형태가 아닌 선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접지전위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5단계에서는 외측외장(12b)의 외측에 전체 축방향의 길이에 걸쳐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금속성 테잎으로 이루어진 전도피복층(16)이 제공된다(도 5e).
제 6단계에서는 상기 전도피복층(16)의 외부에는 상기 외측외장(12b)과 같은 재질인 소정의 절연지가 둘러싸여 이루어진 제 1절연피복층(17a)이 제공된다(도 5f).
또한, 제 7단계에서는 상기 제 1절연피복층(17a)의 외측으로 폴리에틸렌시드등과 같은 절연강도를 갖는 제 2절연피복층(17b)이 제공된다(도 5g).
만약, 추가적으로 도선수의 증대가 요구될 시에는 상기 제 4단계의 과정에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을 구성하는데 요구되는 단계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변경이 가능한바, 예컨대 상기 내/외측외장들의 재질의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전모피복층, 제 1절연피복층, 제 2절연피복층 등의 제조과정은 그 단계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추가함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 조별로 도선들과 접지선을 트위스트상태로 기제작한 후에 해당되는 위치에 제공하게 되므로 케이블내의 전체 도선들을 한꺼번에 트위스트상대로 제작할 때보다 제작공정이 용이하며, 각 조별로 도선에 밀착되는 접지선이 각각 별도로 제공되므로 각 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방류가 용이하게 실시되어 전기적인 성능 또한, 기존의 케이블에 비하여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전선의 종단부에서 상기 접지선의 종단부접지를 수행할 때 그 접지선이 막형태가 아닌 선형태로 구성되므로 용이하게 종단부 접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정정) 중심 축선을 갖고 데이터의 전송과 저압전원의 전송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된 전기 도선을 갖는 멀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은 복수의 선이 각각 1조의 전기도선군으로 분류되어 트위스트형상으로 축방향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조의 전기도선군마다 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접지선이 각각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도선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자체 소멸되거나 대지에 방류될 수 있도록 트위스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기도선과 상기 접지선이 각각의 조를 이루는 전기도선군의 외측에 그외부와 전기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장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피복층이 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
  2.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군이 다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층사이에 절연 차폐용 내측외장이 각 층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에 형성된 외장과 상기 전연피복층 사이에 전도성 재질의 전도피복층이 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
  3. (정정) 데이터신호의 전송과 저압전원의 전송이 동시적으로 수행되도록 된전기도선을 그 내부에 갖는 멀티 케이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선을 소정의 개수로 묶어 1조의 전기도선을 형성시키고 그 각각의 조에 해당하는 전기도선군에 대응되게 단일의 접지선을 밀착시켜 해당 전기도선군과 함께 트위스트형상으로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기도선군의 외측에 그 외부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다수의 외장을 밀착되게 피복하여 제공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 방법.
  4. (정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전기도선군이 복수개 배치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다층의 전기도선층이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각 층 사이에 내측외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 방법.
  5. (정정)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절연지로 구성되는 외측외장을 상기 전기도선층의 외부에서 그 내측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밀착하여 제공하는 제 2a단계; 상기 외측외장의 외측으로부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전도피복층이 밀착되어 제공되는 제 2b단계; 상기 전도피복층의 외측으로부터 절연지로 구성되는 제 1절연피복층이 밀착되어 제공되는 제 2c단계; 상기 제 1절연피복층의 외측으로부터 폴리에틸렌시드 이상의 절연강도를 갖제 2절연피복층이 밀착되어 제공되는 제 2d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의 제조방법.
KR1019980039720A 1998-09-24 1998-09-24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KR10030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20A KR100300201B1 (ko) 1998-09-24 1998-09-24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20A KR100300201B1 (ko) 1998-09-24 1998-09-24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839A KR19980087839A (ko) 1998-12-05
KR100300201B1 true KR100300201B1 (ko) 2001-10-27

Family

ID=3752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20A KR100300201B1 (ko) 1998-09-24 1998-09-24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87B1 (ko) * 2005-07-28 2007-06-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주파 신호 전송용 utp케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3109A (ja) * 1988-11-17 1990-09-05 Olympus Optical Co Ltd 保護接地機能付電源コ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3109A (ja) * 1988-11-17 1990-09-05 Olympus Optical Co Ltd 保護接地機能付電源コ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83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2408B2 (en) Multi-pair data cable with configurable core filling and pair separation
CA1203587A (en) Multi-compartment screened telephone cables
US4323721A (en) Electric cables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5539851A (en) Hybrid optical fiber/copper coaxial data transmission cable
US20040055781A1 (en) Twisted pair cable with cable separator
EP2973613B1 (en) Shielded cable with utp pair environment
WO2000070626A1 (fr) Cable blinde assurant une transmission equilibree
KR20070114840A (ko) 불연속 케이블 차폐 시스템 및 방법
US7060905B1 (en) Electrical cable having an organized signal placement and its preparation
WO2005078745A1 (en) Bundled cable using varying twist schemes between sub-cables
US20140209347A1 (en) Cable Having a Sparse Shield
US10418153B2 (en) Fabricatable data transmission cable
EP3178094B1 (en) Electrical wire
US10049790B2 (en) Electrical cable
KR100300201B1 (ko) 저압전원/신호제어전선과그제조방법
JPH02132809A (ja) 多重円筒巻線
WO2014035927A1 (en) S-shield twisted pair cable design for multi-ghz performance
EP0182435A2 (en) Transmission cable having concentric layers of conductors
US20220215985A1 (en) Combination cable for electrical energy and data transmission
KR200257589Y1 (ko) 고조파와 선로 손실을 최소화한 고전압용 케이블과 그 제조
CN115699224A (zh) 用于电传输数据的电缆
JP5347167B2 (ja) 多対lanケーブル
KR20010079398A (ko) 고조파와 선로 손실을 최소화한 고전압용 케이블과 그제조방법
JPS61121209A (ja) 同心導線層を有する伝送ケーブル
JP2001110250A (ja) 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