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191B1 - Hydraulic Torque Converter Stator_ - Google Patents

Hydraulic Torque Converter Stator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191B1
KR100300191B1 KR1019980047458A KR19980047458A KR100300191B1 KR 100300191 B1 KR100300191 B1 KR 100300191B1 KR 1019980047458 A KR1019980047458 A KR 1019980047458A KR 19980047458 A KR19980047458 A KR 19980047458A KR 100300191 B1 KR100300191 B1 KR 10030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axial
fixing device
pressure pa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5073A (en
Inventor
우베 데르만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호에
만네스만 작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호에, 만네스만 작스 아게 filed Critical 헬무트 호에
Publication of KR1999004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1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41/28Details with respect to manufacture, e.g. blade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6Details relating to one way clutch of the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유압식 토크 컨버터용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허브와 함께 설계되고, 상기 스테이터 허브는 방사상 베어링을 위해서 프리휠 외부고리를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둘러싸며,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의 맞은편에서 축을 향하는 적어도 한쪽에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컨버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하게 하는 축방향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베어링은 한쪽으로는 적어도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와, 다른 한쪽으로는 상기 컨터버 하우징과 유효하게 연결된다. 상기 축방향 돌기는 소정의 각도간격을 두고 서로 원주 상에 분포된 고정장치를 가지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내측 위로 돌출하여 자신의 방사상 내측을 통해서 적어도 상기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춘다.The stator for the hydraulic torque converter is designed with a stator hub, the stator hub at least partially radially enclosing the freewheel outer ring along the axial extension for the radial bearing, at least one of which is axially opposite the freewheel outer ring. It has an axial protrusion projecting on it. An axial bearing is also formed to axially position the stator with respect to the converter housing, the axial bearing being eff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the freewheel outer ring on one side and the converter housing on the other. . The axial protrusions have fasteners distributed circumferentially with one another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the fasteners projecting over the inside of the stator hub and centering at least the axial bearing through their radial inwards.

Description

유압식 토크 컨버터용 스테이터Stator for hydraulic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의한 유압식 토크 컨버터(hydordynamic converter)용 스테이터(stato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or for a hydraulic torque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이와 같은 스테이터는 예를 들어 DE 44 23 640 A1을 통해, 특히 도 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는 프리휠(freewheel)의 프리휠 외부고리 상에 배열되고,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의 축방향 연장부 전체를 방사상으로 둘러싼다.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의 양쪽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상에는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는 노즈(nose)가 형성되고, 상기 노즈는 축방향 양쪽으로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를 향하므로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의 상기 프리휠 허브에 대한 축방향 상대운동을 방지하게 된다.Such stators are known, for example, via DE 44 23 640 A1, in particular in FIG. 1. This stator is arranged on the freewheel outer ring of the freewheel and radially surrounds the entire axial extension of the freewheel outer ring. A nose is formed on the axial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freewheel outer ring, and the nose protrudes radially inward, and the nose is directed toward the freewheel outer ring on both sides of the freewheel so that the freewheel of the freewheel outer ring is free. This prevents axial relative movement of the hub.

클램프 보디와 구동축(driving shaft)과 컨터버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중공축(hollow shaft) 상의 프리휠 내부고리에 걸쳐 연장되는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는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을 방사상으로 맞추는 것 이외에도 프레셔 패드의 중심을 맞추는 데도 이용되고, 상기 프레셔 패드는 한쪽에서는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에 인접하고, 다른 쪽에서는 상기 컨터버 하우징의 펌프 셸 상에서 축방향을 향하는 축방향 베어링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서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와 스테이터는 한쪽에서 상기 컨터버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반면에, 상기 스테이터는 축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쪽에서 제2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서 고정된다.The freewheel outer ring, which extends over the freewheel inner ring on the hollow shaft mounted between the clamp body and the driving shaft and the converter housing, allows the center of the pressure pad to be in addition to radially centering the stator. Also used to align, the pressure pad is supported on an axial bearing in an axial direction on the pump shell of the converter housing on one side adjacent to the freewheel outer ring. The freewheel outer ring and the stator are axial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converter housing on one side by the axial bearing, while the stator is fixed by a second axial bearing on the opposit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가 상기 스테이터뿐만 아니라 스러스트 칼라(thrust collar)의 중심을 맞추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스러스트 칼라에 있어서 중심을 맞추는 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왜냐하면, 토크 컨터버의 매우 협소한 공간 내에서 비교적 적은 방사상 직경으로 중심 맞추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대개 상기 스러스트 칼라 자체는 요구하는 것이 비교적 많은 조직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부품을 말한다. 왜냐하면, 상기 스러스트 칼라는 한쪽으로는 중심을 맞추기 위해 축방향으로 프리휠 안으로 맞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 축방향 쇼울더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스러스트 칼라의 복잡한 설계로 인해 조립공간이 매우 협소한 방사상 내부 영역 내에서 구조너비가 지나치게 커진다.Since the freewheel outer ring functions to center not only the stator but also the thrust collar, it has proved to be a problem in the centering of the thrust collar,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centering is made with a relatively small radial diameter in a very narrow space of the torque converter. Usually the thrust collar itself refers to a die casting part which exhibits a relatively high organization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thrust collar must have an axial shoulder to axially engage the freewheel on one side to center, and on the other hand to center the axial bearing. In addition, the complex design of the thrust collar results in an excessively large structural width within the radially inner region where the assembly space is very narrow.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터를 허브의 영역 내에 설계하여 가능한 한 적은 조립비용 및 축방향 공간을 사용한서 상기 스테이터를 프리휠에 대하여 중심을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셔 패드 또는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the stator in the area of the hub so that the stator can be centered with respect to the freewheel using as little assembly cost and axial space as possible, as well as the pressure pad or the axial bearing. To ensure that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features set forth in the characterizing part of claim 1.

스테이터 허브를 프리휠 외부고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와 함께 서로 소정의 각도간격을 두고서 원주 상에 분포된 고정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 허브는 벽두께가 얇은 축방향 돌기의 영역 내의 고정장치의 양쪽에 각각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더 나은 제조가능성으로 인해 열가소성 재료로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허브를 설계할 때 특히 바람직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장치 영역 내에서는 충분한 변형강성을 가지므로, 상기 고정장치는 방사상 내측을 통해서 적어도 상기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장치는 방사상 내측을 통해서 스테이터 허브의 원주 쪽에서 이웃하는 영역에 걸쳐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고, 직경을 따라서 있는 소정의 지점 상에서 상기 축방향 베어링을 수용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이웃하는 축방향 돌기와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축방향 베어링의 방사상으로 높은 변형강성을 방지하지만, 후속항들 중 한 항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 허브와 면하는 축방향 단부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와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방사상 내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고정장치가 원심방향으로 탄성을 나타내고, 상기 탄성은 특히 탄성재료를 사용할 때 최적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의 실시양태로 인해, 축방향 베어링 및 필요한 경우에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셔 패드가 방사상으로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서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스테이터 허브, 프레셔 패드 및 축방향 베어링간의 힘을 받지 않는(force-closed)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회전 방지를 위한 폼 클로저(form closure)가 필요없다. 또한, 프레셔 패드 상에 방사상 돌기가 형성되어 이들 중 두 개가 고정장치의 양쪽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간극(clearance) 없이 맞물림으로써 상기한 프레셔 패드와 상기 스테이터 허브가 서로 회전하지 않는 연결부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The stator hub is fixed in the area of the axial protrusion with a thin wall thickness by forming a stator distributed on the circumference with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with the axial protrusion projecting axially with respect to the freewheel outer ring. It can be manufactur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respectively, which is particularly desirable when designing the stator and the stator hub from thermoplastic material due to better manufacturability,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sufficient deformation stiffness within the fixture area. Therefore, the fixing device can at least center the axial bearing through the radially inner side. To this end, the fixing device projects radially inwards through the radially inner side over the neighboring area on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tator hub and receives the axial bearing on a predetermined point along the diameter. The holding device can be designed integrally with the neighboring axial protrusion of the stator hub to prevent radially high deformation stiffness of the axial bearing, but according to one of the following claims, the axial direction facing the stator hub. An end portion may be rigidly connected with the stator hub, or may be exten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stator hub. The fixing device thereby exhibits elasticity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ect optimum results, especially when using elastic materials. Due to this embodiment of the fixing device, the axial bearing and, if necessary, the pressure pad interacting with it can be fastened radially tightly through the fixing device, thus simply connecting the stator hub, pressure pad and the axial bearing. Force-closed connections can be made without the need for a form closure to prevent rotation. In addition, a radial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pressure pad such that two of them are circumferentially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fixing device, respectively, so that the pressure pad and the stator hub do not rotate with each other. .

앞에서 언급된 고정장치에는, 상기 스테이터를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터 제조에서 얻어지는 다른 기능이 지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반쪽 다이를 포함하며 재료를 충전하기 위한 챔버를 가지는 다이가 필요하다. 냉각된 후 분사된 재료가 강성이 필요하면, 상기 두 개의 반쪽 다이는 축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게다가 하나의 반쪽 다이는 축방향으로 제거되고 나서 상기 스테이터가 다른 하나의 반쪽 다이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젝터에 의해서 상기 반쪽 다이로부터 밀려 난다. 그 자체로서 공지된 이젝터는 특허청구범위에 따라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장치의 자유단은 각각의 이젝터를 위한 지지면으로서 기능을 한다.In the above mentioned fastening device, when the stator i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for example, a thermoplastic material, other functions obtained in the production of the stator may be designated. This requires a die comprising at least two half dies and having a chamber for filling the material. If the injected material is rigid after cooling, the two half di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one half die is removed axially and then pushed out of the half die by an axially movable ejector formed in the other half die. Since the ejector known per se can be located according to the claims, the free end of the fixing device functions as a support surface for each ejector.

다른 청구항에 의하면,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와 상기 축방향 베어링 사이에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압력을 비교적 민감한 축방향 베어링 안으로 유입시키기는 기능을 하는 이미 언급된 프레셔 패드는 구멍이 뚫린 강판 와셔(steel sheet washer)로서 설계되고, 상기 강판와셔는 가소성 없는 이상적인 실시양태로 실시되고, 축방향 쪽에서는 프리휠 외부고리에, 다른 축방향 쪽에는 축방향 베어링 상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claim, an already mentioned pressure pad, which is preferably axially formed between the freewheel outer ring and the axial bearing, and which serves to introduce pressure into a relatively sensitive axial bearing, has a perforated steel washer ( designed as a steel sheet washer, the steel washer is embodied in an ideal embodiment without plasticity and can be located on the freewheel outer ring on the axial side and on the axial bearing on the other axial side.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프레셔 패드의 외주는 상기 고정장치의 방사상 내측 상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셔 패드는 이웃하는 축방향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장치를 통해서 각각 나머지 컨버터 부품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진다. 다른 실시양태에 의하면, 한편으로는 외주를 통해서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고정장치 상에 중심이 맞춰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주를 통해서 상기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프레셔 패드의 방사상 외부영역(radial outer region)은 축방향으로 굽혀질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적은 총 조립비용으로 상기 프리휠의 영역 내의 공간이 최대로 절약되는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essure pad thus formed can be located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fixing device, the pressure pad is centere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converter components, respectively, through the fixing device like the neighboring axial bear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adially outer area of the pressure pad as described above is centered on the fixture of the stator hub on the one han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and on the other hand to center the axial bearing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ce. The radial outer region may be bent axially. This allows the design to maximize the space savings in the area of the freewheel with a low total assembly cost.

계속해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Subsequent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스테이터 및 스테이터 허브에 의해 중심이 맞춰진 프레셔 패드(pressure pad) 및 축방향 베어링을 강조한 유압식 컨터버(hydrodynamic converter)의 상부 반쪽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half of a hydrodynamic converter emphasizing pressure pads and axial bearings centered by a stator and stator hub;

도 2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방사상 내측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횡단면이 각이 진 고정장치를 포함한,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의한 스테이터 및 프레셔 패드의 축방향 도면.FIG. 2 is an axial view of the stator and pressure pad by cutting line II-II of FIG. 1, including a locking device protruding axially with respect to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stator hub and angled in cross section.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의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2와 동일하나 횡단면이 반원형인 고정장치를 포함한 도면.FIG. 4 is the same as FIG. 2 but includes a fixing devic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도 5는 도 2와 동일하나 횡단면이 실린더형인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허브의 방사상 내측과 간격을 둔 도면.FIG. 5 is the same as FIG. 2 but includes a fixing device having a cylindrical cross 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stator hub; FIG.

도 6은 축방향에서 주시한 프레셔 패드의 도면.6 is a view of a pressure pad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의한 프레셔 패드의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pad along the cutting line VIII-VIII in FIG. 6. FIG.

도 8은 도 1과 동일하나 축방향 쇼울더(axial shoulder)를 갖는 프레셔 패드를 포함한 도면.FIG. 8 is the same as FIG. 1 but includes a pressure pad having an axial shoulder;

도 9는 도 1과 동일하나 프레셔 패드는 생략하고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으로서의 축방향 베어링을 포함한 도면.9 is the same as FIG. 1 but omits the pressure pad and includes an axial bearing as a sliding bearing;

도 10은 스테이터용 이젝터(ejector)를 구비한 다이(die)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 with an ejector for the stator.

-참고번호리스트-Reference Number List

1 컨버터 하우징 3 펌프 셸(pump shell)1 converter housing 3 pump shell

5 펌프 임펠러(pump impeller) 7 터빈 휠(turbine wheel)5 pump impeller 7 turbine wheel

9 스테이터 11 리벳(rivet)9 Stator 11 Rivet

13 터빈 허브(turbine hub) 15 톱니13 turbine hub 15 teeth

17 날개배열(blading) 19 연결고리17 blades 19 ties

21 스테이터 허브 23 축방향 슬라이딩 베어링21 Stator hub 23 Axial sliding bearing

25 그루브(groove) 27 축방향 고리25 grooves 27 axial rings

29 프리휠(freewheel) 31 프리휠 외부고리29 freewheel 31 freewheel outer ring

33 프리휠 외부고리 클램프 보디(freewheel outer clamping body)33 freewheel outer clamping body

35 프리휠 내부고리(freewheel inner wheel)35 freewheel inner wheel

37 톱니 39 축방향 돌기37 Tooth 39 Axial protrusion

41 고정장치 43 고정장치의 방사상 내측41 Fixture 43 Radial inner side of fixture

45 축방향 베어링 46 스테이터 허브의 방사상 내측45 Axial bearing 46 Radial inner side of stator hub

47 프레셔 패드 49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47 Pressure pad 49 Roller bearing

51 슬리브 53 고정장치의 자유단(free end)51 Sleeve 53 Free end of fixture

55 프레임 57 다이55 Frame 57 Die

59 이젝터 60 지지면(support surface)59 ejector 60 support surface

61 방사상 돌기 62 원주영역61 radial projection 62 circumferential region

63 축방향 쇼울더 65 축방향 쇼울더의 방사상 내측63 Axial shoulder 65 Radial inner side of axial shoulder

67 축방향 슬라이딩 베어링 69 그루브67 axial sliding bearing 69 groove

71 간격 72 중심축71 Spacing 72 Central Axis

도 1에는 스테이터가 배열된 유압식 토크 컨버터의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는 것은 생략했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토크 컨버터는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된 DE 44 23 640 A1과 같은 종래기술을 통해서 공지되어 있기 때문이다.1 shows an area of a hydraulic torque converter in which stators are arranged. The overall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the torque converter has been omitted. This is because such torque converters are known through the prior art, for example DE 44 23 640 A1 mentioned above.

자세히 말해서 펌프 임펠러(5)의 일부부인 펌프 셸(3)을 통하여 컨버터 하우징(1)의 비교적 작은 단면도를 볼 수 있다. 상기 펌프 임펠러는 터빈 휠(7)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터빈 휠로부터 유체가 스테이터(9)를 통하여 상기 펌프 임펠러(5)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터빈 휠(7)은 리벳(11)을 이용해서 터빈 허브(13)에 고정되며, 상기 터빈 허브는 톱니(15)에 의해서 이의 내경에서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종동축(driven shaft)과 회전되지 않도록 연결된다.In particular,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rter housing 1 can be seen through the pump shell 3, which is part of the pump impeller 5. The pump impeller interacts with the turbine wheel 7, from which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pump impeller 5 via the stator 9. The turbine wheel 7 is fixed to the turbine hub 13 using rivets 11, which are not rotated with the driven shaft in a manner not shown at their inner diameter by means of teeth 15. So that it is connected.

이미 언급된 스테이터(9)는 스테이터(21) 상에 날개배열(17)을 가지고, 상기 날개배열(17)의 자유단은 서로 인접하여 연결고리(19)를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 허브(21)는 프리휠(29)의 프리휠 외부고리(31) 상에 고정되고,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31)는 클램프 보디(33)를 통하여 프리휠 내부고리(35)와 연결되고, 상기 프리휠 내부고리는 자신의 내경에 톱니(37)를 가지며, 앞에서 언급된 종동축과 펌프 셸(3)과 연결된 종동기어(driven gear) 쪽의 슬리브(51)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중공축 상에서 상기 톱니와 맞물린다.The stator 9 already mentioned has a wing arrangement 17 on the stator 21, and the free ends of the wing arrangement 17 are fixed via a connecting ring 19 adjacent to each other. The stator hub 21 is fixed on the freewheel outer ring 31 of the freewheel 29, the freewheel outer ring 31 is connected to the freewheel inner ring 35 through the clamp body 33, the freewheel The inner ring has a tooth 37 in its inner diameter and a hollow shaft, not shown, extending radially between the aforementioned driven shaft and the sleeve 51 on the side of the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pump shell 3. Meshes with the tooth in the phase.

상기 스테이터 허브(21)는 상기 터빈 허브(13)와 면하는 쪽에 컨버터 하우징용 유체가 관통하기 위한 그루브(25)와 함께 설계되는 축방향 슬라이딩 베어링(13)을 가지며, 상기 유체는 이미 언급된 중공축과 종동축 사이의 방사상 간극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The stator hub 21 has an axial sliding bearing 13 which is designed with a groove 25 for penetrating the fluid for the converter housing on the side facing the turbine hub 13, the fluid being the hollow already mentioned. It can be supplied through a radial gap between the shaft and the driven shaft.

상기 스테이터 허브(21)는 상기 펌프 셸(3)과 면하는 쪽에,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방사상 횡단면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돌기(39)를 가지고, 원주방향에서는 소정의 각도간격(α)을 두고서 고정장치(41)를 가지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방사상 내측(46)에서 시작하여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웨브(webs)(55)가 방사상 내부로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41)의 방사상 내측(43)은 프레셔 패드(47)뿐만 아니라 롤러 베어링(49)의 형태인 축방향 베어링(45)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롤러 베어링은 상기 고정장치(41)의 방사상 내측(43)에서만 중심이 맞춰지는 반면에, 상기 프레셔 패드(47)는 중심부 기능에 추가해서, 각각 하나의 고정장치(41)의 양쪽에 방사상 돌기(61)(도 6 및 도 7도 해당)가 방사상 외부로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방사상 내측(46)에까지 맞물림으로써, 상기 고정장치(41)에 의해서 회전도 방지된다. 상기 프레셔 패드(47)는 간단하게 가소성이 없는 부품으로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 강판에 구멍을 뚫어 만든다. 그럼으로써 상기와 같은 프레셔 패드의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축방향 공간의 사용이 최소화된다.The stator hub 21 has, on the side facing the pump shell 3, an axial protrusion 39 extending in a relatively small radial cross section, as can be seen in FIGS. 2 and 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as a fixing device 41 with an angular spacing α of the web, the fixing device starting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46 of the stator hub 21 and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webs 55. It is formed by extending inward. As can be seen in particular in FIG. 3, the radially inner 43 of the fixing device 41 functions to receive the axial bearing 45 in the form of a roller bearing 49 as well as the pressure pad 47. The roller bearings are centered only on the radially inner side 43 of the fixing device 41, while the pressure pads 47 are radially on both sides of one holding device 41 in addition to the central function. The projection 61 (also corresponding to FIGS. 6 and 7) is engaged radially outward to the radially inner side 46 of the stator hub 21, whereby rotation is also prevented by the fixing device 41. The pressure pad 47 is simply designed as a non-plastic part and is preferably made by drilling a steel plate. This can reduce the cost of such pressure pads and minimize the use of axial space.

도 4는 이번에는 횡단면이 반원형인 방사상 내측(46)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장치(41)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반원 횡단면에서 중심축(72)에 방사상으로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위치는 상기 고정장치(41)의 방사상 내측(43)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방사상 내측은 프레셔 패드(47)와 축방향 베어링(45)의 중심부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도 2에 의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고정장치(41) 상에서의 프레셔 패드(47)와 축방향 베어링(45)의 베어링면이 감소되지만 이것이 기능저하를 초래하지는 않는다.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device 41 which in turn projects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radially inner 46 which is semicircular in cross section. The position radially closest to the central axis 72 in the semicircular cross section serves as the radially inner side 43 of the fixing device 41,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pressure pad 47 and the axial bearing 45. Occupy the center. Therefore, unlik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 the bearing surfaces of the pressure pad 47 and the axial bearing 45 on the fixing device 41 are reduced, but this does not cause a malfunction.

도 2 및 도 4에 의한 고정장치(41)가 실질적으로 원심방향으로 프레셔 패드(47)와 축방향 베어링(45)을 단단하게 수용하는 반면에, 횡단면이 바람직하게 실린더형이며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와 면하는 단부가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와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도 5에 의한 고정장치(41)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방사상 내측(46)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계되고, 특히 상기 고정장치(41)를 탄성적으로 설계할 때,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방사상 내측(46)의 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허용하고, 상기 스테이터 허브는 상기 고정장치(41)를 위한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프레셔 패드(47)와 축방향 베어링(45)의 축방향 삽입시 상기 고정장치(41)가 방사상 외부로 변형할 수 있지만, 이에 의해 발생되는 예압(preloding)으로 인해 상기 프레셔 패드(47)뿐만 아니라 상기 축방향 베어링(45)도 힘이 차단된 상태(force closed)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힘이 차단되므로 방사상 돌기(61)를 포함하는 축방향 베어링(45)을 생략할 수도 있지만, 스테이터 허브(21)와 프레셔 패드(47) 사이에서 회전되지 않는 연결부는 그대로 유지된다.While the fixing device 41 according to FIGS. 2 and 4 holds the pressure pad 47 and the axial bearing 45 in a substantially centrifug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is preferably cylindrical and the stator hub 21 Is fixed to the radially inner side 46 of the stator hub 2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stator hub 21 is designed integrally with the stator hub 21. When the fixing device 41 is elastically designed, the predetermined spacing allows elastic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adially inner side 46 of the stator hub 21, and the stator hub has the fixing device 41. Acts as a stopper for Thus, although the fixing device 41 may deform radially outward upon the axial insertion of the pressure pad 47 and the axial bearing 45, the pressure pad 47 is prevented due to the preloading generated thereby. In addition, the axial bearing 45 also maintains a force closed state. Since the force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axial bearing 45 including the radial protrusion 61 may be omitted, but the connection portion which is not rotated between the stator hub 21 and the pressure pad 47 is maintained.

도 2,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고정장치(41)의 자유단(53)은 각각 도 10에 도시된 다이(57)의 이젝터(59)를 위한 지지면(6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허브(21)는 날개배열(17), 연결고리(19) 및 동시에 사출성형된(extruded) 프리휠 외부고리(31)와 함께 상기 다이(57) 내에 장착된다. 상기 다이(57)는 하나의 반쪽 다이로 도시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반쪽 다이는 이미 제거되어 있다. 상기 다이(57)로부터 상기 스테이터(9)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이젝터(59)가 도 10에 의한 축방향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장치(41)의 지지면(60)에 축력(軸力)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다이(57) 내의 챔버로부터 상기 스테이터(9)를 밀어 낸다.According to FIGS. 2, 4 and 5, the free ends 53 of the fixing device 41 can each be used as support surfaces 60 for the ejector 59 of the die 57 shown in FIG. 10. . The stator hub 21 is mounted in the die 57 together with the wing arrangement 17, the linking ring 19 and the simultaneously extruded freewheel outer ring 31. The die 57 is shown as one half die and the other half die has already been removed. In order to easily remove the stator 9 from the die 57, the ejector 59 is moved to the left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FIG. 10, and the axial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surface 60 of the fixing device 41. Force acts to push the stator 9 out of the chamber in the die 57.

도 6 및 도 7은 프레셔 패드(47)를, 도 2에 의한 고정장치(41)를 포함한 스테이터 허브(21)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일체형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원주영역(62)의 양쪽에 각각 방사상 돌기(61)를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상 돌기(61)는 도 5에 의한 스테이터 허브(21)와 결합되어 대체물 없이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 의한 실시예에서 있어서, 원주영역(62)은 상기 고정장치(41)의 형태에 맞추어 조절하기 위해 각각 반원으로 설계한다.6 and 7 show the pressure pad 47 as an integral typ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stator hub 21 including the fixing device 41 according to FIG. 2. The radial protrusions 61 can be clearly identifi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region 62, respectively. However, the radial protrusion 61 is combined with the stator hub 21 according to FIG. 5 and can be omitted without a substitut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the circumferential regions 62 are each designed in a semicircle to adjust to the shape of the fixing device 41.

도 8에 의한 도면과 도 1에 의한 도면의 차이점은, 상기 프레셔 패드(47)가 자신의 원주영역에서 축방향 쇼울더(63)를 형성하는 축방향으로의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 쇼울더는 외주를 통해서 상기 고정장치(41)의 방사상 내측(43)상에서 지지되며, 방사상 내측(65)을 통해서 축방향 베어링(45)을 위한 중심부를 형성한다는 데 있다. 상기 프레셔 패드(47)의 축방향 쇼울더(63)는 강판으로 된 상기 프레셔 패드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구조에 있어서 제조비용이 추가되지 않는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drawing according to Fig. 8 and the drawing according to Fig. 1 is that the pressure pad 47 has an axially curved portion which forms an axial shoulder 63 in its circumferential region, the axial shoulder being an outer circumference. It is supported on the radially inner 43 of the fixing device 41, and through the radially inner 65 to form a central portion for the axial bearing 45. Since the axial shoulder 63 of the pressure pad 47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punching the pressure pad made of steel, no manufacturing cost is added in its structure.

축방향 베어링(45)이 항상 롤러 베어링(49)에 의해서 형성되는 이제까지 취급된 도면과는 다르게, 도 9에 의하면, 슬라이딩 성질을 향상하기 위해 주유(注油)하는 유체가 관통하는 그루브(69)와 함께 설계되는 축방향 슬라이딩 베어링(67)이 형성된다. 매우 가는 줄을 세공하기 위한 롤러 베어링(49)과는 다르게,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67)이 스테이터 쪽에서 프레셔 패드를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상기 축방향 베어링(67)도 상기 고정장치(41)의 방사상 내측(43)에 중심이 맞춰진다.In contrast to the figures previously dealt with, in which the axial bearing 45 is always formed by the roller bearing 49, according to FIG. 9, the groove 69 through which the lubricating fluid penetrates to improve the sliding properties and An axial sliding bearing 67 is formed which is designed together. Unlike roller bearings 49 for very thin lines, the sliding bearings 67 do not require pressure pads on the stator side, but the axial bearings 67 also radially inside the fixing device 41. Centered at (43).

스테이터를 허브의 영역 내에 설계하여 조립비용을 가능한 한 적게 사용하면서 축방향 공간도 적게 사용할 때, 상기 스테이터를 프리휠에 대하여 중심을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셔 패드 또는 축방향 베어링의 중심을 맞출 수도 있다.When the stator is designed in the area of the hub and uses as little assembly cost as possible and uses less axial space, the stator can be centered relative to the freewheel as well as centered on the pressure pad or axial bearing.

Claims (10)

방사상 베어링을 위해서 프리휠 외부고리를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둘러싸며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의 맞은편에서 축을 향하여 적어도 한쪽에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를 가지는 스테이터 허브 및,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컨버터 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하게 하며 한쪽으로는 적어도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와, 다른 한쪽으로는 상기 컨버터 하우징과 유효하게 연결되는 축방향 베어링을 구비하는 유압식 토크 커버터용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돌기(39)는 소정의 각도간격(α)을 두고 서로 원주 상에 분포된 고정장치(41)를 가지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내측(46) 위로 돌출하여 자신의 방사상 내측(43)을 통해서 적어도 상기 축방향 베어링(45)의 중심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A stator hub having an axial protrusion projecting at least partially radially around the freewheel outer ring along the axial extension for radial bearing and protruding on at least one side opposite the freewheel outer ring toward the axis; A axial protrusion (39) in a stator for a hydraulic torque coverter having an axial bearing positioned axially with respect to one side and having at least one freewheel outer ring on one side and an effective axial bearing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ter housing. ) Has a fixing device 41 circumferentially distributed with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α, the fixing device protrudes above the inner side 46 of the stator hub 21 to its radial inner side 43. Stator, characterized in that to at least center the axial bearing (45)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41)는 나머지 축방향돌기(39)에 대하여 계속해서 방사상 내부로 도출하는 웨브(55)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2. The st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device (41) is formed by a web (55) which continues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axial protrusions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41)는 축방향 단부에서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와 단단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장치(41)가 상기 스테이터 허브(21)의 방사상 내측(46)과 소정의 간격(71)을 두고 배열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2. The fixing device (4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device (41) is firmly connected to the stator hub (21) at an axial end, and the connecting portion has the fixing device (41) radially inwardly of the stator hub (21). 46) and a st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to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7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41)는 원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The sta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xing device (41)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제조시 다이 내에 배열되고, 상기 다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이의 이젝터에 의해서 축력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41)의 자유단(53)은 각각의 이젝터(59)를 위한 지지면(60)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or is arranged within the die during manufacture, and can be subjected to axial force by an ejector of the die axially movable for removal from the die. 41. The s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 (53) functions as a support surface (60) for each ejector (5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베어링에 지정되는 프레셔 패드를 가지고, 상기 프레셔 패드는 한쪽으로는 상기 축방향 베어링과 , 다른 한 쪽으로는 적어도 상기 프리휠 외부고리와 함께 설계되며, 상기 프레셔 패드(47)는 구멍이 뚫린 강판와셔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The pressure pa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ressure pad has a pressure pad assigned to the axial bearing, the pressure pad being on one side with the axial bearing and at least with the freewheel outer ring. And the pressure pad (47) is designed as a perforated steel plate was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셔 패드(47)는 상기 고정장치(41) 상에 중심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Stator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pad (47) is centered on the fixing device (4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셔 패드(47)는 원주방향에서 볼 때 고정장치(41)의 양쪽으로 각각 맞물리는 방사상 돌기(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7. The st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ssure pad (47) comprises radial projections (61) which engage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fixing device (41) when view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베어링(45)을 스테이터 허브(2l)의 고정장치(41) 상에 중심을 맞추는 것은 상기 고정장치(41) 상에서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프레셔 패드(47)의 축방향 쇼울더(63)에 의해 행하여지고, 상기 축방향 베어링(45)은 상기 축방향 쇼울더(63)의 방사상 내측(65)을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2.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ssure pad 47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centering the axial bearing 45 on the fixing device 41 of the stator hub 2l is radially supported on the fixing device 41. S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bearing (45) is directed toward the radially inner side (65) of the axial shoulder (6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쇼울더(63)는 상기 프레셔 패드(47)의 방사상 외부영역을 굽힘가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10. The sta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xial shoulders (63) are formed substantially in the axial direction by bending a radially outer region of the pressure pad (47).
KR1019980047458A 1997-11-06 1998-11-06 Hydraulic Torque Converter Stator_ KR1003001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9043A DE19749043A1 (en) 1997-11-06 1997-11-06 Guide wheel for a hydropneumatic torque converter
DE19749043.3 199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073A KR19990045073A (en) 1999-06-25
KR100300191B1 true KR100300191B1 (en) 2001-11-22

Family

ID=784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458A KR100300191B1 (en) 1997-11-06 1998-11-06 Hydraulic Torque Converter Stator_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00191B1 (en)
DE (1) DE19749043A1 (en)
ES (1) ES2162541B1 (en)
FR (1) FR2770603B1 (en)
GB (1) GB233525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6003280A5 (en) * 2005-12-19 2008-09-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tator side plate for a torque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622A (en) * 1963-02-25 1967-05-02 Ford Motor Co Method of making bladed hydrokinetic members
US3300971A (en) * 1965-06-01 1967-01-31 Gen Motors Corp Preloaded torque converter
DE3531521A1 (en) * 1985-09-04 1987-03-19 Daimler Benz Ag Torsionally elastic connection between a spoked output wheel and a pump impeller of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operating with power division
JPH02125153A (en) * 1988-11-01 1990-05-14 Aisin Aw Co Ltd Torque converter
JP2783836B2 (en) * 1989-03-20 1998-08-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Torque converter
US4953353A (en) * 1989-08-23 1990-09-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ller clutch for stator assembly
US5125487A (en) * 1990-08-31 1992-06-30 Ina Bearing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converter having improved stator/clutch assembly
US5094076A (en) * 1990-11-16 1992-03-10 Maclean-Fogg Company Torque converter reactor assembly and method
DE4423640C2 (en) 1993-12-22 1997-08-21 Fichtel & Sachs Ag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with lock-up clutch
DE19509501B4 (en) * 1995-03-16 2005-05-04 Zf Sachs Ag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JPH09126296A (en) * 1995-10-27 1997-05-13 Koyo Seiko Co Ltd One-way clutch
DE19631009A1 (en) * 1996-08-01 1998-02-05 Himmermann Fritz Gmbh Co Kg Thrust washers for converter id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5256A (en) 1999-09-15
ES2162541A1 (en) 2001-12-16
DE19749043A1 (en) 1999-05-12
FR2770603B1 (en) 2003-05-16
KR19990045073A (en) 1999-06-25
GB2335256B (en) 2002-03-27
FR2770603A1 (en) 1999-05-07
ES2162541B1 (en) 2002-07-01
GB9824164D0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1315A (en) Reaction assembly for a torque converter and a torque converter comprising such a reaction assembly
RU2361348C2 (en) Electric machine with axial spring-controlled element
US5462145A (en) Hydrokinetic lockup torque converter with lockup clutch
US9822826B2 (en) Torque converter including stator thrust bearing
KR100274755B1 (en) Frictional type connector for connecting a rotator a shaft
US8118311B2 (en) Clamping device
WO2010055151A1 (en) A clutch bearing, a clutch drive device, and a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bearing and with such a device
US10711873B2 (en) Hydrodynamic side plate for torque converter stator
US20060193549A1 (en) Thrust bearing comprising a spacing member
US4955786A (en) Drive device for pumps
WO2016159973A1 (en) Axial retention and anti-rotation features for hydrodynamic thrust bearings
US5680758A (en) Assembly of a one-way clutch and a bearing
KR100300191B1 (en) Hydraulic Torque Converter Stator_
US4354808A (en) Vane pump having sleeve bearing and rotor retaining construction
KR970002045A (en) One-way clutch mechanism of torque converter
US9739357B2 (en) Hydrostatic thrust bearing
JP2001012486A (en) Axial direction fixing structure of bearing ring
CN114286898A (en) Flywheel assembly with deep-drawn flange
JP2018529050A (en) Protective ring, seal structure, and journal cloth assembly
JP2001032904A (en) Assembly of one-way clutch and bearing
US6540053B2 (en) Hydrodynamic clutch device
JP4610761B2 (en) Subassembly of hydrodynamic converter
US9964192B2 (en) Bi-directional hydrodynamic thrust washer for a torque converter
JP2002098156A (en) Thrust needle roller bearing
CN111868398B (en) Roller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