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830B1 -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830B1
KR100299830B1 KR1019970055083A KR19970055083A KR100299830B1 KR 100299830 B1 KR100299830 B1 KR 100299830B1 KR 1019970055083 A KR1019970055083 A KR 1019970055083A KR 19970055083 A KR19970055083 A KR 19970055083A KR 100299830 B1 KR100299830 B1 KR 10029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blower
magnetron
air intake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666A (ko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8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8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는, 장치실 내부에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등과 같은 발열부품 및 상기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함께 마련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품과 송풍기와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각각의 발열부품으로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출구를 지니는 분기덕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에 의하면,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렌지 내부의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한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전자렌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전자렌지(10)의 내부는 조리실(11)과 장치실(12)로 구분된다.
상기 조리실(11)에는 식품을 거치하기 위한 턴테이블·선반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장치실(12)에는 가열원부, 전원부, 환기부, 제어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원부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기 위한 마그네트론(13)·히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부는 고압 트랜스(14)를 비롯하여 고압 콘덴서·고압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환기부는 조리실(11)의 환기를 위한 송풍기(15)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종 센서·마이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10)는, 조리가 시작되면, 2 극 진공관을 사용하는 마그네트론(13)이 수천 메가헤르츠(㎒)의 극초단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극초단파는 조리실(11) 일측에 마련된 도파판을 통해 식품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식품에 조사된 마이크로파는 식품 분자의 진동을 유도하며, 이에 의하여 식품이 가열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조리와 동시에 송풍기(15)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의하여 장치실(12), 조리실(11), 배기구(16)의 순으로 공기가 유동되면서 발열부품의 냉각과 환기가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렌지에 의하면, 전자렌지(10)의 후면판에 설치된 송풍기(15)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는 장치실(12)에서 확산되면서 속도가 저하된 상태로 가열원부·전원부 등을 통과하기 때문에, 발열부품은 그 냉각이 불충분하게 되고, 따라서 부품의 열화가 초래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자렌지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발열부품의 효과적인 냉각을 통하여 제품 수명의 향상을 도모토록 한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렌지를 부분 절개하여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전자렌지 11: 조리실
12: 장치실 13: 마그네트론
14: 고압 트랜스 15: 송풍기
16: 배기구 22: 분기덕트
23, 24, 33: 토출구 32: 노즐형 덕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장치실 내부에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등과 같은 발열부품 및 상기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함께 마련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품과 송풍기와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각각의 발열부품으로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출구를 지니는 분기덕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덕트는 적어도 마그네트론 및 고압 트랜스를 향하는 토출구를 각각 별도로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장치실 내부에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등과 같은 발열부품 및 상기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함께 마련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품과 송풍기와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각각의 발열부품으로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그 중앙 부근에서 최소의 유로 단면적을 지니고 또한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형 덕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를 제공함으로써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20)는, 종래의 전자렌지(10)와 같이, 그 장치실(12)의 내부에, 마그네트론(13)·고압 트랜스(14) 등의 발열부품과 송풍기(15)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15)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공기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실(11)과 장치실(12)의 방열 및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실(12), 조리실(11), 배기구(16) 순으로 유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15)를 통한 흡입공기가 발열부품에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출구를 지니는 분기덕트(22)가 송풍기(15)를 수용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분기덕트(22)는 철판 소재를 판금작업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분기덕트(22)를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성형하기 용이하므로 관로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분기덕트(22)에는 고정을 위한 플랜지가 일측 개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분기덕트(22)의 플랜지는 전자렌지(20)의 후면판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의 고정은, 송풍기(15)의 정비성을 고려하여 리벳보다는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덕트(22)는 적어도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를 향하는 각각의 토출구를 지닌다. 전자렌지(20)는 약한 조리 상태에서 180∼240W의 출력을 발생하고 강한 조리 상태에서 400∼600W의 출력을 발생한다. 기종에 따라서는 1kW 이상의 출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전자렌지(20)의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에서는 이러한 고출력에 비례하여 많은 열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호 23 및 24의 토출구는 각각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토출구가 많아지면 유속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수로 제한해야 하는데 가장 고온부인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에 흡입공기가 집중되도록 하고 다른 발열 부품은 그 주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23, 24의 토출구 유로 단면적은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의 발열량을 고려 결정한다. 송풍기(15)는 분기덕트(22)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하여 각 토출구까지의 관로저항을 비슷하게 유지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은 마그네트론(13)만을 사용하는 단일기능형 전자렌지에 대한 것이나 히터를 이용한 오븐·그릴 작용이 추가되는 복합기능형 전자렌지의 경우 고온 발열 부품의 구성 변화에 따라 토출구의 수 및 유로 단면적으로 증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분기덕트(22) 대신 덕트의 중앙에서 최소의 유로 단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된 노즐형 덕트(3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노즐형 덕트(32)의 제작 방법 및 플랜지를 이용한 고정 구조는 분기덕트(22)와 동일하다. 전자렌지가 소형화될수록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의 거리가 근접하므로 구조가 간단한 노즐형 덕트(32)가 실용적이다.
부호 33의 토출구는 마그네트론(13)과 고압 트랜스(14)를 동시에 향하는데, 송풍기(15)를 통한 흡입 공기가 중앙부를 지나면서 가속되어 열교환을 촉진시킨다. 이 때, 노즐형 덕트(32)의 중앙부 유로 단면적을 너무 축소하여 흡입 공기의 유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한편 분기덕트(22)나 노즐형 덕트(32)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전자렌지(20)는 관로저항의 증가가 불가피한데 조리실(11)에 소요되는 풍량이 부족해지는 경우 송풍기(15)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에 의하면,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등과 같은 전자렌지 내부의 발열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장치실 내부에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등과 같은 발열부품 및 상기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함께 마련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품과 송풍기와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각각의 발열부품으로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출구를 지니는 분기덕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덕트는 적어도 마그네트론과 고압 트랜스를 향하는 각각의 토출구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
KR1019970055083A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KR10029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83A KR100299830B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83A KR100299830B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66A KR19990033666A (ko) 1999-05-15
KR100299830B1 true KR100299830B1 (ko) 2001-12-28

Family

ID=3752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083A KR100299830B1 (ko) 1997-10-25 1997-10-25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8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66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637B2 (en) Cooling system for built-in microwave oven
US6541746B2 (en) Microwave oven with a convectional heating apparatus
KR100389441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US6541745B2 (en) Heater system for microwave oven
KR100756508B1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100299830B1 (ko) 전자렌지의공기흡입구조
EP1560464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060119448A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
KR100402608B1 (ko) 토스터부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방열장치
CN114515102B (zh) 烹饪设备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19990032048A (ko) 전자렌지의 공기흡입구조
KR100377740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9980017801U (ko) 전자렌지
KR200168387Y1 (ko) 전자렌지의 배기 배출구조
KR100621035B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배기구조
KR20010057092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20038403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30038151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20020037236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9990075750A (ko) 전자렌지의 흡입덕트
KR20010060685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히터 냉각장치
KR20000019647A (ko) 공조기기용 실내기
KR20010060670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