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759B1 -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 Google Patents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759B1
KR100298759B1 KR1019990014123A KR19990014123A KR100298759B1 KR 100298759 B1 KR100298759 B1 KR 100298759B1 KR 1019990014123 A KR1019990014123 A KR 1019990014123A KR 19990014123 A KR19990014123 A KR 19990014123A KR 100298759 B1 KR100298759 B1 KR 10029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ngle pole
power
unipolar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356A (ko
Inventor
박기권
김병준
조정순
Original Assignee
박기권
김병준
조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권, 김병준, 조정순 filed Critical 박기권
Priority to PCT/KR1999/000193 priority Critical patent/WO1999055284A2/en
Publication of KR1999008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또는 양극(+)중 하나의 극성을 선택하여 단극 만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조직의 적정 전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생체활동에 적절한 체내의 화학 변화를 유도하여 인체(생체)내부에서 전위 조성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발병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증진 시킴과 동시에 질병을 퇴치 할 수 있도록 한 단극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극출력치료기의 단극봉에 온열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단극작용에 의한 인체조직의 양성전위 또는 음성전위의 중화 효과와 온도 상승에 의한 조직세포의 이완 작용이 복합되어 질병의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회로부와, 펄스 발생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 신호를 단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 발생부와, 펄스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극만을 출력하는 단극 출력부와, 단극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극(-)또는 양극(+)인 단극 출력을 공급받아 인체 조직에 형성된 음성 전위 또는 양성 전위를 중화시켜 해소하는 단극봉과, 단극출력부에, 전원회로부에서 직류 전원을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에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제어하는 온열 발생 및 온도제어부를 부가설치하고 상기 단극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극(-) 또는 양극(+)을 공급받는 단극봉을 온도제어 장치가 부착된 온열 발생장치가 감싼 형상으로 조립되어 온열과 단극전기가 동시에 병증 부위에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Medicate Apparatus For Heating Type Single Pole Output Signal}
본 발명은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또는 양극(+)중 하나의 극성을 선택하여 단극만을 사용함으로써 인체 조직의 적정 전위를 유지 하도록 하여 생체활동에 적절한 체내의 화학 변화를 유도하여 인체(생체)내부에서 전위 조성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발병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증진 시킴과 동시에 질병을 퇴치 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온열을 이용하여 환부조직을 이완시킴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단극의 성질을 이용, 인체조직의 적정 전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생체 내부에서 전위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발병 요소를 제거하는 등 질병 치료에 복합효과를 주는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바와 같이 인체조직에서 염증이나 퇴화가 진행되면 기관의 활동이부진하게되어 건강을 해치거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한 조직의 염증이나 퇴화는 전위조성(電位組成)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나타나게 된다.
종래의 전기를 이용한 건강의 관리나 질병치료기(저주파 물리치료기, 중주파 물리치료기, 고주파 물리치료기 등)는 음극(-)과 양극(+)의 합선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진동을 인체조직에 전달 하거나 혹은 음극(-)과 양극(+)을 동시에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조직에서 합선작용이 일어나도록하여 그 자극으로 인한 물리적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조직에 형성된 전위의 불균형, 즉 조직의 염증이나 퇴화의 진행을 억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기 합선에 따른 충격이나 조직의 손상등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전기작용으로 발생시킨 열을 환부에 전달하여 경직된 조직을 이완시키거나 인체에 간접 또는 직접 통전시켜 환부를 자극하는 등 한가지 방법으로 병소의 변화를 유도하는 단순 자극 방법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기의 단극성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에서 전위 조성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발병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인간의 건강 증진 및 질병 퇴치에 기여할 수 있는 단극 출력 치료기를 제공코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인체조직에서 작용하는 온열 효과와 전기의 단극효과를 복합시켜 이러한 치료의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인간의 건강 증진 및 질병 퇴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열식 단극출력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상용교류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회로부와, 펄스 발생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 신호를 단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 발생부와, 상기 펄스 발생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극만을 출력하는 단극 출력부와, 상기 단극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극(-)또는 양극(+)인 단극 출력을 공급받아 인체 조직에 형성된 음성 전위 또는 양성 전위를 중화시켜 해소하는 단극봉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극출력부에, 전원회로부에서 직류 전원을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에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제어하는 온열 발생 및 온도제어부를 부가설치하고 상기 단극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극(-) 또는 양극(+)을 공급받는 단극봉을, 온도제어 장치가 부착된 온열 발생장치가 감싼 형상으로 조립되어 온열과 단극전기가 동시에 병증 부위에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가온식 단극출력 치료기의 외관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의 구동 회로도로서,
(가)는 전원부 회로 구성도.
(나)는 펄스 발생부 회로 구성도.
(다)는 단극 출력부 회로 구성도.
(라)는 온열발생 및 온도제어부 회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극 출력치료기의 단극봉 구성 예시도.
도 4 의 (가)는 본 발명의 단극봉에 의한 조직의 양성 전위가 제거되는 상태도.
(나)는 본 발명의 단극봉에 의한 조직의 음성 전위가 제거되는 상태도.
도 5 의 (가)는 본 발명의 가온식 단극봉 구성 예시도.
(나)는 (가)의 내부 배치 평면도.
(다)는 (가)의 사용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선 2 : 손잡이(절연체)
3 : 피부접촉부(신체) 4 : 피부
5 : 인체(생체)조직
10: 전원회로부 20: 펄스 발생부
30: 단극(單極)출력부
40 : 온열발생 및 온도제어부 41 :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단극 출력 치료기의 외관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IC전원입력단자, B는 110V/220V전원 선택 스위치(도 2의 SW1에 해당),
C는 전원 스위치(도 2의 SW2에 해당),
D는 단극 출력 선택스위치(도 2의 SW3에 해당),
E는 전압 조절 스위치(도 2의 VR1에 해당),
F는 주파수 조절 스위치(도 2의 VR2에 해당),
G는 단극 및 온열 발생 전원 출력 단자(도 2의 OUT2와 도 2 의 (라)의 Heater OUT에 해당)
H는 온도조절스위치(도 2 의 (라)의 VR42에 해당)
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2의 (가)는 본 발명에 의한 단극 출력 치료기의 전원부(10)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트랜스(T1)의 1차측에는 110V/220V전원 선택스위치(SW1)와 전원스위치(SW2)가 연결되고, 그의 2차측에는 브리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정전압IC(IC1) 및 트랜지스터(TR1), 전압조절용 가변저항(VR1)을 연결하여 직류전원(B+)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브리지 다이오드(BD2)를 통하여 레귤레이터(IC2)를 연결하여 직류전원(VCC)이 출력 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F1은 퓨우즈, C1∼C6은 콘덴서, R1∼R6은 저항을 나타낸다.
도 2의 (나)는 펄스발생부(20)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인버터(IN1∼IN3), 주파수 조정용 가변저항(VR2), 저항(R6, R7) 및 콘덴서(C7)의 상호 연결구성으로 되어져 있다.
도 2의 (다)는 단극 출력부(30)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펄스 발생부의 출력신호(OUT1)가 입력되는 단자(IN)에 다이오드(D1)를 거쳐 트랜지스터(TR2, TR3)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측에는 트랜스(T2)를 거쳐 단극 출력 선택 스위치(SW3)를 연결하도록 구성 되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R8∼R12는 저항, C8은 콘덴서, D4는 다이오드 이다.
도 2 의 (라)는 온열 발생 및 온도제어부(40)회로 구성을 나타낸것으로서,
서미스터로구성된 온도감지센서(SN), 온도조절용 가변저항(VR42), 기준 전압 조절용 가변저항(VR41), 비교 증폭기(OP1), 트랜지스터(TR41) 및 릴레이(RY)의 상호 연결 구성으로 되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R41∼ R50은 저항, C41∼C45는 콘덴서, IC3은 정전압 집적회로(IC), D41은 다이오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극봉(單極棒)의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선(1)과, 절연체인 손잡이(2)와, 도체인 피부접촉부(3)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 5 의 (가), (나)는 본 발명의 가온식 단극봉의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선(1)과, 절연체인 손잡이(2)를 에워싸는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41)와,상기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41) 근방에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SN)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2 는 케이스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의(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회로부(10)는 전원선택스위치(SW1)로서 선택된 110V 또는 220V 교류(AC)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SW2)를 온시키면 트래스(T1)의 2차측에는 소정 교류 전압이 유기되고, 이 유기전압은 각각 브리지 다이오드(BD1, BD2) 및 콘덴서(C1, C2)를 거쳐 정류 및 평활되어 정전압 IC(IC1)와 레귤레이터(IC2)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정전압 IC(IC1)와 레귤레이터(C2)를 거쳐 안정된 직류 전압(B+), (VCC)이 각 회로부에 공급된다.
제 2 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발생부(20)는 인버터(IN1∼IN3)와 저항(R7, R7)콘덴서(C7)에 의해 소정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가변저항(VR2)을 가변조절하여 펄스 발생 주파수가 조절된 고전압의 발진주파신호가 출력단(OUT1)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한 고전압 발진주파 신호는 도2의 (다)에 도시된 단극 출력부(30)의 입력단(IN)에 가해진다.
이 신호는 콘덴서(C8) 및 저항(R8∼R12)과 다이오드(D1)를 거쳐 파형 정형 된후 트랜지스터(TR2, TR3)를 통해 증폭되어 트랜스(T2)의 1차측에 가해지고, 상기 트랜스(T2)의 2차측에 유기된 음극(-)또는 양극(+)전압은 단극출력 선택스위치(SW3)의 조작에 의해 출력단(OUT2)을 통해 단극전압만이 출력된다.
이와같이 선택된 음극(-)또는 양극(+)전압은 도3에 도시된 단극봉에 전도된다.
이 경우, 도4의(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 조직(5)에 양성전위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단극봉에 음극(-)을 전도시켜 피부 접촉부(3)를 전자공여체로 만든다음 양성전위가 형성된 조직의 피부(4)에 상기한 단극봉의 피부 접촉부(3)를 접촉시키게 되면 전자가 피부접촉부(3)를 통해 피부(4)내부로 이동하게되므로 인체조직(5)에 형성된 양성전위가 중화된다.
한편 도 4의(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조직(5)에 음성전위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단극봉에 양극(+)을 전도시켜 피부 접촉부(3)를 전자 수용체로 만든다음 음성전위가 형성된 조직의 피부(4)에 상기한 단극봉의 피부 접촉부(3)를 접촉시키게 되면 전자가 피부(4)내부를 통해 피부 접촉부(3)로 이동하게 되므로 인체 조직(5)에 형성된 음성 전위가 중화된다.
한편 도 2 의 (가)에서 발생한 직류전원이 도선(1)을 통해 열 발생장치인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41)에 가해진다. 이때 온도감지센서(SN)에서 열이 발산하여센서(SN)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면 비교증폭기(OP1)가 변하는 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여 그의 출력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41)와 릴레이(RY)를 동작시키는 신호가 발생됨으로써 히터출력(Heater Out)을 ON/OFF하여 항상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도 2 의 (가)에서 발생한 직류전원이 도 2 의 (라)에 공급되면 도 5 의 (가)에 도시된 케이스체(42)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온열이 표면(피부 접속 부위)까지 전도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단극(활성전극)과 동시에 발생되는 온열을 도 5 의 (가)(나)에 도시된 가열식 히터 또는 적외선램프(41)를 내장한 케이스체(42)와 단극봉 피부접촉부(3)를 통해 피부(4)에 접촉하면 온열과 전극작용이 복합되어 인체조직(5)의 치료효과가 증대된다.
이 경우, 도 5 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증이 발생한 인체조직(5)이 온열에 의해 이완되는 동시에 전기전도가 왕성해지면서 선택된 극성에 따라 인체조직(5)의 양성전위 또는 음성전위가 빠르게 해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또는 양극(+)중 단극성 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단극출력 치료기로서 인체조직의 적정 전위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생체 활동에 적절한 체내 화학 변화를 유도하여 인간의 건강증진은 물론질병을 퇴치 할 수가 있고, 또한 종래에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함에 따른 전극의 합선에 의한 충격이나 조직의 손상등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극출력 치료기에 온열발생 및 온도제어장치를 부가설치한 가온식 단극출력치료기에 의해 병증으로 인하여 조직이 경직된 경우, 그 부위에서 온열과 단극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조직의 경직이 이완되면서 적정전위가 유지되는 치료의 복합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상용교류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회로부(10)와,
    펄스 발생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신호를 단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발생부(20)와,
    상기 펄스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극만을 출력하는 단극 출력부(30)와,
    상기 단극 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음극(-)또는 양극(+)인 단극 출력을 공급받아 인체 조직에 형성된 음성 전위또는 양성전위를 중화시켜 해소하는 단극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극 출력치료기.
  2.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 전원을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회로부(10)와,
    펄스 발생주파수를 조절하여 소정의 고전압 발진 주파신호를 단극 출력부에 입력시키는 펄스발생부(20)와,
    상기 펄스 발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스위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극만을 출력하는 단극 출력부(30)와,
    상기 단극 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음극(-)또는 양극(+)인 단극 출력을 공급받아 인체 조직에 형성된 음성 전위 또는 양성전위를 중화시켜 해소하는 단극봉과,
    상기 단극출력부에, 전원회로부에서 직류 전원을 히터 또는 적외선 램프에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제어하는 온열 발생 및 온도제어부를 부가설치하고 상기 단극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극(-) 또는 양극(+)을 공급받는 단극봉을, 온도제어 장치가 부착된 온열 발생장치가 감싼 형상으로 조립되어 온열과 단극전기가 동시에 병증 부위에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KR1019990014123A 1998-04-24 1999-04-21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KR10029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99/000193 WO1999055284A2 (en) 1998-04-24 1999-04-23 Unipolar electrotherapeu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14758 1998-04-24
KR1019980014758 1998-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356A KR19990083356A (ko) 1999-11-25
KR100298759B1 true KR100298759B1 (ko) 2001-09-22

Family

ID=3752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123A KR100298759B1 (ko) 1998-04-24 1999-04-21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70B1 (ko) * 2002-02-15 2005-04-20 조정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20170009077A (ko) 2015-07-15 2017-01-25 김병준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47B1 (ko) * 2000-04-18 2002-07-27 주락진 전위온열 치료기
KR100426630B1 (ko) * 2001-03-30 2004-04-08 주식회사 씨에이치씨 전위 치료기
KR20030065264A (ko) * 2002-01-29 2003-08-06 박기권 편차전압 출력 치료기
KR100505212B1 (ko) * 2002-11-29 2005-08-03 한학자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KR20030088622A (ko) * 2002-05-13 2003-11-20 박기권 복수단극 출력 치료기
KR100748487B1 (ko) * 2006-05-16 2007-08-10 장동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한 조직볼륨 축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05U (ko) * 1982-06-15 1984-11-30 다께요시 야마구찌 전기 자극기
KR920000335U (ko) * 1990-06-25 1992-01-27 이성환 종합 자장 치료기
KR930019233A (ko) * 1992-03-31 1993-10-18 다까노 야스아끼 온열 전기 치료기
KR940000387U (ko) * 1992-06-29 1994-01-03 김서곤 온열 전위 치료기
KR970049091U (ko) * 1996-01-23 1997-08-12 엄윤무 저주파 원적외선 찜질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05U (ko) * 1982-06-15 1984-11-30 다께요시 야마구찌 전기 자극기
KR920000335U (ko) * 1990-06-25 1992-01-27 이성환 종합 자장 치료기
KR930019233A (ko) * 1992-03-31 1993-10-18 다까노 야스아끼 온열 전기 치료기
KR940000387U (ko) * 1992-06-29 1994-01-03 김서곤 온열 전위 치료기
KR970049091U (ko) * 1996-01-23 1997-08-12 엄윤무 저주파 원적외선 찜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70B1 (ko) * 2002-02-15 2005-04-20 조정순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20170009077A (ko) 2015-07-15 2017-01-25 김병준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356A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4920A (zh) 具有快速开启时间的电流感测多输出电流刺激器
US20070038275A1 (en) High-frequency electrotherapy apparatus
EP0836514A2 (en) Electrotherapy device
KR100298759B1 (ko)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CN105744984B (zh) 电疗设备
KR20160143254A (ko) 다중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주파 열 치료 및 저주파 자극 치료 겸용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DE69836357D1 (de) Elektochirurgische Elektrode ein elektrisches Feld konzentrierend
KR100649935B1 (ko) 고주파 전기 발모기
JPH08332234A (ja) 低周波治療器
KR100505212B1 (ko)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KR102110033B1 (ko) 고주파 복합 치료기
JP2003325678A (ja) 電位治療装置
KR100483970B1 (ko)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US7363088B2 (en) Human-body potential controlling electrotherapeutic device
KR102122147B1 (ko)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공급 마사지 장치
KR200388350Y1 (ko) 고주파 의료기용 일렉트로드 홀더
JPH1119223A (ja) 尿失禁治療装置
KR20210155309A (ko) 건식 족욕기
KR102007954B1 (ko) Ret 및 cet 고주파 치료 기능을 구비한 전기 치료기
CN113271907A (zh) 美容仪及其控制方法
KR20040000102A (ko)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CN104394928A (zh) 电位治疗仪
KR20030088622A (ko) 복수단극 출력 치료기
WO1999055284A2 (en) Unipolar electrotherapeutic device
KR200274120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