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724B1 -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724B1
KR100298724B1 KR1019970069795A KR19970069795A KR100298724B1 KR 100298724 B1 KR100298724 B1 KR 100298724B1 KR 1019970069795 A KR1019970069795 A KR 1019970069795A KR 19970069795 A KR19970069795 A KR 19970069795A KR 100298724 B1 KR100298724 B1 KR 100298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working fluid
heat exchange
pressure gas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661A (ko
Inventor
권혁률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6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72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four way valves for controlling the flui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운행중 차량 실내의 공기를 난방 또는 냉방하여 쾌적한 운행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 난방시 외부 코일을 전후하여 작동유체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충분한 열량을 가지고 있는 전기자동차 모터 냉각수와 열 교환시켜 외부 코일에서 받아들이는 열 교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일정량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 압축기에 요구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고, 실내에서의 발생 열량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코일의 용량을 증가에 따른 차량 하중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운행중 차량 실내의 공기를 난방 또는 냉방하여 쾌적한 운행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는 4 방향 밸브를 통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여 난방 또는 냉방이 되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전기자동차 히터 펌프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압축기(1)와 4 방향 밸브(2), 내부 코일(3), 팽창 밸브(4), 외부 코일(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전기자동차 히터 펌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난방 모드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4 방향 밸브(2)에 의해 내부 코일(3)에 인가된다. 그러면, 내부 코일(3)에서 열 변환이 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액화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내부 코일(3)에서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는 팽창 밸브(4)를 통해 액체 냉매가 혼합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로 팽창되고, 팽창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는 외부 코일(5)를 통과하면서 열 변환을 통해 실외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기체 냉매(④)로 기화된 후, 4 방향 밸브(2)를 통해 압축기(1)에 인가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는 달리 차량의 냉방 모드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4 방향 밸브(2)에 의해 외부 코일(5)에 인가된다. 그러면, 외부 코일(5)에서 외부 공기와 열 변환이 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액화되어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가 된다.
그리고, 외부 코일(5)에서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는 팽창 밸브(4)를 통해 액체 냉매가 혼합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로 팽창되고, 팽창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는 내부 코일(3)을 통과하면서 열 변환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기체 냉매(④)로 기화된다.
그러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강하되어 차량의 실내가 냉방된다.
그리고, 내부 코일(3)에서 기화된 저압의 기체 냉매(④)는 4 방향 밸브(2)를 통해 압축기(1)에 인가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히터 펌프에서 난방 모드 상태에서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 외부 코일에 유입되는 기체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은 데 실제적으로 외기 온도도 낮아 온도차가 작으므로 외부 코일(증발기)에서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압축기에서 요구되는 동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실내로 보낼 수 있는 열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충분한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나 외부 코일(증발기)의 용량을 증가시켜야만 한다.
Figure 1019970069795_B1_M0001
수학식 1에서 COP 는 히터 펌프의 성능, QL 은 증발기(외부 코일) 열 변환율, W 는 압축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압축기나 외부 코일(증발기)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동력 소비나 차량 중량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또 차량 내의 설치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수록 히터 펌프의 성능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정량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 압축기에 요구되는 동력 증가나 차량의 하중 증가 없이 실내에서의 발생 열량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에서 난방 모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에서 냉방 모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히터 펌프에서 난방 모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전기자동차 히터 펌프에서 냉방 모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방시 외부 코일을 전후하여 작동유체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충분한 열량을 가지고 있는 전기자동차 모터 냉각수와 열 교환시켜 외부 코일에서 받아들이는 열 교환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는 압축기(10)와 4 방향 밸브(20), 내부 코일(30), 팽창 밸브(40), 외부 코일(50), 열 교환기(60), 바이패스 관(70)으로 이루어진다.
압축기(10)는 유입되는 저압의 기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다.
4 방향 밸브(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난방 또는 냉방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조절한다.
내부 코일(30)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난방 모드에서는 응축기로 동작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액화시키고, 냉방 모드에서는 증발기로 동작되어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화시킨다.
팽창 밸브(40)는 양방향 밸브로 이루어지며, 고압의 액체 냉매를 팽창시켜 액체가 혼합된 기체 냉매로 변화시킨다.
외부 코일(50)은 차량 외부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난방 모드에서는 증발기로 동작되어 저압의 액체 냉매를 기화시키고, 냉방 모드에서는 응축기로 동작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액화시킨다.
열 교환기(60)는 4 방향 밸브(20)와 외부 코일(50)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되며, 일측 관로상에 일방향 밸브인 체크 밸브(61)를 설치한 것으로, 난방 모드에서 전기자동차 모터 냉각수와 외부 코일(50)에서 유출되는 저압의 기체 냉매 사이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 코일(50)의 열 교환율을 보상하여 준다.
바이패스 관(70)은 열 교환기(60)와 체크 밸브(61)가 설치된 관로의 양측에 연결되며, 일측에 체크 밸브(61)와 반대 방향을 가진 체크 밸브(71)를 설치한 것으로, 냉방 모드에서 4 방향 밸브(20)를 통해 압축기(10)에서 인가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 열 교환기(60)를 통하지 않고 외부 코일(5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를 그 동작과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자동차의 운행중 사용자가 히터 펌프를 난방 모드로 선택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압축기(3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①)가 4 방향 밸브(20)를 통하여 내부 코일(30)로 유입된다. 그러면, 내부 코일(30)에서 열 변환이 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액화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내부 코일(30)에서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는 팽창 밸브(40)를 통해 액체 냉매가 혼합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로 팽창되고, 팽창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는 외부 코일(50)를 통과하면서 열 변환을 통해 실외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기체 냉매(④)로 기화된다.
그러나, 실외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외부 코일(50)에서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액체가 혼합된 형태의 기체 냉매(④)는 열 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과열된 전기자동차 모터 냉각수와 열 교환을 하여 고온의 저압 기체 냉매(④)로 기화된다. 이때, 바이패스 관(70)의 일측에는 체크 밸브(71)가 설치되어 있어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체 냉매(④)가 열 교환기(60)를 통하지 않고 압축기(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외부 코어(50)와 열 교환기(60)를 통해 충분히 열 교환된 고온의 저압 기체 냉매(④)는 4 방향 밸브(20)를 통해 압축기(10)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는 달리 전기자동차의 운행중 사용자가 차량을 냉방하기 위하여 히터 펌프를 냉방 모드로 선택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압축기(10)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4 방향 밸브(20)에 의해 외부 코일(50)에 인가된다.
이때,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는 열 교환기(60)의 일측 관로에 체크 밸브(61)에 의해 열 교환기(60)를 통하지 않고 바이패스 관(70)을 통해 외부 코일(50)에 유입된다. 그러면, 외부 코일(50)에서 외부 공기와 열 변환이 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①)가 액화되어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가 된다.
그리고, 외부 코일(50)에서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②)는 팽창 밸브(40)를 통해 액체 냉매가 혼합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로 팽창되고, 팽창된 저압의 기체 냉매(③)는 내부 코일(30)을 통과하면서 열 변환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압의 기체 냉매(④)로 기화된다.
그러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강하되어 차량의 실내가 냉방된다.
그리고, 내부 코일(30)에서 기화된 저압의 기체 냉매(④)는 4 방향 밸브(20)를 통해 압축기(10)에 인가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60)와 바이패스 관(70)의 설치 위치를 외부 코일(50)과 4 방향 밸브(20) 사이가 아닌 외부 코일(50)과 팽창 밸브(40) 사이에 설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기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난방을 할 경우 외부 코일(증발기)에서 충분히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냉매를 전기자동차 모터 냉각수로 열 교환을 시켜 외부 코일의 열 교환율을 보상하여 줌으로써 일정량의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 압축기에 요구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고, 실내에서의 발생 열량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코일의 용량을 증가에 따른 차량 하중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차량 내의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Claims (1)

  1. 저압의 기체 작동유체를 고온고압의 기체 작동유체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작동유체를 실내 유입 공기 또는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고온고압의 액체 작동유체로 응축시키고, 유입되는 저압의 기체 작동유체를 실내 유입공기 또는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을 통해 고온저압의 작동유체로 증발시키는 내부 코일 및 외부 코일과;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액체 작동유체를 저압의 액체-기체 상태의 작동유체로 변환하는 팽창 밸브와; 난방 또는 냉방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에서 작동유체의 유출 및 유입 방향을 변경하는 4 방향 밸브로 이루어져 전기자동차의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시키는 히터 펌프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일의 전후 관로상에 작동유체와 모터 냉각수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 교환 수단과;
    상기 열 교환 수단이 설치된 양측의 관로에 연결된 바이패스 수단과;
    상기 외부 코일을 통해 4 방향 밸브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열 교환 수단에 설치된 관로의 일측에 설치된 체크 밸브에 의해서 상기 열 교환 수단만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코일을 통해 팽창 밸브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바이패스 수단에 설치된 체크 밸브에 의해 상기 열 교환 수단을 통하지 않고 바이패스 수단으로만 통과하도록 하는 작동유체 흐름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히터 펌프.
KR1019970069795A 1997-12-17 1997-12-17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KR10029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95A KR100298724B1 (ko) 1997-12-17 1997-12-17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95A KR100298724B1 (ko) 1997-12-17 1997-12-17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661A KR19990050661A (ko) 1999-07-05
KR100298724B1 true KR100298724B1 (ko) 2001-11-30

Family

ID=3752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795A KR100298724B1 (ko) 1997-12-17 1997-12-17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7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464A1 (en) * 2020-06-15 2021-12-23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enhanced hybrid heat pump systems
US11421919B2 (en) 2019-02-01 2022-08-23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systems employing distributed transport properties to increas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US11581467B2 (en) 2019-02-01 2023-02-14 DTP Thermoelectrics Thermoelectric elements and devices with enhanced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s based on spatially varying distributed transport properties
KR20240050052A (ko) 2022-10-11 2024-04-1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히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507U (ja) * 1983-09-30 1985-04-23 弓場 一正 ヒ−トポンプ式カ−エアコ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507U (ja) * 1983-09-30 1985-04-23 弓場 一正 ヒ−トポンプ式カ−エアコン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1919B2 (en) 2019-02-01 2022-08-23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systems employing distributed transport properties to increas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US11581467B2 (en) 2019-02-01 2023-02-14 DTP Thermoelectrics Thermoelectric elements and devices with enhanced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s based on spatially varying distributed transport properties
US11903318B2 (en) 2019-02-01 2024-02-13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elements and devices with enhanced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s based on spatially varying distributed transport properties
WO2021257464A1 (en) * 2020-06-15 2021-12-23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enhanced hybrid heat pump systems
US11913687B2 (en) 2020-06-15 2024-02-27 DTP Thermoelectrics LLC Thermoelectric enhanced hybrid heat pump systems
KR20240050052A (ko) 2022-10-11 2024-04-1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66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5963A (en) Heating system
CN102844630B (zh) 空调热水供给复合系统
JP4643135B2 (ja) マルチ空気調和器
CN101776308B (zh) 一种节能空调装置
WO2013161011A1 (ja) 空調給湯システム
JPH11316061A (ja) エアコン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20040064455A (ko) 멀티공기조화기용 바이패스장치
CN112339526A (zh) 一种蓄热式卡车驻车空调系统
JP2006023073A (ja) 空気調和装置
KR100298724B1 (ko) 전기자동차의히터펌프
CN1086888A (zh) 空调器
CN209484880U (zh) 一种回温式热泵系统
CN102141321A (zh) 温控处理系统和方法
CN201363971Y (zh) 一种节能空调装置
KR100803145B1 (ko) 공기조화기
JP2008180435A (ja) 空気調和機
WO2021231619A1 (en) Switching flow water source heater/chiller
JP4635595B2 (ja) 熱交換システム
JP4761832B2 (ja) 二酸化炭素ヒートポンプ冷暖房システム
KR100441008B1 (ko) 냉난방 공기조화시스템
CN110822601A (zh) 一种多联供燃气热泵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H02178575A (ja) 冷暖給湯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CN219036903U (zh) 一种具有宽容量控制的热交及室外机
CN219283681U (zh) 一种空调和热水器一体机
CN213931199U (zh) 室外加热组件和多联机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