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509B1 -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509B1
KR100297509B1 KR1019990020134A KR19990020134A KR100297509B1 KR 100297509 B1 KR100297509 B1 KR 100297509B1 KR 1019990020134 A KR1019990020134 A KR 1019990020134A KR 19990020134 A KR19990020134 A KR 19990020134A KR 100297509 B1 KR100297509 B1 KR 10029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wireless
telephone
keypad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120A (ko
Inventor
이창우
권선덕
Original Assignee
정 담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담,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정 담
Priority to KR101999002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5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키보드에 이어셋의 충전장치 및 무선 송수신기를 내장시키고 키보드의 숫자키패드를 전화기용 키패드로 겸용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에 의하면,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가 구비된 무선이어셋을 구비하되, 본체에 숫자입력키패드를 구비한 키패드와, 키패드 중에서 숫자입력키패드를 전화용 키패드 겸용으로 이용하며, 무선이어셋이 착탈가능하도록 하며 무선이어셋을 충전시키는 충전부가 설치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에 무선이어셋의 착탈에 따라서 작동하는 훅스위치가 거치부와, 키보드의 내부에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품과 키보드 본래의 용도를 위한 각 구성품들을 구비하며, 각 케이블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끝단에서 각각 커넥터로 분리되는 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선이어셋을 걸이부를 이용하여 귀에 걸고 양 손을 자유롭게 쓰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통화가 무선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각종 케이블이 키보드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케이블의 엉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Computer keyboard includes wire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에 무선송수신기를 내장시키고 키보드의 숫자키패드를 전화기용 키패드로 공용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가 대량으로 보급되고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 환경이 날로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는데 있어 전화기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통상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컴퓨터의 주위에 전화기를 두고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전화통화를 해야 할 경우에는 수화기를 드는데 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를 하는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아주 다양한 형태의 전화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는 통신을 위해 컴퓨터에 설치된 모뎀(Modem)과 음향을 처리하는 사운드 카드와 헤드셋이라는 헤드폰 형태의 송수화기를 구비하여 전화 통화를 구현하는 방법도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모뎀을 제어하여전화 통화를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전화기의 형태를 매우 작게 만들고 이어셋 또는 헤드셋을 전화기에 접속하여 통화를 하는 미니 전화기까지 등장하였다.
상기와 같은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컴퓨터의 키보드 근처에 설치하고 사용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서 키보드(keyboard)와 마우스(mouse)의 케이블, 전화기의 전화선, 헤드셋 혹은 이어셋의 케이블들로 인하여 컴퓨터 주위는 산만해지고 케이블을 정리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는 등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컴퓨터용 키보드에 무선전화기의 무선송수신기와 무선 이어셋의 거치대를 내장하고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를 전화기의 키패드와 공용으로 하며 키보드의 케이블과 전화선을 일체로하여 선의 엉킴을 방지하는 한편 컴퓨터 작업시 전화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이어셋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이어셋 전원부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컴퓨터용 키보드 20:키패드
30:케이블 31:전화커넥터
32:키보드커넥터 33:전원커넥터
40:무선이어셋 41:서브안테나
42:서브송수신기 43:마이크
44:스피커 45:착신음발생부
46:서브제어부 48:축전지
49:걸이부 50:훅스위치
61메인안테나 62:메인송수신기
70:충전부 90:메인제어부
100:표시부 111:전화신호처리부
120:전환부 130:키보드출력부
가:거치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기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는, 숫자입력용 키패드를 구비하고 케이블로 컴퓨터에 접속되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에는 일측에 착탈가능하도록 무선이어셋이 구비되되, 상기 키보드에는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신호 및 음성을 처리하는 전화신호처리부와, 상기 전화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각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안테나를 포함하는 메인송수신기와, 상기 무선이어셋이 착탈되도록 일측에 설치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어 외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이어셋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무선이어셋의 상기 거치부로부터의 착탈에 따라서 동작하는 훅스위치와, 상기 훅스위치가 동작할 때 상기 숫자입력용 키패드를 전화번호 입력용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이어셋은, 상기 메인송수신기와 무선신호를 주고 받으며 안테나를 포함하는 서브송수신기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되는 축전지를 구비하고,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와 상기 무선이어셋의 어느 한쪽에 착신음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10)는, 본체에 키패드(20)가 구비되며, 키패드(20) 중에서 숫자입력키패드(22)가 위치한 상측에 무선이어셋(Ear set;40)이 착탈가능하도록 하며 무선이어셋(4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가 구비된다. 또한 무선이어셋(40)의 착탈에 따라서 작동하는 훅스위치(50)가 거치부(가)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키보드(10)의 내부에는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품과 키보드 본래의 용도를 위한 각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이어셋(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법과, 소형의 전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일례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거치부(가) 바닥면에 충전부(70)를 구비시켜 무선이어셋(40)에 내장된 축전지(48)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 케이블(30)에 전원케이블이 추가로 조립된다.
또, 소형의 전지를 무선이어셋(40)에 내장시켜 전원을 자체 공급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이어셋의 케이스 바깥쪽에 소형전지(40-2)를 내장하기 위한 전원접속단자부(40-3)가 구비되고, 그 전원접속단자부(40-3)에 삽입된 소형전지(40-2)를 고정시키기 위한 덮개부(40-1)가 슬라이드방식으로 구현된다.
이하, 무선이어셋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에 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키보드(10)에 설치되는 케이블(30)은 전화기용 케이블와, 키보드케이블와, 전원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케이블의 끝단에서 전화기용 커넥터(31), 키보드커넥터(32), 전원커넥터(33)가 각각 분리되는데, 전화기용 커넥터(31)는 컴퓨터에 설치된 모뎀의 전화단자에 접속되거나 외부 전화선에 접속되며, 키보드커넥터(32)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된 키보드커넥터 접속단과 접속된다. 그리고 전원커넥터(33)에는 직류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외부전원공급장치(80)(예를 들어 직류 어댑터)와 접속된다. 이때 키보드커넥터를 통하여 컴퓨터 본체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면 전원커넥터는 삭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10)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 지는데, 컴퓨터용 키보드부분과 전화기 부분 그리고 무선이어셋(40)을 충전시키는 충전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키보드의 상태, 즉 키보드의 일반적인 표시기능인 NumLock, CapsLock, ScrollLock와 전화사용상태를 나타내는 Tel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0)가 구비된다.
먼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90)에는 전술한 키패드(20)가 접속되는데, 키패드(20)는 표준 키보드 방식으로서 크게 문자입력키패드(21)와 숫자입력키패드(22)로 나뉘어지며 숫자입력키패드(22)에는 전화기의 다이얼링에 필요한 기능키등이 포함되는데, 각 부분의 작동에 따라서 메인제어부(90)는 표시부(100)를 제어하여 해당기능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메인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서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컴퓨터로 출력하는 키보드출력부(130) 혹은 후술하는 전화신호처리부(111)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환부(120)가 메인제어부(90)에 접속되어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전화사용시 음성신호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를 처리하는 전화신호처리부(111)가 메인제어부(90)에 접속되어 메인제어부(90)의 제어를 받는데 전화신호처리부(111)는 전화커넥터(31)를 통해 외부 가입자라인(112)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화신호처리부(111)에서 처리된 각 신호를 메인안테나(61)를 통해 무선이어셋(40)과 무선송수신을 하기 위한 메인송수신기(62)가 메인제어부(90)에 접속되어 제어를 받는다.
또한 전원커넥터(33)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 무선이어셋(40)에 내장된 축전지(48)를 충전시키는 충전부(70)가 메인제어부(90)에 접속되어 제어를 받는다.
한편 무선이어셋(40)은 키보드(10)의 거치부(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무선이어셋(40)이 사용자의 귀에 양호하게 걸릴 수 있도록 상측에 반원형의 걸이부(4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이어셋(40)에는, 메인송수신기(62)와 전화통화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브안테나(41)와 서브송수신기(42)를 내장하고 있는데, 서브송수신기(42)는 서브제어부(46)에 접속되어 서브제어부(46)의 제어를 받는다. 또한 서브제어부(46)에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43)가 접속되어 있으며, 통화시 메인송수신기(62)로부터 송신된 음성을 사용자에게 들려주기 위한 스피커(4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화 착신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착신음발생부(45)가 서브제어부(46)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착신음발생부(45)는 무선이어셋(40) 혹은 키보드(10)의 어느 한쪽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이어셋(40)이 키보드(10)의 거치부(가)에 거치되어 충전부(7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서브제어부(46)의 제어를 받는 축전지충전부(47)를 통해 충전되는 축전지(48)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축전지(48)에 의해 무선이어셋(40)은 작동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하기 위해 무선이어셋(40)을 거치부(가)로부터 분리시키게되면 훅스위치(50)의 눌림이 해제되는데 메인제어부(90)는 그것을 감지하여 전화신호처리부(111)를 제어하여 전화를 발신상태로 하며, 다이알톤을 발생시키고 전환부(120)를 제어하여 키패드(20)에 있는 숫자입력키패드(22)를 전화용 키패드로 전환시킨다. 즉, 전환부(120)는 메인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서 숫자입력키패드(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화신호처리부(111)로 출력되도록 신호를 전환시킨다. 이때 숫자입력키패드(22)를 제외한 나머지 키패드(21)의 신호는 정상적으로 키보드출력부(13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무선이어셋(40)의 걸이부(49)를 귀에 걸게 됨으로서 양 손이 자유롭게 된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키패드의 숫자입력키패드(22)를 조작하면 전환부(120)는 그 신호를 전화신호처리부(111)로 출력하고 전화신호처리부(111)는 그에 따른 DTMF톤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DTMF톤은 가입자라인(112)을 통해서도 송출되지만 메인송수신기(62)와 메인안테나(61)를 통해서 무선이어셋(40)으로도 송출된다.
무선이어셋(40)의 서브안테나(41)는 메인안테나(61)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서브송수신기(42)로 입력하는데, 그에 따라 서브송수신기(42)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서브제어부(46)는 그 복조된 신호를 스피커(44)로 출력하면 스피커(44)를 통해서 DTMF톤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스피커(44)로 출력되는 DTMF톤을 인지하면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을 하고 통화를 한다.
사용자는 무선이어셋(40)을 걸이부(49)를 이용하여 귀에 걸었으므로 양 손을 자유롭게 쓰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 특히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문서작성기를 사용할 때에는 그 편리함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을 때 전화가 오면(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화가 올 때), 메인제어부(90)는 메인송수신기(62)를 제어하여 전화착신신호를 메인안테나(61)를 통해 무선이어셋(40)으로 송출한다.
메인안테나(61)에서 송출된 전화착신신호는 서브안테나(41)를 통하여 서브송수신기(42)로 수신되는데, 서브제어부(46)는 서브송수신기(42)로 전화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음발생부(45)를 제어하여 착신음, 예를 멜로디 또는 벨음을 발생시킨다.
착신음발생부(45)에서 착신음이 발생되면 그 착신음을 듣고서 무선이어셋(40)을 거치부(가)로부터 분리시키고 무선이어셋(40)의 걸이부(49)를 귀에 건다. 사용자가 무선이어셋(40)을 거치부(가)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무선이어셋(40)에 의한 훅스위치(50)의 눌림이 해제되는데 메인제어부(90)는 그것을 감지하여 착신음발생상태를 통화상태로 전환시키며, 사용자는 통화를 한다.
사용자가 통화를 마치고 무선이어셋(40)을 거치부(가)에 내려놓으면 훅스위치(50)는 놀려지게 되는데, 메인제어부(90)는 그것에 따라서 전화신호처리부(111)를 제어하여 통화를 종료하며, 전환부(120)를 제어하여 숫자입력키패드(22)의 신호가 키보드출력부(130)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면 숫자입력키패드(22)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숫자입력키패드로 동작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가 부설된컴퓨터용 키보드에 의하면,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가 구비된 무선이어셋을 구비하되, 본체에 숫자입력키패드를 구비한 키패드와, 키패드 중에서 숫자입력키패드를 전화용 키패드 겸용으로 이용하며, 무선이어셋이 착탈가능하도록 하며 무선이어셋을 충전시키는 충전부가 설치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에 무선이어셋의 착탈에 따라서 작동하는 훅스위치가 거치부와, 키보드의 내부에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품과 키보드 본래의 용도를 위한 각 구성품들을 구비하며, 외부 전화선과 접속되는 전화케이블과 충전부로 공급되는 외부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케이블과 키보드의 신호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키보드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에서 각각 커넥터로 분리되는 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선이어셋을 걸이부를 이용하여 귀에 걸고 양 손을 자유롭게 쓰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통화가 무선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각종 케이블이 키보드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케이블의 엉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숫자입력용 키패드를 구비하고 케이블로 컴퓨터에 접속되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에는 일측에 착탈가능하도록 무선이어셋이 구비되되,
    상기 키보드에는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화신호 및 음성을 처리하는 전화신호처리부와, 상기 전화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각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안테나를 포함하는 메인송수신기와, 상기 무선이어셋이 착탈되도록 일측에 설치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어 외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이어셋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무선이어셋의 상기 거치부로부터의 착탈에 따라서 동작하는 훅스위치와, 상기 훅스위치가 동작할 때 상기 숫자입력용 키패드를 전화번호 입력용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이어셋은, 상기 메인송수신기와 무선신호를 주고 받으며 안테나를 포함하는 서브송수신기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되는 축전지를 구비하고,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와 상기 무선이어셋의 어느 한쪽에 착신음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에는, 일측에 키보드사용과 전화사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케이블은, 외부 전화선과 접속되는 전화케이블과 상기 충전부로 공급되는 외부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케이블과 상기 키보드의 신호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키보드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에서 각각 커넥터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이어셋은,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반원형의 걸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이어셋은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됨이 없이 전지에 의해 자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지를 내장하며 상기 무선이어셋의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전원접속단자부와,
    상기 전원접속단자부에 삽입되어진 전지를 고정 장착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방식에 의해 상기 전원접속단자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KR1019990020134A 1999-06-02 1999-06-02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KR10029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134A KR100297509B1 (ko) 1999-06-02 1999-06-02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134A KR100297509B1 (ko) 1999-06-02 1999-06-02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120A KR20010001120A (ko) 2001-01-05
KR100297509B1 true KR100297509B1 (ko) 2001-09-29

Family

ID=1958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134A KR100297509B1 (ko) 1999-06-02 1999-06-02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948B1 (ko) * 2002-09-30 2005-02-07 고준호 휴대폰 충전이 가능한 컴퓨터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12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3590B2 (en) Headset base with display and communications base
US8838029B2 (en)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NO305630B1 (no) HÕndfrigj°rings-modul
WO2007120425A2 (en) Programmable wireless headset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WO2000062431A1 (ko) Mobile telephone with wireless earphone/microphone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KR100297509B1 (ko) 무선 전화기가 부설된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KR19980069507A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JPH1174951A (ja) 無線式携帯電話機に接続する子機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JPH041803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WO1999013625A1 (fr) Dispositif auxiliaire connecte a un telephone portable sans fil
WO2000048382A1 (en) Computer phone
JPH08251641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556881B1 (ko) 리모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용 리모콘 장치
KR200313355Y1 (ko)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JPH0321204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0143813B1 (ko) 통화가 가능한 입력장치
JP200408034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話装置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KR200165423Y1 (ko) 키보드용 전화기
WO2001006668A1 (en) Detachable wireless earphone/micro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