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89B1 - 무선단말기용안테나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용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89B1
KR100296489B1 KR1019980062380A KR19980062380A KR100296489B1 KR 100296489 B1 KR100296489 B1 KR 100296489B1 KR 1019980062380 A KR1019980062380 A KR 1019980062380A KR 19980062380 A KR19980062380 A KR 19980062380A KR 100296489 B1 KR100296489 B1 KR 100296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axial cable
dielectric
outer conducto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5786A (ko
Inventor
최현기
박필준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6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4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유전율이 높은 유전체를 이용하여 길이가 짧고 고이득을 제공하도록 한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 부분이 비어 있고 일정 길이를 가지는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 사이에 제1비유전율을 가지는 내부 유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도체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고 있는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 사이에 제3비유전율을 가지는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의 양단에 제2비유전율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 내부 유전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유전율이 높은 유전체를 이용하여 길이가 짧고 고이득을 제공하도록 한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하는 헬리컬 안테나(11)와, 단말기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가 사용할 때에 밖으로 뽑아 사용하는 λ/4의 모노폴 안테나(1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뽑아서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와 동시에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와 모노폴 안테나(12)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지만 안테나 패턴에 많은 영향을 주며, 또한 해당 모노폴 안테나(12)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해당 모노폴 안테나(12)가 단말기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단말기 내부에 별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의 동작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와 λ/4의 모노폴 안테나(12)는 모두 전류 급전으로 전류가 안테나에 유기되면 해당 전류에 의하여 전자파가 방사되도록 해 준다.
만약,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단말기 내부에서 뽑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헬리컬 안테나(11) 단독으로 사용되어지고 해당 공진 주파수는 수신 측에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단말기 내부에서 뽑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와 모노폴 안테나(12)가 동시에 사용되어지고 해당 공진 주파수는 송신 측에 맞추어지게 된다.
또한, 해당 헬리컬 안테나(11)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해당 모노폴 안테나(12)와 동시에 사용할 때가 안테나의 이득이 높아지므로, 전계 강도가 낮은 장소에서는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뽑아 사용하여야 양호한 품질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는 단말기의 내부에 λ/4의 모노폴 안테나(12)가 내장되어 있다가 밖으로 뽑아 사용하고 헬리컬 안테나(11)는 단말기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되어진다.
그런데,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뽑아서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와 동시에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나, 이때 전체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지고 외부에 도출되어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해당 헬리컬 안테나(11)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기 상단의 외부 일부분이 돌출되어야 하고 해당 모노폴 안테나(12)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기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소형화로 주머니 속에 휴대할 경우에 해당 단말기가 옆으로 눕혀져 단말기를 급히 꺼내어 사용할 시에는 해당 헬리컬 안테나(11)에 걸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그리고,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화로 가는 추세에 λ/4의 모노폴 안테나(12)를 내장할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해당 모노폴 안테나(12)의 길이가 짧아져야 하므로, 이로 인한 이득 감소로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유전율이 높은 유전체를 이용하여 고이득을 실현하고 기존의 헬리컬 또는 모노폴 안테나에 비해 길이를 혁신적으로 감소 시킴으로써,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광대역 특성을 구비하여 송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안정적인 주파수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 부착된 모노폴 안테나와 헬리컬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기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3에 있어 안테나의 특성을 주파수 대 VSWR로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도 3에 있어 안테나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있어 파라메터의 예시 값에 따른 안테나의 VSWR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도 3에 있어 파라메터의 예시 값에 따른 안테나의 이득 패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원통형 구조물의 외부 도체
22 : 원통 구조물의 내부 도체
23 : 원통 구조물의 내부 유전체
24 :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
25 :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26 : 동축 케이블의 내부 유전체
27 :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중심 부분이 비어 있고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 사이에 있는 제1비유전율을 가지는 내부 유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고 있는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 사이의 일부 영역에 있는 제2비유전율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 내부 유전체를 포함하는데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유전체는 상단면을 개방시켜 두고 하단면을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동일한 금속으로 폐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유전체는 하단면을 일정 간격으로 단말기 상단면과 이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는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물의 외부 도체(21)와, 원통 구조물의 내부 도체(22)와, 제1비유전율(εr1)을 가지는 원통 구조물의 내부 유전체(23)와,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24)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25)와, 제2비유전율(εr2)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유전체(26)와, 정합구조물 길이(L2)와 제3비유전율(εr3)을 가지는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2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G'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 안테나와 단말기의 몸체가 접속하는 접지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는 원통 구조물 길이(L1)를 가지며, 상기 외부 도체(21)는 외부도체반지름(b)을 가지고 상기 내부 도체(22)는 내부도체반지름(a)을 가지며,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는 단말기의 접지면(G)에서 일정한 간격(d)으로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가 원통형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다른 형태로도 적용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 사이에 높은 제1비유전율(εr1)을 가지는 원통 구조물의 내부 유전체(23)를 채워 놓고 상기 내부 유전체(23)의 윗면은 개방된 구조로 하고 아랫면은 상기 외부 도체(21)와 동일한 금속으로 완전히 막는다.
그리고, 상기 급전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25)는 단말기의 접지면(G)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도체반지름(c)을 가지며, 상기 급전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24)와 외부 도체(25) 사이에 정합구조물 길이(L2)와 제3비유전율(εr3)을 가지는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27)를 삽입시켜 안테나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저항은 약 50(Ω)으로 하지만 높은 제2비유전율(εr2)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유전체(26) 사이에 상기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27)를 삽입시켜 사용하여 급전선의 길이를 단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의 동작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테나 길이는 외부 도체(21) 또는 내부 도체(22)의 원통 구조물 길이(L1)와 이격 간격(d)을 합한 길이인데, 해당 안테나를 위에서 바라볼 때에 내부가 단락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입력 저항이 무한대(∞)가 되도록 'λg/4'로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 사이에 제1비유전율(εr1)을 가지는 내부 유전체(23)로 채워져 있는 원통 구조물에 있어서, 해당 전파 상수(β)는 'ω(εr1×ε0×μ0)1/2'로 나타내고, 해당 관내 파장(λg)은 '3×108×[1/{2πf(εr1)1/2}]'로 나타낸다.
따라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식으로부터 상기 외부 도체(21) 또는 내부 도체(22)의 원통 구조물 길이(L1)는 상기 제1비유전율(εr1)에 반비례하게 된다.
β×L1= λg/4
또한, 상기 내부 유전체(23)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도체(21)의 반지름을 'b'라고 하고 상기 내부 도체(22)의 반지름을 'a'라고 하면, 상기 외부 도체(21)와 내부 도체(22) 사이에 제1비유전율(εr1)을 가지는 내부 유전체(23)로 채워져 있는 원통 구조물의 저항(Z0)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되어진다.
Z0= {60/(εr1)1/2}×ln(b/a)
즉, 상기 내부 유전체(23)의 제1비유전율(εr1)을 변화시킴으로써, 안테나의 길이와 내부 저항의 변화를 통해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비유전율(εr1)이 높은 내부 유전체(23)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λ/4의 모노폴 안테나의 길이에 1/3 또는 1/4 이하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안테나의 접지면(G)과 상기 원통 구조물 간의 이격 간격(d)은 안테나의 이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해당 이격 간격(d)이 길게 되면 안테나의 이득이 작아지게 되며 반대로 해당 이격 간격(d)이 짧아지면 안테나의 이득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해당 이격 간격(d)은 원통형 구조물과 동축 케이블의 저항 불균일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관계식들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을 살펴보면, 주파수 대역이 매우 넓은 PCS 대역에서도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가 1.5 이하를 만족시키면서 안테나의 길이는 기존의 모노폴 안테나의 길이보다 1/3 정도가 더 작아진다.
본 발명의 안테나 특성은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PCS 주파수 대역에서 VSWR이 1.5 이하를 만족하여 안테나의 이득은 상기 이격 간격(d)의 길이의 변화에 의해 원하는 대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 Z 평면상에서의 안테나 이득 패턴은 기존의 모노폴 안테나와 매우 유사하나 이득을 2.81(dB)로 기존의 모노폴 안테나보다 조금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원통 구조물 길이(L1)가 3(mm)이고 상기 이격 간격(d)이 15(mm)이고 상기 외부도체반지름(b)이 5(mm)이고 상기 외부도체반지름(c)이 1.65(mm)이고 상기 내부도체반지름(a)이 0.45(mm)이고 상기 제1비유전율(εr1)이 20이고 상기 제2비유전율(εr2)이 2.4이고 상기 제3비유전율(εr3)이 12인 경우, 안테나의 주파수 대 VSWR 특성을 나타내면 도 6과 같이 1.75 ~ 1.87(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VSWR이 1.5 이하이며, 안테나의 이득 패턴을 나타내면 도 7과 같이 최대 이득 2.5(dB)를 가진다.
또한,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급전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24)의 반지름(a)과 급전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25)의 반지름(c)의 비인 'c/a'가 매우 높게 설정하고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저항은 50(Ω)으로 유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c/a'의 비가 커지게 되면 동축 케이블의 입력 저항식인 상기 수학식 2, 즉 'Z0= {60/(εr2)1/2}×ln(b/a)'에 의해 제2비유전율(εr2)이 매우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동축 케이블의 내부 유전체(26)가 매우 높은 제2비유전율(εr2)을 가지게 되면 안테나 내부로 들어가는 급전 동축 케이블의 길이와 정합 회로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를 사용하여 종래의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보다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안테나의 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으며, 해당 유전체를 금속으로 둘러싸고 있어 파손의 위험이 없고 단말기와의 이격 간격을 두어 고이득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소형화와 사용자에게 휴대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좋은 질의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중심 부분이 비어 있고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 사이에 있는 제1비유전율을 가지는 내부 유전체와,
    상기 원통 구조물 내부 도체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고 있는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 사이의 일부 영역에 있는 제 3비유전율을 가지는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 유전체기 위치하지 않은 상기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 사이의 영역에 있는 제2비유전율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 내부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전체는 상단면을 개방시켜 두고 하단면을 상기 원통 구조물 외부 도체와 동일한 금속으로 폐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전체는 하단면을 일정 간격으로 단말기 상단면과 이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용 안테나.
KR1019980062380A 1998-12-30 1998-12-30 무선단말기용안테나 KR100296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380A KR100296489B1 (ko) 1998-12-30 1998-12-30 무선단말기용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380A KR100296489B1 (ko) 1998-12-30 1998-12-30 무선단말기용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786A KR20000045786A (ko) 2000-07-25
KR100296489B1 true KR100296489B1 (ko) 2001-10-26

Family

ID=1956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380A KR100296489B1 (ko) 1998-12-30 1998-12-30 무선단말기용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4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786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440B1 (en) Dual band antenna for radio terminal
KR100756810B1 (ko) 슬롯이 형성된 실린더형 안테나
US4543581A (en) Antenna arrangement for personal radio transceivers
KR100523092B1 (ko) 200 MHz를 초과하는 주파수대에 적합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CN1042877C (zh) 外加的天线部件
KR100414664B1 (ko) 휴대단말기
RU2183372C2 (ru) Двухдиапазонная антенна
US6618023B2 (en) Chip antenna
JPH06216630A (ja) 伸縮式ホイップアンテナ
RU2128386C1 (ru) Двух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антенна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радиосвязи
US6211829B1 (en) High-efficient compact antenna means for a personal telephone with a small receiving depth
GB2326531A (en) Capacitive coupling for combined helical and whip antenna
CA2245882C (en) Antenna for frequencies in excess of 200 mhz
US6008765A (en) Retractable top load antenna
KR100296489B1 (ko) 무선단말기용안테나
US6300913B1 (en) Antenna
KR100644076B1 (ko) 듀얼밴드 안테나
KR200228002Y1 (ko) 광대역 슬리브 안테나
KR930008364Y1 (ko) 공진기 내장 안테나
EP0900455B1 (en) Antenna device
KR100449851B1 (ko) 광대역 단축형 안테나 엘리먼트 및 그를 이용한 안테나
JP2000151245A (ja) 携帯無線機およびアンテナ装置
KR20000044406A (ko)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JPH07106842A (ja) アンテナ装置
JPH05121921A (ja) 携帯用小型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