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242B1 -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242B1
KR100295242B1 KR1019970046479A KR19970046479A KR100295242B1 KR 100295242 B1 KR100295242 B1 KR 100295242B1 KR 1019970046479 A KR1019970046479 A KR 1019970046479A KR 19970046479 A KR19970046479 A KR 19970046479A KR 100295242 B1 KR100295242 B1 KR 10029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vehicle
controller
ground
re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039A (ko
Inventor
김순구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1997004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2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내의 각종 전자장치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치의 저항값을 갖는 소정갯수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에 제공받는 소정의 양전압을 다른 일단을 통해 접지로 도통시키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에 각각 일대 일로 매칭되어 온동작시 해당 노드에 걸리는 전위를 접지전위로 도통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중 특정 노드에 걸리는 전압을 입력받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중 대응하는 스펙에 따른 운영기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시스템을 운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를 제공하면,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던 차량의 생산시 매순간 또는 매차량마다 각각 다른 기준 데이터를 갖는 마이컴을 설치시켜야 함으로써, 출하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Description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내의 각종 전자장치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제어의 기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ROM의 활용 및 다각화된 차량의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내의 각종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구성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부(1)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예를들어, 엔진제어, 정속 주행 장치, 브레이크 계통, 변속기 제어)를 위한 운영프로그램인 메인 프로그램(2A)과 제어동작을 위한 구동기준 데이터(2B)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A, 2B)와, 차량의 정상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자장치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 및 상기 센서부(1)로부터 입력되는 현재의 차량의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메모리(2A, 2B)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프로그램(2A)의 운영순서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각종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성중 센서부(1)를 제외한 구성 즉, 메모리(2A, 2B)와 인터페이스부(3) 및 제어부(4)는 통상적으로 68HC11 계열의 원칩형 마이컴으로 이루어지거나 주문자 생산 방식의 마스킹(masking ) 마이컴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장치중 메모리(2A, 2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는 대체적으로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어드레스 '0000'번지에서 어드레스 '8000'번지까지는 운영상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영역과 메인 프로그램(2A)이 운영되는 동안 발생되는 스택포인터등을 저장하는 영역등이 매핑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8000'번지에서 어드레스 '9000'번지까지는 차량의 운영상 필요한 기준데이터 예를들면, 엔진 구동시 절대적으로 필요한 온탄가(Octane value)의 기준치 또는 그외의 각종 제어에 따른 기준치가 저장된다.
이외에, 어드레스 '9000'번지에서 어드레스 'FFC0'번지까지는 차량의 운영을 위한 메인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나머지 어드레스에는 인터럽트 발생시를 위한 벡터값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2A, 2B)는 ROM으로 구성되게 되는데, 대부분의 데이터는 동일 차종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나 상기 어드레스 '8000'번지에서 어드레스 '9000'번지까지에 매핑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들은 차량의 출고시점과 차량의 옵션상태 및 판매대상 국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즉, 동일 차량이라 하여도 출고시점이 빠른 차량보다는 출고시점이 늦은 차량의 기준 데이터가 보다 최적의 운영상태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변속기의 종류에도 영향을 받아 각각 다르게 설정된다.
더욱이, 수출 대상인 차량의 경우 해당 국가의 각종 규약 또는 환경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각각 다르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생산 시점에서는 동일 차종이라 하더라도 매 차량마다 각각 다른 마이컴을 부가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출하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또한, 임의의 차량에서 상기 마이컴이 손상된 경우 동일 차량의 마이컴을 설치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때 상기 교환된 마이컴이 저장하고 있는 각종 사양별 기준 데이터가 종전의 기준 데이터와 다른 경우 수리를 의뢰한 차량의 제어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해당 차량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제어의 기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ROM의 활용 및 다각화된 차량의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각종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매핑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스펙 사양 및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따른 전위 변동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치의 저항값을 갖는 소정갯수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에 제공받는 소정의 양전압을 다른 일단을 통해 접지로 도통시키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에 각각 일대 일로 매칭되어 온동작시 해당 노드에 걸리는 전위를 접지전위로 도통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중 특정 노드에 걸리는 전압을 입력받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중 대응하는 스펙에 따른 운영기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시스템을 운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어부에 제공되는 전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스펙 설정을 위한 전위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 영역을 스펙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소규모의 데이터 영역을 다수개 구비하고 메인 프로그램 영역을 하나 구비시키도록 메모리 영역을 매핑하게 된다고 가정하고, 스위치를 이용하여 메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상태에서 기준 데이터로 활용하여야 하는 데이터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방법을 적용한 제어 장치의 구성 예시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외부 스위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소정의 양전압(5V)을 일단에 입력받아 타단으로 출력하는 제 1 저항(R1)과, 상기 제 1 저항(R1)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단에 입력받아 타단으로 출력하는 제 2 저항(R2)과, 상기 제 2 저항(R2)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단에 입력받아 타단으로 출력하는 제 3 저항(R3)과, 상기 제 3 저항(R3)의 타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단에 입력받아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접지로 도통시키는 제 4 저항(R4)과, 상기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접점(P1)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온동작시 상기 제 1 연결접점(P1)의 전위를 접지 전위로 만드는 제 3 스위치(S3)와, 상기 제 2 저항(R2)과 제 3 저항(R3)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접점(P2)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온동작시 상기 제 2 연결접점(P2)의 전위를 접지 전위로 만드는 제 2 스위치(S2)와, 상기 제 3 저항(R3)과 제 4 저항(R4)을 연결하는 제 3 연결접점(P3)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온동작시 상기 제 3 연결접점(P3)의 전위를 접지 전위로 만드는 제 1 스위치(S1)과, 상기 제 1 연결접점(P1)에 걸리는 전위를 입력받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중 대응하는 스펙에 따른 운영기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시스템을 운영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 1 연결접점(P1)에 걸리는 전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 1 연결접점(P1)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기준 데이터가 분류되는 형태를 옥탄가를 예로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특정차종에 사용되는 옥탄가가 다음과 같이 87, 90, 92, 94로 구분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00)내의 메모리 영역중 제 1 스펙 데이터 영역은 옥탄가가 87로 세팅되어 있으며, 제 2 스펙 데이터 영역로 도시된 영역은 옥탄가가 90로 세팅되어 있는등 각각 상술한 바와같이 서로 다른 기준 데이터가 매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따라, 차량의 출고시 검사자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기준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 1∼3 스위치(S1∼S3)를 온오프시켜 제 1 연결접점(P1)에 걸리는 전위의 크기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 1∼3 스위치(S1∼S3)를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 1 연결접점(P1)에 걸리는 전위의 상태를 나타내면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데, 첨부한 도 4에 나타나 있는 스펙은 ECU가 아니라 ATC의 경우 설정된 스펙에 대한 예시이다.
따라서, 추후 제어부(100)는 운전자가 점화키를 이용하여 시동이 걸리는 순간에 상기 제 1 연결접점(P1)에 걸리는 전위의 상태를 입력받아 그 전압의 상태를 인식하여 그 전압값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을 억세스하여 운영 프로그램에 초기값으로 전달하고, 상기 운영 프로그램은 그 데이터를 기준으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인 프로그램의 운영 체계에 따라 자신이 수행하여야 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면,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던 차량의 생산시 매순간 또는 매차량마다 각각 다른 기준 데이터를 갖는 마이컴을 설치시켜야 함으로써, 출하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Claims (2)

  1. 소정치의 저항값을 갖는 소정갯수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에 제공받는 소정의 양전압을 다른 일단을 통해 접지로 도통시키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에 각각 일대 일로 매칭되어 온동작시 해당 노드에 걸리는 전위를 접지전위로 도통시키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저항부를 구성하는 각 저항들의 연결 노드중 특정 노드에 걸리는 전압을 입력받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중 대응하는 스펙에 따른 운영기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해당 시스템을 운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공되는 전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스펙 설정을 위한 전위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KR1019970046479A 1997-09-10 1997-09-10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KR10029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79A KR100295242B1 (ko) 1997-09-10 1997-09-10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79A KR100295242B1 (ko) 1997-09-10 1997-09-10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39A KR19990025039A (ko) 1999-04-06
KR100295242B1 true KR100295242B1 (ko) 2001-07-12

Family

ID=3752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479A KR100295242B1 (ko) 1997-09-10 1997-09-10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2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39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3143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data and power transmission
US4817040A (en)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KR980700198A (ko) 차량내에 설치가능한 기능 모듈용 회로장치(Circuitry for Function Modules Which can be Fitted in a Motor Vehicle)
KR860006751A (ko) 자동차내 집약 배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682294A (en) Electric energy distributing devices comprising microprocessors
US4720810A (en) Electronic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outputs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tate of a plurality of inputs
JPH1153294A (ja) アドレス指定装置およびアドレス指定方法
GB2213608A (en) Fault diagnosis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295242B1 (ko)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장치
KR900006286B1 (ko) 시이퀀스 제어기의 프로세스 입출력장치
CN1175339C (zh) 利用内部和外部存储器
JP3334953B2 (ja) 自動車用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ユニット
CA2254525A1 (en) Bus monitoring system
JP7348232B2 (ja) 入出力インタフェースユニット
KR19980075066A (ko)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JP2588831Y2 (ja) 車両用負荷制御装置
KR19980061863U (ko) 데이터 업그레이 단자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0207328B1 (ko) 원격조정기 및 원격조정기의 옵션체킹방법
SU1377841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 резервированием
KR100444044B1 (ko) 차량의 연료 레벨 검출 제어방법
JPH06266537A (ja) 制御装置
JPH03190089A (ja) 遠隔負荷制御システム
KR100365234B1 (ko) 경고등 구동 시스템
KR19980075067A (ko) 차량제어의 운영 기준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KR970022683A (ko) 입-출력 인터페이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