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191B1 -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 Google Patents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191B1
KR100294191B1 KR1019980040963A KR19980040963A KR100294191B1 KR 100294191 B1 KR100294191 B1 KR 100294191B1 KR 1019980040963 A KR1019980040963 A KR 1019980040963A KR 19980040963 A KR19980040963 A KR 19980040963A KR 100294191 B1 KR100294191 B1 KR 10029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hermistor
resistance value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718A (ko
Inventor
강남철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101998004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1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저항값이 가변되는 써미스터 및 상기 써미스터 일측에 연결되고 그 저항값이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제어부에 적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가변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저항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봄/가을, 여름 및 겨울철과 같이 다양한 외기온도변화의 영향에 의하여 고내에 저장된 김치가 동결되거나 또는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과소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자김치독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
본 발명은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김치독은 우리의 고유 음식인 김치만을 전용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 냉장고와 유사한 압축기로 동작되는 냉동사이클장치 및 가열수단으로 히터 등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이용하여 고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므로, 김치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장기간 저장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원하는 숙성정도로 적정하게 익힐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김치독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전자김치독의 온도감지회로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도면부호 10은 전원부, 20은 키입력부, 30은 표시부, 40은 제어부이다. 전원부(10)는 제어부(40)에 소정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키입력부(2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의 키를 입력한다. 제어부(40)는 상기 키입력부(20)의 입력에 따라 당해 기능을 수행하도록 후술할 히터가열부(60) 및 압축기구동부(7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 기능에 따른 표시신호를 출력하고, 표시부(30)는 상기 제어부(40)의 표시신호에 따라 당해 기능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50은 고내온도감지부, 60은 히터가열부, 70은 압축기구동부이다. 고내온도감지부(50)는 김치가 저장된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인가하고, 히터가열부(60) 및 압축기구동부(70)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고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제어한다.
상기 고내온도감지부(50)를 도 2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TH는 써미스터, R은 기준저항, 40은 제어부이다. 써미스터(TH)는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저항값이 가변된다. 기준저항(R)은 상기 써미스터(TH) 일측에 연결되고 소정의 저항값에 의하여 제어부(40)에 적정한 전압을 공급한다. 미설명부호 VCC는 전원전압, D는 역전압방지용 다이오드, C는 정전압유지용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김치독의 온도감지회로는, 고내의 온도가 가변되면 이에 따라 써미스터(TH)의 저항값이 가변된다. 따라서, 기준저항(R)의 저항값과 상기 써미스터(TH)의 가변된 저항값에 의하여 전원전압(VCC)이 분압되어 소정의 전압이 결정되고 이 전압이 제어부(VCC)에 인가되는 것이다. 제어부(40)는 이렇게 인가된 전압에 따라 현재 고내의 온도를 판단하고, 도 1에 도시한 히터가열부(60) 및 압축기구동부(7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여 고내의 적정한 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자김치독의 온도감지회로는,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항상 일정한 온도범위에서만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봄/가을, 여름 및 겨울철과 같이 다양한 외기온도변화의 영향에 의하여 고내에 저장된 김치가 동결되거나 또는 불필요하게 낮은 온도를 유지하여 에너지가 과소비되는 등 매우 비효율적으로 전자김치독이 운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여 전자김치독을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김치독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종래 전자김치독의 온도감지회로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값 가변에 따른 온도조절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제어부 TH : 써미스터
VCC : 전원전압 Ra : 가변저항
Rb : 바이어스저항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의 특징은,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저항값이 가변되는 써미스터 및 상기 써미스터 일측에 연결되고 그 저항값이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제어부에 적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가변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저항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봄/가을, 여름 및 겨울철과 같이 다양한 외기온도변화의 영향에 의하여 고내에 저장된 김치가 동결되거나 또는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과소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자김치독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값 가변에 따른 온도조절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TH는 써미스터로서,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저항값이 가변된다. 또한 VCC는 전원전압, D는 역전압방지용 다이오드, C는 정전압유지용 콘덴서, 그리고 40은 제어부이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기술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상기 써미스터(TH) 일측에 연결되고 그 저항값이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제어부(40)에 적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가변저항(R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Ra)에 직렬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저항(Rb)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내의 온도가 가변되면 이에 따라 써미스터(TH)의 저항값이 가변된다. 따라서, 저항(Ra)(Rb)의 저항값과 상기 써미스터(TH)의 가변된 저항값에 의하여 전원전압(VCC)이 분압되어 소정의 전압이 결정되고 이 전압이 제어부(VCC)에 인가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에 인가되는 전압(VDD) 및 써미스터전압(VTH)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VDD=VCC-VTH
여기서, VDD는 제어부에 인가되는 전압, VCC는 통상 5V의 전원전압, VTH는 써미스터 양단의 전압, RTH는 써미스터의 내부 저항값, RV는 가변저항(Ra) 및 바이어스저항(Rb)의 저항값이다.
이에 의하여, 써미스터(TH)의 내부 저항값(RTH)의 가변폭에 따라 써미스터 양단의 전압(VTH) 및 제어부(40)에 인가되는 전압(VDD)이 결정된다. 아울러, 가변저항(Ra)의 저항값이 증가하면, 이에 반비례하는 써미스터전압(VTH)이 감소하여 종국적으로 제어부(40)에 인가되는 전압(VDD)이 상승하게 되어 검출온도범위가 전체적으로 상승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예로서 써미스터(TH)의 온도검출범위가 2℃ 라고 가정하고, 이때 바이어스저항(Rb)의 저항값이 7.5㏀으로 설정되고 가변저항(Ra)의 값이 0일 경우, 수학식 2의 저항값 RV는 7.5㏀이 된다. 따라서, 써미스터(TH)는 0∼2℃까지의 온도범위를 검출하게 되며(A구간 참조), 제어부(40)는 이렇게 검출된 온도범위에 따라 고내온도가 2℃에 도달하면 고내 온도를 하강시키고, 0℃에 도달하면 고내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고내를 적정한 온도로 조절한다.
한편, 바이어스저항(Rb)의 저항값이 7.5㏀으로 설정되고 가변저항(Ra)의 값이 1.25㏀으로 가변되었을 경우, 저항값 RV는 8.75㏀이 된다. 따라서, 써미스터(TH)는 1∼3℃까지의 온도범위를 검출하게 되며(B구간 참조), 제어부(40)는 이렇게 검출된 온도범위에 따라 고내온도가 3℃에 도달하면 고내 온도를 하강시키고, 1℃에 도달하면 고내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바이어스저항(Rb)의 저항값이 7.5㏀으로 설정되고 가변저항(Ra)의 값이 2.5㏀으로 가변되었을 경우, 저항값 RV는 10㏀이 된다. 따라서, 써미스터(TH)는 2∼4℃까지의 온도범위를 검출하게 되며(C구간 참조), 제어부(40)는 이렇게 검출된 온도범위에 따라 고내온도가 4℃에 도달하면 고내 온도를 하강시키고, 2℃에 도달하면 고내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전자김치독의 운전을 제어하므로, 봄/가을, 여름 및 겨울철과 같이 다양한 외기온도변화의 영향에 의한 오차를 보상하게된다. 아울러, 봄/가을철에는 B구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C구간 및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A구간의 범위에서 고내온도의 검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가변저항(Ra)의 값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에 의하면, 고내의 온도검출범위를 가변시켜, 봄/가을, 여름 및 겨울철과 같이 다양한 외기온도변화의 영향에 의하여 고내에 저장된 김치가 동결되거나 또는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과소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전자김치독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저항값이 가변되는 써미스터; 및
    상기 써미스터 일측에 연결되고 그 저항값이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제어부에 적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에 직렬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김치독의 온도보상회로.
KR1019980040963A 1998-09-30 1998-09-30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KR10029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963A KR100294191B1 (ko) 1998-09-30 1998-09-30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963A KR100294191B1 (ko) 1998-09-30 1998-09-30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718A KR20000021718A (ko) 2000-04-25
KR100294191B1 true KR100294191B1 (ko) 2001-07-12

Family

ID=1955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963A KR100294191B1 (ko) 1998-09-30 1998-09-30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1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718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439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refrigeration system
KR870009196A (ko) 자체조정 제상 시간간격을 가진 냉동제어방법 및 장치
EP0803788B1 (en) Determination of changes of the ambient air temperature outside of an appliance
KR10076993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온도 조절 방법
KR100294191B1 (ko) 전자김치독의온도보상회로
US67793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644386B1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frost formation on a refrigerato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in which such method is implemented
KR0178334B1 (ko) 김치 저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0158015B1 (ko) 냉장고의 도어개폐에 따른 냉기보상방법
EP1344998A1 (en) Single-compressor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control of the temperature of two storage compartments
KR900005996Y1 (ko) 냉장고의 팬모터 제어회로
KR100202603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KR1004871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0142060B1 (ko) 냉장고의 냉장실 온도상승시 냉각제어방법
KR100302857B1 (ko) 김치냉장고의고내온도제어장치
KR900007065Y1 (ko) 솔레노이드 댐퍼의 오동작 방지회로
KR100279075B1 (ko) 김치저장고의고내온도감지장치
KR100241451B1 (ko) 냉장고 냉장실 온도보상 장치
KR200190245Y1 (ko) 냉장고
JP2990001B2 (ja) 冷凍冷蔵庫
KR100339355B1 (ko) 냉장고
KR970062627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 방법
KR830000124Y1 (ko) 냉장고 냉기 순환 fan 모우터 제어장치
JPS60226688A (ja) 除霜制御装置
KR20000021930A (ko) 냉장고의 냉장실 약냉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