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947B1 -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947B1
KR100293947B1 KR1019980030059A KR19980030059A KR100293947B1 KR 100293947 B1 KR100293947 B1 KR 100293947B1 KR 1019980030059 A KR1019980030059 A KR 1019980030059A KR 19980030059 A KR19980030059 A KR 19980030059A KR 100293947 B1 KR100293947 B1 KR 10029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ssage waiting
relay
subscriber
reque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555A (ko
Inventor
서영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9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대기용 일반전화기가 연결된 가입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입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주기아래 링 메시지 대기 신호 및 링을 발생하는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와,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링 및 메시지 대기신호가 가입자 전화기와 연결되도록 소정 제어아래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와, 상기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링 릴레이 드라이버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와, 인가되는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가입자의 해당 포트를 억세스 한 후 링 발생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으로부터의 메시지 대기 입력을 감지하여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링 발생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링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대기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 방지 가입자 장치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대기용 일반전화기가 연결된 가입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입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거의 대부분의 회사나 사무실 등에는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설교환기들은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통상적으로 국선 이라 칭함)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설교환기에는 메시지 대기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 다른 내선 가입자로부터 전환되는 인입호가 있으면 이를 대기시킴과 동시에 통화중인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기능을 칭한다. 즉, 착신측이 통화중 상태이면 호가 착신되었음을 상기 착신측 전화기에 구비된 별도의 메시지 대기 LED를 점등 시켜 이를 알리도록 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에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을 위한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기가 구현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일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메시지 대기 LED를 구비하고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이 가능한 전화기를 메시지 대기용 전화기라 약칭한다.
한편, 사설교환기에서 메시지 대기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정상적으로 메시지 대기 기능이 수행한다 함은, 착신측 전화기에 링 신호가 인가되어 링이 발생하는 도중 착신측이 응답하지 않거나 통화중 상태에 있어 이를 인지한 발신측에서 자신의 전화기를 통해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 입력을 하게 되는 경우, 착신측 전화기에 구비된 메시지 대기 LED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됨을 말한다. 이때 상기 LED에는 착신측 가입자가 용이하게 메시지가 대기되어있음을 알 수 있도록 일정 주기로 LED가 점등되는데, 이는 상기 가입자 장치에 구비된 상기 메시지 대기 발생기로부터 메시지 대기 신호가 동일한 주기로 인입됨으로 인하여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메시지 대기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되는 메시지 대기 신호는 링 신호가 출력되는 와이어(Wire)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착신측 전화기로 출력되도록 되어있는데, 메시지 대기 신호와 링 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두 신호가 충돌하는 문제가 야기되었고, 이와 같은 충돌 문제를 해결을 위해 종래 가입자 장치에서는 상기 두 신호가 각각 다른 주기를 가지고 출력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상기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가입자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혹은 순간적으로 두 신호가 동일한 주기를 가지고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종래의 방식으로는 상기 두 신호의 충돌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이는, 종래 가입자 장치에서 보다 신뢰성 있는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을 이루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고,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는 별다른 방법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시지 대기용 일반전화기가 연결된 가입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입자 장치를 새로이 구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대기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좀 더 신뢰성 있는 메시지 대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입자 장치를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주기아래 링 메시지 대기 신호 및 링을 발생하는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와,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가 가입자 전화기와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와, 상기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링 릴레이 드라이버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와, 인가되는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가입자의 해당 포트를 억세스 한 후 링 발생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으로부터의 메시지 대기 입력을 감지하여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링 발생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링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대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회로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회로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회로 장치 구체적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고,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통상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 및 기능들 또한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회로 장치 구성도로서, 특히,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 상태에 특징을 둔 가입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전화를 건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다이얼 번호는 상기 사설 교환기의 제어부에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설교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는 장치를 칭하며 이는 통상 중앙처리장치(Main Control Process Unit ;MCPU) 카드에 실장 된다. 한편,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언급되어 설명되는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동작 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 1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50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상기 가입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송된 다이얼 번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한 후,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50을 통해 상기 다이얼 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포트, 즉, 호출된 가입자의 해당 포트를 억세스(Access)하도록 한다. 해당 포트가 억세스 된 후 상기 제어부는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를 통해 링릴레이 12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링 릴레이 12는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링 신호발생부 22는 상기 억세스된 해당 포트의 가입자 전화기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링 신호발생부 22에서 발생되는 링 신호가 상기 가입자 전화기로 송출되며, 상기 송출되는 링은 상기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50을 통해 수신되는 링 동기 신호와 제로 크로싱되어 연결된 가입자의 전화기로 송출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링 동기제어부 32에 링 동기신호(Ring Synchronous;RS)가 수신되면 상기 링 동기 제어부 32가 메시지 대기 및 링 제어부 30으로 이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메시지대기 및 링 제어부 30이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를 제어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입자 전화기에는 상기 링 동기 신호에 동기된 링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전화가 왔음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한 링 신호 발생 동작이 수행되던 중, 소정 시간동안 가입자가 전화를 받지 않게 되면, 메시지 대기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는 상기 링 동기 제어부 32의 동작이 끝난후 이루어진다. 상기 메시지 대기 기능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메시지 등록 대기 해제에 대한 프로그램에 따라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 제어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데, 이는 상기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50을 통해 가입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메시지 대기 및 링 제어부 30에 입력되고,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을 동작 시킨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은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의 릴레이 동작에 따라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부 20에서 발생되는 메시지 대기 신호는 상기 억세스된 가입자 전화기로 송출된다. 이때 , 상기 가입자 전화기는 필히 메시지 대기 기능을 지원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상기 가입자 전화기에 구비된 별도의 메시지 대기 램프의 깜박거림을 통해 메시지 대기 신호가 송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시지 대기 램프의 깜박거림은 상기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부의 신호 발생 주기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피호출자, 즉, 가입자 전화기 사용자가 핸드셋을 들게 되면 훅-오프 감지부 64에 훅-오프 상태가 감지되어 이에 따라 메시지 대기 톤이 송출되고, 지정된 메시지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전화를 건 호출자에게 호가 연결이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송출이 중단되고 상기 메시지 대기 램프가 점멸된다. 그리고, 통화 종료시 훅-온 하게 되면, 자동으로 메시지 대기 기능 해제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하이브리드 60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분리하는 장치이며, 링 트립 62는 (이하 설명 필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가입자 장치의 구체적 구성도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대기 기능 구현에 특징을 둔 가입자 장치의 실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입자 장치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의 M-1과 M-2가 연결되어 있게 되며, 링 릴레이 12의 R-1과 R-2가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릴레이들의 연결상태에서 호출자로부터 송출되어 온 다이얼 번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 장치의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 신호는 실제 데이터 비트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 50을 통해 전달된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데이터 비트를 표현함에 있어, 링 제어 비트는 "D0"로 표현하고, 매시지 대기 제어 비트는 "D1"으로 표현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가 구동될 때 상기 제어비트는 "DO=L"이되고 메시지 대기 제어비트 "D1=H"가 된다. 상기 D0과 D1의 제어비트들은 논리곱(AND) 게이트 82에 입력되고, 상기 논리곱 게이트 82의 출력은 D-플립플롭 80의 입력 단자로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논리곱 게이트 82 출력의 입력과 동시에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에서 보내는 링 동기신호(Ring Sync.;RS)가 상기 D-플립플롭 80의 클럭(CLK.) 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두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D-플립플롭 80의 출력 "/Q"는 하이브리드 60내의 링 코맨드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링 코맨드 단자에 인가된 상기 D-플립 플롭 80의 출력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 인가된 D-플립플롭 80의 출력에 의해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는 링 릴레이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링 릴레이 12의 R-1과 R-3이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은 아이들 상태와 마찬가지로 M-1과 M-2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릴레이들의 연결상태가 이루어지면, 호가 착신됨에 따라 발생하는 링 싱호가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충돌하지 않으며, 시스템 링 전원을 가입자의 전화기에 정상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송출동작에 따라 가입자 전화기로 링이 발생하게 되고, 링이 발생하는 중 호출자는 피호출자가 전화를 오랫동안 받지 않거나 혹은 부재중인 사실을 알았을 경우, 두 가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첫 번째로, 훅-온을 하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은 M-1과 M-2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링 릴레이 12는 R-1과 R-2로 전환되어 링 발생기 22에서 발생되어 가입자 전화기로 송출되는 링은 끊기게 된다.
그 다음으로, 피호출자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인 사실을 알고 호출자가 메시지 대기 등록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소정 메시지 등록 코드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에서 이를 인식하여 가입자 장치의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을 구동 시킨다. 이때 데이터 비트는 메시지 대기 제어비트가 "D1=L"이 되며 링 제어 비트는 "DO=H"가 된다. 상기 데이터 비트는 논리곱게이트 82로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인가 받은 상기 논리곱 게이트 82의 출력은 상기 D-플립플롭 80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이때에도 상기 D-플립플롭 80의 클럭으로 시스템에서 보내지는 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어 출력 단자 "/Q"를 통해 해당 출력을 내보낸다. 그러면, 상기 하이브리드 60내의 링 코맨드 단자와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을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되는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에 의해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이 구동되며, 상기 메시지 릴레이 10의 M-1과 M-3가 연결된다. 그리고,링 릴레이 R-1과 R-2는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메시지 대기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기 2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 대기신호는 링 발생기에서 송출되는 링 신호와 충돌 없이 상기 가입자 전화기로 송출되게 된다. 상기 송출되는 메시지 대기 신호는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기 20의 신호 발생 주기에 따라 송출되며, 가입자 전화기의 메시지 대기 램프 또한 상기 발생 주기에 따라 램프가 깜박거리게 된다.
이때, 피호출자는 메시지가 대기되어 있음을 상기 깜박거리는 메시지 대기램프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한편, 메시지 대기 램프의 깜박거림을 통해 메시지 대기를 확인한 피 호출자가 전화기를 훅-오프하게 되면, 상기 가입자 전화기로 메시지 대기톤이 송출되고, 이를 인지한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메시지 대기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대기 코드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가입자 장치의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의 데이터 비트는 메시지 대기 제어비트가 "D1=H"가 되고, 링 제어비트는 "DO=H"가 되어,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은 M-1과 M-2로 전화되고, 링 릴레이 12는 R-1과 R-2를 계속 유지하게 되어 메시지 대기신호 발생기 20으로부터 발생되는 메시지 대기 신호가 가입자 전화기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강비자 전화기와 메시지를 등록시킨 호출자간에 통화로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훅-온을 하게 되면, 메시지 대기 기능은 완료가 된다.
결국, 상기 논립곱게이트 82와 D-플립플롭 80에 인가되는 제어 비트에 의해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10과 링 릴레이 12의 동작이 제어됨으로 종래 가입자 장치에서 발생 하였던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의 충돌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대기 기능 구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어 비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링 릴레이 드라이버 42와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40의 동작 상태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어 비트 테이블
D1 D0 MW RING
L L ON ON
L H ON OFF
H L OFF ON
H H OFF OFF
MW :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
RING : 링 릴레이 드라이버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D1" 및 "D0" 데이터 비트 값의 변화에 따라
따라서 링 전원과 메시지 대기 전원의 충돌없이 가입자에게 원할한 서비스를 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에서, 예기치 못한 오동작 발생에 의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신호의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메시지 대기 기능 수행에 있어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가입자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 방지 가입자 장치에 있어서,
    일정 주기아래 링 메시지 대기 신호 및 링을 발생하는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와,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 및 링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링 및 메시지 대기신호가 가입자 전화기와 연결되도록 소정 제어아래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와,
    상기 링 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링 릴레이 드라이버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와,
    인가되는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가입자의 해당 포트를 억세스 한 후 링 발생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발신측으로부터의 메시지 대기 입력을 감지하여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링 발생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링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링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대기 신호 발생기와 가입자 전화기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대기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제어부 및 상기 메시지 대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링 발생 요구 데이터와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링 동기신호를 클럭신호로 인가 받으며, 상기 입력 신호들에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D-플립플롭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링 발생 요구 데이터와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는 논리곱(AND)된 신호로 출력되어 상기 D-플립플롭의 입력데이터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링 릴레이 드라이버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 드라이버는,
    상기 링 발생 요구 데이터 및 메시지 대기 요구 데이터와 상기 링 제어부 및 상기 메시지 대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따라 상기 링릴레이 및 메시지 대기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장치.
KR1019980030059A 1998-07-25 1998-07-25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KR10029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59A KR100293947B1 (ko) 1998-07-25 1998-07-25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059A KR100293947B1 (ko) 1998-07-25 1998-07-25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55A KR20000009555A (ko) 2000-02-15
KR100293947B1 true KR100293947B1 (ko) 2001-07-12

Family

ID=1954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059A KR100293947B1 (ko) 1998-07-25 1998-07-25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792A (en) * 1984-03-30 1985-08-06 Siemens Corporate Research & Support, Inc. Circuit for switching between ring signal and message waiting signal without bell tap
KR900001838A (ko) * 1988-07-09 1990-02-27 손영희 고정화세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792A (en) * 1984-03-30 1985-08-06 Siemens Corporate Research & Support, Inc. Circuit for switching between ring signal and message waiting signal without bell tap
KR900001838A (ko) * 1988-07-09 1990-02-27 손영희 고정화세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555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631A (en) Station controller for distributed single line PABX
CA1039424A (en) Universal pbx line circuit for key and non-key service
US3549820A (en) Key telephone station concentrator
KR100293947B1 (ko) 사설교환기에서 링 신호와 메시지 대기 신호 충돌방지 가입자 장치
US4292475A (en) Expandable link telephone intercom system
US3996424A (en) Electronic telephone systems
US3962552A (en) Switching network and peripheral circuits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557660A (en) Program-controlled communication system whereby a call request is simultaneously signaled 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RU204086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елефон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KR100228300B1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100464361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KR910006318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국선 발신 충돌 방지방법
KR100241727B1 (ko) 착신전환방법
JP2770606B2 (ja) 着信順応答接続方式
JPS6187497A (ja) デイジタル電子交換機
KR100234089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속 전환방법
SU394954A1 (ru) Линейный блок групп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100306751B1 (ko) 교환기 시스템의 링그룹 착신방법
KR940006516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원격유지 보수방법 및 장치
KR100311957B1 (ko) 교환기의 부가 기능용 직렬 포트 장치
KR100241729B1 (ko) 호출응답방법
KR100279551B1 (ko) 교환시스템의중계대호처리방법
JPS6315556A (ja) 発信音送出制御方式
JPH05207534A (ja) 交換システム
JPS58197949A (ja) ト−キ送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