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946B1 -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946B1
KR100293946B1 KR1019980029822A KR19980029822A KR100293946B1 KR 100293946 B1 KR100293946 B1 KR 100293946B1 KR 1019980029822 A KR1019980029822 A KR 1019980029822A KR 19980029822 A KR19980029822 A KR 19980029822A KR 100293946 B1 KR100293946 B1 KR 10029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ubscriber
network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425A (ko
Inventor
황명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9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가입자 접속 장치와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먼저, 가입자 접속부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CPU가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합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기록하면, 기록된 정보는 가입자 정합 장치중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E 모뎀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역시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E 모델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지국 내부의 프래머를 통하여 망 접속부에 연결된 EI 링크중 한 개 채널에 데이터를 적재하고, 망 접속부에서는 기지국 EI에서 송신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의 프래머를 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 직렬 입출력부로 전송한다.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직렬 입출력부는 데이터를 데이터망으로 전송하며, 데이터망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로 전송한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는 수신한 데이터를 직렬 입출력을 통하여 기지국에 연결된 EI 링크중 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E 모델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가입자 정합 장치의 E 모뎀을 거쳐 직렬 입출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며, 컴퓨터의 CPU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Description

컴퓨터 내장형 가입자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호 제어방법{Network apparatus comprsing computer built-in subscriber interface device ane call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가입자 망(Wireless Local Loop: WLL)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 주는 기능을 구비한 가입자 정합 장치(Radio Interface Unit: RIU) 및 그에 따른 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가입자망이란 기존의 유선 가입자 선로를 무선 통신으로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무선 가입자망이다. 상기 무선 가입자망은 특정 지역에 대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엑세스 노드(Access Node) 형태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가입자가 지역적으로 산재해 있거나, 도시 중심지역으로써 전화선 설비공사 등이 어려운 지역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무선 가입자망은 주로 음성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최근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전용 가입자 접속부 또는, 협대역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 단말 접속 장치를 사용하여 서비스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중 루프(Air Loop) 무선 가입자망의 시스템 구조도 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루프 시스템은 두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는 WLT(Wireless Line Transceiver)(10)이고, 상기 공중 루프에서 지역 교환기(Local Exchange: LE)와 연결하여 인터페이스 제공 등 시스템의 주요 처리를 수행한다. 두 번째는 NIL(Network Interface Unit)(20)로써 가입자 부분에 설치되고 가입자 장치(100)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WLT는 하위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 하위 장치는 CATU(Central Access and Transcoding Unit)(50)와 CTRU(Central Transceiver Unit)(60)로 구성된다. 상기 CATU(50)는 지역 교환기와의 연결을 위한 16개의 E1을 제공하고, 상기 CTRU(60)와 연결을 위한 2개의 E1을 제공하며, 유지 보수를 위한 콘솔과의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공중 인터페이스의 공중 자원(Air Resource) 관리와 64K A-Law Encoding 음성 데이터를 32K ADPCM(Adaptive Differential PCM) 또는, 16K LD-CELP(Low Delay -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로 트랜스 코딩(Transcoding)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CTRU(60)는 CTRU를 여러개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CATU와 CTRU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NIU(20)도 또한 2 개의 하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하위 장치의 구성은 STRU(Subscriber Transceiver Unit)(80)와 ITS(Intelligent Telephone Socket)(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STRU(80)의 기능은 외부(Outdoor)에 위치하며 모뎀과 송신기와 안테나와 ITU 및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며, 공중 인터페이스와 ITU 사이의 ISDN과 신호 및 데이터 등을 투명성(Transparent)있게 처리한다.
또한, 상기 ITU(90)는 내부(Indoor) 형태로 가입자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아날로그(Analogue) 전화기 및 ISDN 전화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ITU(90)는 2 개의 아날로그 라인 또는 한 개의 ISDN 라인을 제공하며, 자신 및 STRU에 대한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을 제공한다. 그리고, LED(Status Indicator)를 통하여 ITU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각 구성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상기 지역 교환기 인터페이스는 V1.5 CAS(Channel Associated Signalling)를 사용하고, 상기 CATU와 CTRU의 인터페이스는 B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또한, 공중 인터페이스는 직교형 코드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과 무선 서브 시스템 동기화와 링크 제어 송신기(Radio Subsystem Synchronization and Link Control Transmitter)와 송신기(Receiver)와 링크 버드젯(Link Budget) 및 16k, 32k, 64k의 코덱(Codec)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STRU와 ITS는 물리적인 D 인터페이스(Physical D Interface)를 사용하고, ITS 전화기(ITS Telephone)는 E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이는 미국특허 번호 4,837,800의 "Cellular data telephone system and cellular data telephone therefor"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는 일반 아날로그 가입자가 모뎀을 사용하여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위하여 데이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화시키는 모뎀과 데이터 단말 및 가입자 정합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다른 방법으로는 데이터 전용 가입자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가입자 정합 장치가 외부에 독립된 형태로 설치가 되고,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는 가입자 정합 장치를 독립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전원인가를 독립적으로 해주어야 하며, 데이터 단말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규정해야 하므로 가격이 높아지고,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 규정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사용상 여러 종류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제한적인 서비스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입자 정합 장치와 데이터 단말이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용되므로 운용 비용이 증가되며 설치 시에도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독립형 형태의 가입자 접속부를 데이터 단말(컴퓨터)과 하드웨어적으로 결합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가입자 접속부와 데이터 단말 장치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경제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둘째, 가입자 정합 장치와 데이터 단말 사이의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종래의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의 유틸리티를 사용함으로써 망 정합 장치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망 인터페이스를 없앨 수 있으며, 이는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전체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망 정합 장치에서의 데이터망과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와 정합하여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망접속부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가입자정합부에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정합부로부터 무선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망접속부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개인용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가입자정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와 일체형인 가입자 접속부를 구비한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가입자 접속 방법은, 컴퓨터의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정합부로 데이터 서비스 요구 명령을 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부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요구 명령이 호 접속 요구 명령임을 인지하고 호 처리부로 접속 요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구 요청을 받은 호 처리 프로그램이 공중 인터페이스로 호 처리를 위한 신호 채널 개방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 모듈이 기지국의 공중 인터페이스로 호 시도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시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이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가입자 정합부로 호출하는 단계;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가입자 정합부로 호출한 후에 MAC 계층에서 지정된 형태의 신호 정보를 전송하고 받는 단계; 상기 신호 정보를 전송하고 받은 후에 상기 MAC가 형성되면 망 접속부로 호 시도가 있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망 접속부의 호 처리 모듈은 수신된 메시지를 참조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데이터망과의 호 연결 요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연결 요구를 요청 받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하여 상대와 연결이 완료되면 호 처리 제어부로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망 접속부가 호 처리를 위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채널 할당 후 상기 망 접속부에서 기지국으로 호 연결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된 상기 메시지는 가입자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공중 루프 무선 공중망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독립형 데이터 가입자 접속부 구성도.
도 3 은 컴퓨터 내장형 데이터 가입자 접속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채널 데이터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WLT 130, 230 : 제어부
20 : NIU 140, 200 : E 모뎀
30 : 공중 인터페이스 150, 210 : 직렬 입출력부
40 : 지역 교환기 160, 220 : 전원부
50 : CATU 170 : 가입자 정합 장치-카드
60 : CTRU 180 : 컴퓨터 본체
70, 300 : 운영 장치 240 : 망 접속부
80 : STRU 250 : 기지국
90 : ITS 280 : 기본 망 접속부
100 : 가입자 장치 290 : 데이터 정합 장치
110, 260, 270 : 가입자 정합 장치 310 : 트렁크 번호
120, 190 : 송/수신 모듈 320 : 디렉토리 번호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동작 원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의 기능은 지역 교환기와 가입 단말기 사이의 종래 유선 방식의 전송 매체(Media)를 엑세스 네트웍(Access Network: AN)으로 대체한 것으로써 그 구성은, 상기 지역 교환기(LE)와 정합하며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망접속부(혹은 기지국 제어장치, 240)와 음성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기지국(250)과 가입자를 정합하는 가입자 정합부(260,270)로 구성된다. 그리고, 무선 선로망 내부의 유지보수 및 운용 관리는 자체적인 운용 장치(300)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의 접속은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독립적인 접속망이다. 한편, 상기 망접속부240은 G.703 인터페이스(혹은 V5.2, V5.1, A/B)를 통해 해당 트렁크번호(TN,310)에 접속되고, X.25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디렉토리 번호(DN,320)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정합부는 각종 가입자단말기(데이터 단말기, 음성전화기 등)와 정합하기 위한 독립적인 형태를 가지는 독립형 가입자 정합부(260)와 개인용 컴퓨터와 하드웨어적으로 결합되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기 위한 내장형 가입자 정합부(270)으로 구분될수 있다.
상기 독립형 가입자 정합부(260)는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120)과 상기 가입자정합부(26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E-모뎀부(140)와 데이터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하는 직렬 입출력부(150), 전원부(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장형 가입자 정합부(270)은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정합부의 전반적인 처리 기능을 컴퓨터의 제어부(CPU,180)에서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구성 요소별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E-모뎀(200)은가입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소정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공중 프로토콜의 정보를 해석하여 가입자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장형 가입자 정합부(270)은 기본적으로, 가입자 접속장치와 데이터 단말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두 장치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성들을 경제적으로 구성할수 있다. 이런 경우, 내부 버스 및 듀얼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단말과 가입자 접속장치가 인터페이싱 할수 있어 별도의 인터페이싱 규약이 필요없고, PC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웹 브라우져(Web brouser) 등의 유틸리티를 사용함으로써 망 정합장치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망 인터페이스를 제거할수 있다. 이는 무선가입자망(WLL)에서의 전체 가격을 저렴하게 하며 망정합장치에서의 데이터망과의 인터페이싱을 간단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장형 가입자 정합부(270)은 개인용 컴퓨터에 카드 형태로 내장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4에서 상기 기지국(250)의 주요 구성은 망 접속부와 연결하는 E1 인터페이스부와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데이터를 여러 망 접속부와 주고받을 수 있도록 공중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E-모뎀부(200)와 RF(Radio Frequency)를 제어하는 송/수신 모듈(190) 및 상기 RF 정보를 고출력으로 변환하는 HPA(High Power Amplifier)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일체형 장치의 주요한 기능은 망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공중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해당되는 가입자 접속부로 송신하는 기능과 가입자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공중 프로토콜로 해석하여 망 접속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망 접속부(240)은 기본적으로, 데이터정합부(290)과 기본 망접속부(280)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는 RIM(RCS Interface)부와 망으로 접속되는 LIM(LE Interface Module)부와 망 접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 전용 단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망접속부(240)은 망(network)과 연동되어 망으로부터 인입된 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반 처리 및 기지국으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과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된 호를 망으로 연결해주는 호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망에서 처리되는 가입자에 대한 모든 정보 제어도 상기 망 접속부에서와 같이 처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데이터 호 처리 흐름도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와 일체형인 가입자 접속부를 가진 가입자가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먼저 컴퓨터의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구 명령을 한다. 그러면, 가입자 접속부는 가입자 접속부 내에 호 접속 요구 명령임을 인지하고 호 처리 모듈로 접속 요구를 요청한다.
상기 호 처리 모듈로 접속 요구를 요청하면, 호 처리 프로그램은 공중 인터페이스 모듈로 호 처리를 위한 신호 채널을 개방할 것을 요구하고, 공중 인터페이스 모듈은 램프업(RampUp)을 하여 기지국의 공중 인터페이스 모듈로 호 시도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에서는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가입자 정합부로 호출을 하고,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지정된 형태의 신호 정보를 주고받는다. 상기 신호 정보를 주고 받은 후 MAC가 형성되면 망 접속부로 호 시도가 있었음을 알린다. 이 때 상기 망 접속부의 호 처리 모듈은 수신된 메시지를 근거로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망과의 호 연결을 요구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데이터망을 통하여 상대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호 처리 제어부로 연결되었음을 통보하고, 내부적으로 트래픽 데이터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생성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생성한 후에 상기 망 접속부는 호 처리를 위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기지국으로 호 연결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정합부에 있는 호 처리 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가입자 정합부 프로그램은 기지국에서 지정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여 가입자 제어 모듈로 호가 연결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가입자 정합부의 데이터 어플리케이션과 망 접속부의 데이터 어플리케이션과 기지국의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스크와 직접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연결 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도 5 에 도시되어 있으며, 물리적으로 데이터 채널(트래픽 채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입자 정합부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입자 정합부의 데이터는 가입자 접속부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CPU가 내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는 가입자 정합부중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E-모뎀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에서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가공 없이 역시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하는 E-모뎀을 통하여 수신하고, 내부의 프래머(Framer)를 통하여 망 접속부에 연결된 E1이 한 개 채널에 데이터를 적재한다.
상기 망 접속부에서도 상기 E1의 동일한 채널을 플래임을 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 직렬 입출력부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패킷화된 데이터는 원래 형태로 판독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맞게 재편집되어 데이터망으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타스크가 수신하고 상기 정보 패킷화된 형태로 상기 직렬 입출력부를 통하여 기지국에 연결된 E1의 한 채널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은 E 모뎀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고 가입자 정합부의 E모뎀을 거쳐 직렬 입출력부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원래의 데이터를 수신한 다음 컴퓨터의 CPU가 데이터를 처리한다. 따라서 무선 가입자망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중요한 내용은 공중 프로토콜이 B-CDMA 형태로 전송될 때는 동기화(Synchronous)한 형태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 형태로 전송되므로 항상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형태의 패킷화된 형태로 공중에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데이터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 중 계층2의 처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라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데이터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독립적인 가입자 정합부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내장형의 가입자 정합부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 무선 가입자망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며,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컴퓨터 내에 가지고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지며, 무선 가입 단말에 대한 많은 기능을 컴퓨터의 CPU가 대신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무선 가입자망에서 서비스되는 방법인 전화 가입자에 대하여도 컴퓨터 내장형으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의 고유 기능 이외의 전화 서비스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향후 예상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하여 컴퓨터로써 대응함으로 독립적인 가입자 정합부를 사용할 때 보다 기능을 쉽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입자 접속부의 기능 개선이나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경우에도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개설할 수 있고, 여러개의 데이터 단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이미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컴퓨터간 네트웍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입자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지역 교환기와 정합하여 무선 기지국을 제어하는 망접속부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가입자정합부에 송신하고, 상기 가입자정합부로부터 무선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망접속부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과,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되고, 상기 기지국과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가입자정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교환기와 가입 단말기 사이의 전송 매체는 엑세스 네트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합부는,
    상기 기지국과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변복조하는 모뎀부;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입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망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모뎀부는 상기 데이터를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공중 프로토콜의 정보를 해석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접속부는,
    상기 기지국과 연결하는 RIM부;
    상기 지역 교환기와 접속되는 LIM부;
    상기 망접속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부는 망과 연동되어 상기 망으로부터 인입된 호 처리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된 호를 망으로 연결해주는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컴퓨터와 일체형인 가입자 접속부를 구비한 무선 가입자망에서의 가입자 접속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데이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정합부로 데이터 서비스 요구 명령을 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합부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요구 명령이 호 접속 요구 명령임을 인지하고 호 처리부로 접속 요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구 요청을 받은 호 처리 프로그램이 공중 인터페이스로 호 처리를 위한 신호 채널 개방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 모듈이 기지국의 공중 인터페이스로 호 시도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시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이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가입자 정합부로 호출하는 단계;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가입자 정합부로 호출한 후에 MAC 계층에서 지정된 형태의 신호 정보를 전송하고 받는 단계;
    상기 신호 정보를 전송하고 받은 후에 상기 MAC가 형성되면 망 접속부로 호 시도가 있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망 접속부의 호 처리 모듈은 수신된 메시지를 참조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데이터망과의 호 연결 요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호 연결 요구를 요청 받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하여 상대와 연결이 완료되면 호 처리 제어부로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망 접속부가 호 처리를 위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채널 할당 후 상기 망 접속부에서 기지국으로 호 연결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된 상기 메시지는 가입자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된 메시지가 상기 가입자 제어부로 전송되는 경우 가입자 정합부 프로그램이 기지국에서 지정한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여 호가 완료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가입자 정합부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접속부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CPU가 내부의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합부로 전송할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기록된 정보는 가입자 정합부중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E 모뎀을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공중 프로토콜 처리를 하는 E 모뎀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지국 내부의 프래머를 통하여 망 접속부에 연결된 한 개 채널에 데이터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망 접속부에서 상기의 기지국 EI에서 송신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의 프래머를 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 직렬 입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직렬 입출력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망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직렬 입출력을 통하여 기지국에 연결된 EI 링크중 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E 모뎀을 통하여 트래픽 채널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가입자 정합부의 E 모뎀을 거쳐 직렬 입출력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의 CPU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프로토콜 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패킷화된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맞게 재편집된 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복구는 디패킷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29822A 1998-07-24 1998-07-24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KR10029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22A KR100293946B1 (ko) 1998-07-24 1998-07-24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22A KR100293946B1 (ko) 1998-07-24 1998-07-24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5A KR20000009425A (ko) 2000-02-15
KR100293946B1 true KR100293946B1 (ko) 2001-07-12

Family

ID=1954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22A KR100293946B1 (ko) 1998-07-24 1998-07-24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9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1420A (en) * 1987-07-08 1989-03-0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ubsc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1420A (en) * 1987-07-08 1989-03-0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subsc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5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628A (en) Data network interface
CN100370796C (zh) 数据传输方法
US782199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and radio system
JP2006503500A5 (ko)
JPH09233100A (ja) 無線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用装置
CN1111472A (zh) 转接无线电话呼叫的方法和设备
US7047035B2 (e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ivate wire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812192B2 (ja) 無線チャンネル選択方法および無線チャンネル選択システム
US6301475B1 (en) Procedure for limiting the mobility area of a terminal device in a wireless local loop
AU708154B2 (en) Radio system for a closed user group
US20030026226A1 (en) Public communication system and public communication method
KR100293946B1 (ko) 컴퓨터내장형가입자접속장치를구비하는네트워크장치및호제어방법
KR100219881B1 (ko) 무선가입자망,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전용 가입자 서비스방법, 데이터 서비스 전용 가입자 접속장치 및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호처리방법
JPH06506580A (ja) Isdnチャネルのデ−インタリーブに用いる遅延回路
US737610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
KR10040426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원 링크 스위칭방법 및 그에 따른이원 인터페이스장치
TW359926B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terminal equipment units using a fixed wireless terminal
JP2886714B2 (ja) 無線回線制御装置
JP275204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CN1104155C (zh) 在导线连接的通信网络中集成移动功能的方法和装置
KR100493077B1 (ko) 분산 구조의 교환망을 위한 무선 정합 모듈
KR100258148B1 (ko) 덱트(dect)방식의무선교환기에서기지국간베어러핸드오버처리방법
JP3043695B2 (ja) デ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KR0181653B1 (ko) Cdma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데이타통신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H02262732A (ja) 移動通信に於ける情報サービ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