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476B1 -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476B1
KR100292476B1 KR1019930027849A KR930027849A KR100292476B1 KR 100292476 B1 KR100292476 B1 KR 100292476B1 KR 1019930027849 A KR1019930027849 A KR 1019930027849A KR 930027849 A KR930027849 A KR 930027849A KR 100292476 B1 KR100292476 B1 KR 10029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ost
reference signal
error
calculating
shock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775A (ko
Inventor
권성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3002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476B1/ko
Publication of KR95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회로는 필터의 탭 수가 고정되어 제거 가능 범위 밖의 고스트가 매우 큰 크기를 갖고 입력되는 경우 고스트 제거 오차(deghosting error)가 커짐에 따라 화면이 더욱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스트 제거 알고리즘을 수행함에 따라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의 상관 함수로부터 정방향의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여 유한, 무한 충격 응답 필터의 탭 수를 적응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고스트 제거 오차를 저감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거 범위 밖의 고스트 존재 유무를 판별함에 따라 필터의 탭수를 적응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고스트 제거 오차를 저감시켜 선명한 화면을 표시할 뿐아니라 실시간 처리를 통해 계산량을 감축시켜 실시간에 고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 고스트 제거 알고리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 고스트 제거 오차 감소 알고리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을 위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 : 유한 충격 응답 필터
3 : 무한 충격 응답 필터 4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5 : 선입선출 메모리 6 : 고스트 제거 알고리즘부
7 : 가산기 8 : 계수 연산부
9 : 상관기 10 : 고스트 유무 판별부
본 발명은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 평균 제곱 오차(LMS;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스트를 제거할 때 고정된 필터 탭수로 인해 제거 범위 밖에 진폭이 큰 고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간의 상관 관계로 부터 전송 채널의 특성을 판별하여 필터의 탭수를 적응적으로 할당함으로써 계산량을 줄임과 아울러 고스트 제거 오차를 저감시키는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스트 제거 범위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하드웨어적인 측면과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의 두가지가 있다.
첫째,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는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GCR; Ghost Cancelling Reference)의 길이,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포획하기 위한 선입선출 메모리의 용량,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유한 충격 응답(FIR)및 무한 충격 응답(IIR) 필터의 탭수등에 의해 고스트 제거 범위가 결정된다.
둘째,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의 특성, 고스트 제거 알고리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가 삽입된 공백 기간 라인의 전후 내용등의 요인에 의해 고스트 제거 범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회로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디오 입력 신호(Vi)중 고스트 제거 기준신호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메모리(5)와, 이 선입선출 메모리(5)의 출력(V5)을 연산하여 고스트 제거를 위한 계수(K1)(K2)를 출력하는 고스트 제거 제어기(6)와, 비디오입력신호(Vi)를 디지탈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의 출력(V1)과 상기 고스트 제거 제어기(6)의 출력(K1)을 선형 결합에 의해 연산하여 전고스트와 근접 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하는 유한충격 응답(FIR) 필터(2)와, 이 유한충격응답 필터(2)의 출력(V2)을 상기 제어기(6)의 출력(K2)과 선형결합에 의해 연산하여 후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하는 무한충격 응답(IIR) 필터(3)와, 이 무한충격 응답 필터(3)의 출력(V3)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V0)를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 고스트 제거 제어기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스트가 제거된 무한충격응답 필터(3)의 출력 신호(y(n))와 수신기에 미리 저장된 고스트제거 기준신호(d(n))를 합산하여 오차 성분(e(n))을 산출하는 가산기(7)와, 유한충격응답 필터(2)와 무한충격응답 필터(3)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선입선출 메모리(5)에서의 고스트제거 기준신호(V5=x(n)) 및 상기 가산기(7)의 출력(e(n))을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고스트 제거를 위한 계수(K1)(K2)를 유한충격응답 필터(2)와 무한충격응답 필터(3)에 각기 출력하는 계수 연산부(8)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회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입선출 메모리(5)는 타이밍 발생기 등의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의 출력(V1)중 수직 공백(blank) 구간내의 특정 라인에 삽입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저장한 후 고스트 제거 제어기(6)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고스트 제거 제어기(6)는 선입선출 메모리(5)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기준 신호(V5=x(n))를 읽어온 후 고스트를 야기시킨 공중 전송 채널의 역특성을 시간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산하여 고스트 제거를 위한 계수(K1)(K2)를 산출하고 이 계수(K1)(K2)를 유한충격 응답필터(2)와 무한충격 응답필터(3)에 각기 출력하게 된다.
즉, 고스트 제거 제어기(6)는 고스트가 생기는 다중 경로의 채널을 모형화한 것으로, 예로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가산기(7)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무한 충격 응답필터(3)의 출력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 성분(e(n))을 산출하고 계수 연산부(8)가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선입선출 메모리(5)에서의 고스트제거기준신호(V5=x(n))와 상기 가산기(7)의 출력 신호(e(n))를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고스트 제거를 위한 계수(K1)(K2)를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에 각기 출력하는데,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른 식은 아래에 표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μ는 안정성 및 수렴 속도를 결정하는 스텝 크기이고, ai(n)와 bi(n)는 n번째 시간 샘플에서의 각각 L개 탭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M개탭의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i번째 탭 계수를 나타낸다.
이때, 비디오입력 신호(Vi)를 입력받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는 디지탈 변환을 수행하여 양자화 시키고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의 출력(V1)을 입력받은 유한충격응답필터(2)는 고스트 제거 제어기(6)의 출력(K1)과 선형 결합한 후 전고스트와 근접 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하고 이 신호(V2)를 입력받은 무한충격 응답필터(3)는 상기 고스트 제거 제어기(6)의 출력(K2)과 선형 결합한 후 후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고스트를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가 유한충격 응답필터(2)와 무한충격 응답필터(3)를 순차적으로 통해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V3)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모니터(도면 미도시)로 출력함에 의해 고스트에 의한 다중상이 제거됨과 아울러 파형등화(waveform equalization)된 깨끗한 화면이 출력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회로는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 필터의 탭 수가 고정되어 제거 가능 범위 밖의 고스트가 매우 큰 크기를 갖고 입력되는 경우 고스트 제거 오차(deghosting error)가 커짐에 따라 화면이 더욱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큰 크기의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의 탭 수를 증가시키면 계산량이 증가함으로 고스트를 실시간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스트 제거 알고리즘을 수행함에 따라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의 상관 함수로 부터 정방향의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여 유한 충격 응답 필터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의 탭 수를 적응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고스트 제거 오차를 저감시키도록 창안한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 성분(e(n))을 출력하는 오차 검출 수단과,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와 롬(ROM)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을 연산하여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함에 따른 상관 함수(RXY(n))를 산출함에 따라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는 상관 함수 산출 수단과, 이 상관 함수 산출 수단의 출력신호(RXY)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를 참조하여 고스트 지연 시간을 판별하는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과, 이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오차 검출 수단의 출력신호(e(n))를 유한, 무한충격 응답필터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유한,무한충격응답필터의 탭 수(L)(M)를 산출하고 이 탭수에 따른 필터 계수(K1)(K2)를 유한,무한충격 응답필터 각각으로 출력하는 계수 연산 수단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연산하여 상호 상관 함수를 산출하고 이 상관 함수에 따라 전송 채널 특성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구한 전송 채널 특성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밖의 고스트 유무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를 참조하여 지연 시간의 범위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결정된 고스트 유무 및 지연 시간 범위에 따라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의 탭수(L)(M)를 결정하여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렴에 따른 필터 계수를 전송하여 유한충격 응답필터와 무한충격 응답필터의 특성을 가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스트 제거 회로는 제1도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으로 고스트 제거 범위 밖의 고스트는 가능한한 제거하지 않고 고스트 범위 내의 고스트는 완벽히 제거하도록 구성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스트 제거 제어기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 성분(e(n))을 출력하는 가산기(7)와, 선입선출 메모리(5)로부터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 V5)와 롬(ROM)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을 연산하여 상관 함수(RXY(n))를 산출함에 따라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는 상관기(9)와, 이 상관기(9)의 출력신호(RXY(n))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함에 의해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지의 유무와 고스트 지연 시간을 판별하는 고스트 유무 판별부(10)와, 이 고스트 유무 판별부(10)의 출력신호와 상기 가산기(7)의 출력신호(e(n))를 연산하여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2)(3)의 탭 수(L)(M)를 산출하고 이 탭수에 따른 필터 계수(K1)(K2)를 상기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2)(3) 각각으로 출력하는 계수 연산부(8)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4도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입선출 메모리(5)는 비디오 입력 신호(Vi)중 수직 공백(blank) 구간내의 특정 라인에 삽입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저장한 후 고스트 제거 제어기(6)에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고스트 제거 제어기(6)는 선입선출 메모리(5)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기준 신호를 읽어온 후 고스트를 야기시킨 공중 전송 채널의 정방향 채널 특성을 판별한 후 시간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산하여 고스트 제거를 위한 계수(K1)(K2)를 산출하고 이 계수(K1)(K2)를 유한충격 응답필터(2)와 무한충격 응답필터(3)에 각기 출력하게 된다.
즉, 고스트 제거 제어기(6)는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가산기(7)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출력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 성분(e(n))을 산출하여 계수 연산부(8)에 출력하고, 선입선출 메모리(5)의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를 입력받은 상관기(9)는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와의 상관 함수(RXY)를 고스트 유무 판별부(10)에 출력하는데, 상관함수(RXY)는 아래의 식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실제 전송 채널의 임펄스 응답은 RXY(n)을 RXX(0)으로 정규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고스트 유무 판별부(10)는 전송 채널 특성에 따른 상관기(9)의 출력신호(RXY)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판별함과 아울러 고스트 지연 시간을 산출하여 계수 연산부(8)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수 연산부(8)가 고스트 유무 판별부(10)의 출력 신호와 가산기(7)의 출력 신호(e(n))를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에 따른 상기 식(1) 내지 상기 식(4) 즉,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탭 수(L)(M)를 산출하고 이 필터 탭 수(L)(M)에 따른 고스트 제거를 위한 필터 계수(K1)(K2)를 산출하고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에 각기 필요한 만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고스트 제거 회로의 샘플링 주파수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임으로 샘플링 주기는 약 70 ns 정도가 되고 고스트 지연 시간을 샘플링 주기로 나누어 필터(2)(3)의 탭 수 (L)(M)의 필요 증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입력 신호(Vi)를 입력받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는 디지탈 변환을 수행하여 양자화 시키고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의 출력(V1)을 입력받은 유한충격응답필터(2)는 고스트 제거 제어기(6)의 출력(K1)과 선형 결합한 후 전고스트와 근접 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하고 이 신호(V2)를 입력받은 무한충격 응답필터(3)는 상기 고스트 제거 제어기(6)의 출력(K2)과 선형 결합한 후 후고스트가 제거되도록 필터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고스트를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가 유한충격 응답필터(2)와 무한충격 응답필터(3)를 순차적으로 통해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V3)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모니터로 출력함에 의해 고스트에 의한 다중상이 제거됨과 아울러 파형등화(waveform equalization)된 깨끗한 화면이 출력되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전송 채널 특성을 구함에 있어 상호 상관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주파수 영역 제산법(frequency-domain division method)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파수 영역 제산법은 전송 채널이 선형 시스템에 기초하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고스트 제거 기준신호(x(n))와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y(n))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각기 X(k), Y(k)라 하고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IDFT라 하면 전송 채널 특성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IDFT [Y(k)/X(k)]
상기와 같은 변환 과정은 고속 퓨리에 변환을 사용함으로써 연산 시간을 줄이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여 제거 범위 밖의 고스트 존재 유무를 판별함에 따라 필터의 탭수를 적응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고스트 제거 오차를 저감시켜 선명한 화면을 표시할 뿐아니라 실시간 처리를 통해 계산량을 감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스트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를 비교, 연산하여 필터 계수(K1)(K2)를 유한, 무한 충격 응답 필터(2)(3)에 출력함에 따라 고스트를 제거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성분(e(n))을 출력하는 오차 검출 수단과,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와 롬(ROM)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을 연산하여 상관 함수(RXY(n))를 산출함에 따른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는 상관 함수 산출 수단과, 이 상관 함수 산출 수단의 출력신호(RXY)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고스트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고스트 지연 시간을 판별하는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과, 이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오차 검출 수단의 출력신호(e(n))를 유한,무한충격 응답필터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유한,무한충격 응답 필터(2)(3)의 탭 수(L)(M)를 산출하고 이 탭수에 따른 필터 계수 (K1)(K2)를 상기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2)(3) 각각으로 출력하는 계수 연산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2. 고스트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를 비교, 연산하여 필터 계수(K1)(K2)를 유한, 무한 충격 응답 필터(2)(3)에 출력함에 따라 고스트를 제거하는 티브이에 있어서,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에서 고스트가 제거된 신호(y(n))를 감산하여 오차성분(e(n))을 출력하는 오차 검출 수단과,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와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각기 구하고 서로 나누어서 다시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전송 채널 특성을 구하는 주파수 영역 제산 수단과, 이 주파수 영역 제산 수단에서 구한 함수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고스트 제거 범위 밖에 고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고스트 지연 시간을 판별하는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과, 이 고스트 유무 판별 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오차 검출 수단의 출력신호(e(n))를 유한,무한충격 응답필터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하여 연산함에 의해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2)(3)의 탭 수(L)(M)를 산출하고 이 탭수에 따른 필터 계수(K1)(K2)를 상기 유한,무한충격응답 필터(2)(3) 각각으로 출력하는 계수 연산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3. 방송신호에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필터 계수(K1)(K2)를 유한, 무한 충격 응답 필터(2)(3)에 출력함에 따라 고스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연산하여 상호 상관 함수를 산출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산출된 상관 함수에 따라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구한 전송 채널 특성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밖의 고스트 유무를 판별하고 이 판별 결과를 참조하여 고스트 지연 시간의 범위를 산출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판별된 고스트 유무 및 지연 시간 범위에 따라 필터의 탭수(L)(M)를 결정하여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에서 수렴에 따른 필터 계수를 전송하여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특성을 가변시켜 고스트를 제거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방법.
  4. 방송신호에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와 수신기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필터 계수(K1)(K2)를 유한, 무한 충격 응답 필터(2)(3)에 출력함에 따라 고스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롬(ROM)에 저장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d(n))와 수신된 고스트 제거 기준 신호(x(n))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각기 구한 후 서로 나누어서 다시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의 연산 결과에 따라 전송 채널 특성을 판별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구한 전송 채널 특성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고스트 제거 범위밖의 고스트 유무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를 참조하여 고스트 지연 시간의 범위를 산출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판별된 고스트 유무 및 지연 시간 범위에 따라 필터의 탭수(L)(M)를 결정하여 최소 평균 제곱 오차 알고리즘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에서 수렴에 따른 필터 계수를 전송하여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와 무한 충격 응답 필터(3)의 특성을 가변시켜 고스트를 제거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방법.
KR1019930027849A 1993-12-15 1993-12-15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KR10029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849A KR100292476B1 (ko) 1993-12-15 1993-12-15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849A KR100292476B1 (ko) 1993-12-15 1993-12-15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75A KR950022775A (ko) 1995-07-28
KR100292476B1 true KR100292476B1 (ko) 2001-06-01

Family

ID=3752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849A KR100292476B1 (ko) 1993-12-15 1993-12-15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483B1 (ko) * 1995-12-13 200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고스트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75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9910B1 (en) Channel identification
US5121211A (en) System for echo cancellation comprising an improved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US50478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identification and signal restoration
US6133963A (en) System for echo cancellation comprising an improved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JP2000022992A (ja) ノイズ低減信号処理装置
KR100268019B1 (ko) 고스트 제거 방법 및 장치
KR960013223B1 (ko) 텔레비젼 신호용 고스트제거장치
EP0450720B1 (en) Ghost cancellation circuit
KR960015390B1 (ko) 고스트제거방법 및 장치
KR100292476B1 (ko)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오차 저감 회로 및 그 방법
JP2807628B2 (ja) ビデオ受信器、通信システムおよびゴースト消去方法
KR100283888B1 (ko) 고스트 제거 장치의 필터 계수 산출 방법
KR100283887B1 (ko) 고스트 제거 장치의 필터 계수 산출 방법
JP2735612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US7304687B2 (en) Ghost cancellation system using wavelet processed ghost cancellation reference signal
KR960016565B1 (ko) 고스트 제거 장치의 필터 계수 설정 장치
KR100303730B1 (ko) 시퀀스검출기를사용하는텔레비젼디고스트제거장치
Huang A ghost cancelation system for the NTSC television
KR100284422B1 (ko) 티브이의 고스트 제거 기준신호 포획회로
JP2625015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KR960013477B1 (ko) 고스트제거장치의 필터계수연산회로 및 그 필터계수연산방법
KR960013226B1 (ko) 고스트 제거방법
KR960013478B1 (ko) 고스트제거장치의 필터계수연산방법 및 그 회로
KR960039850A (ko) 티브이 시스템의 고스트 제거 장치
JP3430087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