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99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999B1
KR100291999B1 KR1019990020919A KR19990020919A KR100291999B1 KR 100291999 B1 KR100291999 B1 KR 100291999B1 KR 1019990020919 A KR1019990020919 A KR 1019990020919A KR 19990020919 A KR19990020919 A KR 19990020919A KR 100291999 B1 KR100291999 B1 KR 10029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pulse
address electrode
electrod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585A (ko
Inventor
홍진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9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소정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일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래치하는 래치부와, 래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의 스위칭수단과, 복수의 스위칭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용 고전압 펄스를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한 후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 펄스가 접지로 풀다운될 때, 펄스의 하강 시간이 펄스의 상승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조절하는 지연수단 즉, 다이오드와 저항소자를 설치해서 어드레스전극에 전압을 공급할 때는 다이오드를 통해서 공급하고, 어드레스전극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시킬 때는 저항소자를 통해서 풀다운시킴으로써, 어드레스전극의 하강 시간이 길어져 셀의 불필요한 방전으로 인해 벽전하가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의 휘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널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할 경우 다이오드와 저항소자가 피크 전류와 피크 전압을 막아주기 때문에 어드레스구동회로가 단락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riving Address Electrode in Plasma Display Panel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평면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중의 하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기간 중 패널의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하강(falling) 시점에서 어드레스전극의 풀-다운 전압을 지연시켜 셀 내의 벽전하의 소멸을 방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이터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 라 칭함)의 구성에는 각종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박형으로 하기 위해 대향하는 전면 유리기판과 후면 유리기판의 주위를 시일유리로 봉입해서 방전가스를 수용하는 기밀용기를 구성하는 것이 많이 채용되며, 통상 전, 후면 유리기판을 모두 저가격의 소다석회(soda-lime) 유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미세하고 다수의 표시셀을 가진 컬러 PDP에서는 인접하는 셀 간의 에러(error) 방전이나 색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혹은 패널 내외의 압력차를 견디거나 또 방전용 전극간 거리를 규정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로서 전, 후면 유리기판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이 격벽과 전, 후면 유리기판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인 공간의 한 개의 표시셀로 된다. 표시셀 내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는 각 색의 가시광을 발생한다.
화상 표시가 가능한 미세하고 다수의 표시셀을 가진 컬러 PDP에서는 통상 셀이나 전극 형성이 용이한 사각형 셀 배열이 채용된다.
방전용 전극을 패널의 가로(Row)와 세로(Column)로 배치하고, 각 가로 전극과 세로 전극이 교차 부분에 셀이 형성된다.
PDP에서 화소를 구성하는 셀(cell)의 가로 전극 및 세로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조절을 통하여 방전을 얻으며, 방전된 빛의 양은 셀 내에서의 방전 횟수를 변화시켜서 조절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동도면은 편의상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Y측 스캔전극 및 Z측 서스테인전극과 X측 어드레스전극의 행과 열은 동도면과 반대로 설치된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10)의 세로측에 스캔전극들(Y1∼Ym)과 Z측 서스테인전극들(Z1∼Zm)이 형성되며, 패널(10)의 가로측에는 어드레스전극들(X1∼Xn)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로측의 스캔전극들(Y1∼Ym) 및 서스테인전극들(Z1∼Zm)과 가로측의 어드레스전극들(X1∼Xn)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공간에 셀(15)들이 형성된다. 또 세로측의 서스테인전극들(Z1∼Zm)은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30)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 받으며, 세로측의 스캔전극들(Y1∼Ym)은 각각의 전극마다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Y측 스캔구동회로(20)로부터 소거주사(scan) 펄스, 서스테인(sustain) 펄스 및 라인소거(erase) 펄스를 인가 받도록 구성되며, 가로측의 어드레스전극들(X1∼Xn)은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 45)로부터 상기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 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의 출력단(41)은, 고전압(Vh)과 접지(GND)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입력 어드레스 펄스(P)에 따라 어드레스전극(X1∼Xn)의 전위를 고전압(Vh)으로 풀업시키거나 접지(GND)로 풀다운시키는 제 1 스위칭소자(Q1) 및 제 2 스위칭소자(Q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 45)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된 소정의 어드레스 구동신호에 따라 제 1 스위칭소자(Q1) 및 제 2 스위칭소자(Q2)가 작동하여 특정 셀의 어드레스전극(X1∼Xn)으로 어드레스용 고전압(Vh)을 인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어드레스 기간에 따른 X측 내지 Z측의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어드레스 기간의 하강 시점에서 X측과 Y측 전극의 벽전하의 소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위 셀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어드레스전극(X1∼Xn), 스캔전극(Y1∼Ym) 및 서스테인전극(Z1∼Zm)으로 도 2와 같은 펄스들을 인가하는 데, 어드레스전극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스캔전극에는 저전압이 인가되며, 서스테인전극에는 어드레스전극보다 낮은 펄스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전극(X1∼Xn)에는 90V의 전압을 인가하고, 스캔전극(Y1∼Ym)에는 -160V의 전압을 인가하고, 서스테인전극(Z1∼Zm)에는 25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어드레스전극과 스캔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상승 시점(㉮ 시점)에서 기록 방전이 일어나고 그 직후 ㉯ 시점에서는 도 3과 같이 셀 내의 어드레스(X) 및 스캔전극(Y)에 벽전하가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PDP의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는, 어드레스전극(X1∼Xn)에 인가되는 펄스의 하강 시점(㉰ 시점)에서 어드레스전극(X1∼Xn)의 전압 급강하와 스캔전극(Y1∼Ym)의 전압 급상승으로 인해 셀 공간(17) 내에서 자가소거(self erase) 방전이 일어날 우려가 있었고, 또 그로인해 어드레스전극(X)과 스캔전극(Y)에 형성된 벽전하가 서로 결합하여 벽전하의 일부가 소멸됨으로써, 이후에 발생되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벽전하의 결여로 인한 화면의 휘도(밝기)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의 출력단(41)에서 패널(10)의 어드레스전극을 직접 구동함으로서,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이 짧고 패널(10)에서 이상 방전 발생시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의 출력단(41)쪽으로 고전압이 유기되어구동회로 내부의 제 1 스위칭소자(Q1)와 제 2 스위칭소자(Q2)가 단락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전자파(EMi)도 많이 발생하여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어드레스 펄스의 하강 시간이 짧기 때문에 펄스의 하강시 어드레스전극과 스캔전극에 형성된 벽전하가 다시 방전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어서 어드레스 방전시 미스 라이팅(Miswriting)이 발생할 문제를 항상 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레스 기간 중 패널의 어드레스전극과 스캔전극에 인가되는 펄스의 하강(falling) 시점에서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이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로 풀-다운되는 시간을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지연시켜 방전함으로써, 셀 내의 벽전하의 소멸을 방지함과 아울러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이 접지로 방전될 때 발생되는 피크치의 전류와 전압을 막아 스위칭소자의 단락과 파손을 방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어드레스 기간에 따른 X측 내지 Z측의 단위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벽전하의 소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위 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어드레스 기간에 따른 X측 내지 Z측의 단위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셀(Cell)
120: Y측 스캔구동회로 140: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
160, 170: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 161: 시프트 레지스터
163: 래치부 165: 입출력스위치부
167: 저항수단(지연수단) Y1∼Ym: 스캔전극
Z1∼Zm: 서스테인전극 X1∼Xn: 어드레스전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데이터에 따라 스캔전극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어드레스 펄스를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하며 해당 셀을 주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싱 방식에 있어서:
(1) 어드레스 기간 중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구간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시간을 짧게 하고,
(2)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하강 구간에서는 저항소자로 인해 어드레스전극의 전위가 일정 시간 지연되며 접지로 풀다운되어,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하강 시간이 상승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장치는, 소정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일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래치하는 저장수단;
고전압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의 스위칭수단;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수단의 공통 접점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이 공통 접점을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용 고전압 펄스를 상기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한 후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 펄스가 접지로 풀다운될 때, 펄스의 하강 시간이 펄스의 상승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조절하는 지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다수의 셀(110)을 포함한 패널(100), Y측 스캔구동회로(120)와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140) 및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 170)를 구비한다.
상기 패널(100)은 미 도시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 각각 스캔전극(Y1∼Ym)과 서스테인전극(Z1∼Zm) 및 어드레스전극(X1∼Xn)이 각각 배치되고 각 전극들이 교차하는 부분에 적·녹·청 형광체가 도포된 방전 공간으로 기능하는 셀(110)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패널(100)의 상부 기판에 스캔전극(Y1∼Ym)과 서스테인전극(Z1∼Zm)이 형성되고, 패널(100)의 하부 기판에는 어드레스전극(X1∼Xn)이 형성되며, 스캔전극(Y1∼Ym)과 서스테인전극(Z1∼Zm) 및 어드레스전극(X1∼Xn)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셀(110)들이 형성된다.
또한, Y측 스캔구동회로(120)는 스캔전극(Y1∼Ym)에 화면의 주사를 위해 사용되는 소거주사 펄스와 방전된 셀(110)의 방전을 중지시켜 주기 위한 라인소거 펄스들을 발생하여 적절한 시기에 스캔전극(Y1∼Ym)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140)는 셀(110)의 방전을 유지시키기 위한 서스테인 펄스를 발생하여 적절한 시기에 서스테인전극(Z1∼Zm)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 170)는 외부 제어신호(control)에 따라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R·G·B)를 입력받아 래치한 후 어드레스 기간에서 Y측 스캔구동회로(120)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가 된 기록 펄스 즉,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하여 어드레스전극(X1∼Xn)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는, 소정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제어신호(control)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일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161)와, 시프트 레지스터(16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래치하는 래치부(163)와, 고전압(Vh)과 접지(GND) 사이에 설치되고 래치부(16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용 고전압(Vh)과 접지전압(GND)을 교대로 스위칭하는 입출력스위치부(165)와, 입출력스위치부(165)의 공통접점과 어드레스전극(X1∼Xn) 사이에 설치되어 입출력스위치부(165)를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용 고전압(Vh)을 어드레스전극(X1∼Xn)으로 인가하고 어드레스전극(X1∼Xn)의 고전압이 접지전압(GND)으로 방전될 경우 일정 지연 시간을 가지며 풀다운시키도록 조절하는 저항수단(16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의 입출력스위치부(165)는, 고전압(Vh)과 접지(GND)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래치부(16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펄스에 따라 각각 응답하여 어드레스전극(X1∼Xn)의 전위를 고전압(Vh)으로 풀업시키거나 접지전압(GND)으로 풀다운시키는 제 1 스위칭소자(Q1) 및 제 2 스위칭소자(Q2)로 구성되어 있고, 저항수단(167)은 제 1 스위칭소자(Q1)와 제 2 스위칭소자(Q2)의 공통 접점과 어드레스전극(X1∼Xn) 사이에 직렬 접속된 순방향 다이오드(D) 및 순방향 다이오드에 병렬 접속된 저항소자(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는 소정의 제어신호(control)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R·G·B)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된 어드레스 펄스에 따라 입출력스위치부(165)의 제 1 스위칭소자(Q1)가 턴-온되고 제 1 스위칭소자를 통해 출력된 고전압(Vh)은 다이오드(D)를 통해 특정 셀의 어드레스전극(X1∼Xn)으로 인가되고, 이후 어드레스전극(X1∼Xn)에 인가된 고전압(Vh)은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의 저항소자(R)와 제 2 스위칭소자(Q2)의 전류통로를 통하여 접지(GND)로 풀다운되는 데, 이때 풀다운되는 시간은 저항 크기에 따라 다소 달라지며, 주사펄스 및 서스테인 펄스 타이밍과 부합할 수 있는 최적의 저항 값을 선택하면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측의 스캔전극(Y1∼Ym)은 각각의 전극마다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Y측 스캔구동회로(120)로부터 소거주사 펄스, 서스테인 펄스 및 라인소거 펄스 등을 입력받고, 세로측의 서스테인전극(Z1∼Zm)은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140)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펄스를 입력받으며, 가로측의 어드레스전극(X1∼Xn)은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 170)로부터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만약, 특정 셀(X1, Y1, Z1)이 방전되어야 할 경우,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로부터 어드레스 펄스가 어드레스전극(X1)에 입력되고 소거주사 펄스가 어드레스 펄스와 동기화가 되어 스캔전극(Y1)에 입력되면, 어드레스전극과 스캔전극 사이의 전압이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임계전압 이상이 되어 셀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어드레스 기간에 따른 X측 내지 Z측의 단위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 170)와 Y측 스캔구동회로(120) 및 Z측 서스테인구동회로(140)는 각각 어드레스전극(X),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으로 도 5와 같은 펄스들을 발생하여 공급하는 데, 어드레스전극(X)에는 고전압의 펄스가 인가되고, 스캔전극(Y)에는 저전압의 펄스가 인가되며, 서스테인전극에는 어드레스전극보다 낮은 고전압 펄스가 인가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전극(X)에는 90V의 전압을 인가하고, 스캔전극(Y)에는 -160V의 전압을 인가하고, 서스테인전극(Z)에는 25V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펄스의 상승 시점(㉮ 시점)에서 어드레스전극(X)과 스캔전극(Y) 사이의 전압이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임계 전압 이상이 되어 기록 방전이 일어나고 그 직후 ㉯ 시점에서는 셀 내의 각 전극에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후, 어드레스전극(X)과 스캔전극(Y)의 전압 방전시점에서 어드레스전극(X)의 방전시점(㉰ 시점)은 스캔전극(Y)의 방전시점(㉱ 시점)보다 앞서며, 저항소자(R)의 저항 값에 따라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완만하게 접지로 방전하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160)의 출력단에 스위치부(165)의 공통출력 접점과 어드레스전극(X1∼Xn) 사이에 다이오드(D)와 저항소자(R)를 설치해서 패널(100)에 파형을 공급할 때는 제 1 스위칭소자(Q1)의 전류통로와 다이오드(D)를 통해 어드레스전극(X1)에 고전압(Vh)을 공급하고, 어드레스전극(X1)의 고전압(Vh)을 접지(GND)로 풀다운시킬 때는 저항소자(R)와 제 2 스위칭소자(Q2)의 전류통로를 통해서 접지(GND)로 방전하므로 도 5의 ㉰와 ㉱ 시점의 파형과 같이 펄스의 하강 시간이 길어지며, 시간에 대해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지연된다.
또한, 패널(100)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할 경우 다이오드(D)와 저항소자(R)가 피크 전류 및 피크 전압을 막아주기 때문에 출력단(165)의 스위칭소자들(Q1, Q2)이 파손되지 않고 하강 타임이 길어지기 때문에 어드레스 방전시 미스 라이팅(Miswriting)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은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40)의 출력단(41)에 위치한 스위칭소자들(Q1, Q2)이 패널(10)의 어드레스전극(X1∼Xn)을 직접 구동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출력단(165)에 위치한 스위칭소자들(Q1, Q2)의 공통접점과 어드레스전극(X1∼Xn) 사이에 다이오드(D)와 저항소자(R)를 병렬 연결하여 어드레스전극을 구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입출력스위치부(165)와 저항수단(167)은 편의상 단위 셀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며, X2 어드레스전극부터 Xn 어드레스전극도 실시 예와 같은 구동회로로 구성되며, 아울러 저항수단을 다이오드와 저항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버퍼나 지연소자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X측 어드레스구동회로의 출력단에 다이오드와 저항을 병렬로 설치해서 어드레스전극에 파형을 공급할 때는 다이오드를 통해서 공급하고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을 접지로 방전시킬 때는 저항소자를 통해서 풀다운시킴으로써, 어드레스전극의 하강 시간이 길어져 셀의 불필요한 방전으로 인해 벽전하가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의 휘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널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할 경우 다이오드와 저항소자가 피크 전류와 피크 전압을 막아주기 때문에 어드레스구동회로가 단락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입력 영상데이터에 따라 스캔전극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어드레스 펄스를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하며 해당 셀을 주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싱 방식에 있어서:
    (1) 어드레스 기간 중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구간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상승 시간을 짧게 하고,
    (2)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하강 구간에서는 저항소자로 인해 어드레스전극의 전위가 일정 시간 지연되며 접지로 풀다운되어, 상기 어드레스 펄스의 하강 시간이 상승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2. 소정의 소거주사 펄스와 동기화된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일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래치하는 저장수단;
    고전압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의 스위칭수단;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수단의 공통 접점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이 공통 접점을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용 고전압 펄스를 상기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한 후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고전압 펄스가 접지로 풀다운될 때, 펄스의 하강 시간이 펄스의 상승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조절하는 지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공통 접점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전류통로에 직렬 접속되어 어드레스용 고전압을 어드레스전극으로 인가시키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에 병렬 접속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전위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며 접지전압으로 풀다운시키는 저항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장치.
KR1019990020919A 1999-06-07 1999-06-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29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919A KR100291999B1 (ko) 1999-06-07 1999-06-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919A KR100291999B1 (ko) 1999-06-07 1999-06-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85A KR20010001585A (ko) 2001-01-05
KR100291999B1 true KR100291999B1 (ko) 2001-06-01

Family

ID=1959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919A KR100291999B1 (ko) 1999-06-07 1999-06-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2947B2 (ja) * 2000-09-29 2011-01-12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容量性負荷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21667B1 (ko) * 2001-03-07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761113B1 (ko) * 2004-06-30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96237B1 (ko) * 2005-01-05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KR100692867B1 (ko) 2005-05-10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585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25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plasma display
KR1009535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30392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의구동방법
US6836261B1 (en) Plasma 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7382337B2 (e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JP416243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7663573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400386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US6160530A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7049755B2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JP2907167B2 (ja)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710372B2 (en) PDP data driver, PDP driving method, plasm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2919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06087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이용되는 구동 방법
KR1006488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사용되는 구동방법
US7639212B2 (en) Ac-type gas-discharge display device
US8120602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clock being generated insider the data driver using XOR logic with the data signal and a second signal generated from the data signal using a encoding scheme as the two inputs that are transmitted to a clock generator inside the data driver
JP200235139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66223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US20040239594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6033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471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6810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655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026682B2 (ja) Pdpデータドライバ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