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920B1 - 전자총의 전극 - Google Patents

전자총의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920B1
KR100291920B1 KR1019990003509A KR19990003509A KR100291920B1 KR 100291920 B1 KR100291920 B1 KR 100291920B1 KR 1019990003509 A KR1019990003509 A KR 1019990003509A KR 19990003509 A KR19990003509 A KR 19990003509A KR 100291920 B1 KR100291920 B1 KR 10029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portion
main body
buried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064A (ko
Inventor
배성룡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0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92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빔이 통과하는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매립본체부와 상기 매립본체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절곡되면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절곡부를 가지는 매립부를 구비하는 전자총의 전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총의 전극{Electrode of electronic gun}
본 발명은 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드글래스에 융착시 몰입이 견고하게 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총의 전극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10)은 형광막(11a)이 형성된 패널(11)과, 상기 패널(11)의 단부와 융착되는 펀넬(12)과, 상기 패널(11)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무수개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섀도우마스크(13)와, 상기 펀넬(12)의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14)와, 상기 펀넬(12)의 네크부에 봉입되는 전자총(1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총(15)은 캐소우드와 제어전극, 스크린전극으로 된 삼극부와, 스크린 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프리포커스 렌즈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포커스전극과, 포커스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메인포커스 렌즈부를 형성하는 최종가속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한 전극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드글래스(bead glass,16)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도 2는 상기 언급한 전자총(15)의 전극(20)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20)은 본체부(21)와, 상기 본체부(21)의 상면에 캐소우드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각 전극사이에 형성된 전자렌즈부에 의하여 집속 및 가속될 수 있도록 세 개의 전자빔이 통과할 수 있는 전자빔 통과공(22)이 인라인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1)의 하단부에는 상기 비드글래스(16)에 융착되는 매립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자총(15)을 조립시에는 복수개의 전극이 중심부 치구의 심봉에 정열된 상태에서 각 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스에 의하여 위치가 설정되어 조립가능하다. 중심부 치구에 정열되어 조립이 완료된 각 전극 부품은 전극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비드글래스(16)에 융착된다.
즉, 상기 비드글래스(16)를 가열하여 반용융한 다음 유리화되었을 때, 상기 전극(20)의 매립부(23)를 가압하여 융착하게 된다. 이에따라, 각 전극의 간격을 유지시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극(20)은 매립부(23)의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총(15)의 상하부의 폭, 예컨대 서로 반대되는 부위에 위치되는 최종가속전극쪽과 캐소우드쪽의 폭이 비드글래스(16)에 대하여 소정간격 오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비드글래스(16)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전극들이 비틀리게 되어서 화상재현시 상퍼짐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극의 매립부 구조를 개선하여 비드글래스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총의 전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음극선관을 도시한 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극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이 네크부에 봉입된 상태를 도시한 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전극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전극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음극선관 11. 패널
12. 펀넬 15. 전자총
16,38. 비드글래스 20,30,40,50. 전극
21,41,51. 본체부 22. 전자빔 통과공
23,43,53. 매립부 43a,53a. 매립본체부
43b,53b. 돌출부 43c,53c. 절곡부
43d,53d. 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전자총의 전극은, 캐소우드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도록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소정부에 형성되어 비드글래스에 융착되는 매립부를 구비하는 전자총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매립본체부와, 상기 매립본체부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단부로부터 소정 크기의 통공을 가지고 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돌출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며, 비드글래스의 길이 방향으로 융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와 돌출부는 전극 본체부의 단변부 또는 장변부 방향중 어느 한쪽을 따라서 본체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전극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30)이 펀넬(12)의 네크부에 봉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펀넬(12)의 네크부에는 전자총(30)이 봉입된다. 상기 전자총(30)은 열전자의 방출원인 캐소우드(31)와, 상기 캐소우드(31)로부터 방출된 전자의 방출량을 외부 신호에 의하여 제어하는 제어전극(32)과, 스크린전극(33)으로 된 삼극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전극(33)과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프리포커스 렌즈부를 형성하는 제 1,2,3,4 포커스전극(34내지37)과, 상기 제 4 포커스전극(37)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메인 렌즈부를 형성하는 최종가속전극(38)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캐소우드(31)는 인라인 형상으로 적,녹,청색의 형광체에 발광가능하도록 세 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전자빔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전극은 삼색의 전자빔이 각각 통과하는 전자빔통과공이 독립적으로 배열되어 있거나, 세 전자빔이 다같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극들은 전자총(30)의 양 측부에 설치되는 비드글래스(38)에 융착되어 고정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4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40)은 본체부(41)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41)의 상면에는 캐소우드(31)로부터 방출되어 각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렌즈부에 의하여 집속 및 가속되는 세 개의 전자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독립된 소구경 형태의 전자빔 통과공(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에는 상기 비드글래스(38)에 융착되는 매립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매립부(43)는 상기 본체부(4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폭을 가지도록 연장된 매립본체부(43a)와, 상기 본체부(41)의 장변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비드글래스(38)에 매립되는 돌출부(4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3b)의 단부에는 돌출부(43b)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3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43c)도 돌출부(43b)와 마찬가지로 비드글래스(38)의 길이 방향으로 매립가능하고, 절곡부(43c)의 소정부에는 통공(4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43d)은 추후 기술될 비드글래스(38)가 반용융시 유리화된 비드글래스의 일부가 통공(43d)을 통하여 채워지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5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50)은 도 4에 언급된 전극(40)과 다른 위치에서 매립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극(50)은 본체부(51)와, 상기 본체부(51)의 상면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52)이 인라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51)의 하단부에는 매립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매립부(53)는 본체부(51)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매립본체부(53a)와, 상기 본체부(51)의 단변부 방향으로 매립본체부(53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는 돌출부(53b)와, 상기 돌출부(53b)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53c)와, 상기 절곡부(53c)의 소정부에 형성되는 통공(53d)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개의 전극(40)(50)을 가지는 전자총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산화방지, 이물질 및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소 열처리한 각 전극 부품을 중심부 치구의 심봉에 정열하게 된다. 이때, 각 전극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극과 전극사이에 전극별로 두께가 정해진 스페이스가 개재된다.
이어서, 중심부 치구에 정열되어 조립이 완료된 전자총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비드글래스(38)를 비드글래스용 치구에 삽입시킨후 소정 온도에서 가열하여 1/2 정도가 글래스가 되도록 반용융시킨다.
다음으로, 유리화된 글래스에 각 전극별로 형성된 매립부를 가압하여 융착시킨다. 이때, 상기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전극(40)(50)은 돌출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비드글래스(38)의 길이 방향으로 융착되어 표면적을 넓히게 되는 동시에 절곡부에 형성된 통공에 반용융 상태의 글래스가 채워지게 되므로 냉각이 되면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총의 전극은 비드글래스에 융착되는 매립부의 끝단부에 비드글래스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절곡부의 소정부에 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비드글래스의 미세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비드글래스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비드글래스에 대한 전자총의결합력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캐소우드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이 통과하도록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소정부에 형성되어 비드글래스에 융착되는 매립부를 구비하는 전자총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매립본체부와, 상기 매립본체부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단부로부터 소정 크기의 통공을 가지고 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의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돌출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며, 비드글래스의 길이 방향으로 융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의 전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돌출부는 전극 본체부의 단변부 또는 장변부 방향중 어느 한쪽을 따라서 본체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의 전극.
KR1019990003509A 1999-02-03 1999-02-03 전자총의 전극 KR10029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509A KR100291920B1 (ko) 1999-02-03 1999-02-03 전자총의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509A KR100291920B1 (ko) 1999-02-03 1999-02-03 전자총의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64A KR20000055064A (ko) 2000-09-05
KR100291920B1 true KR100291920B1 (ko) 2001-06-01

Family

ID=1957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509A KR100291920B1 (ko) 1999-02-03 1999-02-03 전자총의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64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920B1 (ko) 전자총의 전극
JP2001126636A (ja) 陰極線管
EP0905740A1 (en) Electron gun structure
KR10085210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4387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KR100262630B1 (ko) 평면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고정장치
KR100505074B1 (ko) 인라인형 전자총 및 이것을 사용한 컬러 수상관 장치
US5767616A (en) Electron gun system for a color cathode-ray tube
US6677701B2 (en) Stem for cathode ray tube
KR10031068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7147141A (ja) 陰極線管の電子銃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4524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4102Y1 (ko) 매립부 구조를 개선한 전자총 전극
KR200145254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4290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1004037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43743B1 (ko) 음극선관용 냉음극형 전자총
KR10040575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4106844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20000033554A (ko) 음극선관
JP2007165254A (ja) 陰極線管
KR20010046260A (ko) 평면 브라운관용 마스크 고정장치
JPH03214547A (ja) カラー受像管のシヤドウ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