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390B1 -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390B1
KR100291390B1 KR1019970082221A KR19970082221A KR100291390B1 KR 100291390 B1 KR100291390 B1 KR 100291390B1 KR 1019970082221 A KR1019970082221 A KR 1019970082221A KR 19970082221 A KR19970082221 A KR 19970082221A KR 100291390 B1 KR100291390 B1 KR 10029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write
output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928A (ko
Inventor
김부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8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3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5/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5/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data conversion without changing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for changing the speed of data flow, i.e. speed regularising or timing, e.g. delay lines, FIFO buffers; over- or underrun control therefor
    • G06F5/065Partitioned buffers, e.g. allowing multiple independent queues, bidirectional FIF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의 깊이와 넓이가 고정된 선입선출 모듈들을 효과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선입선출기의 쓰기쪽과 읽기쪽의 데이터 넓이와 깊이를 가변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주어진 선입선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선입선출 메모리로 구성되는 선입선출 모듈과; 쓰기 클럭 카운터 신호와 입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저항하도록 하는 데 데이터신호와 쓰기 신호를 출력하는 쓰기 데이터 처리부; 및 읽기 클럭 카운터 신호와 출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읽어 출력하도록 하는 읽기 데이터 처리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본 발명은 규격화된 선입선출(FIFO : First-In First-Out)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깊이와 넓이가 고정된 선입선출 모듈들을 효과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선입선출기의 쓰기쪽과 읽기쪽의 데이터 넓이와 깊이를 가변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주어진 선입선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입선출 메모리는 먼저 도착한 것부터 먼저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기 행렬의 처리방식의 하나이다.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판독하여 처리할 때, 써넣는 데이터를 먼저 판독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입선출 메모리는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넓이와 깊이가 정해져 있어 그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여 데이터의 깊이와 넓이가 고정된 선입선출 모듈들을 효과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선입선출기의 쓰기쪽과 읽기쪽의 데이터 넓이와 깊이를 가변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주어진 선입선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서 쓰기 및 읽기 클럭의 에지 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쓰기 데이터 처리부 111 : 쓰기 클럭 카운터
112 :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 113 : 입력 데이터 역다중화부
120 : 선입선출 모듈부 121∼124 : 선입선출 모듈1∼4
130 : 읽기 데이터 처리부 131 : 읽기 클럭 카운터
132 :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 133 :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는 복수개의 선입선출 메모리로 구성되는 선입선출 모듈과; 쓰기 클럭 카운터 신화와 입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신화와 쓰기 신호를 출력하는 쓰기 데이터 처리부; 및 읽기 클럭 카운터 신호와 출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읽어 출력하도록 하는 읽기 데이터 처리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쓰기 데이터 처리부는, 리셋트 신호 및 쓰기 클럭을 분주하는 쓰기 클럭 카운터와; 상기 쓰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쓰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와; 상기 쓰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데이터 역다중화부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읽기 데이터 처리부는, 입력된 리셋트 신호에 따라 읽기 클럭을 분주하는 읽기 클럭 카운터와; 상기 읽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클럭과 출력데이터 크기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읽기 크럭 신호를 출력하는 읽기 클럭 역 다중화부와, 상기 읽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주변회로인 쓰기 데이터 처리부(110); 상기 쓰기 데이터 처리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저장 판독하는 선입선출 모듈부(120); 상기 선입선출 모듈부(120)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읽기 주변회로인 읽기 데이터 처리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쓰기 데이터 처리부(110)는 초기화 신호인 리셋트(Reset)와 쓰기 클럭(W_CLK)을 입력으로 하여 10비트 쓰기 클럭 카운터인 쓰기 클럭 카운터(WCLK_CNT)(111)와 데이터 크기(Data_size[0:1]의 값과 클럭 'WCLK[9:8]'의 값에 따라 입력 값인 'W_CLK'를 'W_CLK1, W_CLK2, W_CLK3, W_CLK4'의 값으로 분주해주는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WCLK_MUX)(112); 상기 쓰기 클럭(WCLK[9:8])값과 데이터 크기(Data_size[0:1])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Data[31:0]) 값을 각각의 데이터(Data1[7:0], Data 2[7:0], Data 3[7:0], Data 4[7:0])로 분배하는 입력 데이터 다중화부(INPUT_Data_DMUX)(113)로 구성된다.
읽기 주변회로인 읽기 데이터 처리부(130)는 초기신호인 리셋트 신호와 읽기 클럭(R_CLK)를 입력으로 하여 10비트 카운터인 읽기 클럭 카운터(RCLK_CNT)(131); 데이터 크기(Data_size[0:1])의 값과 읽기 클럭(RCLK[9:8])의 값에 따라 입력 값인 읽기 클럭(R_CLK)을 'R_CLK1, R_CLK2, R_CLK3, R_CLK4'의 값으로 분배해주는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RCLK_DMUX)(132); 및 읽기 클럭(RCLK[9:8]) 값과 데이터 크기(Data_size[0:1])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Data 1[7:0], Data 2[7:0], Data 3[7:0],Data 4[7:0]'의 값을 'Data[31:0]'의 출력값으로 선택해주는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OUTPUT_Data_MUX)(133)로 구성된다.
쓰기 데이터 처리부(110) 및 읽기 데이터 처리부(130)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여 데이터를 입/출력해주는 선입선출 모듈부(120)는 데이터 넓이가 8비트이고 데이터 깊이가 256인 4개의 선입선출 모듈(121∼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선입선출 모듈(121∼124)은 데이터 크기(Data_size[0:1])값이 '00,01,11'로 됨에 따라 외부 병렬 데이터 넓이가 8비트, 16비트, 32비트로 가변된다. 이때,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112)와 입력 데이터 역다중화부(113)는 가변적으로 쓰기 클럭 'W_CLK1, 2, 3, 4' 와 'Data 1, 2, 3, 4[7:0]'을 조절하여 4개의 선입선출에 공급한다. 따라서 8비트 데이터 넓이일 때는 깊이가 256×4=1024로 되어 데이터가 저장되고, 데이터 넓이가 16비트일 때는 데이터 깊이가 256×2=512 만큼 데이터가 저장되고 데이터 넓이가 32비트일 때는 데이터 깊이가 256이 되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결국 데이터 넓이에 관계없이 모든 선입선출 메모리 용량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8비트 넓이의 선입선출 모듈을 가지고 데이터 넓이가 8비트의 배수가 되는 어떤 데이터 넓이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넓이와 깊이가 정해진 선입선출을 제한 사항없이 활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입선출 모듈 4개를 가지고 메모리를 구성할 경우 각 회로 부분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1 개의 선입선출 모듈은 8비트 데이터 넓이로 256의 깊이를 가지고 있어 8×256=2048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선입선출 모듈이 4개이므로 전체 메모리 크기는 2048×4=8192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선입선출 모듈 4개를 운용하는 것은 데이터 크기(Data_size[0:1])에 따라 결정된다. 즉, 'Data_size[1:0]=00'인 경우 데이터 넓이는 8비트이고, 'Data_size[0:1]은 16비트 'Data_size[0:1]=11'는 32비트로 운용된다.
먼저, 데이터 넓이가 8비트인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선입선출 모듈의 쓰기 주변회로인 쓰기 데이터 처리부(110)에서 쓰기 클럭 카운터(WCLK_CNT)(111)는 10비트 카운터인데,초기화는 리셋트 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클럭은 'W_CLK'의 상승 에지를 사용한다. 따라서 쓰기 클럭 카운터(111)가 셀 수 있는 최대 수는 선입선출 4개의 깊이의 합과 같은 1024이다. 결국 출력되는 쓰기 클럭(WCLK[9:8]) 값이 '00,01,10,11'의 4가지 데이터 형태로 출력되는데, 각 비트 값이 변할 때마다 256씩 계수 하게 된다.
한편,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112)는 'Data_size=00'으로 데이터 넓이가 8비트일 때, 입력값 'W_CLK'는 'WCLK[9:8]'가 '00'이면 'W_CLK1'로 출력되고, 'WCLK[9:8]' 값이 '01'일 때는 'W_CLK2'로 출력되고, 'WCLK[9:8]'값이 '10'일 때는 'W_CLK3'으로 출력되고, 'WCLK[9:8]' 값이 '11'일 때는 'W_CLK4'로 출력된다.
결국 쓰기 클럭 카운터(111)의 계수값이 1∼256'일 때는 선입선출 모듈 1(121)의 쓰기 입력 값인 'W_CLK1'이 어써트(assert)되고, 계수값이 257∼512 일 때는 선입선출 모듈2(122)의 쓰기 입력신호인 'W_CLK2'가 어써트되고, 계수값이 513∼768 일 때는 선입선출 모듈3(123)의 쓰기 입력인 'W_CLK3'이 어써트되고, 계수값이 769∼1024 일 때는 선입선출 모듈4(124)의 쓰기 입력 신호인 'W_CLK4'가 어써트된다.
입력 데이터 역다중화부(113)에서는 데이터 크기 'Data_size[0:1]'가 '00'인 상태에서 'WCLK[9:8]'값에 따라 'Data[31:0]'중 'Data[31:24]'의 8비트 데이터 값을 'Data 1[7:0], Data 2[7:0], Data 3[7:0], Data 4[7:0]'으로 차례로 출력한다.
결론적으로 쓰기 클럭(W_CLK)값이 각 선입선출 모듈 데이터 깊이인 256 만큼씩 계수 하게 되며, 쓰기 클럭(W_CLK)과'Data[31:24]'는 각각의 선입선출 모듈(121∼124)에 차례로 어써트되며, 각 쓰기 클럭(W_CLK)의 하강 에지에서'Data[31:24]'값이 각 선입선출에 쓰이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선입선출 모듈(121∼124)은 데이터 넓이 8비트, 데이터 깊이 1024로 운용된다.
'Data_size[0:1]'이 '00'값일 때 읽기는 다음과 같이 운용된다.
'RCLK_CNT'는 'WCLK_CNT'와 같은 동작을 하며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132)는 읽기 클럭(RCLK[9:8]) 값에 따라 'R_CLK1,R_CLK2, R_CLK3, R_CLK4' 값을 출력한다.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133)는 읽기 클럭(RCLK[9:8])값이 '00'이면 'Data1[7:0]'값을 'Data[31:0]' 중에서 'Data[31:24]'로출력하며 'RCLK[9:8]' 값이 '01'일 때는 'Data2[7:0]'값을, '10'일 때는 'Data3[7:0]'값을, '11'일 때는 'Data4[7:0]'값을 출력신호인 'Data[31:0]'중 'Data[31:24]'로 출력한다.
'Data_size[0:1]=01' 즉, 데이터 넓이가 16비트 일 때는 다음과 같이 쓰기와 읽기가 운용된다.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112)는 'Data_size[0:1]=01'일 때 'WCLK[8]'값만을 보며 이 값이 '0'이면 'W_CLK'을 'W_CLK1,W_CLK2'로 동시에 출력하며 'WCLK[8]'값이 '1'이면 'W_CLK'를 'W_CLK3, W_CLK4'로 동시에 출력한다.
입력 데이터 역다중화부(113) 역시 'WCLK[8] 값이 '0'이면 입력 데이터 'Data[31:0]'중 'Data[31:24]'를 'Data1[7:0]'으로 'Data[23:16]'을 'Data2[7:0]으로 보낸다. 그리고 'WCLK[8]값이 '1'이면 입력 데이터 'Data[31:0]'중 'Data[31:24]'를 'Data3[7:0]'으로 내보내고 'Data[23:16]'을 'Data4[7:0]'으로 내보낸다.
따라서, 4개의 선입선출 모듈(121∼124)은 데이터 넓이 16비트, 데이터 깊이 512 로 운용된다. 'Data_size[0:1]'이 '01'값일 때 읽기는 다음과 같이 운용된다.
읽기 클럭 카운터(131)는 쓰기 클럭 카운터(111)와 같은 동작을 하며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132)는 읽기 클럭 카운터(131)의'RCLK_CNT[8]'값이 '0'이면 'R_CLK'를 'R_CLK1'과 'R_CLK2'로 출력하며 'RCLK_CNT[8]'값이 '1'이면 'R_CLK'를 'R_CLK3'과'R_CLK4'로 출력한다.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133)는 'RCLK[8]'값이 '0'이면 'Data1[7:0]'을 출력인 'Data[31:0]'중 'Data[31:24]'로 내보내고'Data2[7:0]'을 'Data[31:0]'중 'Data[23:16]'으로 출력한다.
Data_size[0:1]="10"은 모든 로직이 동작하지 않으며 Data_size[0:1]="11"일 때 즉 데이터 넓이가 32 비트일 때 다음과 같이 쓰기와 읽기가 운용된다.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112)는 입력인 'WCLK' 값에 관계없이 'W_CLK' 값을 'W_CLK1, W_CLK2, W_CLK3, W_CLK4'로 동시에 출력한다. 입력 데이터 역다중화부(113)도 'WCLK' 값에 상관없이 'Data[31:0]'중 'Data[31:24]'는 출력인 'Data[7:0]'으로,'Data[23:16]'은 'Data 2[7:0]'으로, 'Data[15:8]'은 'Data 3[7:0]'으로 'Data[7:0]'은 'Data 4[7: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4 개의 선입선출 모듈(121∼124)은 데이터 넓이 32비트, 데이터 깊이 256으로 운용된다. 데이터 넓이가 32비트일 때 읽기는 다음과 같이 운용된다.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132)는 'RCLK_CNT"값에 상관없이 'R_CLK'을 'R_CLK1, R_CLK2, R_CLK3, R_CLK4' 로 동시에 출력하며출력 데이터 다중화부(133)도 'RCLK_CNT' 값에 상관없이 입력인 'Data1[7:0]'을 출력인 'Data[31:0]'중 'Date[31:24]'로출력하고 'Data2[7:0]'을 'Data[23:16]'으로 'Data3[7:0]'을 'Data[15:8]'로 'Data4[7:0]'을 'Data[7:0]'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의 깊이와 넓이가 고정된 선입선출 모듈들을 효과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선입선출기의 쓰기쪽과 읽기쪽의 데이터 넓이와 깊이를 가변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주어진 선입선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선입선출 메모리로 구성되는 선입선출 모듈과; 쓰기 클럭 카운터 신호와 입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신호와 쓰기 신호를 출력하는 쓰기 데이터 처리부; 및 읽기 클럭 카운터 신호와 출력측 데이터 크기신호에 따라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읽어 출력하도록 하는 읽기 데이터 처리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데이터 처리부는, 리셋트 신호 및 쓰기 클럭을 분주하는 쓰기 클럭 카운터와; 상기 쓰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쓰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쓰기 클럭 역다중화부와; 상기 쓰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데이터 역다중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데이터 처리부는, 입력된 리셋트 신호에 따라 읽기 클럭을 분주하는 읽기 클럭 카운터와; 상기 읽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클럭과 출력데이터 크기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에 읽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읽기 클럭 역다중화부와; 상기 읽기 클럭 카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입력 데이터 크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 다중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 장치.
KR1019970082221A 1997-12-31 1997-12-31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KR10029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21A KR100291390B1 (ko) 1997-12-31 1997-12-31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21A KR100291390B1 (ko) 1997-12-31 1997-12-31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928A KR19990061928A (ko) 1999-07-26
KR100291390B1 true KR100291390B1 (ko) 2001-06-01

Family

ID=375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221A KR100291390B1 (ko) 1997-12-31 1997-12-31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5647A (zh) * 2021-07-13 2021-10-08 湖南国科微电子股份有限公司 数据写入方法、数据读出方法及先进先出存储器
CN114527953B (zh) * 2022-04-24 2022-07-08 深圳云豹智能有限公司 存储器数据处理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40A (ja) * 1992-07-07 1994-02-04 Fujitsu Ltd Fifo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40A (ja) * 1992-07-07 1994-02-04 Fujitsu Ltd Fifo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928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48B1 (ko) 단일포트 램을 이용한 동시 어드레싱
US5864505A (en) Random access memory with plural simultaneously operable banks
GB2312305A (en) Embedded memory block with fifo mode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
US20050265106A1 (en) Compact decode and multiplexing circuitry for a multi-port memory having a common memory interface
US20030221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data from a memory
KR870003431A (ko) 데이타 처리장치
US200501802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memory access
US20020087750A1 (en) Variable input/output control device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EP052042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60155940A1 (en) Multi-queue FIFO memory systems that utilize read chip select and device identification codes to control one-at-a-time bus access between selected FIFO memory chips
KR100291390B1 (ko) 선입선출 메모리의 데이터 확장 입력장치
US5845314A (en) Data storage apparatus, data reading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5448714A (en) Sequential-access and random-access dual-port memory buffer
US7738496B1 (en) Device that provides the functionality of dual-ported memory using single-ported memory for multiple clock domains
KR20180127755A (ko) 데이터 정렬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JP4019757B2 (ja) 記憶装置
JPH02177190A (ja) メモリ装置
EP1585024B1 (en) An improved on-chip storage memory for storing variable data bits
US6442657B1 (en) Flag generation scheme for FIFOs
JP4517741B2 (ja) 記憶装置
JPH10144071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75093B1 (ko) 둘 이상의 입력포트를 구비하는 집적 회로 장치 및 시스템
EP1459291B1 (en) Digital line delay using a single port memory
US7849255B2 (en) Pseudo-bidimensional randomly accessible memory using monodimensional sequentially-accessiblle memory structure
EP1550953A1 (en) Method and device implementing a time multiplexed access to a single dual port RAM from several data source with independent c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