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075B1 -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 Google Patents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075B1
KR100291075B1 KR1019980012184A KR19980012184A KR100291075B1 KR 100291075 B1 KR100291075 B1 KR 100291075B1 KR 1019980012184 A KR1019980012184 A KR 1019980012184A KR 19980012184 A KR19980012184 A KR 19980012184A KR 100291075 B1 KR100291075 B1 KR 10029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value
phase estimation
continuity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542A (ko
Inventor
채명식
최안나
구준모
김병무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8001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0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51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using partial detection
    • H04B1/70753Partial phase sear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001/70724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파일롯 심벌을 초기 위상 추정과 에러 수정에 이용하고,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로부터 위상을 추정하는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출력되는 위상추정값을 받아 소정의 기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 및 적분 및 샘플링된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이전 위상추정값과 연속성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부호를 결정하여 위상추정값을 얻기 위한 부호 결정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HASE ESTIMATION USING THE CONTINUOUS PHASE CHANGE IN SYMBOL PERIOD}
본 발명은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의 동기 변조(coherent modulation) 방식에서 위상의 연속성으로 인해 데이터 심벌 간격 사이에 위상값이 소량 변화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위상을 추정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동기 변조(coherent modulation)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를 복조할 때 보상하기 위한 위상값을 추정(estimation)하기 위하여 파일롯 채널 또는 파일롯 심벌을 이용하였다.
파일롯 채널을 이용하여 위상값을 구하고 그를 통해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파일롯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는 복조부와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즉, 저역통과 필터(LPF : Low Pass Filter) 및 적분기(Integrate and Dump)를 구비한다.
파일롯 신호는 '1'이라는 특정값만이 전송되고 데이터 신호는 d[k]가 전송된다고 하자. 이때, 파일롯 신호를 복조하는 블록에서 I 채널 및 Q 채널의 k번째 출력을 각각 RI,P[k], RQ,P[k]라고 하면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에서 I 채널 및 Q 채널의 k번째 출력을 각각 RI,D[k], RQ,D[k]라고 하면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따라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위상추정값을 이용하면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데이터 심벌을 복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위상값을 구하고 데이터 심벌을 복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파일럿 심벌을 이용하여 위상값을 추정하고 데이터 심벌을 복조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파일롯 심벌을 이용한 위상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파일롯 심벌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사이에 삽입되어 송신된다. 파일롯 심벌의 송신값은 일정('1')하므로 이 부분의 심벌은 파일롯 채널을 복조할때와 같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파일롯 심벌을 이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식은 k번째 파일롯 심벌로부터 얻어진 위상값을 k+1번째 파일롯 심벌이 수신될때까지 데이터 복조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k번째와 k+1번째 사이 구간에서 실제 위상값이 크게 변한다면 이러한 방식으로는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k번째와 k+1번째 파일롯 심벌 사이의 데이터를 변조할 때, k-1, k, k+1, k+2번째 파일롯 심벌로부터 얻어진 위상값을 보간하여 사용하였다. k번째 파일롯 심벌로부터 얻어진 위상값이라면, 도 1 의 k와 k+1번째 사이 구간에서 데이터 복조에 이용되는 위상추정값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용되는 파일롯 심벌의 수(도 1에서는 4)와 보간을 위한 가중치, ??n(n=1,2, 3...)은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해 종래의 파일롯 채널을 이용한 위상 추적 및 파일롯 심벌을 이용한 위상 추적에 대해 설명하였다.
파일롯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여야만 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용량이 줄어들며, 파일롯 심벌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수학식 4]와 같이 데이터 심벌 사이에 전송된 몇 개의 파일롯 심벌로부터 위상값을 보간(interpolation)하여 사용하므로, 위상값을 구할때 오차가 수반되며, 데이터의 앞과 뒤에 전송되는 파일롯 심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할 버퍼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파일롯 심벌을 초기 위상 추정과 에러 수정에 이용하고,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벌로부터 위상을 추정하는 위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파일롯 심벌을 이용한 위상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의 부호결정기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에 이용되는 필터의 구성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상추정부 11, 12, 19, 20 : 곱셈기
13, 14, 18 : 필터 15, 16 : 적분기
17 : 부호 결정기 21 : 덧셈기
22 : 지연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위상 추정 장치에 있어서, 출력되는 위상추정값을 받아 소정의 기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 및 적분 및 샘플링된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이전 위상추정값과 연속성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부호를 결정하여 위상추정값을 얻기 위한 부호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에 적용되는 위상 추정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파일롯 심벌인지 데이터 심벌인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신호가 파일롯 심벌이면, 복조장치의 필터를 리셋하고 상기 파일롯 심벌을 이용하여 초기 위상값을 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신호가 데이터 심벌이면, 이전 위상값과 상기 수신 신호 위상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부호를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결정된 부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값을 계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수신 신호 s(t)는 통신시스템 복조기의 기본 구조에서 처리되는 것처럼 곱셈기(11, 12)에 의해와 곱해지고, 기저대역 필터(13, 14)를 거쳐 동상(I : in-phase) 신호와 직교(Q : quadrature) 신호로 분리된다. 그리고, k(여기서, k는 자연수)번째 심벌이 전송되는 시간동안 적분기(integrate & dump, 15, 16)를 이용하여 적분하고 샘플링을 취하면, 이때 적분기(15, 16)에서의 출력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d[k]는 데이터 값이고, cos ??k, sin ??k는 위상값이다.
k번째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 심벌의 값이 '+1'이면 d[k]가 '+1'인 것이므로 RI,D[k], RQ,D[k]로 표현된 출력이 위상값인 cos ??k, sin ??k와 같아 출력 RI,D[k], RQ,D[k]가 위상값이 된다.
데이터 심벌의 값이 '-1'이면 d[k]가 '-1'인 것이므로 위상값 cos ??k, sin ??k는 출력 RI,D[k], RQ,D[k]에 -1을 곱하여 부호를 반전시키면 위상값이 된다.
여기서, 해결할 문제점은 k번째 데이터를 복조하려고 하기 때문에 d[k]의 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측은 모른다는 것이다. 즉, 출력 RI,D[k], RQ,D[k]는 알지만, 데이터 심벌의 값인 d[k]는 모르므로 위상값 cos ??k, sin ??k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부호 결정기(17)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되는 출력값으로부터 위상값을 결정한다. 위상값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이지만 고속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즉 심벌사이의 시간 간격이 작을 경우는 위상의 연속성으로 인해 위상값이 아주 조금만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부호 결정기(17)에서 위상값을 구할 수 있다.
k-1번째 위상값을 알고 있고, 적분기(15, 16)에서 출력되는 k번째 출력이 상기한 [수학식 5]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RI,D[k], RQ,D[k]를 k번째 데이터 심벌 복조를 위한 위상값으로 사용할지 아니면 -RI,D[k], -RQ,D[k]를 위상값으로 사용할지 여부를 부호결정기(17)에서 결정한다. 이는 두 값 중 어떤 값이에서 변화가 조금 발생했는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확인하고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결정할 수 있는 이유는 데이터 심벌 값 d[k]가 '+1' 또는 '-1'이므로 출력값인 RI,D[k], RQ,D[k]의 부호의 반전시킬 것인지의 여부만 결정되면 그 값이 바로 위상값 cos ??k, sin ??k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학식 6]의 관계를 만족하면 부호결정기(17)는 위상값을 적분기(15, 16)에서 출력된 RI,D[k], RQ,D[k]로 판단한다.
이러한 [수학식 7]의 관계를 만족하면 부호결정기(17)는 위상값을 적분기(15, 16)에서 출력된 값을 부호 반전시킨 -RI,D[k], -RQ,D[k]로 판단한다.
상기한 [수학식 6] 및 [수학식 7]을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8] 및 [수학식 9]와 같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면 부호결정기(17)에서 수신하는 RI,D[k], RQ,D[k]를 +cos ??k, +sin ??k로 판별하여 수신값 RI,D[k], RQ,D[k]를 그대로 위상값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면 부호결정기(17)에서 수신하는 RI,D[k], RQ,D[k]를-cos ??k, -sin ??k로 판별하여 수신값 RI,D[k], RQ,D[k]를 부호 반전시킨 -RI,D[k], -RQ,D[k]를 위상값으로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호결정을 수행하는 부호결정기(17)에 대해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한 [수학식 8] 및 [수학식 9]의 경우에 등호가 성립되는 경우에는 수신값을 그대도 위상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수신값의 부호 반전값을 위상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부호결정기(17)에서 부호가 결정된 위상값은 오차를 수반할 수 있으므로 필터(18)에 입력되어 오차를 줄인 위상값을 구한다. 이는 이전까지 얻어진 위상값들과 함께 현재 데이터의 복조에 이용된다.
필터(18)는 소정 탭 수의 필터계수에 따라 상기 위상값을 필터링하여 위상추정값을 결정한다. 필터(18)의 탭 수가 L이라면 을 이용하여 값을 얻게 된다. 이와같이 필터링을 함으로써 구하여진 위상값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필터(18)에서 구하여진 출력값은 곱셈과 덧셈 연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복호하는 데이터 복호기(19, 20, 21)로 입력되어, 적분기(15, 16)로부터 출력된 샘플링된 I, Q 성분과 함께 아래의 [수학식 10]에 보여지는 것처럼 곱해져서 k번째 데이터 심벌의 값으로 결정된다.
일정한 주기로 전송되는 파일롯 심벌은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초기의 위상값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뿐만 아니라, 위상값을 추정할 때 에러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필터(18)를 리셋하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였지만 실제의 경우 지연기(22)를 통하여 피드백(feedback)시킨 위상값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을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피드백(feedback)시킨 위상값과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상값을 구하는 방식에서 초기에는 기준으로 사용할 위상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는 초기 위상값 cos1, sin1을 주기적으로 얻기 위하여 파일럿 심벌 구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파일럿 심벌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일럿 심벌 구간에서 얻어진 위상값을 평균하여 파일럿 심벌 구간 사이의 위상값을 결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파일럿 심벌 구간에서 얻어진 위상값을 초기치로 사용하여 파일럿 심벌 사이의 데이터 심벌에 대해서도 연속적으로 위상값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연산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에러가 발생한 심벌 이후의 데이터를 복조할때는 계속 에러가 누적되므로 송신과 수신측에서 사전에 약속한 패턴(보통 1)이 수신되는 파일럿 심벌 구간에서 초기 위상값을 새로 결정하고, 필터(18)를 파일럿 심벌 구간에서 얻어진 위상값으로 초기화시켜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하게 된다. 즉 파일럿 심벌 구간에서 얻어진 초기 위상값을 초기값으로 파일럿 심벌 구간 사이의 데이터 심벌들에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하면 위상이 서서히 변하는 채널 환경에서 위상의 변화가 연속적으로 변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위상값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의 부호결정기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부호결정기(17)는 상기한 [수학식 6] 및 [수학식 7]을 바탕으로 정리된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따라 만들어진다.
부호결정기(17)는 곱셈기(301, 302, 304, 305), 덧셈기(303, 306, 307) 및 판별기(308)를 포함한다.
부호결정기(17)의 입력신호로 RI,D[k] 즉, dkcos ??k를 적분기(15)로부터 전달받아, 지연기(22)로부터 전달된 cosk-1에 부호를 반전한 -cosk-1와 함께 제1 곱셈기(301)에서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cos ??k??cosk-1을 출력한다.
또한, 부호결정기(17)의 입력신호로 RQ,D[k] 즉, dksin ??k를 적분기(16)로부터 전달받아, 지연기(22)로부터 전달된 sink-1에 부호를 반전한 -sink-1와 함께 제2 곱셈기(302)에서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sin ??k??sink-1을 출력한다.
제1 덧셈기(303)에서는 제1 곱셈기(301)에서 출력된 -dk??cos ??k??cosk-1와 제2 곱셈기(302)에서 출력된 -dk??sin ??k??sink-1을 입력받아 덧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cos ??k??cosk-1-dk??sin ??k??sink-1을 출력한다.
제3 곱셈기(304)에서는 부호결정기(17)의 입력신호인 RI,D[k] 즉, dkcos ??k를 적분기(15)로부터 전달받아, 지연기(22)로부터 전달된 cosk-1와 함께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cos ??k??cosk-1을 출력한다.
또한, 제4 곱셈기(305)에서는 부호결정기(17)의 입력신호인 RI,Q[k] 즉, dksin ??k를 적분기(16)로부터 전달받아, 지연기(22)로부터 전달된 sink-1와 함께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sin ??k??sink-1을 출력한다.
제2 덧셈기(306)에서는 제3 곱셈기(304)에서 출력된 dk??cos ??k??cosk-1와 제4 곱셈기(305)에서 출력된 dk??sin ??k??sink-1을 입력받아 덧셈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 dk??cos ??k??cosk-1+dk??sin ??k??sink-1을 출력한다.
제3 덧셈기(307)에서는 제1 덧셈기(303)에서 출력된 -dk??cos ??k??cosk-1-dk??sin ??k??sink-1을 전달받아 부호를 반전한 dk??cos ??k??cosk-1+dk??sin ??k??sink-1을 제2 덧셈기(306)에서 출력된 dk??cos ??k??cosk-1+dk??sin ??k??sink-1과 덧셈 연산을 수행하여 dk??cos ??k??cosk-1+dk??sin ??k??sink-1+dk??cos ??k??cosk-1+dk??sin ??k??sink-1을 출력한다.
판별기(308)에서는 제3 덧셈기(307)에서 출력된 dk??cos ??k??cosk-1+dk??sin ??k??sink-1+dk??cos ??k??cosk-1+dk??sin ??k??sink-1이 0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0보다 크거나 같으면 부호결정기(17)에서 수신값을 그대로 위상값으로 결정하여, 필터(18)에 입력한다.
이는 필터(18)에 RI,D[k]인 dkcos ??k와 RI,Q[k]인 dksin ??k가 입력되는 것이다. 즉, 부호결정기(17)에서 출력되어 필터(18)에 입력되는 값은 적분기(15, 16)에서 출력되어 부호결정기(17)가 수신한 RI,D[k]와 RI,Q[k]가 되는 것이다.
판별 결과, 0보다 작으면 부호결정기(17)에서 수신값의 부호 반전값을 위상값으로 결정한다.
이는 필터(18)에 -RI,D[k]인 -dkcos ??k와 -RI,Q[k]인 -dksin ??k가 입력되는 것이다. 즉, 부호결정기(17)에서 출력되어 필터(18)에 입력되는 값은 적분기(15, 16)에서 출력되어 부호결정기(17)가 수신한 RI,D[k]와 RI,Q[k]를 부호 반전시킨 값이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에 이용되는 필터의 구성예시도이다.
필터(18)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연기(401, 402, 403), 곱셈기(411, 412, 413, 414) 및 덧셈기(4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연기와 곱셈기의 수는 채널 환경에 따라서 결정된다.
필터(18)에 입력되는 값은 도 3 에 표시된 것처럼 부호 반전이 필요없는 경우는 적분기(15, 16)의 출력값인 dkcos ??k, dksin ??k즉, RI,D[k], RI,Q[k]가 되며, 부호 반전이 필요한 경우는 적분기(15, 16)의 출력값에 부호 반전된 -dkcos ??k, -dksin ??k즉, -RI,D[k], -RI,Q[k]가 된다.
이렇게 입력되는 값은 부호 결정기(17)에서 추정된 위상값 cos ??k, sin ??k에 해당되며, 도면에서는 위상값의 입력을 나타내기 위해 입력값을 cos ??k, sin ??k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 도 2 의 필터 설명 부분인 다음과 동일하다.
부호결정기(17)에서 부호의 결정에 따라 얻어지는 위상값은 필터(18)에 입력되어 이전까지 얻어진 위상값들과 함께 현재 데이터의 복조에 이용될 위상값 cosk, sink를 구하는데 이용된다.
필터(18)는 소정 탭 수의 필터계수에 따라 상기 위상값을 필터링하여 데이터복조에 사용될 위상추정값을 결정한다.
도 4 에서는 필터(18)의 탭 수가 3이므로 cos ??k, cos ??k-1, cos ??k-2, cos cos ??k-3및 sin ??k, sin ??k-1, sin ??k-2, sin ??k-3를 이용하여 cosk, sink값을 얻게 된다. 이와같이 필터링을 함으로써 구하여진 위상추정값은 필터(18)에 입력되는 위상추정값에서 오차를 줄인 값이다.
이러한 필터(18)는 상기한 [수학식 4]에서 종래에 파일롯 심벌들로부터 얻어진 위상값을 보간하여 데이터 구간에서 위상추정값을 구하는 것처럼 종래의 위상추정값을 이용하여 부호 결정기(17)에서 얻어진 위상추정값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추정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신호를 수신한(51) 후, 수신 신호가 파일롯 심벌인지 또는 데이터 심벌인지 판단하여(52), 파일롯 심벌이면 복조기의 필터를 리셋하고 초기 위상값을 계산한다(53). 수신 신호가 데이터 심벌이면 이전 위상값과의 변화량을 계산하여(54) 현재수신 신호가인지 또는인지 결정한다(55). 위상값의 부호가 '+'이면 부호를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값을 그대로 필터에 입력하여 필터에서 위상값을 추정하고(57), 위상값의 부호가 '-'이면 부호를 반전시킨후 위상값을 위상값을 추정한다(56). 그리고, 필터에서 계산된 위상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38). 필터에서는 k번째까지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k번째 데이터 복조에 이용할 위상값을 추정한다. k번째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하여, k번째 추정된 위상값을 동상 및 직교 신호에 각각 곱한다. k번째 추정된 위상값은부호 판별 블록으로 입력되어 k+1번째 부호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파일롯 심벌 구간을 이용하여 위상값의 초기치를 구함으로써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채널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위상을 추정함으로써 위상 추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통신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위상 추정 장치에 있어서,
    출력되는 위상추정값을 받아 소정의 기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 및
    적분 및 샘플링된 수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이전 위상추정값과 연속성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부호를 결정하여 위상추정값을 얻기 위한 부호 결정 수단
    를 포함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결정 수단에서 얻어진 위상추정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상기 부호 결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위상추정값을 입력받아 소정 탭 수의 필터계수에 따라 상기 위상추정값을 필터링하여 오차가 보정된 위상추정값을 구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수단은,
    상기 부호 결정 수단의 후단에 위치하여 외부의 데이터 복호 수단 및 상기 지연수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위상추정값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결정 수단은,
    이면 (여기서, RI,D[k], RQ,D[k]는 적분 및 샘플링된 상기 수신 신호의 I 채널 및 Q 채널의 k번째 값) 위상추정값은 RI,D[k], RQ,D[k]로 결정하고,
    이면 -RI,D[k], -RQ,D[k]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수단은,
    파일롯 심벌 구간에서 리셋 및 초기 위상값 획득을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결정 수단은,
    파일롯 심벌 구간에서 약정된 데이터 심벌 값 및 적분 및 샘플링된 상기 수신 신호를 통해 초기 위상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
  7.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에 적용되는 위상 추정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신호가 파일롯 심벌인지 데이터 심벌인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신호가 파일롯 심벌이면, 복조장치의 필터를 리셋하고 상기 파일롯 심벌을 이용하여 초기 위상값을 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신호가 데이터 심벌이면, 이전 위상값과 상기 수신 신호 위상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부호를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결정된 부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위상값을 계산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이면(여기서, RI,D[k], RQ,D[k]는 적분 및 샘플링된 상기 수신 신호의 I 채널 및 Q 채널의 k번째 값) 현재의 수신신호를으로 판단하여 위상추정값을 RI,D[k], RQ,D[k]하고,
    이면 현재의 수신신호를로 판단하여 위상추정값을 -RI,D[k], -RQ,D[k]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의 연속성을 이용한 위상 추정 방법.
KR1019980012184A 1998-04-07 1998-04-07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KR10029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84A KR100291075B1 (ko) 1998-04-07 1998-04-07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84A KR100291075B1 (ko) 1998-04-07 1998-04-07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42A KR19990079542A (ko) 1999-11-05
KR100291075B1 true KR100291075B1 (ko) 2001-07-12

Family

ID=3752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84A KR100291075B1 (ko) 1998-04-07 1998-04-07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42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5232C (en) Carrier recovery system
EP0736986B1 (en)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hich use reference data inserted into a transmission signal in order to estimate the transmission channel quality
US5627861A (en) Carrier phase estimation system using filter
US6947504B1 (en) Frequency synchronizer
US6111921A (en) Estimator of error rate
EP0606163B1 (en) Delay demodulator for burst-mode PSK-signals
JPH06326624A (ja) フェージング歪補償方式及びその回路
JP3659800B2 (ja) 位相誤差検出装置
KR100291075B1 (ko) 위상의연속성을이용한위상추정장치및그방법
JP3101955B2 (ja) ディジタル変調信号の復調装置
US5774508A (en) Data synchronizer phase detect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68069B1 (ko) T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및 도플러 주파수오차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A2028820C (en) Line signal deterioration removing system
US6618453B1 (en) Estim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496167B2 (en) Storage efficient sliding window sum
US7039139B1 (en) System for increasing digital data demodulator synchronization timing resolution using training sequence correlation values
EP1337083A1 (en) DC offset and channel impulse response estimation
US6940927B2 (en) Simplified symbol timing tracking circuit for a CPM modulated signal
KR100260056B1 (ko) 파일롯 심벌 및 복조된 데이터 심벌을 이용한 위상 추정 장치및 그 방법
KR10033023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단의 타이밍 복구회로
KR0155519B1 (ko) Dpsk 복조기
JP2000151732A (ja) キャリア位相推定装置とキャリア位相推定装置を用いた復調器
KR100390433B1 (ko) 디지털 tv 수신기의 에러 추적 장치
US5953385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error on the frequency of a carrier
KR100194936B1 (ko) 디지탈 변조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기준신호를 이용한 디지탈 신호 판정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