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991B1 - 자동차용 키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키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991B1
KR100290991B1 KR1019990014918A KR19990014918A KR100290991B1 KR 100290991 B1 KR100290991 B1 KR 100290991B1 KR 1019990014918 A KR1019990014918 A KR 1019990014918A KR 19990014918 A KR19990014918 A KR 19990014918A KR 100290991 B1 KR100290991 B1 KR 10029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rame
shaft
ignition key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270A (ko
Inventor
박만복
Original Assignee
김 영 창
주식회사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 영 창, 주식회사우진산전 filed Critical 김 영 창
Priority to KR101999001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9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키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표면에 LOCK, ACC, ON, START, PUSH를 표시하는 기능표시판(52)이 장착되며, 내측에 수용홈(54)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에 의하여 조향축에 장착되는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5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54)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축(56)과, 상기 수용홈(54)과 작동축(56)의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축(56)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58)과, 상기 프레임(50)의 수용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회동 및 전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되며, 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62)의 측벽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로터(60)와, 상기 로터(6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그니션키이(64)가 로터(60)에서 이탈됨에 따라 조향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장치(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키이장치{Key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키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키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난방지를 위하여 조향장치가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티어링 록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티어링 록장치는 이그니션키이가 이탈됨에 따라 록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자동차가 주행주인 상태에서 키이장치에 끼워져 있는 이그니션키이가 진동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키이장치에서 이탈되거나, 운전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이그니션키이가 키이장치에서 이탈되거나, 조수석에 탑승한 아이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이그니션키이를 키이장치에서 이탈할 경우 록 장치가 작동되어 조향핸들의 회동이 제한되어진다. 록 장치에 의하여 조향핸들의 회전이 제한됨으로 주행방향을 수정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키이 장치에서 이그니션키이를 이탈하기 위하여 '온' 위치(운전위치)에서 '록' 위치(이그니션키이를 삽입하거나 이그니션키이가 이탈되는 위치)로 회동될 때 록 위치의 전단계에서 이그니션키이의 회동을 일단 정지시키고, 이 정지상태를 해제 하는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한 록 위치에서 이그니션키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여러가지의 키이장치가 개발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캠체 걸림돌부에서 스톱퍼가 이탈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할 경우 이그니션키이(10)를 로터(1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그니션키이(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캠체(13)는 스톱퍼(14)의 일측 선단을 따라 회전되어진다. 이그니션키이(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면, 이그니션키이(10) 및 캠체(13)가 ' LOCK ' - ' ACC ' - ' ON ' - ' START ' 위치를 따라 회전하게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되는 것이다.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이그니션키이(10)의 회전력을 해소하면, 로터케이스(16)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그니션키이(10) 및 로터(12)가 'ON' 위치로 회전되어진다.
자동차의 엔진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이그니션키이(10)를 ' ACC '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때, 이그니션키이(10)와 함께 회전되는 캠체(13)의 걸림돌부(13a)가 스톱퍼(14)의 한쪽 선단에 접촉됨으로 이그니션키이(10)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 동작단계에서 이그니션키이(10)를 로터(12)로 가압하면, 로터(12)를 따라 같이 움직이는 스프링판(20)에 의하여 스톱퍼(14)가 눌려져 스톱퍼(14)의 한쪽 선단이 캠체(13)의 걸림돌부(13a)에서 이탈됨으로 캠체(13)가 계속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이그니션키이(10)를 회동시키면, 이그니션키이(10) 및 로터(12)가 ' LOCK ' 위치로 회전됨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키이장치는 캠체를 2모션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2모션장치가 스톱퍼를 축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스톱퍼가 스프링판과 스프링에 의하여 시이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많아 작업자가 조립하기가 매우 불편함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스톱퍼를 시이소운동시키는 스프링판의 탄성력저하로 인하여 캠체의 2모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오동작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키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캠체 걸림돌부에서 스톱퍼가 이탈된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측에 기능계시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프레임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그니션키이가 LOCK 위치에서 START 위치까지 회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프레임 52 : 기능표시판
54 : 수용홈 56 : 작동축
58 : 판스프링 60 : 로터
62 : 가이드홈 64 : 이그니션키이
66 : 록장치 68 : 스톱퍼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표면에 LOCK, ACC, ON, START, PUSH를 표시하는 기능표시판이 장착되며,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에 의하여 조향축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축과, 상기 수용홈과 작동축의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축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회동 및 전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의 측벽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그니션키이가 로터에서 이탈됨에 따라 조향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측에 기능계시판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프레임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그니션키이가 LOCK 위치에서 START 위치까지 회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프레임(50)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50)의 일측에는 외표면에 LOCK, ACC, ON, START, PUSH가 표기된 기능표시판(52)이 장착된다. 프레임(50)의 내측에 수용홈(54)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54)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축(56)이 구비된다. 수용홈(54)과 작동축(56)의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축(56)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58)이 구비된다.
프레임(50)의 수용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회동 및 전후이동되는 로터(60)가 구비되고, 이 로터(6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된다. 로터(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2)의 일측은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고, 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62)의 측벽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로터(6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그니션키이(64)가 로터(60)에서 이탈됨에 따라 조향축(미도시)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장치(66)가 구비되고, 이 록장치(66)의 스톱퍼(68)는 프레임(5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갖는다. 프레임(50)은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하여 조향축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키이장치의 로터가 프레임에서 회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할 경우, 이그니션키이(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로터(60)는 프레임(50)의 수용공간을 따라 회전된다. 이그니션키이(6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그니션키이(64) 및 로터(60)가 ' LOCK ' - ' ACC ' - ' ON ' - ' START ' 위치를 따라 회전하게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되는 것이다.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이그니션키이(64)의 회전력을 해소하면, 프레임(50)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그니션키이(64) 및 로터(60)가 ' ON ' 위치로 이동된다. 이그니션키이(64)가 ' LOCK ' 위치에 있으면 프레임(50)의 내측에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작동축(56)이 로터(6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이그니션키이(64)가 ' ACC ' - ' ON ' - ' START ' 위치에 있으면 프레임(50)의 내측에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작동축(56)이 로터(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2)에 접촉된 상태이다.
자동차의 엔진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이그니션키이(64)를 ' ACC '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때, 판스프링(58)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작동축(56)의 자유단이 로터(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2)의 일측벽에 접촉됨으로 이그니션키이(64)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 동작단계에서 이그니션키이(64)를 로터(60)로 가압하면, 로터(60)의 전진이동으로 인하여 작동축(56)의 자유단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62)의 경사부분을 따라 로터(60)의 외주면으로 이동된다.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62)의 측벽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로터(6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축(56)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부분을 따라 로터(60)의 외주면으로 이동됨으로 로터(60)가 계속 회전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이그니션키이(64)를 회동시키면, 이그니션키이(64) 및 로터(60)가 ' LOCK ' 위치로 회전됨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는 것이다.
판스프링(58)에 의하여 프레임(5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탄성지지된 작동축(56)이 로터(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2)에서 선택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62)의 일측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키이장치의 2모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키이장치가 오동작 없이 원활하게 작동됨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축(56)이 가이드홈(62)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하여 키이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부품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됨으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키이장치는 키이장치의 2모션동작이 작동축이 로터의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표면에 LOCK, ACC, ON, START, PUSH를 표시하는 기능표시판(52)이 장착되며, 내측에 수용홈(54)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에 의하여 조향축에 장착되는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5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54)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축(56)과,
    상기 수용홈(54)과 작동축(56)의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축(56)을 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58)과,
    상기 프레임(50)의 수용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회동 및 전후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일측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62)이 형성되며, 이 축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홈(62)의 측벽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로터(60)와,
    상기 로터(6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그니션키이(64)가 로터(60)에서 이탈됨에 따라 조향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장치(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키이장치.
KR1019990014918A 1999-04-26 1999-04-26 자동차용 키이장치 KR10029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918A KR100290991B1 (ko) 1999-04-26 1999-04-26 자동차용 키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918A KR100290991B1 (ko) 1999-04-26 1999-04-26 자동차용 키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270A KR20000067270A (ko) 2000-11-15
KR100290991B1 true KR100290991B1 (ko) 2001-05-15

Family

ID=1958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918A KR100290991B1 (ko) 1999-04-26 1999-04-26 자동차용 키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447B1 (ko) * 2004-03-2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키이세트의 강제 역 프리휠링 방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08B1 (ko) * 2007-08-27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 키이 실린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447B1 (ko) * 2004-03-2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키이세트의 강제 역 프리휠링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270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072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取り付ける盗難防止装置
KR100686997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JP5902685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
US7412858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US20080178644A1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US20080271504A1 (en) Electric Steering Locking Apparatus
US7008067B2 (en) Electrically operable pivoting actuator for door mirror of motor vehicle
JP2001106027A (ja) 安全装置付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2538337A (ja) とくに点火始動スイッチのための電子キーのような識別信号発生器を収容しかつ保持する装置
JP2009132308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562690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ケ−ブル接続構造
JP2004182177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507966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290991B1 (ko) 자동차용 키이장치
JP325265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取付け構造
JPH06158924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355075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盗難防止装置
JP2001180442A (ja) 遠隔キー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US7673483B2 (en) Anti-the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uch as an electronic anti-theft device
KR100765834B1 (ko) 자동차의 시동키 안전장치
US6040535A (en) Starter switch, in particular ignition starter switch for motor vehicle
JPH11329650A (ja) 回転コネクタ
JP453932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180394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4587864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