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854B1 - 채널 왜곡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왜곡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854B1
KR100290854B1 KR1019990022565A KR19990022565A KR100290854B1 KR 100290854 B1 KR100290854 B1 KR 100290854B1 KR 1019990022565 A KR1019990022565 A KR 1019990022565A KR 19990022565 A KR19990022565 A KR 19990022565A KR 100290854 B1 KR100290854 B1 KR 10029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hannel
difference
ghost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657A (ko
Inventor
남호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854B1/ko
Priority to US09/476,793 priority patent/US6515713B1/en
Publication of KR2001000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방송국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삽입된 고스트를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하고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동안 상기 DC값을 읽어 와 그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들의 값을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메모리에 상기 최소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저장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미리 정한 제 1 임계값보다 큰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을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차가 미리 정한 제 2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과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의 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채널상에 존재하는 움직임 고스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채널 상에서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도 검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채널 왜곡 보상 방법{Method for channel distortion compensating}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 DTV)의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국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삽입된 움직임 고스트(Moving Ghost)를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DTV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에 채널상에서 발생된 고스트 신호가 섞여있으면 등화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즉, DTV 시스템에는 수신기에서의 등화를 도와주기 위하여 매 필드마다 필드 동기(Field Sync) 구간에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를 실어 보낸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이 트레이닝 시퀀스를 이용하여 채널상에서 발생한 왜곡을 보상한다.
도 1은 일반적인 DTV의 1 프레임(frame)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도 2는 필드 동기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1 데이터 세그먼트를 먼저 살펴보면, 4 심볼의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828 심볼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드(Field)는 313 데이터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데, 313 데이터 세그먼트는 트레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와 312의 일반 데이터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필드 동기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로 이루어지며, 처음 4개의 심볼(symbol)에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패턴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유사 랜덤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인 PN 511, PN 63, PN 63, PN 63이 존재하며 그 다음 24 심볼에는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한다. 여기서, 세 개의 PN 63 구간 중 두 번째 PN 63은 매번 극성이 바뀐다. 즉, '1'은 '0'으로, '0'은 '1'로 바뀐다. 따라서, 두 번째 PN 63의 극성에 따라 짝수(even)/홀수(odd) 필드로 나눌 수 있다.
도 3은 움직임 고스트가 없는 일반적인 채널을 모델링(Modelling)한 것이다. 보통의 경우 즉, 채널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HDTV 수신기에서는 도 3과 같이 (원 신호(original signal) + 고스트 신호(ghost signal))을 수신하게 된다.
이렇게 채널상에서 실려 들어온 고스트는 수신기의 등화기 부분에서 필드 동기에 실려있는 도 2와 같은 트레이닝 시퀀스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움직임 고스트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 고스트 신호는 HDTV 수신기의 입장에서 보면 언제나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수신기는 매 필드 동기에 실려있는 트레이닝 시퀀스만 가지고도 충분히 고스트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4에서와 같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실리는 경우에는 고스트의 상태가 매 순간 변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행기에 의해 발생된 움직임 고스트는 1 -> 2 -> 3의 순서로 변하기 때문에 매 필드마다의 트레이닝 시퀀스만으로는 효과적으로 고스트를 제거하지 못한다.
즉, 트레이닝 시퀀스만으로 채널상에서 발생한 고스트를 제거하던 종래의 방법으로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있는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수신기에서는 수신한 그림이 깨어지는 등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출원번호 : 98-62826)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를 보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신호에 삽입되는 움직임 고스트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된 신호에 슬로우(slow)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가 삽입되어도 이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된 신호에 움직임 고스트가 삽입되었을 경우 트레이닝 시퀀스이외에 데이터 부분도 같이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VSB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데이터 필드 동기 부분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움직임 고스트가 없는 일반적인 채널을 모델링한 도면
도 4는 움직임 고스트가 있는 일반적인 채널을 모델링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등화기의 상세 블록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의 (a) 내지 (d)는 도 6의 슬라이서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9의 (a) 내지 (c)는 도 6에서의 블라인드 등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콤 101 : 튜너
102 : 복조부 103 : 리셋부
200 : 채널 디코딩부 201 : A/D 컨버터
202 : 동기 검출부 203 : VSB 모드 검출부
204 : 입력 MSE 계산부 205 : DC 계산부
206 : 등화기 207 : 출력 MSE 계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하고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동안 상기 DC값을 읽어 와 그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들의 값을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메모리에 상기 최소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저장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미리 정한 제 1 임계값보다 큰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을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차가 미리 정한 제 2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과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의 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등화기가 포함되는 채널 디코딩부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화기에서 등화된 신호의 평균 제곱 오차(MSE) 값이 신호 파워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등화기가 포함되는 채널 디코딩부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C 값을 읽어오는 주기를 변화시키면서 채널 상에 존재하는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등화기의 스텝 사이즈를 최대로 변경하여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화 수행 단계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되고 스텝 사이즈가 최대로 판별되면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면서 스텝 사이즈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중간, 최소의 순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하고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동안 상기 DC값을 읽어 와 그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들의 값을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메모리에 상기 평균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저장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미리 정한 제 1 임계값보다 큰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을 현재 읽어서 계산된 평균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차가 미리 정한 제 2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과 현재 읽어서 계산된 평균값의 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DTV 송신에서는 수신기에서의 캐리어 복구(Carrier Recovery)를 위하여 DTV 신호를 송출하기전에 일정한 DC값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 DC값이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는 파일롯(Pilot)으로 나타나게 되어 수신기에서의 캐리어 복구를 돕는다.
이러한 파일롯에 의한 DC값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채널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는 경우에 수신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해 보면 거의 일정한 값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을 경우에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DC값이 일정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데, 특히 아주 느리게 움직이는 고스트의 존재 여부도 판단하여 움직임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등화(Equalizing)에 트레이닝 시퀀스가 있는 필드 동기뿐만 아니라 일반 데이터까지도 이용하는 데이터 모드(Data Mode)로 등화기의 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등화기의 입력과 출력에서 계산한 Mean Square Error(MSE) 값을 이용하여 등화기의 발산(Diverge) 여부를 판단한 후 등화기가 발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등화기의 모드를 블라인드 모드(Blind Mode)로 변환함으로써, 등화기를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adaptive)으로 동작시킨다. 여기서, 블라인드 모드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2-레벨 슬라이싱, 4-레벨 슬라이싱, 8-레벨 슬라이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 순간 변하는 채널상의 움직임 고스트를 효과적이면서도 빠르게 제거토록 하였을뿐만 아니라 등화기가 발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등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채널 상태에 따른 수신기의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이러한 채널 왜곡 보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 중 원하는 채널을 튜닝한 후 튜닝된 채널의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튜너(101), 상기 튜너(101)에서 튜닝된 채널의 IF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02), 상기 복조부(102)에서 복조된 데이터의 고스트를 제거하는 채널 디코딩부(200), 상기 채널 디코딩부(200)의 고스트 제거를 제어하는 마이콤(100), 및 상기 마이콤(100)의 제어에 의해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리셋시키는 리셋부(103)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 디코딩부(20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 ADC)(201), 상기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검출부(202), 상기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VSB 모드를 검출하는 VSB 모드 검출부(203), 상기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의 MSE를 계산하는 입력 MSE 계산부(204), 상기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삽입된 DC값을 계산하는 DC 계산부(205), 상기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고스트 등을 제거하는 등화기(206), 및 상기 등화된 데이터의 MSE를 계산하는 MSE 계산부(207)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콤(100)은 상기 동기 검출부(202), VSB 모드 검출부(203), 입력 MSE 계산부(204), DC 계산부(205), 출력 MSE 계산부(207)의 오퍼레이션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등화기(206)를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데이터 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블라인드 모드로 동작시킬것인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블라인드 모드 온/오프 신호, 데이터 모드 온/오프 신호 등을 상기 등화기(206)로 출력한다.
도 6은 도 5의 등화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로서, 공지된 블록도이다.
즉, 도 6은 피드 포워드 필터(Feedforward filter)와 피드백 필터(Feedback filter)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드 포워드 필터 부분은 근접 고스트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피드백 포워드 필터 부분은 먼거리 고스트(Long ghost) 및 피드 포워드 필터에서 발생된 잔류 고스트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텝 사이즈를 크게 하면 등화기(206)의 수렴속도는 빨라지는 반면 수렴 후 잔류에러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반면에 스텝 사이즈를 작게 하면 등화기(206)의 수렴속도는 늦어지지만 수렴 후 잔류 에러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도 7a, 도 7b는 등화를 제어하는 상기 마이콤(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등화기(206)의 동작 모드를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 데이터 모드, 블라인드 모드의 세가지 모드로 가정하고, 스텝 사이즈(step size)는 최대(Max), 중간(Mid), 최소(Min)의 세가지 모드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 데이터 모드, 블라인드 모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필드마다 필드 동기 구간에 실려있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하는 방법인데,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는 이미 우리가 알고 있기 때문에 이미 알고있는 트레이닝 시퀀스와 실제 입력되는 데이터의 트레이닝 시퀀스를 비교하여 채널의 왜곡 정보를 구한 다음 그 정보를 다시 입력되는 데이터에 적용하여 채널 상에서의 왜곡을 보상하여주는 방법이다.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는, 즉 채널상의 왜곡이 항상 일정한 경우에는 아주 효과적으로 수신기에서 등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는 매 필드마다 한번씩밖에 오지 않기 때문에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 등이 존재하여 채널의 왜곡상태가 빠르게 변하는 도 4와 같은 경우에는 첫 번째 트레이닝 시퀀스를 가지고 구한 채널의 왜곡정보가 두번째 트레이닝 시퀀스를 가지고 다시 채널의 왜곡정보를 구하기 전에 이미 변하기 때문에 첫 번째 트레이닝 시퀀스를 가지고 구한 채널의 왜곡정보를 첫 번째 트레이닝 시퀀스 뒤에 연속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부분에 적용하면 잘못된 채널의 왜곡정보를 데이터 부분에 보상해주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채널상에 움직임 고스트등이 존재하여 채널의 상태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경우에는 등화에 트레이닝 시퀀스뿐만아니라 데이터 부분도 함께 이용함으로써 변하고 있는 채널상태를 빠르게 보상해주는 데이터 모드가 적용된다. 즉, 데이터 모드는 트레이닝 시퀀스와 8-레벨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한다.
한편, 블라인드 모드는 등화기가 발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트레이닝 시퀀스의 정보에 의존하기보다는 슬라이싱에 의해 등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먼저, 파워를 온하거나 채널 전환(channel change), 시스템 리셋등이 된 경우 본 발명에 적용된 알고리즘 부분을 초기화시킨다(단계 401). 즉, 일단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가정하고서 데이터 모드와 블라인드 모드를 오프시키고, 또한 등화기(206)의 스텝 사이즈(Step Size)도 최소(Min)로 설정한다. 그리고, 움직임 고스트 존재 유무 판단에 사용되는 카운터인 Counter_1, Counter_2, Counter_3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 또한, 타임은 20msec로, 메모리(메모리[20]∼메모리[1])는 0으로 초기값을 설정한다.
이렇게 초기화를 수행한 다음 동기 검출부(202)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즉, 수평동기), 필드 동기(즉, 수직동기)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마이콤(100)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동기 검출부(202)는 A/D 변환된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필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데, 상기 두 동기신호들을 모두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nSyncLock 신호를 '0'으로 만들고,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nSyncLock 신호를 '1'로 만들어서 마이콤(100)으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100)에서는 nSyncLock 신호가 0인지를 판별하여(단계 402), 만일 nSyncLock 신호가 '0' 인 경우에는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신호와 필드 동기 신호가 모두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움직임 고스트 판별을 위해 단계 404로 진행한다.
그러나, nSyncLock신호가 '1'인 경우에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이므로 도 5의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리셋시킨다(단계 403). 이는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서 반드시 필요한 각종 동기신호들을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그 이후의 데이터 처리가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즉, 동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는 노이즈가 심각하거나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잘못 셋팅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리셋시켜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이다.
만일, 단계 402에서 nSyncLock 신호가 '0'으로 판별되면 상기 DC 계산부(205)는 10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실린 DC 값을 계산하고, 마이콤(100)에서는 이 DC 값을 읽어들이는데, 이때 상기 마이콤(100)은 계산된 DC값을 한번 읽어들일때 마다 Counter_1의 값을 1씩 증가시킨다(단계 404). 이렇게 읽어들인 DC값들은 마이콤(100) 내부의 메모리에 각각 저장되는데, 이는 Counter_1의 값이 10이 될 때까지 수행된다. 즉, Counter_1은 마이콤(100)이 몇번이나 DC값을 읽었는지 그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DC 값을 한번 읽어들일때마다 1씩 증가한다.
그리고, Counter_1의 값이 10인지를 판별한다(단계 405). 본 발명에서는 10번을 기준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만일, 상기 단계 405에서 Counter_1의 값이 10이 아니면 바로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17로 진행한다. 이는 마이콤(100)이 DC 계산부(205)로부터 DC 값을 10번을 읽어들이지 못해 채널 상의 움직임 고스트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미흡하더라도 등화기(206)가 발산했는지 여부등을 검사하여 시스템이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단계 405에서 Counter_1의 값이 10이라고 판별되면 상기 Counter_1의 값을 다시 0으로 리셋시키고, 마이콤(100)이 10번을 읽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둔 10개의 DC값들 중 최대값(maximum DC_Value)과 최소값(minimum DC_Value)을 DCmax, DCmin이라는 변수에 따로 저장한다(단계 406).
그리고 나서, 초기화 단계(401)에서 설정해 놓은 20개의 메모리의 값들을 각각 하나씩 이동시킨다(단계 407). 즉, 메모리[19]의 값은 메모리[20]으로, 메모리[18]의 값은 메모리[19]로,..., 메모리[1]의 값은 메모리[2]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20개의 메모리 값을 각각 이동시키고 난 후에는 마지막으로 메모리[1]에는 상기 단계 406에서 검출된 최소값(DCmin)을 저장한다(단계 408).
상기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들은 시간에 따른 DC의 변동값이 작은 즉, 아주 슬로우(slow)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즉,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는 시간에 따른 DC값의 변화가 작아서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기 쉬운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널의 상태에 따라 시스템이 최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를 검출하기 전에 먼저 DCmax-DCmin의 값이 얼마인지를 계산하여 움직임이 빠른 고스트를 먼저 검출한다(단계 409).
즉, 상기 단계 409에서 DCmax-DCmin ≥ 6이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하고 Counter_2의 값을 1로 바꾼다(단계 410). 여기서, 상기 Counter_2는 채널상에서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는 일종의 플래그로서, Counter_2의 값이 0이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음을, 1이면 움직임 고스트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값 6은 실험적으로 정한 값이며, 설계자가 실험에 의해 다르게 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Counter_2의 값을 1로 변경시키고 난 후에는 Counter_3의 값을 3으로 셋팅시킨다(단계 411). 여기서, 상기 Counter_3은 일단 DCmax-DCmin ≥ 6이 되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그 다음에 DCmax-DCmin 〈 6이 되더라도 금방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지 않고 3번 연속해서 DCmax-DCmin 〈 6이 되어야만 비로소 채널 상에 나타났던 움직임 고스트가 사라졌다고 판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 이유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더라도 때에 따라서는 DCmax-DCmin ≥ 6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한번 DCmax-DCmin 〈 6이 되었다고 금방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게 되면 화상이 깨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실제로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사라진 경우에도 잠시 더 데이터 모드를 온시켜 두더라도 수신된 화상이 깨어지지는 않는다. 여기서도 상기 Counter_3의 기준값으로 본 발명에서 설정된 3이라는 값은 설계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값이다.
한편, 상기 단계 409에서 DCmax-DCmin 〈 6이라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임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기 전에 먼저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412).
즉, 마이콤(100)에서 10번 읽어들인 DC값의 차이로는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를 판별할 수 없을수도 있기 때문에 마이콤(100)에서 매 10번씩 DC값을 읽어들일 때마다 그 최소값 즉, DCmin값을 저장해둔 메모리[20] ∼메모리[1]의 값들과 현재 읽어서 계산된 최대값 즉, DCmax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메모리[20] ∼ 메모리[1]의 값들은 도 5에서 보면, 마이콤(100)이 DC 계산부(205)에서 검출된 DC 값을 10번 읽어들일때마다 그 중 최소값들을 저장해두고 있다. 그리고, 상기 초기화 단계(401)에서 타임=20msec라고 초기화시켰는데, 이것은 마이콤(100)이 DC 계산부(205)로부터 DC값을 읽어들이는 주기를 20msec 단위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값 역시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마이콤(100)이 20msec마다 10번 읽어들인 DC값들 중 최소값은 메모리[20] ∼ 메모리[1]을 하나씩 이동시키고 난 후 메모리[1]에 기록한 값이므로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은 200msec 단위로 20번 읽어 저장해놓은 최소값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을 이용하면 총 200msec × 20 = 4000msec(약 4초)동안의 채널 상의 DC값 변동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의 수를 20으로 하였으나 이것 역시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읽어서 검출된 DCmax값을 이미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0] ∼ 메모리[1]의 값들과 비교하여 그 차가 6이상이면 비록 상기 단계 409에서 DCmax-DCmin 〈 6으로 판별되었다 하더라도 채널 상에는 슬로우하게 DC값을 변화시키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에 검출된 DCmax값과 메모리[20] ∼ 메모리[1]의 값들을 비교하여서도 그 차가 6미만인 경우에야 비로소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는 근거로 삼는다.
상기 단계 412에서 diff=abs(메모리[i] - DCmax)를 취하게 되는데, abs는 절대값을 취한다는 의미이다. 절대값을 취하는 이유는 현재 시간에 검출된 DCmax의 값이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보다도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단계 412에서 diff의 값이 6보다 크면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하여 Counter_2의 값을 1로 셋트시키고(단계 410), Counter_3의 값을 3으로 셋트시킨다(단계 411).
한편, 상기 단계 412에서 현재 검출된 DCmax 값과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을 비교하여서도 그 차가 6미만인 경우에는 Counter_3의 값이 0인지를 판별한다(단계 413).
상기 단계 413에서 Counter_3의 값이 0인지를 판별하는 이유는 전술된 바와 같이 비록 현재 마이콤(100)에서 10번 읽어들인 값들 중 DCmax와 DCmin의 차이가 6미만이고 또한, DCmax와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과의 비교에서도 그 차이가 6미만인 경우에도 한번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를 온시킨 것을 바로 오프시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413에서 Counter_3의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Counter_3의 값을 1 감소시키고 다음 루틴을 수행하며(단계 414), Counter_3의 값이 0인 경우에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여 Counter_2를 0으로 리셋시킨다(415).
상기 단계 415에서 Counter_3의 값을 0으로 리셋시킨 후에는 상기 초기화 단계 401에서 셋팅한 타임=20msec의 값을 바꾼다(단계 416).
본 발명에서는 타임의 값을 20msec, 30msec, 40msec, 50msec의 4가지 모드를 가지도록 하였으나 이것은 설계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의 타임 값은 마이콤(100)이 DC 계산부(205)로부터 계산된 DC 값을 읽어오는 주기이다.
즉, 처음에 20msec 주기로 DC값을 읽어 채널 상의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해 본 결과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타임의 값을 30msec로 변경하고 마이콤(100)은 30msec마다 DC 계산부(205)로부터 DC값을 읽어 와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임의 값을 50msec까지 변경해 가면서 DC값을 읽어들여 채널 상의 움직임 고스트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 타임 값의 변경은 상기 단계 412에서 슬로우하게 변하는 움직임 고스트를 검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만일 타임의 값이 50msec인 경우를 가정하면, 마이콤(100)은 50msec 주기로 DC값을 10번 읽어들이게 되고 그 중의 최소값을 메모리[1]에 저장해 두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은 마이콤(100)이 50msec마다 10번 읽어들인 DC값들 중 최소값을 메모리[20] ∼ 메모리[1]을 하나씩 이동시키고 난 후 메모리[1]에 기록한 값들이므로 결국,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은 500msec 단위로 20번 읽어 저장해 놓은 최소값들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을 이용하면 총 50msec × 20 = 10000msec(약 10초)동안의 채널 상의 DC값 변동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임의 값이 20msec인 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약 4초 동안의 채널 상의 DC 변동을 알 수 있지만 타임이 50msec인 경우에는 약 10초 동안의 채널 상의 DC 변동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는, 타임이 50msec인 경우가 타임이 20msec인 경우보다 훨씬 더 채널 상에서 슬로우하게 변하는 움직임 고스트를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단계 405, 단계 411, 단계 414, 단계 416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Counter_2의 현재값과 VSB 모드 검출부(20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VSB 모드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단계 417). 만일 상기 단계 417에서 Counter_2의 값이 1이면서 VSB 모드 검출부(20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VSB 모드가 지상 8VSB(=8TVSB)이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이므로 데이터 모드를 온시키고 등화기(206)의 스텝 사이즈를 최대(Max)로 한다(단계 418). 즉,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스트의 상태가 매 순간 변하고 있기 때문에 등화에 트레이닝 시퀀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부분도 함께 이용하도록 데이터 모드를 온시키고 더불어, 등화기의 스텝 사이즈를 최대로 만들어서 고스트의 변화에 빠르게 쫓아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상 8VSB 모드를 체크하는 이유는 VSB 모드에는 지상 방송에서 사용되는 8VSB 모드와 케이블 방송에서 사용되는 16VSB 모드가 있는데, 움직임 고스트는 지상 방송 채널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사이즈를 작게 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 417에서 두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면 스텝 사이즈가 최대인지를 판별한다(단계 419). 이 경우는 처음부터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았거나 또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였으나 현재의 채널에서는 사라져 버린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단계 419에서 등화기(206)의 스텝 사이즈의 현재 상태가 최대라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였으나 지금은 사라졌거나 또는, 등화기(206)가 블라인드 모드를 수행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두 가지의 경우가 스텝 사이즈를 최대로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스텝 사이즈가 최대가 아니면 이 경우는 처음부터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었다거나 또는, 어떤 이유에서든 채널 디코딩부(200)가 리셋된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단계 419에서 스텝 사이즈가 최대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고 스텝 사이즈를 최소(Min)로 한다(단계 420).
한편, 상기 단계 419에서 스텝 사이즈가 최대라고 판별되면 이때는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고 동시에 스텝 사이즈를 최소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일단 데이터 모드는 오프시키면서 스텝 사이즈는 중간(Min)으로 만든다(단계 421). 그리고,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스텝 사이즈를 최소(Min)로 바꾼다(단계 422). 이 부분은 기어 쉬프트(gear shift)라고도 하는데, 스텝 사이즈가 최대에서 바로 최소로 변화시킬 때보다 최대 -> 중간 -> 최소로 변화시키는 것이 좀더 등화기의 수렴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 418, 단계 420, 단계 422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등화기(206)의 발산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등화기(206)의 출력단에서의 MSE값(MSEOUT)을 체크한다(단계 423). 즉, 마이콤(100)은 채널 디코딩부(200)의 출력 MSE 계산부(207)에서 계산된 MSE 값(MSEOUT)이 8VSB의신호 파워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424).
여기서, 등화기(206)의 출력 MSE값이 신호 파워보다 더 크다는 것은 등화기(206)가 완전히 발산한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블라인드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더라도 수렴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단계 424에서 출력 MSE 값(MSEOUT)이 신호 파워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리셋시켜 발산 상태에서 빠르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단계 425).
즉, 블라인드 모드는 발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동작시키며, 등화기(206)가 완전히 발산한 경우에는 아예 복조부(102)와 채널 디코딩부(200)를 리셋시켜 처음부터 다시 하는게 더 효과적이다. 여기서, 복조부(102)를 리셋시키는 이유는 출력 MSE값이 신호 파워보다 더 크면 복조부(102)에서 캐리어 복구(Carrier recovery)가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화기(206)의 출력 MSE값이 신호 파워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만 블라인드 모드에서 등화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단계 424에서 출력 MSE값(MSEOUT)이 신호 파워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출력 MSE값(MSEOUT)이 임계값(여기서의 임계값 등화기(206)의 발산여부를 판단하는 임계값이며, 이 값은 실험에 의해 설계자가 설정할 수 있다)보다 큰지를 판별한다(단계 426).
만일, 등화기(206)의 출력 MSE값(MSEOUT)이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등화기(206)가 발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작으면 등화기(206)가 수렴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426에서 등화기(206)의 출력 MSE값(MSEOUT)이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블라이드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단계 402로 되돌아가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들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426에서 등화기(206)의 출력 MSE값(MSEOUT)이 설정된 임계값보다도 크다고 판단되면, 등화기(206)를 블라인드 모드로 동작시켜 시스템이 빠르게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등화기(206)의 스텝 사이즈를 최대(Max)로 만들어 빨리 수렴할 수 있게 만들며(단계 427), 스텝 사이즈를 최대(Max)로 만들고 난 다음에는 일단 2-레벨 슬라이싱을 수행한다(단계 428).
상기 2-레벨 슬라이싱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나면, 그 다음에는 4-레벨 슬라이싱을 수행하며(단계 429), 4-레벨 슬라이싱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나면 그다음에는 8-레벨 슬라이싱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430).
여기서 2-레벨 슬라이싱 이후 얼마나 있다가 4-레벨 슬라이싱으로 넘어갈지, 또한 4-레벨 슬라이싱 이후 얼마나 있다가 8-레벨 슬라이싱으로 넘어갈지는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실험적으로 보면 필드 동기주기인 약 24.2ms정도가 적당하다.
도 6에서 슬라이서(312)는 다시 4개의 세부 슬라이서로 이루어진다. 즉, 2,4,8,16 슬라이서가 그것이다. 이들에 대한 개념을 도 8의 (a) 내지 (d)에 도시하였다. 도 8의 (a) 내지 (d)에서 보듯이 각 슬라이스 모드에 따라 2,4,8,16 레벨의 슬라이싱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8의 (d)의 16 레벨 슬라이서는 케이블 방송에서 사용될 수 있는것이며, 지상방송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도 9의 (a) 내지 (d)에서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등화에 적용된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9의 (a)와 같이 2-레벨 슬라이싱이 24.2ms(필드 동기 구간)동안 진행되고 난 후에 도 9의 (b)와 같이 4-레벨 슬라이싱이 진행되고, 다시 4-레벨 슬라이싱이 24.2ms동안 진행되고 난 후에 도 9의 (c)와 같이 8-레벨 슬라이싱이 진행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즉, 도 6에서 등화기(206)의 출력 데이터를 멀티플렉서(314)의 선택 신호(select signal)에 의해 선택된 슬라이스 모드에 따라 슬라이싱한 결정 데이터(decision data)와 등화기(206)의 출력 데이터와의 차를 에러 검출기(315)에서 구하고 이 값을 에러 신호로하여 피드 포워드필터(301)와 피드백 필터(307)는 등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2 -> 4 -> 8-레벨 슬라이싱이 끝나고 나면 다시 단계 402로 되돌아가 동일한 루프(Loop)를 반복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된 도 7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이때, 도 10에서이후의 동작은 도 7b와 동일하므로 도시와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7에서는 마이콤(100)이 DC 계산부(205)로부터 DC값을 몇번이나 읽었는지를 나타내는 Counter_1의 값이 10이 아니면 바로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였으나, 도 10에서는 마이콤(100)이 DC 값을 10번 읽어들이지 못한 경우 즉, Counter_1 = 10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504로 되돌아가 계속 DC값을 읽어들이는 과정을 Counter_1 = 10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된 도 7과 도 10의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험 결과에 의하면 성능은 거의 대동소이하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된 도 7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도 11에서이후의 동작은 도 7b와 동일하므로 도시와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하는 값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도 7에서는 메모리[20] ∼ 메모리[1]에 마이콤(100)이 10번 읽어들인 DC값들 중 최소값을 저장하고 있으나, 도 11에서는 다른 예로 마이콤(100)이 10번 읽어들인 DC값들의 평균값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단계 605에서 Counter_1의 값이 10이라고 판별되면 상기 Counter_1의 값을 다시 0으로 리셋시킨 후, 마이콤(100)이 10번을 읽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둔 10개의 DC값들 중 최대값(maximum DC_Value)과 최소값(minimum DC_Value)을 DCmax, DCmin이라는 변수에 따로 저장하고, 10개의 DC값들의 평균값을 DCvar라는 변수에 저장한다(단계 606).
그리고 나서, 초기화 단계(601)에서 설정해 놓은 20개의 메모리의 값들을 각각 하나씩 이동시킨다(단계 607). 즉, 메모리[19]의 값은 메모리[20]으로, 메모리[18]의 값은 메모리[19]로,..., 메모리[1]의 값은 메모리[2]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20개의 메모리 값을 각각 이동시키고 난 후에는 마지막으로 메모리[1]에는 상기 단계 606에서 검출된 평균값(DCvar)을 저장한다(단계 608).
그리고, DCmax-DCmin의 값이 얼마인지를 계산하여 움직임 고스트를 검출한다(단계 609).
즉, 상기 단계 609에서 DCmax-DCmin ≥ 6 이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하고 Counter_2의 값을 1로 바꾸고(단계 610), Counter_3의 값을 3으로 셋팅시킨다(단계 611).
한편, 상기 단계 609에서 DCmax-DCmin 〈 6이라고 판별되면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기 전에 먼저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12).
즉, 마이콤(100)에서 매 10번씩 DC값을 읽어들일 때마다 그 평균값 즉, DCvar값을 저장해둔 메모리[20] ∼메모리[1]의 값들과 현재 읽어서 계산된 평균값 즉, DCvar값과 비교한다.
이때, 현재 읽어서 검출된 DCvar값을 이미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0] ∼ 메모리[1]의 값들과 비교하여 그 차가 6이상이면 비록 상기 단계 609에서 DCmax-DCmin 〈 6으로 판별되었다 하더라도 채널 상에는 슬로우하게 DC값을 변화시키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에 검출된 DCvar값과 메모리[20] ∼ 메모리[1]의 값들을 비교하여서도 그 차가 6미만인 경우에야 비로소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다고 판단하는 근거로 삼는다.
따라서, 상기 단계 612에서 diff의 값이 6보다 크면 채널 상에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가 있다고 판단하여 Counter_2의 값을 1로 셋트시키고(단계 610), Counter_3의 값을 3으로 셋트시킨다(단계 611).
한편, 상기 단계 612에서 현재 검출된 DCvar 값과 메모리[20] ∼ 메모리[1]에 저장된 값들을 비교하여서도 그 차가 6미만인 경우에는 Counter_3의 값이 0인지를 판별한다(단계 613).
이후의 동작은 상기된 도 7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상에 빠르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뿐만 아니라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도 검출하며, 특히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없으면서 등화기(206)가 발산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화기(206)를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로 동작시킨다. 또한,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는 없으나 등화기(206)가 발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블라인드 모드로 동작시키고, 채널 상에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고스트를 포함하여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면서 등화기(206)가 발산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모드로,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도 존재하고 등화기(206)도 발산한 경우에는 데이터 모드와 블라인드 모드로 동시에 동작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왜곡 보상 방법에 의하면, 채널상에 존재하는 움직임 고스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채널 상에서 아주 슬로우하게 움직이는 움직임 고스트도 검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산한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시스템이 발산한 경우라도 최대한 빠르고 안정되게 등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 데이터 모드, 블라인드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등화기를 이용하여 채널 상에 존재하는 고스트를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하고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동안 상기 DC값을 읽어 와 그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다수개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들의 값을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메모리에 상기 최소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저장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미리 정한 제 1 임계값보다 큰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을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차가 미리 정한 제 2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과 현재 읽어서 검출된 최대값의 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등화기가 포함되는 채널 디코딩부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에서 등화된 신호의 평균 제곱 오차(MSE) 값이 신호 파워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등화기가 포함되는 채널 디코딩부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값을 읽어오는 주기를 변화시키면서 채널 상에 존재하는 움직임 고스트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등화기의 스텝 사이즈를 최대로 변경하여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 수행 단계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되고 스텝 사이즈가 최대로 판별되면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면서 스텝 사이즈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중간, 최소의 순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 수행 단계는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되어도 바로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지 않고,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정이 연속적으로 다수번 계속되면 데이터 모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
  8. 트레이닝 시퀀스 모드, 데이터 모드, 블라인드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등화기를 이용하여 채널 상에 존재하는 고스트를 제거하는 채널 왜곡 보상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DC값을 계산하고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동안 상기 DC값을 읽어 와 그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다수개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들의 값을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메모리에 상기 평균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저장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미리 정한 제 1 임계값보다 큰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을 현재 읽어서 계산된 평균값과 각각 비교하여 그 차가 미리 정한 제 2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상기 단계에서 메모리들에 저장된 값과 현재 읽어서 계산된 평균값의 차가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별되면 채널 상에 움직임 고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데이터 모드로 등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상 방법.
KR1019990022565A 1998-12-31 1999-06-16 채널 왜곡 보상 방법 KR10029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65A KR100290854B1 (ko) 1999-06-16 1999-06-16 채널 왜곡 보상 방법
US09/476,793 US6515713B1 (en) 1998-12-31 1999-12-30 Method and apparatus which compensates for channel dist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65A KR100290854B1 (ko) 1999-06-16 1999-06-16 채널 왜곡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657A KR20010002657A (ko) 2001-01-15
KR100290854B1 true KR100290854B1 (ko) 2001-05-15

Family

ID=1959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565A KR100290854B1 (ko) 1998-12-31 1999-06-16 채널 왜곡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6B1 (ko) * 2000-08-17 2005-01-0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적응 등화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100390433B1 (ko) * 2001-02-28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수신기의 에러 추적 장치
KR100603202B1 (ko) * 2004-06-28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Lms 등화기의 스텝사이즈 자동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65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which compensates for channel distortion
KR0165507B1 (ko) 기준신호를 이용한 등화방법과 등화기
JP4845246B2 (ja) トレーニングモードを有する適応チャネル等化器
KR100666432B1 (ko) 적응성 채널 이퀄라이저
US6222592B1 (en) TV receiver equalizer storing channel characterizations for each TV channel between times of reception therefrom
US7463679B2 (en) Equalizer mode selection based on distribution of symbol error
EP1073274A2 (en) Digital symbol timing recovery network
JP2005523634A (ja) 等化器状態監視装置
JP2005523642A (ja) 等化器/前方誤り訂正自動モード・セレクタ
JP4773427B2 (ja) Atsc−dtv受信器におけるデュアルモード等化器
KR100320477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타이밍 복원 장치
US6313882B1 (en) TV reception apparatus using same ghost-cancellation circuitry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TV signals
US7133481B2 (en) Synchronization detection apparatus
KR100290854B1 (ko) 채널 왜곡 보상 방법
US6445423B1 (en) Controlled oscillator in a digital symbol timing recovery network
JP2005523635A (ja) 等化器モード・スイッチ
US6201564B1 (en) Method of operating the channel equalizer in a receiver for DTV signals subject to co-channel NTSC interference
WO1999016240A1 (en) Method of operating the channel equalizer in a receiver for dtv signals subject to co-channel ntsc interference
KR100278008B1 (ko) 채널 왜곡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273763B1 (ko) 상이한 형태의 텔레비젼신호를 수신하는 동일 고스트 제거회로를 사용하는 텔레비젼신호 수신장치
US20040091070A1 (en) Equalizer for a single-carrier receiver and equalization method therefor
US6882690B1 (en) Soft trellis slicer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decision-directed phase tracker
Lee et al. A hardware efficient phase/gain tracking loop for the Grand Alliance VSB HDTV receiver
MXPA06013000A (es) Generador de sincronizacion de modo doble en un receptor de acuerdo con el comite de sistemas de television avanzada-television digital (atsc-dtv).
KR100282351B1 (ko) 채널 왜곡 보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