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670B1 - 무전기용 잭 - Google Patents

무전기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670B1
KR100289670B1 KR1019990003889A KR19990003889A KR100289670B1 KR 100289670 B1 KR100289670 B1 KR 100289670B1 KR 1019990003889 A KR1019990003889 A KR 1019990003889A KR 19990003889 A KR19990003889 A KR 19990003889A KR 100289670 B1 KR100289670 B1 KR 10028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jack
terminal
main body
eart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323A (ko
Inventor
이윤영
Original Assignee
이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영 filed Critical 이윤영
Priority to KR101999000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6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기용 잭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생활 무전기나 산업용 무전기 등의 인쇄 회로 기판(PCB)의 홀에 삽입 장착되어 마이크나 스피커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무전기용 잭에 관한 것으로, 절연성 재료의 본체(10) 일측단부에 삽입공(16)이 형성된 어스링(14)이 내삽된 2개의 삽입부(12)가 돌출되고,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18) 및 기능 단자(20)가 돌출되어 배열되며 받침 돌기(22)가 형성된 무전기용 잭에 있어서; 상기 어스링(14) 대신에 어스링(14)의 삽입공(16)과 같은 내경으로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18) 또는 기능 단자(20)의 중간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18,20)는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용 잭을 제공하여, 중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PCB 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단자가 이탈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무전기용 잭 {JACK FOR WIRELESS SET}
본 발명은 무전기용 잭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에 굴곡을 주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절연성 재료로 본체와 일체화하여 중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무전기용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용 잭은 생활 무전기나 산업용 무전기 등의 인쇄 회로 기판(PCB)의 홀에 삽입 장착되어 마이크나 스피커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보통은 옵션 제품이다.
종래의 이러한 무전기용 잭을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무전기용 잭의 저면사시도이다.
종래 무전기용 잭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본체(10)의 일측단부에 2개의 삽입부(12)가 돌출되고 이 삽입부(12)에 마이크나 스피커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2)의 내측으로는 접지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어스링(14)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어스링(14)의 삽입공(16)은 서로 다른 크기의 내경을 갖는다.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18) 및 기능 단자(20)가 일자형으로 돌출되어 배열되고 PCB 홀에 삽입시 PCB에 지지되는 받침 돌기(22)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이때 보통은 삽입부(12)가 형성된 쪽의 가까운 하부면에 접지 단자(18)가 돌출되고 먼 쪽의 하부면에 기능 단자(20)가 돌출된다.
그런데 접지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삽입부(12)에 끼워지는 상기 어스링(14)은 그 용도에 비해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잭의 가격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쳐 잭의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동파이프를 제조하여 도금하는 어스링(14)을 제조하여 이 어스링(14)을 다시 삽입부(12)에 끼워 고정해야 하고 또 검사해야 하는 4개의 공정이 추가되고 그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접지 단자(18) 또는 기능 단자(20)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단자(18,20)의 외경이 PCB 홀의 내경에 비해 작기 때문에 PCB 홀에 수 작업에 의해 삽입한 후 납땜하기 전까지의 공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단자(18,20)가 PCB 홀에 이탈되어 다시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자에 굴곡을 주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절연성 재료로 본체와 일체화하여 중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PCB 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단자가 이탈되지 않는 무전기용 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성 재료의 본체 일측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어스링이 내삽된 2개의 삽입부가 돌출되고, 본체의 하부면에는 본체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 및 기능 단자가 일자형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며 받침 돌기가 형성된 무전기용 잭에 있어서; 상기 어스링 대신에 어스링의 삽입공과 같은 내경으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 또는 기능 단자의 중간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는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용 잭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무전기용 잭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용 잭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삽입부, 14: 어스링, 16: 삽입공, 18: 접지 단자, 20: 기능 단자, 22: 받침 돌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용 잭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절연성 재료의 본체(10) 일측단부에 삽입공(16)이 형성된 어스링(14)이 내삽된 2개의 삽입부(12)가 돌출되고,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18) 및 기능 단자(20)가 돌출되어 배열되며 받침 돌기(22)가 형성된 무전기용 잭에 있어서;
상기 어스링(14) 대신에 어스링(14)의 삽입공(16)과 같은 내경으로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18) 또는 기능 단자(20)의 중간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18,20)는 굴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본체(10)의 일측단부에 종래 어스링(14)의 삽입공(16)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삽입공(16)이 형성된 2개의 삽입부(12)가 돌출되고 이 삽입부(12)의 삽입공(16)에 마이크나 스피커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2)의 삽입공(16)은 서로 다른 크기의 내경(2.5mm,3.5mm)을 갖는다.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18) 및 기능 단자(20)가 돌출되어 배열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18,20) 중간 부위에는 굴곡이 형성된다.
PCB 홀에 삽입시 PCB에 지지되는 받침 돌기(22)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단자(18,20)의 굴곡은 도 2에서처럼 일부분 전체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서처럼 중간 부위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굴곡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18,20)가 PCB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18,20)의 굴곡된 면이 PCB 홀에 끼게 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도 단자가 빠져나가지 않게 되고 따라서 무전기용 잭이 PCB에 안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어스링(14)을 삽입하지 않고 삽입부(12)에 어스링(14)의 삽입공(16)과 같은 크기의 삽입공(16)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가 종래와 같이 삽입공(16)에 삽입되면서도 종래 어스링(14)을 제조하는 공정, 삽입부(12)에 삽입하는 공정, 검사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 단가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자에 굴곡을 주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절연성 재료로 본체와 일체화하여 중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PCB 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단자가 이탈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절연성 재료의 본체(10) 일측단부에 삽입공(16)이 형성된 어스링(14)이 내삽된 2개의 삽입부(12)가 돌출되고,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열된 접지 단자(18) 및 기능 단자(20)가 돌출되어 배열되며 받침 돌기(22)가 형성된 무전기용 잭에 있어서;
    상기 어스링(14) 대신에 삽입공(16)과 같은 내경으로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18) 또는 기능 단자(20)의 중간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18,20)는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용 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8,2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굴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용 잭.
KR1019990003889A 1999-02-05 1999-02-05 무전기용 잭 KR10028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89A KR100289670B1 (ko) 1999-02-05 1999-02-05 무전기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89A KR100289670B1 (ko) 1999-02-05 1999-02-05 무전기용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323A KR20000055323A (ko) 2000-09-05
KR100289670B1 true KR100289670B1 (ko) 2001-05-02

Family

ID=1957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889A KR100289670B1 (ko) 1999-02-05 1999-02-05 무전기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69B1 (ko) * 2020-01-06 2021-07-14 지엔에스티 주식회사 복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323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7104842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iminishing structure of a connector assembly
WO2010087202A1 (ja)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CN101849325A (zh) 能够连接于印刷线路板的连接器
US5681186A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US7445515B1 (en) Audio jack
KR100730085B1 (ko) 무선통신용 모듈의 안테나 커넥터 연결구조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US20030082950A1 (en) Radio frequency cable connector
US82549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KR100289670B1 (ko) 무전기용 잭
KR101708341B1 (ko) Rf 커넥터
US20040219836A1 (en) Insert type super mini microwave connector
KR200410645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와이어안테나
JP2006216445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508384B1 (ko) 폰잭용 일체형 접지장치
KR102431415B1 (ko) 인쇄회로기판용 아이렛
CN111755866B (zh) 连接器和连接器制造方法
KR200164368Y1 (ko) 휴대폰의 안테나 고정장치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100580778B1 (ko)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 및 그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0233827Y1 (ko) 휴대폰용 안테나
KR200168562Y1 (ko) 휴대폰의 테스터 커넥터
KR200456331Y1 (ko) 내장형 안테나의 결합 구조
KR200416001Y1 (ko)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단자 구조
KR200390497Y1 (ko) 내장형 안테나의 방사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