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85B1 -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85B1
KR100288585B1 KR1019930005829A KR930005829A KR100288585B1 KR 100288585 B1 KR100288585 B1 KR 100288585B1 KR 1019930005829 A KR1019930005829 A KR 1019930005829A KR 930005829 A KR930005829 A KR 930005829A KR 100288585 B1 KR100288585 B1 KR 10028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ontainment structure
reactor
condensate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387A (ko
Inventor
리 슐츠 테리
Original Assignee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903,639 external-priority patent/US5255296A/en
Priority claimed from JP4402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1733B2/ja
Application filed by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드폴 루이스 에이
Publication of KR93002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장치는 비상의 경우에 있어서 기화된 냉각수를 응축하고 재순환하여 원자로를 자동으로 냉각한다. 원자로는 수납장치에 의해서 둘러싸여지며 물과 같은 냉각 액체용 저장 탱크를 구성하며 수납장치에 배출수단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저장 탱크는 수납장치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열교환기에 의해서 원자로에 열적으로 연결가능하고, 저장 탱크에 있는 냉각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증발된다. 냉각수는 증기로 되며 수납장치의 차가운 내부 표면상에서 응축한다. 응축된 냉각수는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흐르며 수납되어 저장 탱크로 귀환한다. 벽으로부터 응축물을 수납하기 위해서 하나이상의 홈통이 수납장치의 내부벽을 따라서 배치된다. 배관은 홈통에서 저장탱크로 응축물을 전달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제1도는 원자로의 격납 구조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냉각장치의 배관 구조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냉각장치의 변형예의 배관 및 밸브 구성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원자로 용기 24 : 증기 발생기
26 : 격납 구조체 30 : 저장 탱크
36 : 밸브 42 : 원격 센서
50 : 냉각액 54 : 내벽
본 발명은, 원자로 격납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물 또는 기타 응축액을 수집하여, 그 응축액을 긴급시의 열교환 공정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재순환시키고, 그것에 의해 과잉의 열을 노심(core)으로부터 제거하고 격납 구조체로 전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압수형 원자로와 같은 최신의 원자로는 핵 연료를 수용하는 가압수형 원자로 용기를 구비하며, 이 원자로 용기는 일차 냉각재를 원자로 용기내의 연료에 걸쳐 순환시키는 일차 냉각재 회로에 결합되고, 또 원료에 의해 일차 냉각재에 부여된 에너지를 추출하는 발전기에 결합된다. 원자로는, 원자로 사고의 경우에 방사능이 환경중에 대규모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납 구조체로 포위되어 있다. 예컨대, 원자로의 노심으로부터 발전기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 제공된 일차 냉각 시스템이, 예를 들면 연결 라인의 누출 또는 파열로 인한 일차 냉각재 압력의 감소 등의 이유로 고장나면, 원자로가 급속히 파열될 수도 있다. 공지되어 있는 원자로 중에는, 핵사고 발생의 경우에 열 싱크(heat sink)로서 사용하기 위한 열 질량(thermal mass)을 제공하는 대형 저수용 탱크를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구비하는 것도 있다. 저수 탱크 내부에 배치된 열 교환기는 열을 원자로 용기 및 연료로부터 저수 탱크내의 물에 전달하여, 열을 노심으로부터 운반하기 위한 싱크(sink) 및 전열수단(thermal transfer means) 양자를 제공한다.
밀러(Miller) 등의 미국 특허 제 4,668,467 호는 격납 구조체의 외측에 냉각수 저장용의 대형 저장용기가 있는 원자로용 안전 냉각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핵 비상시의 경우에, 냉각수가 저장용기로부터 격납 구조체 내부로 유입되고, 격납 구조체의 상부 근방에 있는 분사 매니폴드를 통하여 방출되거나 또는 격납 구조체내로 단순히 압송되어 격납 구조체의 하부의 섬프(sump)에 축적되며, 그에 따라 냉각수의 높이가 소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채워진다. 긴급 사태 발생의 원인이 일차 냉각재 회로에 파열에 의한 경우에는, 냉각수가 일차 냉각재와 혼합된다. 냉각액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냉각액은 섬프로부터 외기 열교환기를 통해 압송되고, 노심의 열을 운반하는 열교환 루프내에서 격납 구조체로 복귀된다. 필요하다면, 추가의 냉각액이 저장용기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냉각용 스프레이는 원자로의 온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며, 그에 따라 격납 구조체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밀러의 특허에서는 격납 구조체의 외부에 제공되는 급수원과, 또한 정기적인 보수 유지가 필요한 펌프 및 열교환기와 같은 다수의 요소를 필요로 한다.
샤버트(Schabert) 등의 미국 특허 제 3,929,567 호는 사고의 경우에 노심에 냉각액을 가득 채우도록 동작 가능한 안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소정량의 물이 격납 구조체내의 높은 위치에 있는 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고의 경우에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저장된 물의 높은 수위는 일차 회로내의 압력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압력 수두를 제공한다. 일단, 물이 방출되면, 격납 구조체의 외부에 위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한 열교환 루프가 작동하여 과잉의 열을 제거한다. 상기 미국 특허 제 4,668,467 호와 마찬가지로, 이 장치도 열교환 루프를 통해 냉각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밸브를 사용하므로, 도관, 밸브 및 펌프의 보수 유지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격납 구조체에 냉각수를 댈 수 있거나 열교환 수단을 거쳐 원자로에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소정량의 냉각수 형태의 열 싱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를 수동 조작으로 수집하여 재순환시키는 안전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핵 사고 발생의 경우에, 대형 열 싱크 탱크내의 물은 가열되어 수 시간 동안 비등할 수도 있다. 물을 액상으로부터 기상으로, 즉 증기 상태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열에너지가 가해질 때 까지, 물은 일정한 비등점 온도(압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함)를 유지한다. 열 싱크 탱크내의 물의 비등에 의해 생성된 증기는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방출된다. 격납 구조체 쉘(shell)의 벽은 증기보다 비교적 저온이므로, 물은 격납 구조체의 벽상에서 응축되고 격납 구조체의 하부로 흘러내려가서 그곳에 머무를 것이다. 이러한 물의 회수 수단이 없으면, 열 싱크 탱크의 내용물은 격납 구조체중에서 증기로서 방출되어, 예컨대 수 일이 지나면 완전히 없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때까지 별도의 냉각 수단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원자로의 온도는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로 상승할 것이고, 원자로 노심의 용융이 발생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터에 대한 의존성을 감소시키고 그러한 노심의 용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교환기가 본질적으로 무한 기간동안 작동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열 싱크 저수 탱크내에 물을 보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이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무기한 동안 저장 탱크에 물을 계속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신뢰성의 이유 때문에, 외부 급수원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보수유지를 필요로 하는 펌프, 밸브 및 기타 장치에 의존하지도 않는 수동식 급수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핵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된 수동식의 냉각액 재순환 장치를 제공한다. 증발된 냉각액은, 공기의 자연순환 및 물의 증발을 이용하는 수동식 시스템[콘웨이(Conway)의 미국 특허 제 4,753,771 호]에 의해 자체 냉각된 격납 구조체의 내벽상에 응축된다. 응축액은 적당한 적하 수집 거터(gutter) 및 도관내에 수집되고, 중력에 의해 열 싱크 저수 탱크에 복귀된다. 냉각액은 무한히 재순환될 수 있으며, 격납 구조체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는 것에 의해서 냉각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냉각액의 외부 공급은 필요치 않다. 더우기, 외부 열교환기를 구비한 유로가 필요 없기 때문에, 격납 구조체내에 방출된 방사능은 그 안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로 용기 또는 노심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사고의 경우에, 냉각 또는 보충 냉각을 위해서 응축액을 가열 상태의 저장용기까지 재순환시키는 원자로 격납 구조체용 수동식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자로 격납 구조체의 비상 냉각 시스템에서 펌프, 밸브 등의 의존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장용기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격납 구조체의 내벽상의 응축액을 회수 및 재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비상용수 열 싱크 저장용기의 유효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집된 응축액의 일부로부터 격납 구조체내에 스프레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응축액을 수집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격납 구조체로 둘러싸여 있는 원자로의 수동 냉각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되는바, 상기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냉각액 저장 탱크가 구비되어 있고, 이 냉각액 저장 탱크는 열을 원자로 노심으로부터 추출하도록 열적으로 결합되고, 그에 따라 저장 탱크내의 냉각액이 증기로서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방출된다. 격납 구조체의 내벽상에서 응축되고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흐르는 증기는, 상기 내벽으로부터 응축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또 응축액을 거터로부터 저장 탱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내벽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적하 캐쳐(drip catcher), 거터 및/또는 도관을 거쳐 수집된다. 응축액의 흐름을 드레인 탱크나 냉각액 저장 탱크중 어느 하나로 배향시키기 위한 밸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가 돔 형상인 원통형의 전형적인 격납 구조체에 대해서, 냉각액 저장 탱크는 작업 데크(operating deck)의 하부에서 격납 구조체의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거터는 저장 탱크와 연통하는 작업 데크상의 내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돔으로부터 적하되는 경향이 있는 응축액을 수용하기 위해서 다른 하나의 거터가 돔에 링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레인(crane)을 격납 구조체 내부에 지지하는 거더(girder)상에 또 다른 거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배관 수단은, 격납 구조체내에 높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거터에 결합된 배관 수단내에서 응축액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 거터에 의해 수집된 응축액은 이 거터로부터 넘쳐흘러, 격납 구조체 내부의 공기중에서 방사능을 제거하기 위한 수동식 스프레이를 발생시킨다. 또한, 배관 수단은 열 싱크 탱크내에서 방사성 요오드의 포획 및 보유를 개선하기 위해서, 염기와 같은 화학 첨가제를 수용한 퍼지 탱크(purge tank)를 갖는 분기관(branch)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 수단은 분기관을 통한 응축액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하며, 그것에 의해 화학 첨가제중 일부가 응축액중에서 용해되고 냉각액 저장 탱크로 이송되어 냉각액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도면에서 현 시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한 특정 구조 및 배열 상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원자로 용기(22)와 증기 발생기(24)를 포함하는 원자로가 저장 탱크(30)를 내부에 구비한 격납 구조체(26)로 포위되어 있다. 저장 탱크(30)는, 과잉의 열을 흡수하도록 비 등 가능한 물 등의 냉각액을 수용하고 있다. 사고의 경우에, 냉각액 저장 탱크(30)는 원자로의 노심에 열적으로 결합되어 격납 구조체(26)내의 주위 압력상태로 비등하게 된다.
예를 들면, 냉각수는 저장구역으로부터 방출되어, 원자로 용기(22)에, 원자로 용기 내의 연료에, 또는 원자로 용기(22)와 증기 발생기(24)를 연결하는 일차 냉각재 덕트(32)를 포함하는 일차 냉각제 회로의 일부에 각각 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사고의 경우 또는 이상 운전 상태가 감지되면, 통상적으로 반응 감쇠 제어봉을 원자로 노심 내부의 연료 집합체 안에 완전히 삽입하는 것에 의해 원자로를 신속하게 운전 정지시키거나 "스크램(scram)"시킨다. 그러나, 잔류 열이 잔존하며, 사고의 경우에 완전한 운전 정지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노심의 잔류열은, 손상 또는 잠재적인 용융을 피하기 위해서 노심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야 하는 긴급시의 열 부하(thermal load)이다.
제1도에 있어서, 냉각 탱크 또는 저장부(30)는 열교환기(34)를 거쳐 원자로 용기(22)를 통과하는 일차 냉각재와 루프(loop)를 이루어 상기 긴급시의 열 부하에 결합된다. 일차 냉각재는 원자로 용기(22) 내부의 노심에 있는 연료에 의해서 가열되며, 대류에 의해서 강력한 축방향 흐름이 발생된다. 저장 탱크(30) 내부의 열교환기(34)는, 일차 냉각재 회로(32)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통하는 도관을 거쳐 원자로 용기(22)에 결합될 수 있고, 긴급시의 경우에는 밸브(36)가 결합부를 개방한다. 그에 따라, 밸브(36)는, 예를 들면 원격 센서(42)에 의한 유해 조건의 검출시에, 또는 원자로 비상 정지 또는 스크램의 경우에 제어 신호가 발생될 때, 비상 냉각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저장 탱크내의 냉각액(50)은 열 싱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52)를 거쳐서 격납 구조체(26)내의 공기에 노출되며, 그것에 의해 저장 탱크는 격납 구조체(26)의 내부와 동일한 압력 상태를 유지한다. 물인 것이 바람직한 냉각액(50)은 가열되고 최종적으로는 비등되며 증기(수증기)로서 격납 구조체(26) 내로 방출된다.
격납 구조체의 내벽(54)은 저장 탱크(30)에서 방출되는 증기보다 저온 상태에 있다. 증기는 격납 구조체(26)의 내벽(54)상에서 응축되고, 중력에 의해서 내벽(54)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른다. 내벽(54)으로부터 응축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54)을 따라 응축물의 수집 수단(60)이 배치되고, 이 수집 수단은 파이프, 수도, 거터 및/또는 유사한 도관(62)을 거쳐서 연통하여, 수집된 응축액을 수집 수단으로부터 저장 탱크(30)로 이동시킨다. 냉각액(50)은 저장 탱크(30)에서 액상으로부터 기상으로 변화할 때 열을 흡수(흡열)하며, 다시 액체로 응축될 때 격납 구조체(26)의 내벽(54)에 열을 방출(방열)하고, 다시 저장 탱크(30)로 복귀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수집 수단(60)은 격납 구조체(26)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내주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상의 격납 구조체에 대해서, 수집 수단은 내벽(54)의 하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거터(64)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 데크(deck)(66)를 구비하는 격납 구조체에 대해서, 거터(64)는 작업 데크(66)의 레벨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저장 탱크(30)는 그 보다 하부의 레벨에 배치되어, 수집된 응축액이 중력에 의하여 저장 탱크(30)로 복귀되도록 한다. 격납 구조체(26)의 내벽(54)상의 상이한 높이에 다수의 거터를 배치하고, 각 거터를 수집된 물을 저장 탱크로 다시 운반하기 위한 배관 수단(62)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수집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형으로 배치된 단일의 거터를 배치하여, 내벽(54)상의 상이한 레벨에 있는 응축물을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격납 구조체(26)의 상부에 돔(68)과 같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패널을 형성하는 내벽을 갖는 격납 구조체에 대해서, 수집 수단(60)은 돔(68)의 하부에 배치되고, 돔(68)으로부터 응축액을 수집하도록 적절히 구성된 거터(72)를 구비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거터(72)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특히 돔(68)의 가장 수평인 부분의 하부에 배치된 거터에 통하는 적하 수집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격납 구조체는, 보수 유지작업 등을 하는 동안, 원자로의 구성 요소를 취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라 크레인(polar crane)(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는 거더(girder)(74)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수집 수단은 거더(74)상에 지지되고 내벽(54)을 따라 응축액을 수집하도록 배치된 거터(76)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거터(64, 72, 76)는, 격납 구조체의 내벽을 따라서 거터 내부까지 하방으로 흐른 다음 중력에 의해 저장 탱크(30)까지 하방으로 흐르는 응축액의 액적(drops)을 수집하기에 적합한 채널 형상 또는 개방된 상측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거터는 수집된 응축액을 저장 탱크(30)에 운반하는 배관 수단(62)의 레그에 연결된다. 또한, 배관 수단(62)은 수집 수단(60)과 저장 탱크(30)의 사이에 배치된 드레인 탱크(78)에 결합될 수도 있다. 관련 밸브(82)는 드레인 탱크(78) 또는 저장 탱크(30)중 하나에 대한 응축액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격납 구조체(26)내의 높은 상대습도와 내벽(54)의 저온 표면 온도로 인하여, 원자로의 정상 운전 조건에서는 소량의 응축액이 수집될 수도 있다. 그러한 비 긴급상태에서는, 응축액이 드레인 탱크(78)로 배향되어, 복귀 응축액이 저장 탱크(30)내의 냉각액(50)의 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긴급시에, 응축액이 저장 탱크(30)로 직접 흐르도록 밸브(8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관 수단(62)은 거터(64, 72, 76)로부터 저장 탱크(30) 및 드레인 탱크(78)로 통하는 2개 이상의 도관(8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동식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방사능 분진 등을 격납 구조체내의 대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액체 스프레이를 격납 구조체(26)내부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제거 능력을 구비한 실시예는, 배관수단(62)내의 응축액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동작 가능한 밸브(86)를 포함하는 배관수단을 갖는다. 밸브(86)를 이용하여 거터중 어떤 것으로부터의 흐름을 억제하거나 차단함에 의해서, 거터 내부의 응축액은 증가되고 거터로부터 넘쳐 흐르며, 응축액의 액적(88)은 격납 구조체(26)내의 공기를 통해서 작업 데크(66)의 레벨까지 낙하하며, 그의 낙하시에 방사성 분진을 포획한다. 밸브는 자동으로도 제어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격납 구조체 내부의 높은 압력 또는 방사선의 존재를 나타내는 원격 센서(4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개방된다. 또한, 이 밸브는 화재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자동식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 데크(66)상에 축적되는 액체를 데크의 거터(64)로 지향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저장 탱크(30)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첨가제를 수용한 퍼지 탱크(92)를 수집된 응축액의 유로내에 설치할 수 있다. 퍼지 탱크(92)는, 격납 구조체(26) 내에 방출 가능한 요오드와 같은 방사성 이온을 보다 잘 포집하여 보유할 수 있도록 냉각액(50)의 pH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pH 조절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관 수단(62)은 퍼지 탱크(92) 및 밸브를 구비한 분기관(94)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는 퍼지 탱크(92)를 구비한 분기관을 통한 응축액의 흐름을 허용 가능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화학 첨가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응축액 중에서 용해시키고 또 냉각액(50)의 화학 조성의 조절을 위해 저장 탱크(30)로 이송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저장 용기 내에서 비등된 비상용 냉각수를 단순히 사용하여 소실시키지 않고 회수하여 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것에 의해, 비상용 냉각 시스템의 보호 기간이 연장되고, 본 발명의 장치만을 제공하거나 또는 격납 구조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외부 수단(98), 예를 들면 외측 표면상에 배향되는 물의 흐름 또는 다른 냉각 수단의 보충 수단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Claims (8)

  1. 격납 구조체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이 격납 구조체내에 배치된 액체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이 액체 저장 탱크는 긴급시에 원자로의 열원에 열적으로 결합 가능하고 상기 격납 구조체중에 공기에 노출된 냉각액을 수용하며, 그것에 의해서 저장 탱크내의 냉각액이 증기로서 격납 구조체의 내부에 방출되고, 상기 격납 구조체의 내벽상에 응축액을 형성하고, 그리고 중력의 작용으로 하방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벽으로부터 응축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기 위해서 내벽을 따라 배치된 수집 수단과, 상기 수집 수단을 저장 탱크에 결합시켜 응축액을 상기 수집 수단으로부터 상기 저장 탱크로 운반하도록 동작 가능한 배관 수단을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냉각액이 재순환되고 재사용되며, 드레인 탱크가 상기 수집 수단과 상기 저장 탱크의 사이에서 상기 배관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 사이의 연결부를 개폐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밸브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수단은 긴급시에 상기 드레인 탱크의 내용물을 저장 탱크 내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내의 냉각액을 상기 원자로의 열원에 결합시키도록 열적으로 동작 가능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수단은 격납 구조체의 전체의 내주 둘레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수단은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격납 구조체의 내주 둘레에 연장하는 복수의 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구조체의 내벽이 원통형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터는 내벽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의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수집 수단은 상기 수평의 패널 하부에 배치된 액적 포집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수단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터로부터의 응축액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동작 가능한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응축액의 일부분이 상기 거터로부터 넘쳐흘러 상기 격납 구조체를 통해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수단중 하나 및 상기 저장 탱크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 탱크 내부의 냉각액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화학 첨가제를 수용하고 있는 퍼지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KR1019930005829A 1992-06-24 1993-04-07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KR100288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3,639 1992-06-24
US07/903,639 US5255296A (en) 1992-06-24 1992-06-24 Collecting and recirculating condensate in a nuclear reactor containment
JP93-44029 1993-03-04
JP4402993A JP2931733B2 (ja) 1993-03-04 1993-03-04 回転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387A KR930022387A (ko) 1993-11-24
KR100288585B1 true KR100288585B1 (ko) 2001-05-02

Family

ID=6691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829A KR100288585B1 (ko) 1992-06-24 1993-04-07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61B1 (ko) * 2015-05-27 2016-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주변 수조(또는 물탱크)내 침수된 열교환기를 이용한 원자로 정지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61B1 (ko) * 2015-05-27 2016-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주변 수조(또는 물탱크)내 침수된 열교환기를 이용한 원자로 정지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387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178B2 (ja) 原子炉の受動式冷却装置
EP0596166B1 (en) A passive three - phase heat tube for the protection of apparatus from exceeding maximum or minimum safe working temperatures
KR950011978B1 (ko) 가입수형 원자로의 수동적 유체 안전장치
KR950009881B1 (ko) 원자로 설비
US11756698B2 (en) Passive emergency feedwater system
US8731130B2 (en) Passive emergency feedwater system
US3718539A (en) Passive nuclear reactor safeguard system
JP2642763B2 (ja) 原子炉系
KR101940197B1 (ko) 원자로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열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0856501B1 (ko) 피동살수계통을 이용한 일체형원자로 안전설비
US20180350472A1 (en) Passive safe cooling system
EP2224452B1 (en) Ph adjusting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ph
JP2015508486A (ja) 閉鎖伝熱経路を用いる、原子炉用緊急炉心冷却システム(eccs)
JP6022286B2 (ja) 凝縮室用冷却系
CN112201372B (zh) 一种实现核反应堆堆芯熔融物滞留的方法
JPH06242279A (ja) 原子炉格納設備
JPS6020187A (ja) 原子炉の安全冷却装置
KR100288585B1 (ko) 원자로의 수동식 냉각장치
KR102431077B1 (ko) 극단적 노출 후 원자력 발전소를 안전한 상태로 만드는 시스템 및 방법
JPH04109197A (ja) 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崩壊熱除去装置
JPH0332037B2 (ko)
JPH07244186A (ja) 格納容器安全システム
Vijuk et al. Passive Safety Approach for The Advanced (W) 600 MWE PWR
Chakraborty et al. A concept of a small controlled, filtered venting system and an add-on decay heat removal system to mitigate the consequences of core-melt accidents
JPH02264894A (ja) 加圧水型原子力プラントの安全保護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