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041B1 -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041B1
KR100288041B1 KR1019940007573A KR19940007573A KR100288041B1 KR 100288041 B1 KR100288041 B1 KR 100288041B1 KR 1019940007573 A KR1019940007573 A KR 1019940007573A KR 19940007573 A KR19940007573 A KR 19940007573A KR 100288041 B1 KR100288041 B1 KR 10028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ubular body
rod
operating porti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요모기무쯔노리
다이도구니히코
나카자와마사히코
미나미유키오
소가오마사히코
요시카와가즈히로
오가와슈헤이
고지마데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700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67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982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674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 F16K41/10Spindle sealings with diaphragm, e.g. shaped as bellows or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10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inclined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유체의 통로 및 밸브 자리를 갖는 밸브 본체, 밸브 조작부,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되는 밸브봉 지지부재, 밸브봉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밸브 조작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밸브 본체내에 들어가 있고, 또 밸브 조작부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밸브봉, 그리고 밸브봉의 하단에 장치된 밸브체를 구비한 제어 밸브이다. 밸브봉의 상하의 이동에 의하여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하고 밸브체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자리에 접촉, 착좌하여 유체의 통로를 닫고, 밸브체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자리에서 떨어져 유체의 통로를 개방한다.
밸브봉 지지부재가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진 상측 관상체와,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이 밸브 조작부로부터 떨어진 하측 관상체를 구비하고 있고, 양 관상체가 가로 간격을 두어서 서로 끼워지고 상측 관상체의 하단부와 하측 관상체의 상단부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Description

제어 밸브
본 발명은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 있어서의 상하 관계는 편의상 제어 밸브를 이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과 같이 배치했을 때의 상하 관계를 표시하도록 정의한 것에 불과하고, 제어 밸브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절대적인 상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밸브는 유체의 통로 및 밸브 시이트(seat)를 구비한 밸브 본체, 밸브 조작부,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된 밸브봉 지지 부재, 밸브봉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밸브 조작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밸브 본체내에 들어가 있고 또 밸브 조작부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밸브봉, 그리고 밸브봉의 하단에 장치된 밸브체를 포함하며, 밸브봉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되고, 밸브체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에 접촉, 착좌(着座)하여 유체의 통로를 폐쇄하고, 밸브체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에셔 떨어져서 유체의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제어 밸브에 있어서, 밸브봉 지지 부재는 대개 금속으로 일체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밸브봉 지지 부재가 금속제의 1개의 관상체로 형성된 종래의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본체의 유체 통로내에 저온 유체 또는 고온 유체를 유입시켰을 경우 밸브봉 지지 부재를 통해 밸브 조작부와 유체 사이에서 열의 유입ㆍ유출이 발생되어 유체의 온도가 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밸브봉을 통해서 밸브 조작부와 유체와의 사이에서 열의 유입ㆍ유출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밸브는 유체의 통로 및 밸브 시이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 밸브 조작부,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된 밸브봉 지지 부재, 밸브봉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밸브 조작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밸브 본체내에 들어가 있고 또 밸브 조작부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밸브봉, 그리고 밸브봉이 하단에 장치된 밸브체를 포함하며, 밸브봉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되고, 밸브체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에 접촉, 착좌하여 유체의 통로를 폐쇄하고, 밸브체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로부터 떨어져서 유체의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봉 지지 부재는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진 상측 관상체와,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서 떨어진 하측 관상체를 구비하며, 상기 양 관상체는 상호 간격을 두고 서로 끼워지며, 상기 상측 관상체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관상체의 상단부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밸브에 따르면, 밸브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열전달 경로가 종래의 밸브 지지 부재에 비해 길어진다. 따라서, 밸브봉 지지 부재를 통과하는 유체와 밸브 조작부 사이의 열전달량이 감소된다. 그 결과, 밸브 본체의 유체 통로내에 저온 유체나 고온 유체를 유입했을 경우에도 이 유체의 온도 변화가 억제된다. 또한, 밸브봉 지지 부재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아도 밸브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열 전달 경로를 종래의 밸브 지지 부재에 비해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제어 밸브 전체의 길이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에 따르면, 상측 관상체 및 하측 관상체 중의 외측에 위치하는 관상체의 자유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측 관상체와 하측 관상체 중 외측에 위치하는 관상체의 자유단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가 어느 한쪽의 관상체에 접촉하여 열전달 경로가 짧아져서 발생되는 열전달량의 증가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관상체와 하측 관상체 중 외측에 위치하는 관상체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열전달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밸브 본체의 유체 통로내를 흐르는 유체의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봉 지지 부재와 밸브봉과의 동일 중심의 어긋남이 방지되고, 그 결과 밸브봉이 항시 원활히 이동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제어 밸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고, 제2도 내지 제4도는 그 주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는 밸브 본체(A)와, 밸브 조작부(B)와, 상단이 밸브 조작부(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A)에 고정된 밸브봉 지지 부재(3)와, 밸브봉 지지 부재(3)를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밸브 조작부(B)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밸브 본체(A)내에 들어가 있는 밸브봉(4)과, 밸브봉(4)의 하단에 장치된 밸브체(5)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A)는 밸브 박스(1)와 밸브 박스(1)에 고정된 밸브 뚜껑(2)으로 구성된다. 밸브 박스(1)에는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에 이르는 유체 통로(6)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박스(1)의 양 측면에 유체 유통관(P)이 접속되어 있다. 유체 유통관(P)은 단열 커버(C)로 피복되어 있다. 또, 밸브 박스(1)에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돌출된 원주형 부분(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형 부분(1a)에는 그 상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또 하단부가 유체 통로(6)로 연장하도록 마련된 밸브봉용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박스(1)의 상벽으로부터 하벽에 걸쳐서 비스듬히 상향의 밸브 시이트(8)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뚜껑(2)은 밸브 박스(1)의 원주형 부분(1a)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밸브 뚜껑(2)은 밸브봉용 구멍(7)의 상단 개구를 막는 원판형 부분(9)과, 상단이폐쇄되는 동시에 하단이 개구되고, 또 하단 개구의 주연부가 원판형 부분(9)의 상면에 고정되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부분(11)으로 구성된다. 원판형 부분(9)의 중앙에는 밸브봉 안내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상 부분(11)의 상단 폐쇄벽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봉 지지 부재(3)는 금속제의 3중관(14)으로 구성된다. 3중관(14)을 구성하는 3개의 관(14A,14B,14C)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3개의 관(14A,14B,14C)들 증 가장 내측의 관(14A)(하측 관상체)의 하단은 밸브 뚜껑(2)의 원통상 부분(11)의 상단 폐쇄벽의 관통 구멍(13)에 삽입되고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관(14A)의 상단은 밸브 조작부(B)와 떨어져 있다. 3중관(14)을 구성하는 모든 관(14A-14C)들 중 가장 바깥쪽의 관(14C)(상측 관상체)의 상단은 밸브 조작부(B)에 고정된다. 이 관(14C)의 하단은 밸브 본체(A)와 떨어져 있다. 3중관(14)을 구성하는 모든 관(14A-14C)들 중 중앙부의 관(14B)의 상하 양단은 각각 밸브 조작부(B) 및 밸브 본체(A)와 떨어져 있다. 이 관(14B)의 상단부는 연결링(15)을 개재하여 최내측의 관(14A)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동 하단부는 연결링(16)을 개재하여 최외측의 관(14C)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2개의 관(14A,14B)과 연결링(15), 그리고 2개의 관(14B-14C)과 연결링(16)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링(15), 중앙부의 관(14B) 및 연결링(16)에 의하여 최내측의 관(14A)의 상단부와 최외측의 관(14C)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가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연결링(16)에 이것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 예컨대 3개의 나사 구멍(10)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나사 구멍(10)의 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나사 구멍(10)에 플라스틱제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18)(흔들림 방지 부재)가 밖으로부터 나사에 의해 끼워져 있고, 그 선단은 최내측의 관(14A)에 당접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18)는 플라스틱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 뚜껑(2) 및 밸브봉 지지 부재(3)의 주위는 단열 커버(C)에 설치된 원통상 부분(C1)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밸브봉(4)은 금속제의 상부 봉상 부재(20)와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하부 봉상 부재(21)로 구성된다. 또 하부 봉상 부재(21)의 구성물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플라스틱제나 금속제도 사용할 수 있다. 상부 봉상 부재(20)의 상단부는 밸브 조작부(B)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하부가 가장 내측의 관(14A)내에 자유로이 활주 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 밸브 조작부(B)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하부 봉상 부재(21)는 밸브봉 안내 구멍(12)에 자유로이 활주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동시에 그 상단부가 가장 내측의 관(14A)내에 자유로이 활주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봉상 부재(21)는 상부 봉상 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 이것에 압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봉상 부재(21)에 있어서의 밸브 뚜껑(2)의 원통상 부분(11)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정링(22)이 고정되어 있고, 고정링(22) 보다 하방 부분에 있어서 하부 봉상 부재(21)의 주위에 스프링 베어링(23)이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밸브 뚜껑(2)의 원판형 부분(9)의 상면과 스프링 베어링(23) 사이에서 하부 봉상 부재(21)의 주위에 압축 코일 스프링(24)(탄성 부재)이 배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은 스프링 베어링(23) 및 고정링(22)을 개재하여 하부 봉상 부재(21)에 전달되고, 하부 봉상 부재(21)가 항상 상향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봉상 부재(21)는 상부 봉상 부재(20)가 상승했을 때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하부 봉상 부재(21)에 있어서, 밸브 박스(1)의 원주형 부분(1a)의 밸브봉용 구멍(7)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대경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봉상 부재(21)의 대경부(21a) 보다도 하방의 부분이 밸브체(5)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5a)에 끼워져서 핀(25)에 의하여 밸브체(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봉상 부재(21)는 밸브체(5)가 밸브 시이트(8)에 접촉, 착좌되어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되는 하단 위치와, 대경부(21a)가 원판형 부분(9)에 당접하는 상단 위치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거리로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그 상단 위치에 있어서는 밸브체(5)가 밸브 시이트(8)로부터 떨어져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된다.
하부 봉상 부재(21)가 하단 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 봉상 부재(20)도 그 이상은 하강하는 일이 없는 하단 위치에 있게 된다. 상부 봉상 부재(20)의 하단 위치로부터 상방으로의 이동 거리는 하부 봉상 부재(21)의 하단 위치에서 상단 위치까지의 이동 거리 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5)의 주연부에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부분(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부분(26)의 외주면에 얕은 환상 홈(27)이 형성되고,이 환상 홈(27)내에 밸브 박스(1)의 원주형 부분(1a)의 내주면에 대하여 활주하는 합성 수지, 예컨대 불소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제의 원통형 가이드(28)가 끼워져 있다. 하부 봉상 부재(21)의 대경부(21a) 보다도 하방의 부분에 있는 구멍(5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상단부에 링(29)이 끼워져 고정되고, 링(29)과 밸브 뚜껑(2)의 원판형 부분(9)과의 사이에 이들의 사이를 밀봉하는 벨로우즈(30)의 상하 양단부가 밀착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 조작부(B)에 의하여 밸브봉(4)의 상부 봉상 부재(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봉상 부재(20)에 압압되어 하부 봉상 부재(21) 및 밸브체(5)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체(5)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8)에 접촉, 착좌하여 유체 통로(6)를 폐쇄시킨다. 밸브체(5)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하부 봉상 부재(21)의 상단면과 상부 봉상 부재(20)의 하단면과는 당접되고 있으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하부 봉상 부재(21)의 작용에 의하여 밸브봉(4)을 통과하는 유체 통로(6)내의 유체와 밸브 조작부(B) 사이의 열전달량이 감소된다. 또한, 밸브봉 지지 부재(3)가 금속제의 3중관(14)으로 구성되고, 최내측의 관(14A)의 하단이 밸브 뚜껑(2)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이 밸브 조작부(B)와 간격을 두게되고, 최외측의 관(14C)의 상단이 밸브 조작부(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A)와 간격을 두고 떨어지고, 또 최내측의 관(14A)의 상단부와 최외측의 관(14C)의 하단부가 연결 부재(17)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밸브봉 지지 부재(3)에 있어서의 열전달 경로가 길어져서 밸브봉 지지 부재(3)를 통한 유체 통로(6) 내의 유체와 밸브 조작부(B)간의 열전달량이 감소한다.그리고, 흔들림 방지용 나사(18)의 동작에 의해 최외측의 관(14C)의 하단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중앙부의 관(14B)의 하단부가 최내측의 관(14A)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열전달 경로가 짧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밸브 조작부(B)에 의하여 밸브봉(4)의 상부 봉상 부재(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봉상 부재(21) 및 밸브체(5)는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5)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8)에서 떨어져 유체 통로(6)가 개방된다. 하부 봉상 부재(2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5)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면 하부 봉상 부재(21)의 대경부(21a)의 상단이 원판형 부재(9)에 당접하여 하부 봉상 부재(21)가 상단 위치에 도달하여 하부 봉상 부재(21) 및 밸브체(5)는 이 위치에서 정지된다. 그 후, 밸브 조작부(B)에 의하여 상부 봉상 부재(20)는 다시 상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봉상 부재(21)와 상부 봉상 부재(20)는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된다(제4도 참조). 따라서, 제어 밸브의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유체 통로(6)로 흐르는 유체와 밸브 조작부(B) 사이의 밸브봉(4)을 개재한 열전달이 방지된다. 또한, 이렇게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경우와 같이 밸브봉 지지 부재(3)를 통한 유체 통로(6)내의 유체와 밸브 조작부(B) 사이의 열전달량이 감소한다. 또한,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18)의 작용에 의해 최외측의 관(14C)의 하단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밸브봉 지지 부재(3)와 밸브봉(4)이 동일 중심을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밸브봉(4)은 항시 원활히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밸브봉 지지 부재(3)에 있어서의 상단은 밸브조작부(B)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은 밸브 본체(A)로부터 떨어진 관(14C)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이 관(14C)의 하단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18)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하단이 밸브 본체(A)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이 밸브 조작부(B)로부터 떨어진 관(14A)이 최외측에 배치되고, 이 관(14A)의 상단부에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18)를 설치해도 좋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밸브의 밸브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분을 생략한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X-X선을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밸브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의 제2도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 박스
2 : 밸브 뚜껑
3 : 밸브봉 지지 부재
4 : 밸브봉
5 : 밸브체
6 : 유체 통로
8 : 밸브 시이트
14A : 관(하측 관상체)
14C : 관(상측 관상체)
17 : 연결 부재
18 : 흔들림 방지 부재
20 : 상부 봉상 부재
21 : 하부 봉상 부재
A : 밸브 본체
B : 밸브 조작부
C : 유체 유통관

Claims (6)

  1. 유체의 통로 및 밸브 시이트를 구비한 밸브 본체, 밸브 조작부,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지에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된 밸브봉 지지 부재, 밸브봉 지지 부재를 관통하고 그 상단부가 밸브 조작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밸브 본체내에 들어가 있고 또 밸브 조작부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밸브봉, 그리고 밸브봉의 하단에 장치된 밸브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봉의 상하의 이동에 의하여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밸브체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에 접촉, 착좌하여 유체의 통로를 폐쇄하고, 밸브체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것이 밸브 시이트로부터 떨어져서 유체의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봉 지지 부재는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이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진 상측 관상체와, 하단이 밸브 본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이 밸브 조작부에서 떨어진 하측 관상체를 구비하며, 상기 양 관상체는 상호 간격을 두고 끼워지고, 상기 상측 관상체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관상체의 상단부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봉의 전장 중 적어도 일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관상체 및 상기 하측 관상체 중 외측에 위치하는 관상체의 자유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관상체는 하측 관상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양 관상체 사이에는 양 관상체와 각각 간격을 두는 동시에 상하 양단부가 밸브 조작부 및 밸브 본체로부터 떨어지도록 제3의 관상체가 배치되며, 상기 상측 관상체의 하단부와 제3의 관상체의 하부는 연결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관상체의 상단부와 제3의 관상체의 상단부가 연결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양 연결링 및 상기 제3의 관상체에 의해 연결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관상체의 하단부와 상기 제3의 관상체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링에는 이 연결링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나사 구멍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나사 구멍에는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가 외측으로부터 나사에 의해 끼워지고, 그 선단은 상기 하측 관상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용 수나사가 플라스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KR1019940007573A 1993-05-07 1994-04-12 제어밸브 KR100288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07007 1993-05-07
JP10700793A JP3256752B2 (ja) 1993-05-07 1993-05-07 制御弁
JP29982593A JP3396747B2 (ja) 1993-11-30 1993-11-30 制御弁
JP93-299825 1993-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041B1 true KR100288041B1 (ko) 2003-08-02

Family

ID=2644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573A KR100288041B1 (ko) 1993-05-07 1994-04-12 제어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27357A (ko)
EP (1) EP0623769A1 (ko)
KR (1) KR100288041B1 (ko)
TW (1) TW2808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4982A1 (en) * 2004-09-30 2006-03-30 Mitten Manufacturing Valve for dynamic control of fuel flow rate in gas turbine power plant, power plant and components thereof employing such valv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valve
EP2682170A1 (en) * 2012-07-03 2014-01-08 Linde Aktiengesellschaft Cryogenic phase separator with rod actuated outlet valve
CN103047423B (zh) * 2012-12-20 2015-09-09 南车株洲电机有限公司 变压器取样装置
JP1546565S (ko) * 2015-08-19 2016-03-28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8849A (en) * 1938-05-17 1941-01-14 Gen Electric Seal for valve mechanisms
US2209296A (en) * 1938-12-08 1940-07-23 Gasoline Prod Co Inc Valve construction
DE1023942B (de) * 1957-01-04 1958-02-06 Theo Schulte Fa Zwischenstuecke mit Halsansatz fuer stopfbuechslose Armaturen
FR1328428A (fr) * 1962-04-17 1963-05-3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soufflet d'étanchéité environné par du fluide en mouvement et appareils tels que vannes pourvus de tels dispositifs
US3253611A (en) * 1962-11-13 1966-05-31 Firewell Company Inc Controller for cryogenic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27357A (en) 1995-06-27
EP0623769A1 (en) 1994-11-09
TW280854B (ko) 199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0025C (en) Fire-protection valve with shutting spring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conduits
KR100288042B1 (ko) 제어밸브
KR960700427A (ko) 가스 선용 안전 차단기(safety shut-off gas lines)
JP3861206B2 (ja) 流体制御器
US11287051B2 (en) Float valve
BR112014003532B1 (pt) regulador de fluido de processo
KR100288041B1 (ko) 제어밸브
CN104132168A (zh) 运动阻抑元件以及用其装备的伸缩管道
US2442625A (en) Packless valve
JP3396747B2 (ja) 制御弁
FI79395C (fi) Tryckreduceringsventil.
US2846182A (en) Fluid-control valves
US951407A (en) Valve.
US4707279A (en) Self-seating valve with compressive release
KR102003013B1 (ko) 유량 조정 밸브 어셈블리
JPH0214586B2 (ko)
JP2007016891A (ja) エア抜き弁
JP3256752B2 (ja) 制御弁
JP2011080594A (ja)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JP2530076Y2 (ja) 緊急遮断弁
US20220349481A1 (en) Globe Valve
US6279597B1 (en) Thermal safety valve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pipes
CN220102109U (zh) 排水阀
US8132589B2 (en) Regulating valve for the discharge of liquid
HU222718B1 (hu) Szabályozószelep a gázáramlásnak a gáznyomástól függż szabályoz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