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642B1 - 장갑 - Google Patents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642B1
KR100287642B1 KR1019980708307A KR19980708307A KR100287642B1 KR 100287642 B1 KR100287642 B1 KR 100287642B1 KR 1019980708307 A KR1019980708307 A KR 1019980708307A KR 19980708307 A KR19980708307 A KR 19980708307A KR 100287642 B1 KR100287642 B1 KR 10028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xis
web
glove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515A (ko
Inventor
제임스 허버트 데이비스
리차드 워싱톤 로지
앤 캐슬린 반즈
찰스 데이비드 쿡
앨빈 도일 마틴
레서 마지 하인즈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0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4Fold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에 용이하게 끼우거나 일치하는 일회용 장갑(10)를 제공한다. 장갑(10)은 함께 결합된 전면 패널(160) 및 배면 패널(170)을 포함한다. 배면 패널(170)의 신장력은 바람직하게는 전면 패널(160)의 신장력보다 작다.

Description

장갑{FITTED GLOVE}
세척 및 다른 이용을 위한 글러브(glove) 및 미트(mitt)는 공지되고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1990년 2월 20일자로 로코 등(Rojko et al.)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유아 세척용 흡수가능한 세척 미트(absorbable cleaning mitt for wiping babies)"인 미국 특허 제 4,902,283 호는, 3개의 측면을 따라 함께 연결된 2개의 외측 흡수가능한 표면 및 2개의 내측 플라스틱 층을 포함하는 미트를 개시한다. 1991년 1월 22일자로 올리버(Oliver)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방수의 그릇세척용 미트(waterproof dishwashing mitten)"인 미국 특허 제 4,986,681 호는 손을 보호하는 라텍스(latex) 고무를 포함하는 미트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4,902,283 호의 이러한 제품은 미트를 통해 오염 물질을 세척 및 흡수하는 능력을 제공하지만, 이들은 탄성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손의 크기 변화에 따라 조절하는 능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986,687 호에 개시된 제품은 고무 및 다른 신장 물질의 이용함으로써 변하는 손의 크기에 맞게 조절 및 끼워질 수 있지만, 이들은 경제적이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한 물질을 이용하여 손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조절되는 장갑 또는 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종방향 축선,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횡방향 축선 및 주변부를 갖는 장갑(hand article)으로, 주변부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전면 패널과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배면 패널을 포함한다. 배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전면 패널 및 배면 패널은 손이 안으로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게 서로 결합되며, 배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사용자의 손의 후방에 바로 인접해 있으며,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사용자의 손바닥에 인접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은 주변부에서 함께 만나고 결합되어 장갑 또는 미트를 형성한다.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은 각각 중합체 필름(polymeric film)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중합체 필름 유형이 사용되지만, 배면 패널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인장력(extension force)은 전면 패널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인장력보다 작다. 이것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면 패널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 성분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영역을 갖는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구조적 탄성형 필름(structural elastic-like film: SELF) 웹을 포함한다. 제 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가해진 신장에 제 1 탄성형 저항성 힘을 제공한다. 제 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다른 가해진 신장에 제 2 별개의 저항성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할 때에 적어도 2 단계의 저항성 힘을 제공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전면 패널은 그 자체가 즉 SELF를 구비한 배면 패널에 더하여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패널의 외측 표면은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여 물체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면 패널은 웹의 제 1 및 제 2 영역이 서로 교차하고 가로지르는 복합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이다. 게다가,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은 서로간에 대체로 수직하게 배향되며 및/또는 서로간에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의 배향은 하나 이상의 축선을 따라 중합체 필름의 신장(streching)을 제공하여 중합체 필름의 신장도(extensibility)가 증가된다.
다른 변형예의 실시예는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 및/또는 외측 표면에 결합되는 흡수성 층을 개시한다. 이러한 흡수성 층은 로션(lotion), 표면 활성제(surfactant), 알콜(alcohol), 물(water), 향수(perfume), 땀 방지제(anti-perspirant), 약물(medicine), 세척제(cleaning agents), 표백제(bleach) 또는 그것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addtiv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크기의 손에 조절되고 전체적으로 개선된 착용을 제공하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으로 간주되는 주제를 상세하게 지적하고 구별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로 귀결되지만, 본 발명은 대체로 유사한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라고 믿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의 구조를 나타내도록 부분 절단된 글러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브형 요소가 관측자를 향해 배향된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를 갖는 SELF 웹의 평면도,
도 2a는 도 2의 비인장 상태(untensioned condition)의 SELF 웹의 일부 사시도,
도 2b는 도 3에 도시된 힘-신장률 곡선의 스테이지(Ⅰ)에 대응하는 인장 상태에 있는 도 2의 SELF 웹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2c는 도 3에 도시된 힘-신장률 곡선의 스테이지(Ⅱ)에 대응하는 인장 상태에 있는 도 2의 SELF 웹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SELF 웹의 동작과 다른 동일한 평면의 베이스 중합체 웹 물질을 비교하는 저항력 대 신장률의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의 배면 패널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의 전면 패널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구조적 탄성형 필름(SELF) 웹의 확대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 패널의 구조적 탄성형 필름(SELF)을 갖는 미트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장갑(hand article)"은 손을 덮는 것(covering)을 의미한다. 용어 "일회용(disposable)"은 본 명세서에서 복구 또는 다시 이용되지 않는 장갑을 기술한 것이다(즉, 이들은 일회의 사용 후에 바람직하게는 환경적으로 적합한 방법으로 재순환되거나, 썩혀지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되어 페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글러브(glove)"는 각각의 손가락에 대한 분리된 섹션을 갖는 손을 덮는 것(covering)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미트(mitt)"는 손가락을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두는 봉입물을 가지며 주 봉입물에 엄지 손가락용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엄지 손가락용 분리 봉입물내에 엄지 손가락용 공간을 제공하며, 또는 전혀 엄지 손가락 봉입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손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딤플(dimple)"은 표면상의 침하(depression) 또는 톱니모양(indentation)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팽창력(extension force)"은 손 이동에 의해 표면에 가해져 표면을 직선으로 및/또는 곡선으로 연장 및/또는 만곡시키는 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글러브(10)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러브(10)의 플랫 아웃 상태(flat-out state)에 따른 평면도로서, 글러브(10)의 구조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도록 글러브(10)의 일부가 절결된 도면이다. 글러브(10)은 전면 패널(160), 배면 패널(170) 및 주변부(150)를 포함하는데, 전면 패널(160) 및 배면 패널(170)은 바람직하게는 접합선이 없는(seamless) 결합을 형성한다. 용어 "접합선 없는"이란 실질적으로 분별이 가능한 홈, 융기(ridge), 톱니모양 또는 눈 및/또는 접촉으로 용이하게 분별가능한 임의의 다른 불규칙적인 표면을 갖지 않는 표면을 의미한다. 전면 패널(160)은 내측 표면(161)과 내측 표면(161)에 대향하는 외측 표면(162)(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배면 패널(170)은 내측 표면(171)(도시하지 않음)과 내측 표면(171)에 대향하는 외측 표면(172)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는 내측 표면(161, 171)이 서로간에 마주보거나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조립된다. 내측 표면(161, 171)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글러브(10)의 부분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171)은 착용자의 손의 배면에 인접하게 착용하게 되며, 내측 표면(161)은 착용자의 손바닥 측면 또는 전면에 인접하게 착용하게 된다. 외측 표면(162, 172)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장갑의 부분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글러브(10)은 각각 분리형 전면 및 배면 패널(160, 170)을 포함하며, 주변부(150)의 주위에 함께 고정되어 개구(155)를 규정한다. 글러브(10)은 종방향 축선(25)과 종방향 축선(25)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횡방향 또는 측방향 축선(30)을 갖는다.
글러브(10)은 상이하게 인장가능한 장갑인데, 적어도 장갑의 일부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통상적인 탄성의 이용 없이 착용자의 손 주위로 인장 및/또는 수축된다. 용어 "상이하게 인장가능한(differentially extensible)" 또는 "상이한 확장성(differential extensibility)"이란 본 명세서에 확장성의 양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장갑의 일부는 손의 크기 변화 및 운동에 응답하여 다른 부분과 독립적으로 인장하거나 수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이한 확장성은 소정 범위의 손 크기를 장갑내로 편리하게 끼워지도록 허용한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글러브(10)은 구조적 탄성형 필름(SELF) 웹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확장성으로 구성된다. 변형예로서, 변하는 손의 크기를 편안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상이한 확장성은 다양한 탄성형 재료, 탄성형 특성을 생성하는 복합 재료 및/또는 재료를 보다 탄성형으로 만드는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탄성형(elastic-like)"이란 신장이 가해지게 될 때 가해진 신장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웹 재료와 같은 웹 재료의 동작(behavior)을 기술한 것이다. 또한, 가해진 신장이 해제될 때, 웹 재료가 실질적 정도(substantial degree)로 그들의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웹(web)"은 재료의 단일 층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시트형 재료(sheet-like material)를 나타낸다.
글러브(10)의 배면 패널(170)은 착용자의 손에 동적으로(dynamically) 결합하여 일치하도록 인장가능하게 되어 착용자의 손 주위로 개선된 착용을 제공한다. 배면 패널(170)의 힘/인장 성질 또는 특성[예컨대, 인장력(extention forces), 이용가능한 신장(인장) 및 수축력]은 특히 착용자의 손의 이동에 따라 동적으로 인장 및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착용을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패널(170)은 전면 패널(160)에 결합된다. 배면 패널(170)은 대체로 측방향으로, 즉, 횡방향 또는 측방향 축선(30)을 따라 벡터 요소를 갖는 방향으로 인장가능하여, 초기에 장갑을 손의 주위로 적합하게 끼우고 착용 시간에 걸쳐 이러한 끼움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손 주위에 보다 편리하며 형상에 맞는 끼움을 제공한다. 배면 패널(170)은 글러브(10)의 일부가 손과 함께 인장하며 손이 제거에 따라 그 본래의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러한 팽창은 통상의 탄성 고무와 같은 추가의 재료의 이용 없이 편안한 그러나 비수축되는 끼움을 제공한다. 글러브의 배면내의 이러한 추가의 확장성은 글러브가 착용자의 손 주위를 양호하게 감싸도록 허용한다. 그 결과, 글러브는 손에 용이하게 끼워지며 또한 늘어짐(sagging), 벌어짐(gapping) 및 미끄러짐(slippage)을 감소하여 착용자의 손 이동에 대한 끼움(fit)과 일치함을 개선시킨다.
배면 패널(170)은 다수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배면 패널의 크기는 제작자에 의해 설계될 때 그 이용가능한 신장에 따라 폭넓게 변경될 수도 있다.
사용에 있어서, 착용자는 그 손을 글러브(10)내의 개구(155)에 삽입한다. 손이 글러브(10)내로 끼워질 때, 배면 패널(170)은 통상의 탄성 고무의 이용 없이 착용자의 손 주위에 편안한 비수축 끼움을 제공하는 필요에 따라 손의 배면 둘레로 인장 및 수축한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편안함(snug)"은 착용자의 손의 이동에 대체로 방해되지 않는 글러브(10)의 밀착 끼움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용어 "비수축(unconstricted)"은 착용자의 손의 통상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해하거나 느려지게 하지 않는 압축의 유형을 의미한다.
배면 패널(170)은 다수의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성능 및 비용의 이유로, 배면 패널(170)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탄성형 필름(SELF) 웹으로 구성된다. 도 2는 형성된 중합체 물질의 단일층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SELF 웹(52)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SELF 웹(52)은 이것의 실질적인 비인장 상태(untensioned condition)로 도시되어 있다. 웹은 2개의 중심선, 즉, 제 1 또는 종방향의 중심선 또는 축선(l)(이것은 또한 축선, 선 또는 방향 "l"이라고 불려짐) 및 제 1 중심선(l)에 대체로 수직한 제 2 또는 횡방향 중심선 또는 축선(t)(이것은 또한 축선, 선 또는 방향 "t"라고 불려짐)을 구비한다. 웹은 실질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또는 상기 및 다른 물질의 혼합물(blends)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다른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중합체 물질의 예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의 썩혀질 수 있는(compostable) 또는 생물 분해성의 중합체 및 호흡가능한(breathable)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2a를 참조하면, SELF 웹은 별개의 영역의 "변형가능한 네트워크(strainable network)"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는 가해지고 그 뒤 해제되는 신장에 응답하는 탄성형 동작을 갖는 SELF 웹을 제공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다소 유용한 정도로 연장될 수 있는 영역의 상호 연결 및 서로 관련이 있는 그룹을 의미한다.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는 적어도 제 1 영역(64)(또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밴드 또는 채널로 불려짐) 및 제 2 영역(66)(또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리브 또는 주름으로 불려짐)를 포함한다. SELF 웹(52)은 또한 제 1 영역(64)과 제 2 영역(66)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전이 영역(transition rigion)(65)을 포함한다. 전이 영역(65)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모두의 동작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전이 영역을 갖게 된다는 것이 주지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영역(64) 및 제 2 영역(66)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탄성형 동작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SELF 웹의 동작과 관련되며 전이 영역내의 SELF 웹의 복잡한 동작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SELF 웹(52)은 제 1 표면 및 대향하는 제 2 표면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는 복수의 제 1 영역(64) 및 복수의 제 2 영역(66)을 포함한다. 제 1 영역(64)은 제 1 축선(68) 및 제 2 축선(69)을 구비하는데, 제 1 축선(68)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축선(69)보다 길다. 제 1 영역(64)의 제 1 축선(68)은 실질적으로 SELF 웹(52)의 제 1 축선(l)에 평행하며, 제 2 축선(69)은 실질적으로 SELF 웹(52)의 제 2 축선(t)에 평행하다. 제 2 영역(66)은 제 1 축선(70) 및 제 2 축선(71)을 구비한다. 제 1 축선(70)은 실질적으로 SELF 웹(52)의 제 1 축선(l)에 평행하며, 제 2 축선(71)은 실질적으로 SELF 웹(52)의 제 2 축선(t)에 평행하다.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영역(64)과 제 2 영역(66)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실질적으로 SELF 웹(52)의 제 1 축선(l)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한다.
제 1 영역(64)은 탄성 계수(E1) 및 절단 영역(A1)을 구비한다. 제 2 영역(66)은 탄성 계수(E2) 및 절단 영역(A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축선(l)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진 축방향 신장을 받게 될 때, SELF 웹(52)은 SELF 웹(52)의 제 1 축선(l)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저항력(resistive force)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형성된"은, 소정의 외부로부터 가해진 신장 또는 힘을 받지 않게 될 때 실질적으로 소망하는 구조 또는 기하학적 형상을 유지하는 SELF 웹에 대한 소망하는 구조 및 기하학적 형상의 생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SELF 웹은 적어도 제 1 영역(64) 및 제 2 영역(66)으로 구성되는데, 제 1 영역(64)은 시각적으로 제 2 영역과 분명히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시각적으로 구별됨(visually distinct)"은 SELF 웹 또는 SELF 웹을 구현하는 대상물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때, 보통의 육안으로 용이하게 분별가능한 SELF 웹의 형상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SELF 웹은 연속된, "구별된" 및 "다른(dissimilar)" 영역의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로 구성되는데,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는 적어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영역은 제 2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surface-pathlength)보다 작은 "표면 경로 길이"를 가지며, 물질이 비인장 상태에 있을 때 소정의 축선에 평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형성된 부분"은 변형가능한 네트워크의 소망하는 구조 및 기하학적 형상으로 구성된 물질의 부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표면 경로 길이"는 소정의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당해 영역의 형태적 표면을 따르는 치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구별된(distinct)" 또는 "다른(dissimilar)"은, 영역을 언급할 때, SELF 웹이 비인장 상태에 있는 동안 소정 축선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측정가능하게 상이한 표면 경로 길이를 갖는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내의 영역을 나타낸다. 각각의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은 1995년 2월 9일자로 공개된 캡펠 등(Chappell et al.)의 발명의 명칭이 "탄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웹 물질(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인 국제 공개 공보 제 WO 9503765 호에 설정된 테스트 방법 섹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참조로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결합 판 또는 롤러에 의한 엠보싱, 열형성(thermoforming), 고압 유압식 형성 또는 주물(casting)을 포함하며,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의 SELF 웹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그것의 일부만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영역(64)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즉, 제 1 영역(64)내의 물질은 SELF 웹(52)에 의해 받게 되는 형성 단계 전 및 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에 있다. 제 2 영역(66)은 복수의 리브형 요소(74)를 포함한다. 리브형 요소는 엠보싱(embossed), 디보싱(debossed) 또는 그것의 결합으로 될 수도 있다.
리브형 요소(74)는 SELF 웹(52)의 제 2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또는 주(major) 축선(76)과, SELF 웹(52)의 제 1 축선(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2 또는 부(minor) 축선(77)을 구비한다. 리브형 요소(74)의 제 1 축선(76)은 제 2 축선(77)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길다. SELF 웹(52)의 2 스테이지 저항력 대 신장 동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축선(76) 대 제 2 축선(77)의 비는 적어도 1:1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또는 그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커진 이러한 비가 커질 수록, SELF 웹의 2 스테이지 저항력 대 신장 특성이 보다 잘 표현될 것이다.
제 1 영역(64)과 제 2 영역(66)은 각각 "투영된 경로 길이"를 각각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투영된 경로 길이"는 평행한 빛에 의해 드리워진 영역의 그림자의 길이를 나타낸다. 제 1 영역(64)의 투영된 길이와 제 2 영역(66)의 투영된 경로 길이는 서로간에 동일하다.
제 1 영역(64)은, 표면 경로 길이(L1)을 가지며, SELF 웹이 비인장 상태에 있을 때 SELF 웹의 제 1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태학적으로 측정되는 제 2 영역(66)의 표면 경로 길이(L2)보다 작다. 본 발명의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를 갖는 SELF 웹의 2 스테이지 저항력 대 신장 동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영역(66)의 표면 경로 길이는 제 1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보다 적어도 약 15% 크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보다 적어도 약 30%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보다 적어도 약 70% 크다. 일반적으로, 제 2 영역의 표면 경로 길이가 클수록, SELF 웹의 신장도 크게 될 것이다.
SELF 웹을 글러브(10)의 패널로서 이용하기에 특히 적절하게 하는 것은, 이것이 유사한 물질 성분의 다른 동일한 베이스 웹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변경된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poisson lateral contraction effect)"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가해진 신장을 받게 되는 물질의 측방향 수축 동작을 나타낸다. 물질의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를 결정하는 방법은 1995년 2월 9일자로 공개된 캡펠 등(chappell et al.)의 발명의 명칭이 "탄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웹 물질(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인 국제 공개 공보 제 WO 9503765 호에 설정된 테스트 방법 섹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SELF 웹의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웹이 약 20%의 신장을 받게 될 때 약 0.4%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SELF 웹은 약 40%, 50% 또는 60%까지의 신장을 받게 될 때 약 0.4%보다 작은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SELF 웹이 20%, 40%, 50% 또는 60%의 신장을 받게 될 때 약 0.3%보다 작다. 본 발명의 SELF 웹의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각각 제 1 및 제 2 영역에 의해 점유될 웹 물질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영역에 의해 점유된 SELF 웹의 영역이 증가할 때,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또한 증가한다. 역으로, 제 2 영역에 의해 점유된 SELF 웹의 영역이 증가할 때, 푸아송 측방향 수축 효과는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에 의해 점유되는 SELF 웹의 백분률 영역은 약 2%에서 약 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에서 약 50%이다.
이하 도 2b에 따르면, SELF 웹이 도 2의 화살표(80)에 의해 도시된 가해진 축방향 신장(D)을 받게 될 때, 짧은 표면 경로 길이(L1)를 갖는 제 1 영역(64)은 스테이지(Ⅰ)에 대응하는 가해진 신장, 분자-레벨 변형의 결과로서, 최초의 저항력(P1)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스테이지(Ⅰ)에 있는 동안, 제 2 영역(66)의 리브형 요소(74)는 기하학적 변형 또는 펴짐(unbending)을 받게 되며 또한 가해진 신장에 대한 최소의 저항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Ⅰ)과 스테이지(Ⅱ) 사이의 전이 구역(720b)에 있어서, 리브형 요소(74)는 가해진 신장과 정렬되게 된다. 즉, 제 2 영역은 기하학적 변형으로부터 분자 레벨 변형으로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것은 힘 벽의 개시(onset)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Ⅱ)에 있어서, 제 2 영역(66)의 리브형 요소(74)는 가해진 신장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며(제 2 영역은 그것의 기하학적 변형의 한계에 도달됨), 분자 레벨 변형을 통해 다른 신장을 방지하기 시작한다. 제 2 영역(66)은 이제 스테이지(Ⅱ)내의 분자 레벨 변형의 결과로서 다른 신장에 대해 제 2 저항력(P2)을 제공한다. 신장에 대한 저항력은 스테이지(Ⅰ)에 도시된 저항력보다 큰 전체의 저항력(PT)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테이지(Ⅱ)에서 힘-신장률 곡선의 통상의 기울기는 스테이지(Ⅰ)에서의 힘-신장률 곡선의 통상의 기울기보다 상당히 크다.
저항력(P1)은 (L1+D)가 L2보다 작을 때 저항력(P2)보다 상당히 크다. (L1+D)가 L2보다 작을 때 제 1 영역(64)은 초기 저항력(P1)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L1+D)가 L2보다 클 때, 제 1 및 제 2 영역은 가해진 신장(D)에 결합된 전체의 저항력(PT)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스테이지(Ⅰ)일 때 발생하는 최대의 신장은 SELF 웹의 "이용가능한 신장(available stretch)"으로 고려된다. 이용가능한 신장은 제 2 영역이 기하학적 변형을 받는 거리에 대응한다. 이용가능한 신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신장률 곡선(720)의 검사에 의해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스테이지(Ⅰ)와 스테이지(Ⅱ) 사이의 전이 구역내에 굴곡이 있는 것에 대한 대략적 포인트는 "이용가능한 신장"의 백분율 신장 포인트이다. 이용가능한 신장의 범위는 약 10%에서 100% 또는 그 이상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신장의 이러한 범위는 일회용 흡수성 제품에서의 관심사로 된다는 것이 자주 발견되며, 제 2 영역(66)내의 표면 경로 길이(L2)가 베이스 필름의 제 1 영역 및 특성(성분)내의 표면 경로 길이(L1)를 초과하는 범위에 의해 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신장이란 용어는 이용가능한 신장을 초과하는 신장율이 요구되는 적용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웹이 받을 수 있는 신장률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당히 큰 힘이 SELF 웹(52)의 이러한 백분율 신장과 동등한 베이스 필름의 백분율 신장을 달성하는데 요구된다. 스테이지(Ⅰ)의 대략적 범위는 비인장 상태의 경로 길이(L1, L2)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어될 수 있다. 스테이지(Ⅰ)의 힘-신장 동작은 폭, 두께 및 제 1 영역의 공간과 베이스 필름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유사한 성분의 베이스 필름에 대한 곡선(710)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형성된 중합체 SELF 웹의 저항력-신장률 곡선(720)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예시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클로패이(Clopay)로부터 입수가능한 Sample 1401로서, 두께가 약 0.001 인치인 실질적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중합체 웹 물질이다. 저항력-신장률 곡선의 발생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음 부분에 기재된 테스트 방법 섹션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힘-신장률 곡선(720)을 참조하면, 초기의 실질적인 직선으로, 도면부호(720a)로 표시된 작은 힘 대 신장 스테이지(Ⅰ)과, 도면부호(720b)로 표시된 전이 영역과, 및 실질적으로 큰 힘 대 신장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부호(720c)으로 표시된 실질적인 직선 스테이지(Ⅱ)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LF 웹의 제 1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진 신장을 받을 때, SELF 웹은 2 스테이지에서 상이한 신장 동작을 나타낸다. 가해진 신장에 대한 저항력은 이러한 동작이 나타나지 않는 곡선(710)과 비교할 때 스테이지(Ⅰ)의 영역(720a)과 스테이지(Ⅱ)의 영역(720c) 사이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LF 웹은 SELF 웹의 제 1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진 신장을 받게 될 때 2개의 스테이지에서 상이한 신장 동작을 나타낸다. 가해진 신장에 대한 SELF 웹에 의해 가해진 저항력은, 곡선(720)의 스테이지(Ⅰ)의 영역(720a) 대 스테이지(Ⅱ)의 영역(720c)에서 상당히 작게 된다. 또한 곡선(720)의 스테이지(Ⅰ)(72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진 신장에 SELF 웹에 의해 가해진 저항력은 스테이지(Ⅰ)의 신장의 제한내의 곡선(7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웹에 의해 가해진 저항력보다 상당히 작다. SELF 웹이 추가의 가해진 신장을 받게 되어 스테이지(Ⅱ)의 영역(720c)으로 들어감에 따라 SELF 웹에 의해 가해진 저항력이 증가되어, 베이스 웹에 의해 가해진 저항력에 접근하게 된다. SELF 웹의 스테이지(Ⅰ)의 영역(720a)에서 가해진 신장에 대한 저항력은, SELF 웹의 제 1 영역의 분자 레벨 변형과 SELF 웹의 제 2 영역의 기하학적 변형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은 도 6의 곡선(710)에 도시된 베이스 웹에 의해 제공되는 가해진 신장에 대한 저항력과 현저히 다르며, 이것은 전체적인 웹의 분자 레벨 변형으로부터 초래된다. 본 발명의 SELF 웹 물질은 각각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진 웹 표면의 백분율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웹 물질보다 작은 스테이지(Ⅰ)에서의 임의의 저항력이 사실상 생기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테이지(Ⅰ)의 힘-신장 동작은 폭, 두께, 제 1 영역의 공간 및 베이스 웹의 혼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영역(64) 및 제 2 영역(66)의 제 1 축선(68, 70)은 횡방향 축선(30)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러한 정렬은 사용자의 손의 배면을 가로질러, 즉 횡방향 축선(30)을 따라 글러브(10)의 최상의 끼움 및 신장을 제공한다. 도 1의 이것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배면 패널(170)상에 각각 제 1 및 제 2 영역(64, 66)의 제 1 축선(68, 70)이 종방향 축선(25)과 정렬(즉, 평행하게 됨)되는 글러브(10)이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종방향 축선(25)을 따라 향상된 신장(stretch)을 제공할 것이다.
도 4는 배면 패널(2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배면 패널(270)은 도 4의 외측 표면(272)에 도시되거나 또는 나타낸다. 배면 패널(270)은 SELF 웹(252)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SELF 웹(252)은 두 개의 중심선, 제 1 또는 종방향 중심선 또는 축선(125)(이것은 또한, 축선, 라인 또는 방향으로 불려짐) 및 제 2 또는 횡방향 중심선 또는 축선(130)(이것은 또한 축선, 라인 또는 방향으로 불려짐)을 포함한다. SELF 웹(252)은 제 1 중심선(12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 1 영역(164)을 구비한다. SELF 웹(252)은 또한 제 2 중심선(13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 2 영역(264)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164)과 제 1 영역(264)은 서로 교차한다. 도 5에 도시된 SELF 웹(252)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는 웹(252)의 일부의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도 5는 SELF 웹(252)에 걸친 다수의 방향으로의 연장을 제공하는 원인으로 여겨지는 주 기하학적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SELF 웹(252)은 또한 영역(210)을 형성하는 다수의 교차 및 중첩 제 2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영역(210)은 비인장 상태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한 다수의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 2 영역은 제조자에 의해 및/또는 인장 상태로 제공될 때 바람직한 임의의 각도로 서로 배향 및 교차될 수 있다. 제 2 영역은 도 2a에 도시된 리브형 요소(74)와 유사한 리브형 요소를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영역(210)을 형성하는 제 1 영역(164, 264) 및 제 2 영역의 중첩 및 교차를 제공하는 기하학적 형상의 관계는 SELF 웹(252)이 다수의 방향으로 연장성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종방향 및 횡방향 축선은 도 5에서 화살표(90, 190)로 표시된다. 축선(90, 190)을 따라 또한 축선(90, 190) 사이의 방향 벡터를 따라 신장의 발생이 기대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웹(256)이 방향 벡터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방향 벡터는 이러한 벡터를 따라 다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해진 힘에 의해 생성된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252)의 웹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은 확대된 SELF 웹(252)을 포함한다. 제 1 영역(164, 264) 및 제 2 영역(166, 266)이 도시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ELF 웹(252)은 소망하는 다수의 교차 및/또는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영역을 소망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포함한다. 방향 축선은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 축선(90, 190)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방향 축선은 다수의 신장 벡터를 따라 축선(90, 190)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걸 수 있다. 축선(90, 190)을 좌표축으로 볼 때, 방향 벡터는 축선(90, 190)의 0°내지 90˚, 90˚ 내지 180˚, 180˚ 내지 270˚ 및 270˚ 내지 360˚사이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SELF 웹(252)의 확대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SELF 웹(25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 1 영역(164)과 제 1 영역(164)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 1 영역(264)을 갖는다. SELF 웹(252)은 또한 영역(210)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 교차 및 중첩 영역을 갖는다.
도 4a는 그 외측 표면(161)으로부터 볼 때 전면 패널(1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면 패널(160)은 외측 표면(16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딤플(42)을 포함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이러한 돌출 딤플(42)은 사용자가 물체를 보다 잘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나은 파지를 제공한다. 딤플은 열을 가하고 그 뒤 폴리에틸렌 및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진공 열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딤플(42)을 형성하는 방법은 1975년 1월 1일자로 콜먼 등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팩키지 및 제조 방법(Package and Method of Making)"인 미국 특허 제 3,861,529 호 및 1978년 9월 19일자로 콜먼 등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팩키지 및 제조 방법(Package and Method of Making)"인 미국 특허 제 4,114,75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 합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장갑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면 패널(170)의 제 1 또는 내측 표면(171)과 및/또는 전면 패널(160)의 제 2 또는 외측 표면(162)은 함침된 물질의 흡수 및/또는 운반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직재(non-woven material)를 포함한다. 함침된 물질로는 표면 활성제, 물, 알콜, 로션, 땀 방지제, 약물, 세척제, 표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 패널(160)과 배면 패널(170)은 형성될 때 전면 패널(160)을 따르는 접합부(121)의 에지와 배면 패널(170)을 따르는 접합부(122)의 에지를 포함하는 주변부(150)에 봉합부없는 구조가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것은 많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방법은 주변부(150) 위에 부가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층을 접합시키는 것(도 1)과 상기 접합을 제 위치에 가열 밀봉(heat sealing)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에지(121, 122)가 서로 접합되지 않으며, 오히려 접합 에지(121)가 배면 패널(170)의 제 1 표면에 밀봉되고, 접합 에지(122)가 전면 패널(160)의 제 2 표면에 밀봉되도록 접합 에지를(121, 122) 중첩시키는 것(즉, 겹쳐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첩 방법은 가열 밀봉, 접착제 및/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서로 결합시키는 종래의 공지된 부착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6은 전면 패널(21)에 접속된 배면 패널(22)을 포함하는 미트(15)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미트는 손이 개구(55)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내부를 규정한다. 배면 패널(22)과 전면 패널(21)은 주변부(45)의 일부를 따라 접합된다. 배면 패널(22)은 또한 외측 표면(32)과 외측 표면(32)에 대향되는 내측 표면(33)을 포함하며, 내측 표면(22)은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등에 바로 인접한다. 전면 패널(21)은 또한 외측 표면(34)(도시안됨)과 외측 표면(34)에 대향되는 내측 표면(35)을 포함하며, 내측 표면(22)은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바닥에 바로 인접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손은 미트를 사용할 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폐기물, 오줌, 액체 등에 대한 보호를 위해 전면 패널(21)과 배면 패널(22)의 내부 표면에 의해 덮여진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패널 외측 표면(34)은 그것에 결합된 흡수층(20)을 갖는데, 흡수층은 부직물 또는 코튼이나 코튼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다양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층(20)은 로션, 표면 활성제, 알콜, 물, 향수, 땀 방지제, 약물, 세척제, 표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글러브(10)의 배면 패널(170)과 같이, 미트(15)의 배면 패널(22)은 상이하게 확장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구조적 탄성형 필름(SELF) 웹을 포함한다. SELF 배면 패널(22)에 의해 제공된 상이한 확장성은 다양한 크기의 손을 미트(15)내에 편안히 끼울 수 있도록 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손을 끼우는 상이한 확장성은 탄성형 재료, 탄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 재료, 및/또는 보다 탄성적인 재료를 만드는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2a를 참조하면, 미트(15)의 배면 패널(22)은 글러브(10)의 배면 패널(17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엄지 손가락을 덮거나 덮지 않는 미트의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상기 패널을 이용하여 살펴본다.
사용할 때, 미트(15)의 착용자는 손을 제공된 개구(55)를 통해 중공의 내부내로 삽입하며, 이 때 배면 패널(22)이 착용자의 손등에 접촉하고 전면 패널(21)의 내측 표면(35)이 착용자의 손바닥에 접촉하고, 그 뒤 세척, 닦기 및/또는 흡수를 위한 흡수층(20)을 위치시킨다.
사용의 종료시, 미트는 미트내 손으로 주먹을 쥐고 미트(15)의 배면 에지(40)로부터 주먹 위로 구조체를 당김으로써 뒤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층들은 위치가 바뀌어져서 전면 패널(21)의 내측 표면(35)과 배면 패널(22)의 내측 표면(33)이 폐기되는 제품의 외측 표면이 된다. 보다 간단히 설명하면, 미트는 사용후 내측이 바깥으로 나오도록 뒤집어져서 폐기된다.
사용시, 착용자의 손은 방수인 내부층의 내부 표면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다양한 접촉 표면의 폐기물에 대해 보호된다. 표면과의 접촉이 완료되면 또는 미트(15)가 포화되면, 미트는 내측이 바깥으로 나오도록 뒤집어져서 내측 표면(33, 35)이 외측 표면이 되고, 외측 표면(32, 34)이 내측 표면이 된다. 즉, 착용자가 주먹을 쥐고, 다른 손으로 후방 에지(40)의 배면을 파지하여 미트(15)의 전체 단부가 개구(55)를 통해 당겨질 때까지 주먹쥔 손을 미트의 개구를 향해 당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시키도록 의도된다.

Claims (9)

  1. 종방향 축선, 상기 종방향 축선에 수직한 횡방향 축선 및 주변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전면 패널과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은 손이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배면 패널은 구조적 탄성형 필름(structural electric-like film) 웹을 포함하고, 상기 웹은 동일한 재료의 성분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영역을 갖는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가해지는 신장에 대한 제 1 탄성형 저항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추가로 가해지는 신장에 대한 별도의 제 2 저항력을 제공하여, 사용시 적어도 두 스테이지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2. 종방향 축선, 상기 종방향 축선에 수직한 횡방향 축선 및 주변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전면 패널과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배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 패널의 내측 표면은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은 손이 삽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소정의 손 움직임에 대한 상기 배면 패널의 신장력은 상기 전면 패널의 신장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패널은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을 포함하고, 상기 웹은 동일한 재료의 성분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영역을 갖는 변형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가해지는 신장에 대한 제 1 탄성형 저항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따라 추가로 가해지는 신장에 대한 별도의 제 2 저항력을 제공하여, 사용시 적어도 두 스테이지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장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글러브(glove) 또는 미트(mitt)를 포함하는 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은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장갑.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축선을 포함하고, 상기 축선은 서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장갑.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탄성형 필름 웹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축선을 포함하고, 상기 축선들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장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 표면, 외측 표면 또는 이들 양자에 결합된 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장갑.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로션, 표면 활성제, 알콜, 물, 향수, 땀 방지제, 약물, 세척제, 표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장갑.
KR1019980708307A 1996-04-17 1997-04-16 장갑 KR100287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3522096A 1996-04-17 1996-04-17
US08/635,220 1996-04-17
PCT/US1997/006239 WO1997038598A1 (en) 1996-04-17 1997-04-16 Fitted glo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15A KR20000005515A (ko) 2000-01-25
KR100287642B1 true KR100287642B1 (ko) 2001-11-22

Family

ID=2454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307A KR100287642B1 (ko) 1996-04-17 1997-04-16 장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10255A1 (ko)
JP (1) JP3416889B2 (ko)
KR (1) KR100287642B1 (ko)
AU (1) AU2460397A (ko)
BR (1) BR9708723A (ko)
CA (1) CA2251721A1 (ko)
WO (1) WO1997038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2897B1 (de) * 1999-03-25 2004-08-18 Pacimex Verpackungen GmbH Handschuh
US7108440B1 (en) 1999-10-08 2006-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for distributing a substance onto a target surface
US6669387B2 (en) 1999-10-08 2003-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tributing substance onto a target surface
AU8006200A (en) * 1999-10-08 2001-04-2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pplicator having a temperature changing element for distributing a product ontoa target surface
US6726386B1 (en) 1999-10-08 2004-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mi-enclosed applicator and a cleaning composition contained therein
US7255506B2 (en) 2000-06-02 2007-08-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mi-enclosed applicator for distributing a substance onto a target surface
MXPA05009264A (es) * 2003-03-10 2005-10-19 Procter & Gamble Guante limpiador desechable de tela no tejida.
MXPA05009267A (es) * 2003-03-10 2005-10-19 Procter & Gamble Guante limpiador desechable de tela no tejida.
US7584519B2 (en) 2003-06-05 2009-09-08 The Clorox Company Disposable mitt or glove containing treatment composition
US7350256B2 (en) 2003-12-16 2008-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ild's aromatherapy cleaning implement
US7490382B2 (en) 2003-12-16 2009-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ild's sized disposable article
US20050241089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vice for treating surfaces
FR2956293B1 (fr) * 2010-02-15 2012-06-22 Oreal Article de protection avec une partie froncee
US20150104348A1 (en) 2013-10-10 2015-04-16 The Iams Company Pet Deodoriz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3338A (en) * 1965-09-09 1966-11-08 Landau Lucian Glove construction for providing comfort to the wearer
FR2103384A5 (ko) * 1970-09-07 1972-04-07 Oser Alejandro
US5036551A (en) * 1990-02-16 1991-08-06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composite fabric
US5518801A (en) *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38598A1 (en) 1997-10-23
EP0910255A1 (en) 1999-04-28
KR20000005515A (ko) 2000-01-25
JPH11508002A (ja) 1999-07-13
CA2251721A1 (en) 1997-10-23
BR9708723A (pt) 1999-08-03
AU2460397A (en) 1997-11-07
JP3416889B2 (ja)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642B1 (ko) 장갑
KR100432304B1 (ko) 가요성 백
CA2585684C (en) Multi-directional elastic-like material
KR100432305B1 (ko) 가요성 백
AU2008233297B2 (en) Elastomeric laminate materials that do not require mechanical activation
KR100451611B1 (ko) 식품 저장 및 준비 백
TW518255B (en) Semi-enclosed applicator utilizing a selectively-activatible sheet material for dispensing and dispersing a substance onto the surface of a target object
US4639949A (en) Elastic form-fitting closure constructions for disposable garments
JP3414741B2 (ja) 多方向伸長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吸収体物品
CN103124545A (zh) 吸收制品基底剪料移除方法和设备
MXPA02012559A (es) Bolsa con mangos extensibles.
KR19990072046A (ko) 신장성 레그 커프를 이용한 흡수용품
WO1987001073A1 (en) Manufacture of gloves and the like
KR20010090562A (ko) 복합 시트
JPS60259602A (ja) ゴム・プラスチツク手袋
MXPA98008650A (en) Conform glove
US20160037838A1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disposable glove
EP2921096B1 (en) Disposable hand cover
JP2001288666A (ja) 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80755A (ja) 体内排出物処理装具用接皮部材
CA2228455A1 (en) Plastics tapes and a sanitary article
Marx et al. Method of producing a thermally adjustable plastic cl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