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885B1 -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885B1
KR100286885B1 KR1019980050450A KR19980050450A KR100286885B1 KR 100286885 B1 KR100286885 B1 KR 100286885B1 KR 1019980050450 A KR1019980050450 A KR 1019980050450A KR 19980050450 A KR19980050450 A KR 19980050450A KR 100286885 B1 KR100286885 B1 KR 10028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ejector
wastewater
inlet pip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582A (ko
Inventor
이법종
김병석
이충관
Original Assignee
박동근
한중기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근, 한중기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동근
Priority to KR101998005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8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885B1/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강제 부유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케미컬 유입관이 형성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케미컬 유입관이 연통되는 제1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와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제1,2 차단막이 설치되는 제2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는 제1 에젝터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케미컬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1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2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1 차단막에 설치되는 수 개의 분할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2 차단막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분할 디퓨셔로 구성되어 폐수에 가성소다(NaOH) 기타 화공약품인 염기류를 투입함으로써 폐수의 PH량을 조절하여 거품상을 다량으로 포함한 폐수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본 발명은 각종 축산 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적용가능한 침수기(DIGES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에 케미컬을 혼합하면서 부유(浮遊)시키는 포말 부싱(bubbling digester) 방법에 의해 폐수의 총고형성분, 각종 부유물질 및 BOD 등을 처리하도록 한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에 케미컬을 혼합하면서 부유(浮遊)시키는 포말 부상(bubbling digester) 방법에 의해 폐수의 총고형성분, 각종 부유물질 및 BOD 등을 강세 부상처리하도록 한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통체 11 ; 유입관
12 ; 배출관 13 ; 케미컬 유입관
20 ; 제1 내통체 21 ; 제1 에젝터
22 ; 제2 에젝터 30 ; 제2 내통체
31,32 ; 제1,2 차단막 33 ; 균압관
34 ; 분할 에젝터 35 ; 분할 디퓨셔
36 ; 원추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는 양측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케미컬 유입관이 형성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케미컬 유입관이 연통되는 제1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와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제1,2 차단막이 설치되는 제2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는 제1 에젝터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케미컬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1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2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1 차단막에 설치되는 수 개의 분할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2 차단막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분할 디퓨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내통체는 상기 분할 디퓨셔의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분할 디퓨셔의 하부에는 블라인드 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주요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외통체(10)의 일측에 폐수 유입관(11)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출관(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캐미컬 유입관(13)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외통체(10)의 내부에는 외통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폐수 유입관(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는 제1 에젝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외통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케이컬 유입관(13)에 대하여 동축상에는 제2 에젝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케미컬 유입관(13)에 연결설치되는 제2 에젝터(22)는 제1 에젝터(21)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어 제1 에젝터(21)를 통과한 폐수와 케미컬이 제2 에젝터(22)를 통과하면서 혼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에젝터(21)와 제2 에젝터(22)는 후방단부에서 폭이 좁아졌다가 동일한 폭의 통로를 갖는 제1 내통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내통체(20)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내통체(3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제2 내통체(30)에서 동일한 직경 폭을 갖는 선단부에는 제1 차단막(31)과 제2 차단막(32)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2 차단막(31)(32)의 중앙에는 전후방의 압력을 균일하게 해주기 위한 균압관(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차단막(31)의 원주상으로 수 개의 분할 에젝터(34)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차단막(32)에는 각각의 분할 에젝터(34)의 하방 동축상에 분할 디퓨셔(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차단막(31)과 제2 차단막(32) 사이의 (30)에는 버블 씨드홀(BUBBLE SEED HOLE)(30a)이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제2 내통체(30)에서 폭이 넓어지는 중하단부에는 브라인드 캡(BLIND CAP)(36)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는 에어 앤드 케미컬 인렛 필터(AIR & CHEMICALS INLET FILTER)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폐수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는 제1 에젝터(21)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흐름이 상승되어 제2 에젝터(22) 속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케미컬 유입관(13)을 통해 유입된 각종 케미컬 즉, 가성소다(NaOH) 및 계면활성제가 제2 에젝터(22)로 빨려 들어가게 되어 폐수와 케미컬이 혼합된다.
이와 같이 케미컬이 혼합되면서 거품상을 다량으로 포함한 폐수의 PH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제2 에젝터(22)를 빠져 나온 폐수는 제1 내통체(20)에서 배출되어 제2 내통체(30)로 들어가게 되며, 제2 내통체(30)의 분할 에젝터(34)와 분할 디퓨셔(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폐수와 케미컬이 혼합된다.
이와 같이 폐수와 케미컬이 혼합되면서 케미컬이 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물질을 부유시키게 되는 바, 폐수 속에 현탁되어 있는 각종 부유 물질, 콜로이드성 입자가 강제 부상됨으로써 부상된 폐수는 하등액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부상된 폐수의 슬러지 성분 및 상등액은 배출관(12)을 통해 배출되고, 하등액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부상된 폐수중 일부는 제2 내통체(30)의 버블 씨드 홀(30a)을 통해 리사이클되기도 한다.
그리고 균압관(33)에 의해 균압관(33)의 상하측 공간부의 압력 조건을 동일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부유 공정을 통하여 폐수중 총고형 성분 및 각종 부유 물질, BOD 등이 약 50% 분리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는 다중 에젝터를 이용하여 폐수에 가성소다(NaOH)와 같은 염기류를 투입함으로써 폐수의 PH량을 조절하여 거품상을 다량으로 포함한 폐수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양측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케미컬 유입관이 형성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케미컬 유입관이 연통되는 제1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와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제1,2 차단막이 설치되는 제2 내통체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상기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는 제1 에젝터와;
    상기 제1 내통체의 내부에서 케미컬 유입관과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1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2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1 차단막에 설치되는 수 개의 분할 에젝터와;
    상기 제2 내통체의 제2 차단막에 설치되며 상기 분할 에젝터의 하방 동축상에 설치되는 분할 디퓨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통체는 상기 분할 디퓨셔의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분할 디퓨셔의 하부에는 블라인드 캡이 구비되는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KR1019980050450A 1998-11-24 1998-11-24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KR10028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50A KR100286885B1 (ko) 1998-11-24 1998-11-24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50A KR100286885B1 (ko) 1998-11-24 1998-11-24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82A KR19990014582A (ko) 1999-02-25
KR100286885B1 true KR100286885B1 (ko) 2001-05-02

Family

ID=3751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450A KR100286885B1 (ko) 1998-11-24 1998-11-24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8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82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685B2 (en) Multistage DAF-advanced oxidation system
JP4791466B2 (ja) 液体流れに化学物質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KR100919367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US69491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iquid
JPH07155758A (ja) 廃水処理装置
KR20200042794A (ko) 급속 부상 여과장치
JP2008296097A (ja) 紫外線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1077866C (zh) 水处理方法和装置
JP3343092B2 (ja) 混濁物分離装置
EP1606043B1 (en) System and method of gas energy management for particle flotation and separation
KR100286885B1 (ko) 폐수 처리 장치의 강제 부유기
JP4930340B2 (ja) 加圧浮上装置
US3645892A (en) Aeration and foam separation employing vortex element
KR200396223Y1 (ko) 가압부상조
KR101522386B1 (ko)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PL124739B1 (en) Method of purification and/or aeration of water and apparatus therefor
KR200258000Y1 (ko)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RU2367622C2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установка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469317B1 (ko) 오존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시스템
RU2209183C2 (ru) Способ сепар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1252679A (ja) 排水処理装置及び方法
SU1057118A1 (ru) Колонный фло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KR100228571B1 (ko) 오폐수 처리 시스템
RU2118293C1 (ru) Способ флот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