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707B1 -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07B1
KR100285707B1 KR1019970078030A KR19970078030A KR100285707B1 KR 100285707 B1 KR100285707 B1 KR 100285707B1 KR 1019970078030 A KR1019970078030 A KR 1019970078030A KR 19970078030 A KR19970078030 A KR 19970078030A KR 100285707 B1 KR100285707 B1 KR 10028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frequency band
frequency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7951A (ko
Inventor
정기모
유재황
구준모
김병무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7007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9/00Generation of noise currents and vol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7Pulse-related aspects
    • H04B1/7174Puls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잡음발생 주파수 대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잡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주파수를 가변시켜 주파수 대역별로 균일한 특성의 잡음신호를 얻으며, 평탄한 크기의 잡음을 얻을 수 있는 잡음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는 잡음 발생수단;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제공하는 주파수 발진수단; 상기 잡음신호를 상기 발진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향 변환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잡음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이득을 증폭하기 위한 가변 이득 증폭수단; 상기 잡음신호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수단; 상기 출력 잡음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여 전력 측정값을 출력하는 전력 측정수단; 및 상기 전력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얻는데 이용됨.

Description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VARIABLE FREQUENCY AND NOISE GENERATOR}
본 발명은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진 주파수를 임의로 가변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잡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잡음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잡음 발생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발생하는 다수의 잡음 발생기(110-1 ∼ 110-n)와, 다수의 잡음 발생기(110-1 ∼ 110-n)로부터 출력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부(120)와, 스위칭부(120)로부터 전달된 잡음신호를 충분한 잡음신호로 증폭하는 증폭기(130)와, 비교기(140)의 출력값에 따라, 증폭기(130)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의 레벨을 감쇠시키기는 가변 감쇠기(150)와, 가변 감쇠기(150)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들을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기(160)와, 방향성 결합기(160)로부터 출력되는 잡음신호의 크기를 읽는 측정부(170)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기준값과 측정부(170)로부터 전달된 측정값을 비교 증폭하여 가변 감쇠기(150)로 전달하는 비교기(140)를 구비한다.
다수의 잡음 발생기(110-1 ∼ 110-n)는 각각 노이즈 다이오드(D1 ∼ Dn)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잡음 발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잡음 발생기(110-1 ∼ 110-n)는 주파수 대역별 잡음원인 노이즈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급전류에 의해 잡음 발생 다이오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은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120)로 출력한다.
스위칭부(120)는 다수의 잡음 발생기(110-1 ∼ 110-n)로부터 전달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선택하여 증폭기(130)로 출력한다. 이렇게 스위칭부(120)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가 전달되면, 증폭기(130)는 전달된 잡음신호를 충분한 신호로 증폭하여 가변 감쇠기(150)로 전달한다. 이어서, 가변 감쇠기(150)는 비교기(140)의 출력값에 따라, 증폭기(130)로부터 전달된 잡음신호를 원하는 레벨로 감쇠시켜 방향성 결합기(16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측정부(170)가 방향성 결합기(16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잡음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비교기(140)로 출력하면, 비교기(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값과 측정부(170)로부터 전달된 측정값을 비교 증폭하여 가변 감쇠기(150)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잡음 발생 장치는, 고정된 주파수 대역에서만 잡음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어, 주파수 대역이 다를 경우 새로운 소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장치를 구성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을 발생하는 소자를 채용하여, 낮은 주파수 대역을 상향 변환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가변하고, 각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이득 특성을 조절하므로써, 주파수 대역별로 균일한 특성의 잡음신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평탄한 크기의 잡음을 얻을 수 있는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잡음 발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1: 잡음 발생부 212: 제 1 증폭부
213: 제 1 감쇠부 214: 제 1 주파수 발진부
215: 상향 변환부 216: 제 1 필터링부
217: 제 2 감쇠부 218: 가변 이득 증폭부
219: 혼합부 220: 제 2 필터링부
221: 방향성 결합부 230: 전력 측정부
240: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는 잡음 발생수단; 상기 잡음 발생수단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충분한 잡음신호로 증폭하는 제 1 증폭수단; 상기 제 1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기는 제 1 감쇠수단;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주파수 발진수단; 상기 제 1 감쇠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발진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향 변환수단; 상기 상향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잡음신호를 추출하는 제 1 필터링수단; 상기 제 1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는 제 2 감쇠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감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이득을 증폭하기 위한 가변 이득 증폭수단;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들을 혼합하는 혼합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혼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필터링수단; 상기 제 2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성 결합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잡음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여 전력 측정값을 출력하는 전력 측정수단; 및 상기 전력 측정수단으로부터 전력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주파수 발진수단, 가변 이득 증폭수단, 제 2 필터링수단 및 전력 측정수단에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의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는, 잡음 발생 다이오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는 잡음 발생부(211)와, 잡음 발생부(211)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충분한 잡음신호로 증폭하는 제 1 증폭부(212)와, 제 1 증폭부(212)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기는 제 1 감쇠부(213)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주파수 발진부(214)와, 제 1 감쇠부(213)의 출력신호를 제 1 주파수 발진부(214)로부터 제공된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향 변환부(215)와, 상향 변환부(215)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잡음신호를 추출하는 제 1 필터링부(216)와, 제 1 필터링부(216)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는 제 2 감쇠부(217)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감쇠부(217)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이득을 증폭하기 위한 가변 이득 증폭부(218)와, 가변 이득 증폭부(218)로부터 출력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들을 혼합하는 혼합부(219)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부(219)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필터링부(220)와, 제 2 필터링부(220)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부(221)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방향성 결합부(221)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여 전력 측정값을 출력하는 전력 측정부(230)와, 전력 측정부(230)로부터 전력 측정값을 입력받아 제 1 주파수 발진부(214), 가변 이득 증폭부(218), 제 2 필터링부(220) 및 전력 측정부(230)에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는, 방향성 결합부(22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모니터(250)와, 방향성 결합부(221)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양방향으로 분배하여 전력 측정부(230) 및 모니터(250)로 전달하는 신호 분배부(222)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신호 분배부 및 모니터는 본 발명인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는 아니지만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잡음 발생부(211)는 외부로부터의 공급전류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잡음을 발생시키는 노이즈 다이오드(D211)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필터링부(216)는 광대역 통과 필터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이득 증폭부(217)는 제 2 감쇠부(217)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의 이득을 가변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가변 증폭기(VA1 ∼ VAn)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필터링부(220)는 가변 주파수 대역 통과 필터로 구현할 수 있다.
전력 측정부(23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 2 주파수 발진부(231)와, 신호 분배부(22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는 제 3 감쇠부(232)와, 제 3 감쇠부(23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제 2 주파수 발진부(231)로부터 전달된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하향 변환부(233)와, 하향 변환부(23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부(234)와, 제 2 증폭부(23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235)와, 검출부(2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링부(236)와, 제 3 필터링부(236)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37)로 출력하는 A/D 컨버터(237)를 구비한다.
제 3 필터링부(236)는 저주파 대역 통과 필터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력 측정부(230)로부터 전달된 전력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241)와, 신호 분배부(2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242)와, 외부로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입출력 장치(243)와, 저장부(241)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제어신호 발생부(241) 및 입출력 장치(243)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44)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잡음 발생부(211)는 주파수 대역별 잡음원인 노이즈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여 제 1 증폭부(212)로 출력한다. 잡음 발생부(211)로부터 전달된 잡음 신호가 제 1 증폭부(212)를 통해 충분한 신호로 증폭되어 전달되면, 제 1 감쇠부(213)는 전달된 잡음신호를 상향 변환부(215)의 입력 레벨로 감쇠시켜 상향 변환부(215)로 전달한다.
상향 변환부(215)는 제 1 감쇠부(213)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제 1 주파수 발진부(214)로부터 제공된 가변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변환시켜 제 1 필터링부(216)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주파수 발진부(214)로부터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주파수 발진부(214)의 발진 주파수 대역은 제어부(240)에 의해 발진 주파수가 정해지므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원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제 1 필터링부(216)가 상향 변환부(21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제 2 감쇠부(217)로 전달하면, 제 2 감쇠부(217)는 전달된 신호를 가변 이득 증폭부(218)의 입력 레벨로 감쇠시켜 가변 이득 증폭부(218)로 전달한다. 이때, 원하는 주파수 대역마다 각 구성 장치들의 특성이 주파수 대역별로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변 이득 증폭부(218)는 제어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비한 다수의 가변 증폭기(VA1 ∼ VAn)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잡음신호의 이득을 가변적으로 증폭하여 혼합부(219)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2 필터링부(220)는, 혼합부(219)가 가변 이득 증폭기(218)로부터 전달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별 잡음신호들을 혼합하여 전달하면, 전달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방향성 결합부(22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 분배부(222)는 방향성 결합부(22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잡음신호를 전력 측정부(230)와 외부의 모니터(250)로 전달한다.
이어서, 전력 측정부(230)는 신호 분배부(22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방향성 결합부(221)를 통해 출력되는 잡음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여 전력 측정값을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전력 측정부(230)로부터 전달된 전력 측정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제 1 주파수 발진부(214), 가변 이득 증폭부(218), 제 2 필터링부(220) 및 제 2 주파수 발진부(231)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면, 다음에는 상기 전력 측정부와 제어부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력 측정부(230)의 제 3 감쇠부(232)가 신호 분배부(222)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레벨을 하향 변환부(233)의 입력 레벨로 감쇠시켜 하향 변환부(233)로 전달하면, 하향 변환부(233)는 전달된 신호를 제 2 주파수 발진부(231)로부터 발진된 주파수 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하향 변환시켜 검출부(235)로 전달한다. 이때, 잡음 발생 대역내에서 매우 균일한 진폭 특성을 얻기 위하여 좁은 주파수 대역폭별로 이득이 조정될 수 있도록, 제어부(240)는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가변 이득 증폭부(218)의 다수의 가변 증폭기(VA1 ∼ VAn)의 이득 증폭값을 제어하고, 제어부(240)는 저장부(241)에 저장된 전력 측정값들의 균일함이 허용 범위내를 벗어날 경우, 가변 이득 증폭부(218)의 다수의 가변 증폭기(VA1 ∼ VAn)의 이득을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조정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하향 변환 중심 주파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제 2 주파수 발진부(231)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 2 증폭부(234)가 하향 변환부(233)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충분한 신호로 증폭하여 검출부(235)로 전달하면, 검출부(234)는 전달된 신호에서 전력 측정값을 검출하여 제 3 필터링부(236)로 출력한다.
이어서, 제 3 필터링부(236)가 검출부(234)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직류로 변환시켜 A/D 컨버터(237)로 전달하면, A/D 컨버터(237)는 제 3 필터링부(236)를 통해서 완전히 직류화 되지 못한 맥류 신호를 평활화하고, 아날로그 전력 측정값을 디지탈 신호로 바꾸어 저장부(241)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주파 대역에서 고주파 대역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 변환하여 각 제어 전압 단계 인가시 마다 이때의 전력량을 검출부(235), 제 3 필터링부(236) 및 A/D 컨버터(237)를 통해 저장부(241)에 저장하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44)는 각 주파수 대역내에서 잡음 스펙트럼의 크기를 저장부(241)에서 읽어내어 제어신호 발생부(242)와 입출력 장치(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잡음 발생 장치는 원하는 주파수대에서 일정한 레벨의 크기로 잡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을 발생하는 소자를 사용하고 이를 상향 변환하는 구조로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를 가변하고, 각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이득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채용하므로써, 출력신호의 크기를 단계별 주파수 소인(sweep)하여 잡음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을 협대역별로 하향 변환하여 전력 크기값을 얻어 주파수 대역별로 조정하여 균일한 특성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실험시 필요한 소요 장비 대수를 줄일 수 있으며 부피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발생하는 잡음 발생수단;
    상기 잡음 발생수단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충분한 잡음신호로 증폭하는 제 1 증폭수단;
    상기 제 1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기는 제 1 감쇠수단;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주파수 발진수단;
    상기 제 1 감쇠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발진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향 변환수단;
    상기 상향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잡음신호를 추출하는 제 1 필터링수단;
    상기 제 1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소정 레벨로 감쇠시키는 제 2 감쇠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감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이득을 증폭하기 위한 가변 이득 증폭수단;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들을 혼합하는 혼합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혼합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필터링수단;
    상기 제 2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잡음신호를 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수단;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성 결합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잡음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여 전력 측정값을 출력하는 전력 측정수단; 및
    상기 전력 측정수단으로부터 전력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주파수 발진수단, 가변 이득 증폭수단, 제 2 필터링수단 및 전력 측정수단에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발생수단은,
    공급 전류에 의해 잡음을 발생시키는 노이즈 다이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은,
    상기 제 2 감쇠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잡음신호의 이득을 가변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가변 증폭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측정수단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 2 주파수 발진수단;
    상기 신호 분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감쇠시키는 제 3 감쇠수단;
    상기 제 3 감쇠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발진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주파수신호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하향 변환수단;
    상기 하향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증폭수단;
    상기 제 2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링수단; 및
    상기 제 3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A/D 변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력 측정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전력 측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신호 분배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결합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모니터링 수단; 및
    상기 방향성 결합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양방향으로 분배하여 상기 전력 측정 수단 및 상기 모니터링 수단으로 전달하는 신호 분배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변 주파수 대역 잡음 발생 장치.
KR1019970078030A 1997-12-30 1997-12-30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KR10028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30A KR100285707B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30A KR100285707B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951A KR19990057951A (ko) 1999-07-15
KR100285707B1 true KR100285707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030A KR100285707B1 (ko) 1997-12-30 1997-12-30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699B1 (ko) * 2008-11-03 2009-06-03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펨토 셀용 잡음 발생 장치
KR100900700B1 (ko) * 2008-11-21 2009-06-03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펨토 셀용 잡음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95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496B2 (ja) 隣接および次隣接チャネル電力制御の負荷調整を行う電力増幅回路
KR101069052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동 전력 제어의 기준 신호 추가적조정
US8145166B2 (en) Enhanced programmable automatic level control
US5625322A (en) Amplifier bias control device
JP2001068941A (ja) 隣接および次隣接チャネル電力制御を行う電力増幅回路
JP3866042B2 (ja) 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CA2135816C (en) Transmission circuit with improved gain control loop
KR101516308B1 (ko) Cw신호를 이용한 랜덤노이즈 장치
CN106953600A (zh) 一种基于dds的后置混频式数字alc控制系统装置
JP5409979B2 (ja) バンドエッジ振幅低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11564B1 (ko) 데카르트 루프 송신기 및 이 송신기의 출력 레벨을조절하는 방법
KR970007602B1 (ko) 전송기의 출력전력을 제어 및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
JP2019129333A (ja) 信号発生装置とその出力レベル調整方法
KR100285707B1 (ko) 가변주파수대역잡음발생장치
JPH0449298B2 (ko)
US20030119462A1 (en) Apparatus for linear transmitter with improved loop gain stabilization
GB2369264A (en) Signal measurement
KR100242417B1 (ko) 기지국의송신전력을조정하는장치
KR100595839B1 (ko) 잡음신호를 이용한 이득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JP2002290166A (ja) 増幅装置
TWI835565B (zh) 可提升預失真效果的收發機系統以及其控制方法
KR20100089165A (ko) 시스템의 직류 옵셋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100401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82398B1 (ko) 기지국의 송신 장치
JP2784873B2 (ja) パワー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