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595B1 -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595B1
KR100285595B1 KR1019980049730A KR19980049730A KR100285595B1 KR 100285595 B1 KR100285595 B1 KR 100285595B1 KR 1019980049730 A KR1019980049730 A KR 1019980049730A KR 19980049730 A KR19980049730 A KR 19980049730A KR 100285595 B1 KR100285595 B1 KR 10028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ard
data
exter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064A (ko
Inventor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5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카드식 메뉴 서비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탈 TV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때 사용자 선호도에 부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카드 연결잭을 통해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메뉴 카드로부터 서비스에 필요로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기를 구비하고, 메뉴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체 저장된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고, 메뉴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메뉴 카드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탈 텔레지젼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A/V 기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텔레비젼(TV)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메뉴 화면을 서비스하는 데 적합한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상당히 양호한 영상 및 음향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탈 방송(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 디지탈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들에서는 디지탈 방송을 시험 실시하고 있거나 또는 조만간의 시험 실시 또는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탈 방송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탈 TV의 보급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디지탈 방송은 우수한 품질의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는 장점 이외에도 부가 디지탈 서비스 데이터 전송 및 그래픽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획기적인 개선을 큰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즉, 디지탈 TV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디지탈 TV를 메뉴 제어하는 기법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이를 위하여 디지탈 TV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필요로하는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지탈 TV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때 모니터상에 제공되는 메뉴 화면들은 디지탈 TV의 제작시에 기저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메뉴 화면 데이터들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메뉴 화면들이 제작시점에서 제작사에 의해 변경 불가능하도록 기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의 메뉴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임의적인 변경이 불가능한 메뉴 화면들을 서비스하는 종래 방법은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자신의 취양에 맞는 형태)의 메뉴 서비스(특히, 그림 항목들을 갖는 그림 메뉴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실정이다.
예를들어, 자동차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자동차를 주제로하여 그림 항목(즉, 자동차의 종류별 그림 항목)들을 구성한 그림 메뉴 서비스를 희망하게 될 것이고, 비행기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비행기를 주제로하여 그림 항목들을 구성한 그림 메뉴 서비스를 희망하게 될 것이며, 또한 동물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동물을 주제로하여 그림 항목들을 구성한 그림 메뉴 서비스를 희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서는 디지탈 TV의 제작시점에서 저장된 메뉴 화면이 변경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사용자 선호도에 부응하는 메뉴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 즉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을 위해 사용자 선호도에 부응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카드식 메뉴 서비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탈 TV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때 사용자 선호도에 부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에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시에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메뉴를 서비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외부에서 착탈 자유로운 연결잭을 통해 삽입된 메뉴 카드;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의 메뉴 서비스 요구시에 발생하는 판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카드에 수록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 수단;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자체 메뉴 화면의 발생을 위한 자체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카드 판독 수단을 통해 상기 메뉴 카드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와 함께 외부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 상기 자체 생성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와 함께 외부 생성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뉴 발생 수단; 및 상기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 또는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와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로 전달하는 영상 합성 수단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에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시에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메뉴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텔레비젼은, 카드 연결잭을 통해 삽입된 메뉴 카드로부터 서비스에 필요로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뉴 서비스 방법은: 시청모드의 실행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된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카드 판독 수단을 통해 상기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상기 메뉴 카드에서 판독하는 과정;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 또는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와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에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된 자체 메뉴 및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부 메뉴를 선택적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메뉴 서비스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메뉴 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제어 블록 104 : 메뉴 카드
106 : 카드 판독 블록 108 : 메뉴 발생 블록
110 : 메모리 블록 112 : 영상 합성 블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디지탈 TV 자체에 기저장된 자체 메뉴 화면들을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메뉴 카드를 통해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부 메뉴 화면들을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메뉴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카드 연결잭을 통해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메뉴 카드로부터 서비스에 필요로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어 블록으로 제공하는 카드 판독기를 구비한다.
이때, 사용되는 메뉴 카드는,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작 회사명, 디지탈 TV의 모델명, 메뉴 구성 주제 등이 전면에 기재된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형태로 디지탈 TV의 각 제조사에서 제작하여 유통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메뉴 카드(300)는, 예를들면 전자제품 대리점, 전자제품 양판점, 슈퍼마켓 등을 통해 일반에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 미설명번호 310은 메뉴 카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재하고 남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영역(31)에는, 예를들면 메뉴 카드를 제작한 제조사에 대한 광고 등을 기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과 더불어 광고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써, 제어 블록(102), 메뉴 카드(104), 카드 판독 블록(106), 메뉴 발생 블록(108), 메모리 블록(110) 및 영상 합성 블록(112)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블록(102)은, 예를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여 디지탈 TV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시에 그에 상응하는 메뉴 발생을 제어한다.
또한, 메뉴 카드(104)는 도시 생략된 연결잭을 통해 디지탈 TV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메뉴 카드(10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필요로하는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메뉴 카드의 종류로서는, 예를들면 자동차를 주제로 한 메뉴 카드, 비행기를 주제로 한 메뉴 카드, 동물을 주제로 한 메뉴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카드 판독 블록(106)은,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여러 가지 형태의 카드 판독기중의 하나인 것으로, 동도면에서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디지탈 TV에 장착되어 도시 생략된 연결잭을 통해 삽입된 메뉴 카드에 수록된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들을 판독하며, 여기에서 판독된 메뉴 화면 데이터들은 제어 블록(102)으로 제공된다.
또한, 카드 판독 블록(102)에서는 연결잭을 통해 메뉴 카드가 삽입될 때 이를 인식하여 라인 L11 상에 카드 삽입 인식신호를 발생하고 연결잭에서 메뉴 카드가 탈거될 때 이를 인식하여 라인 L11 상에 카드 탈거 인식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블록(102)으로 전달한다. 예를들어, 연결잭에 카드가 삽입되면 하이레벨의 인식신호를 라인 L11 상에 발생하고, 연결잭에서 카드가 탈거되면 로우레벨의 인식신호를 라인 L11 상에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 블록(102)에서는 라인 L11 상의 인식신호에 의거하여 연결잭에 메뉴 카드가 삽입된 상태인지 혹은 탈거된 상태인지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제어 블록(102)은 연결잭에 메뉴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 블록(110)에 기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결잭에 메뉴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 블록(110)에 저장된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메뉴 카드(104)로부터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메뉴 카드(104)가 연결잭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라인 L12 상에 메뉴 서비스에 상응하는 메뉴 발생을 위한 메뉴 생성 제어신호를 메뉴 발생 블록(108)으로 제공함으로써, 메뉴 발생 블록(108)이 메모리 블록(110)에 기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는 달리, 메뉴 카드(104)가 연결잭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라인 L11을 통해 카드 판독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메뉴 데이터(즉, 메뉴 카드(104)에서 판독한 메뉴 데이터)를 메뉴 생성 제어신호와 함께 라인 L12를 통해 메뉴 발생 블록(108)으로 제공함으로써, 메뉴 발생 블록(108)이 메뉴 카드(104)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메뉴 발생 블록(108)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서비스)시에, 라인 L12를 통해 메뉴 생성 제어신호가 제공되면(즉, 메뉴 카드(104)가 연결잭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메뉴 서비스 제공), 메모리 블록(110)을 탐색하여 대응하는 메뉴 데이터를 인출하고, 그래픽 처리를 통해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며, 이 구성된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3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2)으로 전달한다. 이때, 메모리 블록(1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로하는 다수의 메뉴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메뉴 발생 블록(108)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메뉴 서비스)시에, 라인 L12를 통해 메뉴 생성 제어신호와 함께 외부 메뉴 데이터가 제공되면(즉, 메뉴 카드(104)가 연결잭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메뉴 서비스 제공), 라인 L12를 통해 제공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구성된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3을 통해 영상 합성 블록(112)으로 전달한다.
다른한편, 영상 합성 블록(112)에서는, 시청 모드시에 라인 L14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 즉 도시 생략된 MPEG 디코더를 통해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라인 L14 상의 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와 라인 L13 상의 메뉴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의 모니터상에는, 시청모드시에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것이고,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메뉴 화면 데이터가 합성된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TV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에 부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자체 저장된 메뉴 데이터 또는 메뉴 카드로부터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된 자체 메뉴 및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부 메뉴를 선택적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시청모드를 실행중일 때(단계 20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2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메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메뉴 카드(104)가 연결잭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6).
상기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연결잭에 메뉴 카드(104)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예를들어, 라인 L11 상의 카드 인식신호가 로우레벨일 때), 제어 블록(102)에서는 입력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에 상응하는 메뉴를 발생하기 위한 메뉴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 L12를 통해 메뉴 발생 블록(108)으로 제공한다(단계 208).
따라서, 메뉴 발생 블록(108)이 라인 L12 상의 메뉴 생성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응하는 메뉴 데이터를 메모리 블록(110)으로부터 인출하고, 이 인출된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한 다음(단계 210), 영상 합성 블록(112)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시 생략된 모니터상에는 자체 메뉴 화면이 합성된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16).
즉, 본 발명의 메뉴 서비스 장치에서는 연결잭에 메뉴 카드(104)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뉴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메모리 블록(110)에 기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자체 메뉴 화면을 모니터상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연결잭에 메뉴 카드(104)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예를들어, 라인 L11 상의 카드 인식신호가 하이레벨일 때), 제어 블록(102)에서는 입력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에 상응하는 메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 L11을 통해 카드 판독 블록(106)으로 제공한다. 그 결과, 카드 판독 블록(106)에서는 메뉴 카드(104)에 수록된 다수의 메뉴 데이터들중 라인 L11 상의 판독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판독하여 라인 L11을 통해 제어 블록(102)으로 전달한다(단계 212).
그런다음, 제어 블록(102)에서는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메뉴 생성 제어신호와 함께 라인 L12 상에 발생하여 메뉴 발생 블록(108)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메뉴 발생 블록(108)이 라인 L12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한 다음(단계 214), 영상 합성 블록(112)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시 생략된 모니터상에는 외부 메뉴 화면(즉, 메뉴 카드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로 구성한 화면)이 합성된 혼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216).
즉, 본 발명의 메뉴 서비스 장치에서는 연결잭에 메뉴 카드(104)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뉴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메모리 블록(110)에 기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가 아닌, 메뉴 카드(104)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외부 메뉴 화면(예를들어, 자동차, 비행기, 동물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로 제작된 메뉴 화면)을 모니터상에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카드 연결잭을 통해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메뉴 카드로부터 서비스에 필요로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기를 구비하고, 자체 저장된 메뉴 데이터 또는 메뉴 카드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탈 텔레지젼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에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시에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를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메뉴를 서비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외부에서 착탈 자유로운 연결잭을 통해 삽입된 메뉴 카드;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의 메뉴 서비스 요구시에 발생하는 판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카드에 수록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 수단;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자체 메뉴 화면의 발생을 위한 자체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카드 판독 수단을 통해 상기 메뉴 카드에서 판독한 외부 메뉴 데이터와 함께 외부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
    상기 자체 생성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자체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와 함께 외부 생성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뉴 발생 수단; 및
    상기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 또는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와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로 전달하는 영상 합성 수단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2. MPEG 디코딩 수단을 통해 복원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에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시에 상기 모니터상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수단을 갖는 디지탈 텔레비젼에서 메뉴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텔레비젼은, 카드 연결잭을 통해 삽입된 메뉴 카드로부터 서비스에 필요로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뉴 서비스 방법은:
    시청모드의 실행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자체 메뉴 데이터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된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연결잭에 상기 메뉴 카드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카드 판독 수단을 통해 상기 메뉴 서비스 요구에 상응하는 외부 메뉴 데이터를 상기 메뉴 카드에서 판독하는 과정;
    상기 판독된 외부 메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자체 메뉴 화면 데이터 또는 외부 메뉴 화면 데이터와 선택된 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얻은 혼합 비디오 신호를 상기 모니터에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
KR1019980049730A 1998-11-19 1998-11-19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28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30A KR100285595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30A KR100285595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064A KR20000033064A (ko) 2000-06-15
KR100285595B1 true KR100285595B1 (ko) 2001-04-02

Family

ID=1955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30A KR100285595B1 (ko) 1998-11-19 1998-11-19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70A (ko) * 2000-08-24 2002-03-04 윤종용 텔레비젼 및 이 장치사이의 사용자 선호 정보 이전 방법
KR100709348B1 (ko) * 2005-02-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맵 업데이트를 위한 영상재생장치 및 채널 맵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064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8701B1 (en) Simulated pip window in EPG
KR100412763B1 (ko) 화상 처리 장치
US20040189793A1 (en) Interactive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overlaying the caption on the image used by the said apparatus
US20020057382A1 (en) Television signal reception apparatus
JP2001514470A (ja) 放送システムの番組ガイドを生成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DE10121777B4 (de) Multimediagerät dessen Funktionen erweitert werden können und Verfahren für das Erweitern der Funktionen
US201400556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elevision
US6680754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realizing picture-in-picture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decoders
JP3083652B2 (ja) 文字放送送信及び受信装置
KR1005279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JP2001521324A (ja) 電子番組ガイド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356811B (zh) 用于垂直消隐间隔(vbi)数据的原始模式
US20040244045A1 (en) Controlling system, controll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285595B1 (ko)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3219372A (ja) データ放送受信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データ放送システム、データ放送装置、データ放送ショッピングにおける商品表示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1067806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esting applications
KR19990055275A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pc제어방법 및 장치
NO322960B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generere ulike digitale informasjonsmeldinger.
KR100303090B1 (ko)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KR1004324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KR10044361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에 의한 osd 편집장치와 방법
JP2003046962A (ja) Csデータ放送のデータ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0285596B1 (ko) 디지탈 텔레비젼에서의 메뉴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228494B1 (ko) 부가정보 출력장치
JP2003087790A (ja) 画像データの圧縮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