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888B1 -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888B1
KR100284888B1 KR1019980044342A KR19980044342A KR100284888B1 KR 100284888 B1 KR100284888 B1 KR 100284888B1 KR 1019980044342 A KR1019980044342 A KR 1019980044342A KR 19980044342 A KR19980044342 A KR 19980044342A KR 100284888 B1 KR100284888 B1 KR 10028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ctifying
case
oil rectifying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685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1998004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8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윤활장치내에서 순환되는 오일을 정류시켜 주는 오일정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정류기능을 가진 다수의 정류필터부재를 체택하여 오일의 정류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정류필터부재의 막혔을 때 이를 거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에 관한 것인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상단이 개구되고, 원통벽의 일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된 오일정류케이스(11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그 일측에 오일이 공급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 캡(12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체여과필터(133)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134)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135)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오일정류통(13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과 오일정류통(130)의 사이에 탄설되어 필터(133)(134)(135)들이 막혔을 때 오일정류통(130)이 하방으로 탄압되게 하여 캡(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그 일측의 배출구(113)로 직접 배출되게 하는 탄성부재(14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윤활장치내에서 순환되는 오일을 정류시켜 주는 오일정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정류기능을 가진 다수의 정류필터부재를 체택하여 오일의 정류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정류필터부재의 막혔을 때 이를 거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서 오일은 모든 작동부위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부가되는 것으로서 윤활부에 발생된 마찰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열하는 냉각작용과 윤활부에 개재하는 불순물을 그 유통과정에서 흡수하여 윤활부를 깨끗하게 하는 세척작용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연기관의 윤활장치 내를 순환하는 오일은 점차로 수분, 연소생성물인 탄소, 윤활부에서 생기는 금속분말 슬러지 등을 함유하여 오일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해 주므로서 내연기관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오일정류장치는 이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2102호(공고번호 95-3407)에 있는바, 이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캡(2)과 오일정류케이스(13)를 체결볼트(32)와 나비너트(31)로 체결공을 통해 체결하되, 캡(2)의 플랜지(4)와 오일정류케이스(13)의 내측면상에 자석(30)을 고착하고, 외측으로는 유입구(5)를 연설하여 유입호오스(7)를 체결너트로서 그 유입구(5)에 고정시키며, 바닥면(15)에 돌기부(17)가 돌설된 오일정류케이스(13)의 일측에는 배출구(18)를 연설하여 배출호오스(20)를 체결너트로서 그 배출구(18)에 고정시키고, 오일정류케이스(13)의 내부에는 오일정류통(22)을 삽설시키되, 그 오일정류통(22)의 내부에는 고흡수성수지, 또는 아카킨으로 된 정류필터(23)가 충진되고, 상측면에는 다소 큰 인입공(24)이, 하측면에는 소형의 배출공(24')이 다수개 통공되어 있으며, 특히 오일정류통(22)의 내부에는 면사 사이에 고흡수성수지로 된 정류층을 개재시키거나, 상하면에 다수개씩의 인입공과 배출공이 통공된 별도의 정류통에 고흡수성수지로 된 증류층을 충진하여 상,하측의 면사 사이에 개입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오일정류장치의 정류필터(23)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시에는 오일정류케이스(13) 저부의 배출구(18)로 오일이 유통되지 않아 내연기관이 과열,파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3)에 내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오일을 냉각시켜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오일의 산화가 촉진되어 오일의 변질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정류장치의 오일정류케이스와 오일정류통 사이에 탄성부재를 탄설시켜 오일정류통내의 정류필터가 막혔을 때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캡과 오일정류통 사이가 이격되게 하므로서 캡에서 오일정류케이스 저부의 배출구로 오일이 유통되게하여 오일부족으로 야기되는 내연기관의 손상을 방지한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정류케이스의 표면에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게 요철부를 무수히 형성하므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오일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오일의 변질을 방지한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오일정류통내에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체여과필터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 등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오일의 정류효과를 극대화시키므로서 오일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킨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오일정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통이 막혔을 때 오일의 유로를 보인 오일정류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장치의 캡과 정류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오일정류케이스 111:삽입홈
112:결합홈 113:배출구
114:요철부 120:캡
121:유입구 122:걸림턱
130:오일정류통 131:인입공
133:고체여과필터 134:제습필터
135:액체여과필터 140:자석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상단이 개구되고, 원통벽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오일정류케이스; 상기 오일정류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그 일측에 오일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캡; 상기 오일정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체여과필터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오일정류통; 오일정류케이스의 내부 바닥면과 오일정류통의 사이에 탄설되어 필터들이 막혔을 때 오일정류통이 하방으로 탄압되게 하여 캡의 유입구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정류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그 일측의 배출구로 직접 배출되게 하는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오일정류케이스 상단 내측에 삽입홈이 등간격 형성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캡의 외주연에 오일정류케이스의 삽입홈을 통해 결합홈과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일정류케이스와 캡을 열전도가 양호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오일정류케이스의 외주면에 열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가 다수 형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일정류통 상단의 인입공 주변에 금속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자석부재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정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원통형상의 오일정류케이스(110)는 상단이 개구되어 그 내측에 삽입홈(112)이 등간격 형성된 결합홈(111)이 마련되고, 원통벽의 일측에 유입된 오일이 내연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는 열전도가 양호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어 내연기관을 거쳐 유입된 고온의 오일을 냉각시켜주게 되는데,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열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114)를 다수 형성하므로 고온의 오일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120)은 오일이 공급되는 유입구(12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캡(120)의 외주연에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삽입홈(112)을 통해 결합홈(111)과 결합되는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삽입홈(112)에 캡(120)의 걸림턱(122)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캡(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턱(122)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결합홈(111)으로 유도되어 상호 결합되어진다.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일정류통(130)은 상부에 인입공(131)이, 하부에는 유출공(13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오일정류통(130)의 직경은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일정류통(130)의 내부에는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종이재질의 고체여과필터(133)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134)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135)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한편,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오일정류통(130)의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40)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정류통(130) 상단의 가장자리에 캡(120)의 하단과 밀착되는 밀폐링(150)이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오일정류통(130) 내의 필터(133)(134)(135)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도 4와 같이 오일정류통(130이 탄성부재(140)의 힘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탄압되면서 캡(120)과 오일정류통(13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캡(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그 일측의 배출구(113)로 직접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정류통(130) 상단의 인입공(131) 주변에 금속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자석부재(16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일이 유입구(121)를 통해 캡(120)으로 유입되면, 오일정류통(130)의 인입공(131) 주변에 설치되어진 자석부재(160)에 의해 오일 속의 미세한 금속가루가 부착되며, 금속가루가 제거된 오일은 오일정류통(130)의 인입공(131)으로 유입되어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종이재질의 고체여과필터(133)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134)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135)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류된다.
상기 오일정류통(130)의 각 필터(133)(134)(135)를 거쳐 정류된 오일은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배출구(113)를 통해 내연기관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오일정류케이스(110)의 표면에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는 요철부(114)가 무수히 형성되어 있므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오일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오일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정류통(130)의 각 필터(133)(134)(135)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시에는 도 4와 같이 오일정류통(130이 탄성부재(140)의 힘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탄압되면서 캡(120)과 오일정류통(13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캡(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오일이 화살표와 같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그 일측의 배출구(113)로 직접 배출되므로 오일부족으로 인한 내연기관이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정류통(130)을 교체하고자 할 시에는 도 6과 같이 오일정류케이스(110)로부터 캡(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캡(120)의 걸림턱(122)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결합홈(111)을 따라 회전하다가 삽입홈(112)을 통해 해제되며, 이때 오일정류케이스(110)로부터 오일정류통(130)을 분리한 다음, 새로운 오일정류통(130)으로 교체한다. 즉,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로부터 캡(120)을 간단히 회전시켜 오일정류통(130)을 교체하므로서, 오일정류장치의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정류장치의 오일정류케이스(110)와 오일정류통(130) 사이에 탄성부재(140)를 탄설시켜 오일정류통(130)내의 필터(133)(134)(135)가 막혔을 때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캡(120)과 오일정류통(130) 사이가 이격되게 하므로서 캡(120)에서 오일정류케이스(110) 저부의 배출구(113)로 오일이 유통되게하여 오일부족으로 야기되는 내연기관의 손상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정류케이스(110)의 표면에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게 요철부(114)를 무수히 형성하므로서 내연기관으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오일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오일의 변질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오일정류통(130)내에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체여과필터(133)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134)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135) 등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오일의 정류효과를 극대화시키므로서 오일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원통형상의 상단이 개구되고, 원통벽의 일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된 오일정류케이스(11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그 일측에 오일이 공급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 캡(12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고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체여과필터(133)와, 오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필터(134)와, 액체형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여과필터(135)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오일정류통(130);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과 오일정류통(130)의 사이에 탄설되어 필터(133)(134)(135)들이 막혔을 때 오일정류통(130)이 하방으로 탄압되게 하여 캡(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정류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그 일측의 배출구(113)로 직접 배출되게 하는 탄성부재(14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 상단 내측에 삽입홈(112)이 등간격 형성된 결합홈(111)이 마련되고 상기 캡(120)의 외주연에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삽입홈(112)을 통해 결합홈(111)과 결합되는 걸림턱(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와 캡(120)을 열전도가 양호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4. 제 1 항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정류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열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114)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정류통(130) 상단의 인입공(131) 주변에 금속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자석부재(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KR1019980044342A 1998-10-22 1998-10-22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KR10028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42A KR100284888B1 (ko) 1998-10-22 1998-10-22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42A KR100284888B1 (ko) 1998-10-22 1998-10-22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685A KR20000026685A (ko) 2000-05-15
KR100284888B1 true KR100284888B1 (ko) 2001-07-12

Family

ID=1955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342A KR100284888B1 (ko) 1998-10-22 1998-10-22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71B1 (ko) * 2001-04-14 2005-01-31 장세동 오일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685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203B1 (ko) 기름통과 체크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US5846416A (en) Fluid filter having a reusable filter housing and a replaceable coreless filter element
KR100799182B1 (ko) 크랭크케이스 배출 제어 시스템
CA2239442A1 (en) Coolant filter having a delayed release supplemental coolant additive cartridge
US10232294B2 (en) Separation element and pressure accumulator system
KR101001073B1 (ko) 자동차용 엔진오일과 연료 정화 및 연료 예열 어셈블리
US20020117158A1 (en) Crankcas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crankcase breather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KR100284888B1 (ko) 내연기관용 오일정류장치
JP2009214003A (ja) オイルフィルタ
US20160230623A1 (en) Filtration assembly
JPH0112528B2 (ko)
US6527839B2 (en) Spin-on filtering oil removal cartridge
US6349693B1 (en) Method and bypass filter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151570A1 (en) Crankcase ventilation filter/pre-separator
US112471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 sealing member on a filter assembly
US20230173412A1 (en) Quick oil change filter and assembly
KR200222054Y1 (ko) 엔진오일필터
US20230026654A1 (en) Filter media holder for filter assemblies
EP3473321A1 (en) Filter system having a filter element and filter element for such a filter system
KR950003407Y1 (ko) 내연기관용 오일 정류장치
KR200464387Y1 (ko) 엔진오일 냉각 및 노폐물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유동시스템
WO2019112560A1 (en) Filter element with barrier
KR0120304B1 (ko) 내연기관의 오일필터 분리시 엔진윤활계통의 폐오일 유입방지 및 그 내연기관 오일필터의 오일 불순물 분리장치
JP2009214005A (ja) オイル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