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171B1 - 분립체 계량방법 - Google Patents

분립체 계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171B1
KR100284171B1 KR1019980044812A KR19980044812A KR100284171B1 KR 100284171 B1 KR100284171 B1 KR 100284171B1 KR 1019980044812 A KR1019980044812 A KR 1019980044812A KR 19980044812 A KR19980044812 A KR 19980044812A KR 100284171 B1 KR100284171 B1 KR 10028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d
metering
angle
flow passag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375A (ko
Inventor
마사히데 오자키
시니치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3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G01G13/06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wherein the main feed is effected by gravity from a hopper or chute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로(conduit)(3)의 상태, 계량(計量) 용기(4)의 상태, 및 주변 분위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유통로(3)으로부터 분립체(粉粒)를 계량 용기(4) 내로 공급하는 분립체 계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분립체 계량방법으로, 저장 구역(1) 밑에 배치되어, 계량 구역(13)에 배치된 계량 용기(4) 내로 유통로(3)의 단부에 배출구(9)를 통해 분립체 투하가 이루어지도록 계량 구역(13)에서 보내지는 명령에 따라서 피봇부 둘레에 경사지게 채택되는 유통로에 의해 계량되는 것이다. 유통로(3)는 대 용량, 소 용량 및 미소 용량으로 각각 분립체가 투하되도록 적어도 3개의 다른 공급 각도 즉, 대 각도, 소 각도, 및 미소 각도로 순차적으로 경사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립체 계량방법
본 발명은 분립체의 계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립체를 계량 용기에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본 특개소55-22178호에 개시된 바로서, 개방된 일 단부가 설치되고 계량 용기 위에 정렬 배치된 수직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유통로를 사용하여 곡류(穀類)를 계량하는 공지된 방법의 것이 있다. 타 단부를 통해 그 안에 공급되는 곡류는 대부분이 하방향으로 대면된 개방 단부를 가진 유통로를 경사지게 하여서 상하 운동시키어 계량 용기 내로 중력에 의해 낙하되게 제조되고, 다음 상기 유통로는 전환 이동되어 수평적으로 되고 그리고 나머지 곡류가 진동을 받게 되어서, 곡류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계량될 수 있도록 용기 내로 투하되는 것이다.
상술된 공지된 계량방법은 유통로의 일 단부의 개방 단부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서 곡류를 대량으로 일시에 유통로로부터 투하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단일 투하 동작에 의한 유통로로부터 배출되는 곡류의 량은 투하되는 객체의 상태와 유통로의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나며, 이러한 투하 용량의 차이는 이어지는 다음 단계의 진동에 의한 소량 투입에 영향을 주어 계량 정확도 및 계량 속도 면에서 불안정성이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진동에 의한 소량 곡류를 배출하는 단계는 주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외부 요소에 의한 영향을 용이하게 받게 되어 현저하게 계량 정확도와 계량 속도가 불안정하게 하여서, 능률 및 정확도에 있어서 문제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 면에서, 본 발명은 유통로의 상태, 계량 용기의 상태, 및 주변 분위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유통로로부터 분립체(powder/chip)를 계량 용기 내로 공급하는 분립체 계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 상기 목적은 저장 구역 밑에 배치되어, 계량 구역에 배치된 계량 용기 내로 유통로의 단부에 배출구를 통해 분립체 투하가 이루어지도록 계량 구역에서 보내지는 명령에 따라서 피봇부 둘레로 경사지게 채택되는 유통로에 의한 분립체 계량방법을 제공하여 이루어지며, 유통로는 적어도 대 용량, 소 용량 및 미소 용량으로 각각 분립체가 투하되도록 대 각도, 소 각도, 및 미소 각도로 3개의 다른 공급 각도로 순차적으로 경사지는 것이다.
양호하게, 유통로의 공급 각도는, 배출구가 수평상태에서 약간 상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통로가 뒤로 전환 이동된 후에 계량 용기 내로 분립체가 투하되도록 매회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설비로서, 분립체는 상당히 높은 계량 정확도로 보다 능률적으로 공급되는 투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양호하게, 최종 단계에서의 유통로의 공급 각도는 레벨 위치로부터 1도 와 2도 사이에 있고 그리고 유통로의 단부에서의 배출구는 분립체가 계량 용기 내로 투하되도록 공급 각도와 레벨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피봇 운동되어, 계량 정확도를 일층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계량방법을 사용하는 분립체 계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분립체 계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유통로가 계량 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계량방법을 사용하는 계량 장치의 유통로를 개략적으로 단면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3)로서, 계량 객체가 대 용량으로 투하되도록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유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로서, 계량 객체가 중간 용량으로 투하되도록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유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로서, 계량 객체가 소 용량으로 투하되도록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유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로서, 계량 객체가 미소 용량으로 투하되도록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유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 구역 2: 분립체
3: 유통로 4: 계량 용기
9: 배출구 11: 모터
13: 계량 구역 14: 중앙연산처리장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립체 계량방법은 다양한 서로 다른 분말체(powdery) 및 칩(chip)과 같은 객체의 계량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립체 계량방법이 사용되는 계량 장치를 나타내며 그리고 플라스틱제 파스너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블랭크 칩(blank chips)을 계량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상부 위치에 배치된 호퍼 또는 사이클론 과 같은 저장 구역(1)이 있는 전체 계량 장치를 나타내며 그리고 계량을 위해 하부 위치에 배치된 계량 용기(4)로 유통로(3)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칩(2)(도 3 내지 도 7에 도시)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저장 구역(1)은 일반적으로, 예비 결정된 량으로 분립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유통로(3)의 중앙 트인 구멍(6) 내로 삽입되는 전방 단부를 소유한 퍼넬(funnel)형 바닥부(5)를 가진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호퍼 또는 사이클론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로(3)는 상자 모양의 외형상과 정상부에서 중앙 트인 구멍(6)이 있는 것이다. 유통로(3)의 대향측 단부(7, 8)는 위와 아래 에서 테이퍼지고 그리고 유통로(3)의 일 단부(7)가 폐쇄되어 있는 반면에 배출구(9)가 대향측 단부(8)에 형성되어 칩(2)이 유통로(3)의 경사로 배출구(9)를 통해 투하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로서, 유통로(3)는 그 측면의 중앙에서 샤프트(10)에 의해 지지되어 유통로(3)가 샤프트(10)의 대향측 단부에 접속된 모터(11)에 의해 샤프트(10)가 회전되어 구동되어 도 2 에 도시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경사지는 것이다. 유통로(3)에 함유된 분립체는 유통로(3)가 하방향을 향하는 배출구(9)를 만들도록 기울어져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어진다. 유통로(3)의 경사 각도는, 모터(11)가 미세 각도 인덱스가 가능한 미세각 제어수단이 제공된 스텝핑 모터, 서보 모터 또는 그와 같은 모터를 사용하여 계량 정확도를 향상시키어 양호하게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유통로(3)에는 측면의 중앙에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어서 브라켓을 경유하여 샤프트(10)에 의해 지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통로(3)에는 유통로(3)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칩(2)이 배출구(9)를 통해서 낙하되지 않도록 그 바닥의 중앙에 정지각(an angle of repose)(12)을 형성시킨다.
유통로(3)로부터 배출되는 칩(2)을 수용하도록 계량 용기(4)는 유통로(3)와 저장 구역(1) 밑에 배치된다. 천평저울, 스프링 평형 저울, 또는 전자 저울이 있는 계량 구역(13)에서 계량된다. 계량 구역(13)은 적어도 3개 단계의 각각용으로 계량 용기(4) 내로 공급되는 칩(2)의 중량을 측정하고 그리고, 측정에 의해 구해진 데이터는 예비 결정된 각도로 유통로(3)를 경사지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유통로를 경사지게 하는 모터로 명령을 전달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14)로 보내져, 계량 용기(4)가 유효하고 정확한 칩(2)을 공급하도록 대 용량, 중간 용량 및/또는 소량 및 미소 용량으로 적어도 3개 단계로 칩(2)이 연속적으로 이행될 수 있는 공급 운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계량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 은 대 용량, 중간 용량, 소 용량 및 미소 용량 각각으로 칩(2)을 공급하도록 서로 다르게 경사진 위치로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계량방법을 사용하는 계량 장치의 유통로(3)를 개략적으로 단면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저장 구역(1)으로부터 공급된 칩(2)으로 충진되고 계량 작업이 개시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르는 계량방법을 사용하는 계량 장치의 유통로(3)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칩(2)은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배출구(9)가 있는 유통로(3) 내에 공급되며, 따라서 유통로(3) 내에 칩(2)은 유통로(3)의 후방부 대부분에 있게 된다. 칩(2)의 공급은 유통로(3) 내에 칩(2)의 정상이 저장 구역(1)의 바닥 부분(5)에 이르면 중지된다. 상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는 배출구(9)가 있는 유통로(3)의 경사 상태는 계량 장치의 계량 작업을 위한 기준 위치를 제공하고 그리고 유통로(3)는 각 단계에서의 칩 배출 작업 후에 이러한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서, 배출 작업 전에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칩을 수용하여 다음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여, 항시 정확하게 예비 결정된 양으로 이루어진 칩(2)이 각각의 칩 배출 동작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 는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3)로서 대 용량으로 계량 객체가 투하되는 경사진 위치를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유통로(3)는 최대로 하방향을 향하는 배출구(9)로부터의 공급을 위한 레벨 위치로부터의 경사 각(이하, 경사 또는 공급 각의 각도로 언급됨)으로 경사진 것이다. 만일, 1,000g 칩이 단일 계량 사이클로 계량을 받게 된다면, 유통로는 일반적으로 제 1 단계에서는 약 700g을 배출하는 약 30도 각도로 경사진다.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는 칩(2)이 계량 구역(13)에 의한 감지 결과치가 700g에 이르면, 신호는 중앙연산처리장치(14)로 전송되어 모터(11)를 역으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칩의 배출을 정지시키며, 유통로(3)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칩(2)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하 동작 전에 가진 그 량에 이를 때까지 유통로(3)에 보급된다. 다음, 상기 작업은 중간 용량으로 칩을 공급하는 제 2 단계로 행해진다.
도 5 는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3)로서 중간 용량으로 계량 객체가 투하되는 중간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1,000g 칩이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계량 사이클에서 계량을 받게 되면, 유통로(3)는 일반적으로 제 2 단계에서 약 230g을 배출하도록 약 20도 기울어진다.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는 칩(2)이 230g을 가지게 되어 계량 구역(13)에 의한 감지가 전체 930g을 나타내면, 신호가 중앙연산처리장치(14)로 전송되어 모터(1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칩(2)의 배출이 정지되며 그리고 유통로(3)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기준 위치로 다시 복귀된다. 칩(2)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작업 전에 가졌던 량에 이를 때까지 유통로(3)에 공급된다. 다음, 작업은 소량으로 칩을 공급하는 제 3 단계로 행해진다.
도 6 은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3)로서 소 용량으로 계량 객체가 투하되는 약간 경사진 기울어진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1,000g 칩이 상술된 바와 같이 단일 계량 사이클에서 계량을 받게 되면, 유통로(3)는 일반적으로 제 3 단계에서 약 64g을 배출하도록 약 18도 기울어진다.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는 칩(2)이 64g을 가지게 되어 계량 구역(13)에 의한 감지로서 전체 994g을 나타내면, 신호가 중앙연산처리장치(14)로 전송되어 모터(1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칩(2)의 배출이 정지되며 그리고 유통로(3)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기준 위치로 다시 복귀된다. 칩(2)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작업 전에 가졌던 량에 이를 때까지 유통로(3)에 공급된다. 다음, 작업은 미소 용량으로 칩(2)을 공급하는 제 4 단계로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예비 결정된 량의 칩(2)이 낮은 각의 기울기로 예비 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와 같은 경우이면, 경사 각은 예비 결정된 용량으로 칩(2)이 투하되도록 자동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7 은 도 3 의 것과 동일한 유통로(3)로서 미소 용량으로 계량 객체가 투하되는 미소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배출구(9)는 유통로(3) 내에 칩(2)이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될 수 있도록 레벨 위치로부터 1도 내의 각으로 수직적으로 요동되게 제조된다. 계량 구역(13)이 투하된 칩의 전체 량이 1,000g 목표계량치에 이르렀음을 감지하면, 유통로(3)는 낙하동작이 멈추어지도록 약간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출구(9)를 가지고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만일, 칩(2)이 1도 각도 내에서의 배출구(9)의 요동으로 낙하되지 않으면, 경사 각이 1도에서 약 2도로 증가되어서 계량 용기(4) 내에 칩(2)이 목표계량치 용량을 얻게 된다. 칩(2)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대 용량, 중간 용량, 소 용량 및 미소 용량의 네 개 단계에서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는 것이지만, 칩 계량 사이클은 선택적으로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는 목표계량치 용량의 칩에 따라서 중간 용량 단계 또는 소 용량 단계를 생략하여 세 개 단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단계용의 유통로(3)의 경사 각은 계량 용기(4) 내로 투여되는 목표계량치 용량의 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립체를 계량하는 방법에서는, 유통로(3)가 대 용량, 중간 또는 소 용량 및 미소 용량 각각으로 배출구(9)를 통해 투하되도록 적어도 세 개의 서로 다른 공급 각인 대 각도, 중간 또는 작은 각도 그리고 미소 각도로 순차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경사 각은 배출 객체, 주변 분위기 및 습도 그리고 다른 요소의 상태인 유통로(3)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단계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분립체의 목표계량치 용량은 미소 용량으로 분립체를 공급하는 최종 단계의 끝에서 정확하게 계량되어 계량 용기(4)에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립체 계량방법으로, 계량에 요구되는 시간의 불안정성이 발생되지 않아서, 높은 계량 정확성을 유효하게 유지하는 계량 용기(4)로 분립체가 공급되는 것이다.
유통로(3)의 공급 각도는 배출구(9)가, 레벨 위치의 상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유통로(3)가 복귀된 후에 계량 용기(4) 내로 분립체가 낙하되는 시간 마다 선택된다. 이러한 설비로서, 진행 상태에 있는 배출 용량의 변경이 연속적인 단계로 배출되는 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분립체를 계량하는 작업이 더욱 유효하고 정확하게 수행된다.
최종 단계에서의 유통로(3)의 공급 각도는 레벨 위치로부터의 1도 와 2도 사이에 있고 그리고 유통로(3)의 단부에서의 배출구(9)는 분립체가 계량 용기(4) 내로 낙하되는 레벨 위치와 공급 각도와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설비로서, 분립체는 병렬로 배출되어 계량 정확도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

Claims (3)

  1. 저장 구역(1) 밑에 배치되고, 계량 구역(13)에 배치된 계량 용기(4) 내로 유통로(3)의 단부에 배출구(9)를 통해 분립체 투하가 이루어지도록 계량 구역(13)으로부터 보내지는 명령에 따라서 피봇부 둘레에 경사지게 채택되는 유통로(3)에 의해 분립체를 계량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통로(3)는 대 용량, 소 용량 및 미소 용량으로 각각 분립체가 투하되도록 3개의 다른 공급 각도인, 대 각도, 소 각도, 및 미소 각도로 순차적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계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통로(3)의 공급 각도는, 배출구가 수평상태에서 약간 상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있는 상태로 유통로(3)가 뒤로 이동한 후에 계량 용기(4) 내로 분립체가 투하되도록 매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계량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종 단계에서의 유통로(3)의 공급 각도는 레벨 위치로부터 1도 와 2도 사이에 있고 그리고 유통로(3)의 단부에서의 배출구(9)는 분립체가 계량 용기(4) 내로 투하되도록 공급 각도와 레벨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피봇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계량방법.
KR1019980044812A 1997-10-27 1998-10-26 분립체 계량방법 KR100284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27597A JP3528119B2 (ja) 1997-10-27 1997-10-27 粉粒体の計量方法
JP97-332275 1997-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75A KR19990037375A (ko) 1999-05-25
KR100284171B1 true KR100284171B1 (ko) 2001-03-02

Family

ID=1825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812A KR100284171B1 (ko) 1997-10-27 1998-10-26 분립체 계량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91028A (ko)
EP (1) EP0911617B1 (ko)
JP (1) JP3528119B2 (ko)
KR (1) KR100284171B1 (ko)
CN (1) CN1120353C (ko)
DE (1) DE69816223T2 (ko)
ES (1) ES2202713T3 (ko)
HK (1) HK1019481A1 (ko)
TW (1) TW360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013B1 (en) * 2000-03-08 2002-12-31 Al Pinhas Sosnik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target weight of product
ITVR20020101A1 (it) * 2002-10-16 2004-04-17 Moretto Plastics Automation S R L Metodo e dispositivo di dosaggio e/o additivazione ad
US6959664B1 (en) * 2003-04-21 2005-11-01 Karl Keuter Limited flow feeding tube
NZ550472A (en) * 2006-10-11 2009-03-31 Durapod Systems Ltd Dispensing apparatus
JP2013006669A (ja) * 2011-06-24 2013-01-10 Murata Machinery Ltd 給糸ボビン供給装置及び給糸ボビン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6178491B2 (ja) * 2013-03-15 2017-08-09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レーザ焼結システムのための改善された粉体の分配
CN109939753B (zh) * 2019-04-04 2021-01-26 河海大学 一种用于辅助称量粉末药品的仪器及使用方法
CN113819983B (zh) * 2021-10-21 2023-12-22 安徽天膜科技有限公司 一种水溶肥防结块剂用精度可调的添加装置
CN114632714B (zh) * 2022-05-17 2022-08-05 西南石油大学 一种效率高的智能立体交叉式快递物流分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41014B1 (ko) * 1969-04-30 1974-06-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NL166664C (nl) * 1970-09-14 1981-09-15 Koninklijke Hoogovens En Staal Inrichting voor het homogeniseren van stortgoed.
US3796349A (en) * 1972-05-18 1974-03-12 R Weber Weighing dispenser
CH563574A5 (ko) * 1972-11-13 1975-06-30 Electrotechnic & Chemical Engi
JPS5522178A (en) * 1978-08-07 1980-02-16 Ionii Kk Grain meter
DE3226654A1 (de) * 1982-07-16 1984-01-19 Focke & Co, 2810 Verd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ildung von tabak-portionen
DE3880376T2 (de) * 1987-06-08 1993-10-21 Ngk Insulators Ltd Apparat zum Wiegen von pulvrigem Material.
DE8801400U1 (ko) * 1988-02-04 1988-04-07 Multipond Waegetechnik Gmbh, 8264 Waldkraiburg, De
GB8822109D0 (en) * 1988-09-20 1988-10-19 Kendall T D Filling containers
ES2053179T3 (es) * 1989-03-17 1994-07-16 Buehler Ag Geb Bascula de to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6367A (zh) 1999-05-12
DE69816223D1 (de) 2003-08-14
HK1019481A1 (en) 2000-02-11
EP0911617B1 (en) 2003-07-09
TW360781B (en) 1999-06-11
JPH11132834A (ja) 1999-05-21
DE69816223T2 (de) 2004-05-27
JP3528119B2 (ja) 2004-05-17
KR19990037375A (ko) 1999-05-25
US6091028A (en) 2000-07-18
ES2202713T3 (es) 2004-04-01
EP0911617A1 (en) 1999-04-28
CN1120353C (zh)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974B1 (ko) 분말 분배 및 감지 장치와 방법
KR100284171B1 (ko) 분립체 계량방법
US4610322A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elongated articles
AU2012203065B2 (en) Powder dispensing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AU2014204437B2 (en) Powder dispensing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AU2013203030B2 (en) Powder dispensing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04083050A (ja) 重量式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