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04B1 -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04B1
KR100282804B1 KR1019980059841A KR19980059841A KR100282804B1 KR 100282804 B1 KR100282804 B1 KR 100282804B1 KR 1019980059841 A KR1019980059841 A KR 1019980059841A KR 19980059841 A KR19980059841 A KR 19980059841A KR 100282804 B1 KR100282804 B1 KR 10028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
riu
pst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459A (ko
Inventor
이성길
이동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5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8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RIU내 DM 포트와 PSTN용 모뎀의 데이터 포트를 연결한 후, PC 또는 터미널에서의 데이터 송신시에는 PC 또는 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번호인지 아니면 IWF 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이때 번호가 PSTN 번호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여 PC 또는 터미널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DM 포트를 거쳐 PSTN용 모뎀으로 출력함으로써 PSTN 서버로 출력하고, 번호가 IWF 번호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PC 또는 터미널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제어부 및 타임 스위치로 출력함으로써 IWF 서버로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PC 또는 터미널에서의 데이터 수신시에는 RIU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로 데이터의 경로정보를 확인하여 PSTN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여 RIU의 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PSTN용 모뎀으로 출력함으로써 PC 또는 터미널이 RIU의 DM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IWF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RIU의 타임 스위치 및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데이터 포트로 출력함으로써 PC 또는 터미널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 이하, 'WLL'이라 칭함)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Radio Interface Unit ; 이하, 'RIU'라 칭함)에 있어서, 데이터 포트(Data Port)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와 모뎀을 이용하는 라인 포트(Line Port)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줄 수 있도록 한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LL 시스템은 전화국에서 가입자 단말기까지 유선선로 대신에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링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종래의 유선망인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이라 칭함)에 비해 가입자당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여 단기간에 망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정보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이러한 WLL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RIU(10)와, 이 RIU(10)와 무선 링크를 구성하기 위한 기지국(Radio Port ; 이하, 'RP'라 칭함)(9)과, 이 RP(9)를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Radio Port Controller ; 이하, 'RPC'라 칭함)(8) 및 WLL 교환기(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WLL 시스템에서 RPC(8)는 WLL 교환기(6)를 통해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는 유선망의 가입자 단말 전화기(1)와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Internet server)(2)에 연결된 PSTN(4)과 연결되고, IWF(Inter Working Function)(7)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에 연결된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과 연결된다.
그리고, RIU(10)는 가입자 댁내의 전화기(11)와 연결되고, 직접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되거나 PSTN용 모뎀(12)을 통해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WLL 시스템에서 전화기(11)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전화기(1)를 사용하는 가입자와 전화 통화할 경우에는 RIU(10), RP(9), RPC(8), WLL 교환기(6), PSTN(4)의 경로를 통해 음성 서비스를 수행하고, 전화기(11)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와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에는 외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와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로 나누어지는데, 외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PC 또는 터미널(13), PSTN용 모뎀(12), RIU(10), RP(9), RPC(8), WLL 교환기(6), PSTN(4),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PC 또는 터미널(13), RIU(10), RP(9), RPC(8), WLL 교환기(6), PSTN(4),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화기(11)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와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에는 PC 또는 터미널(13), RIU(10), RP(9), RPC(8), IWF(7),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WLL 시스템에서는 음성 서비스 이외에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과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때 RIU(10)의 데이터 포트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는 최고 144Kbps의 속도를 제공하므로 기존의 PSTN(4)에서 제공하는 56Kbps, 33.6Kbps의 데이터 서비스에 비해 고속이기 때문에 서비스 경쟁력을 갖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WLL 시스템에서 외장형 모뎀으로 PSTN용 모뎀(12)을 사용하는 경우의 RIU(10)와 PSTN용 모뎀(12) 및 PC 또는 터미널(13)의 연결 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IU(10)는 RJ-11의 라인 포트를 통해 PC 또는 터미널(13)과 RS-232C 포트를 통해 연결된 PSTN용 모뎀(12)과 연결되거나, PSTN용 모뎀(12)을 거치지 않고 RS-232C 포트를 통해 직접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RIU(10)에는 설치나 유지보수시에만 망사업기술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정상동작시 사용하지 않는 RS-232C의 DM(Diagnostic Monitor) 포트가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WLL 시스템내 RIU(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Radio Frequency)부(21),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부(22-1,2), 타임 스위치(Time Switch)(23-1,2), 보코더(Vocoder)(24-1,2), 코덱(CODEC)부(25-1,2), 슬릭(SLIC)부(26-1,2), 라인 포트(27-1,2), 제어부(28), RS-232C 버퍼(29,30), 데이터 포트(31), DM 포트(32)로 구성되며, 하나의 라인 포트(27-1)에는 전화기(11)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 포트(27-2)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PSTN용 모뎀(12)이 연결되며, 이 PSTN용 모뎀(12)은 상기 데이터 포트(31)에 연결되는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WLL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에 연결된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와 같은 특정 서버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만 제공되는 경우가 많고, 종래의 PSTN(4)에 연결된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나 PC와의 1:1 통신이 불가능하여 PSTN용 모뎀(12)을 사용할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 속도가 종래의 PSTN(4)에서 제공하는 속도와 동일하므로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WLL 가입자가 PC 또는 터미널(13)로 데이터 통신을 원할 경우, 내장형 모뎀을 사용하는 PC에서는 통신하고자 하는 서버가 연결된 망이 WLL 교환기(6)와 접속된 PSTN(4)인지 아니면 IWF(7)를 경유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인지에 따라 라인 포트와 데이터 포트를 번갈아가면서 통신 포트를 선택해야 하거나, 외장형 모뎀을 사용하고 1개의 데이터 포트를 사용하는 PC에서는 하나의 RS-232C 케이블(Cable)을 PSTN용 모뎀(12)과 RIU(10)에 바꾸어 연결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통신 포트 또는 RS-232C 케이블을 그때 그때마다 번갈아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RIU(10)가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할 경우 내장형 모뎀을 사용하는 PC에서는 통신 포트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WLL 교환기(6)로부터의 데이터인지 아니면 IWF(7)로부터의 데이터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반면에, 외장형 모뎀을 사용하는 PC에서는 하나의 RS-232C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경로로부터의 데이터만을 수신하므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WLL 교환기(6)로부터의 데이터인지 아니면 IWF(7)로부터의 데이터인지를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장형 모뎀으로 사용하는 PSTN용 모뎀을 PC 또는 터미널과 직접 연결하지 않는 대신 PSTN용 모뎀을 사용하지 않는 RIU의 DM 포트와 연결하여 PC 또는 터미널과 연결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RIU의 DM 포트를 DCE(Data Circuit Equipment) 또는 DTE(Data Terminal Equipment) 모드로 전환하여 줌으로써 송신의 경우 WLL 가입자가 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고, 수신의 경우 수신 데이터를 구별하여 해당 경로에 자동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와 모뎀 및 PC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입자 정합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와 모뎀 및 PC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IU 12 : PSTN용 모뎀
13 : PC 또는 터미널 21 : RF부
22-1,2 : CDMA 모뎀부 23-1,2 : 타임 스위치
24-1,2 : 보코더 25-1,2 : 코덱부
26-1,2 : 슬릭부 27-1,2 : 라인 포트
28 : 제어부 29,30 : RS-232C 버퍼
31 : 데이터 포트 32 : DM 포트
33 :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 A∼G : 버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은, RIU내 DM 포트와 PSTN용 모뎀의 데이터 포트를 연결한 후, PC 또는 터미널에서의 데이터 송신시에는 PC 또는 터미널로부터 출력되는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번호인지 아니면 IWF 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이때 번호가 PSTN 번호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여 PC 또는 터미널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DM 포트를 거쳐 PSTN용 모뎀으로 출력함으로써 PSTN 서버로 출력하도록 하고, 번호가 IWF 번호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PC 또는 터미널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제어부 및 타임 스위치로 출력함으로써 IWF 서버로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PC 또는 터미널에서의 데이터 수신시에는 RIU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로 데이터의 경로정보를 확인하여 PSTN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여 RIU의 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PSTN용 모뎀으로 출력함으로써 PC 또는 터미널이 RIU의 DM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IWF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인 경우라면 제어부에서 RIU의 DM 포트를 DTE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RIU의 타임 스위치 및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RIU의 데이터 포트로 출력함으로써 PC 또는 터미널이 RIU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내 RIU(10)와 PSTN용 모뎀(12) 및 PC 또는 터미널(13)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PSTN용 모뎀(12)은 RJ-11 포트를 통해 RIU(10)와 연결되는 동시에 RS-232C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RIU(10)의 DM 포트와 연결되며, 이때 RIU(10)는 RS-232C 포트를 통해 직접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내 RIU(10)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RP(9)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IF신호로 변환하거나 가입자측으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는 RF부(21)와, 상기 RF부(21)에서 변환된 IF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CDMA 복조하거나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IF신호로 CDMA 변조하여 상기 RF부(21)로 출력하는 CDMA 모뎀부(22-1,2)와, 상기 CDMA 모뎀부(22-1,2)에서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타임 슬롯별로 스위칭하여 해당 경로로 출력하거나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타임 슬롯별로 스위칭하여 해당 경로의 상기 CDMA 모뎀부(22-1,2)로 출력하는 타임 스위치(23-1,2)와, 상기 타임 스위치(23-1,2)에서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16Kbps 데이터를 64Kbps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복조하거나 입력되는 64Kbps PCM 데이터를 16Kbps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23-1,2)로 출력하는 보코더(24-1,2)와, 상기 보코더(24-1,2)에서 복조된 64Kbps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64Kbps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24-1,2)로 출력하는 코덱부(25-1,2)와, 상기 코덱부(25-1,2)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하여 라인 포트(27-1,2)를 통해 가입자측의 전화기(11) 또는 PSTN용 모뎀(12)으로 출력하거나 가입자측의 전화기(11) 또는 PSTN용 모뎀(12)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라인 포트(27-1,2)를 통해 입력한 후 임피던스 정합하여 상기 코덱부(25-1,2)로 출력하는 슬릭부(26-1,2)로 구성된다.
그리고,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서비스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에 따라 DM 포트(32)의 DCE/DTE 모드전환을 제어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스위치(23-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경로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경로에 자동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와, IWF(7)를 경유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되는 데이터 포트(31)와, WLL 교환기(6)를 경유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PSTN용 모뎀(12)과 연결되는 DM 포트(32)와, 상기 제어부(28)의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 스위칭 동작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해당 경로에 맞게 송/수신하는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RIU(10)에서 하나의 라인 포트(27-1)에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전화기(11)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라인 포트(27-2)에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PSTN용 모뎀(12)이 연결되며, 이 PSTN용 모뎀(12)은 상기 DM 포트(32)에 연결된다.
도 6은 상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의 상세 구성도로서, 제어부(28)내 SIO(Serial Input Output)1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SIO1)를 데이터 포트(31)에 데이터(RXD_DATA)로 출력하는 버퍼(A)와, DM 포트(3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TXD_DM)를 제어부(28)내 SIO2의 DM 포트에 데이터(TXD_SIO2)로 출력하는 버퍼(C)와, 제어부(28)내 SIO2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SIO2)를 DM 포트(32)에 데이터(RXD_DM)로 출력하는 버퍼(G)와, 제어부(28)내 SIO2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SIO2)를 DM 포트(32)에 데이터(TXD_DM)로 출력하는 버퍼(D)와, DM 포트(32)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DM)를 제어부(28)내 SIO2 포트에 데이터(TXD_SIO2)로 출력하는 버퍼(F)와, 제어부(28)내 SIO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TXD_SIO1)를 DM 포트(32)에 데이터(TXD_DM)로 출력하는 버퍼(E)와, 상기 버퍼(F)를 통과하는 DM 포트(32)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DM)를 데이터 포트(31)에 데이터(RXD_DATA)로 출력하는 버퍼(B)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들(A∼G)은 스위칭 기능이 내장된 버퍼로서, 상기 제어부(28)의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WLL 시스템내 RIU(10)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방법을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RIU(10)내 DM 포트(32)와 PSTN용 모뎀(12)의 데이터 포트를 연결한다(S1).
상기 단계(S1)에서와 같이 RIU(10)내 DM 포트(32)와 PSTN용 모뎀(12)의 데이터 포트를 연결한 후, PC 또는 터미널(13)에서 데이터 통신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PC 또는 터미널(13)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라면(S2) RIU(10)내 제어부(28)에서는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을 RIU(10)내 데이터 포트(31) 및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를 통해 입력한다(S3).
이때, 제어부(28)의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만이 스위칭 온동작되고, 이 스위칭 온동작되는 버퍼(A),(C),(G)를 통해 제어부(28)와 PC 또는 터미널(13) 사이의 송신 데이터의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을 주고 받게 된다.
이후, 제어부(28)에서는 상기 단계(S3)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 입력된 송신 데이터의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PSTN 번호인지 아니면 IWF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IWF 번호인지를 판단한다(S4).
만약, 상기 단계(S4)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의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PSTN 번호라면, 제어부(28)에서는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D),(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PC 또는 터미널(13)과 PSTN용 모뎀(13)이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는 RIU(10)내 데이터 포트(31),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 DM 포트(32)를 차례로 통과하여 PSTN용 모뎀(12)으로 출력된다(S5).
그러면, PSTN용 모뎀(12)에 입력된 PC 또는 터미널(13)의 송신 데이터는 RIU(10)내 라인 포트(27-2), 슬릭부(26-2), 코덱부(25-2), 보코더(24-2), 타임 스위치(23-2), CDMA 모뎀부(22-2), RF부(21)를 통과하여 RP(9), RPC(8), WLL 교환기(6)를 거친 후, WLL 교환기(6)에 연결된 PSTN(4)에서 제공하는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로 출력된다(S6).
상기 단계(S4)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의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IWF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IWF 번호라면, 제어부(28)에서는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는 RIU(10)내 데이터 포트(31),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 제어부(28), 타임 스위치(23-2), CDMA 모뎀부(22-2), RF부(21)를 차례로 통과하여 RP(9)로 출력된다.
그러면, RP(9)에 입력된 PC 또는 터미널(13)의 송신 데이터는 RPC(8), IWF (7)를 거친 후, IWF(7)에 연결된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에서 제공하는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로 출력된다(S7).
한편, 상기 단계(S2)에서 PC 또는 터미널(13)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라면(S2) 제어부(28)에서는 RPC(8) 및 RP(9)를 거쳐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의 경로정보를 수신하고(S8), 이 수신된 경로정보로부터 수신 데이터가 PSTN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지 아니면 IWF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S9).
만약, 상기 단계(S9)에서 수신 데이터가 PSTN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라면, 이 PSTN(4), WLL 교환기(6), RPC(8), RP(9)를 거쳐 입력되는 데이터를 RIU(10)내 RF부(21), CDMA 모뎀부(22-2), 타임 스위치(23-2), 보코더(24-2), 코덱부(25-2), 슬릭부(26-2), 라인 포트(27-2)를 차례로 통과하여 PSTN용 모뎀(13)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8)에서는 수신 데이터가 PSTN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임을 확인하는 대로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D),(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PC 또는 터미널(13)과 PSTN용 모뎀(13)이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PSTN 모뎀(12)을 통해 출력되는 PSTN 서버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RIU(10)내 DM 포트(32),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 데이터 포트(31)를 차례로 통과하여 PC 또는 터미널(13)로 출력된다(S10).
그러면, PC 또는 터미널(13)에서는 PSTN과 연결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S9)에서 수신 데이터가 IWF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라면, 이 IWF(7), RPC(8), RP(9)를 거쳐 입력되는 데이터를 RIU(10)내 RF부(21), CDMA 모뎀부(22-2), 타임 스위치(23-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어부(28)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8)에서는 수신 데이터가 IWF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임을 확인하는 대로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를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28)를 통해 출력되는 IWF 서버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와 데이터 포트(31)를 거쳐 PC 또는 터미널(13)로 출력된다(S11).
그러면, PC 또는 터미널(13)에서는 IWF와 연결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RIU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통신 포트나 케이블을 번거롭게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데이터 수신시 데이터 경로를 정확히 판단하여 수신 데이터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WLL 교환기(6)에 연결된 PSTN(4) 또는 IWF(7)에 연결된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과의 연동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RF부(21)와, CDMA 모뎀부(22-1,2)와, 타임 스위치(23-1,2)와, 보코더 (24-1,2)와, 코덱부(25-1,2)와, 슬릭부(26-1,2)와, 라인 포트(27-1,2)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PC 또는 터미널(13)과 연결되는 데이터 포트(31)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PSTN용 모뎀(12)과 연결되는 DM 포트(32)와,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서비스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에 따라 상기 DM 포트(32)의 DCE/DTE 모드전환을 제어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임 스위치(23-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경로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경로에 자동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와, 상기 제어부(28)의 제어포트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해당 경로에 맞게 송/수신하는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는, 제어부(28)내 SIO1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SIO1)를 데이터 포트(31)에 데이터(RXD_DATA)로 출력하는 버퍼(A)와, DM 포트(3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TXD_DM)를 제어부(28)내 SIO2의 DM 포트에 데이터(TXD_SIO2)로 출력하는 버퍼(C)와, 제어부(28)내 SIO2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SIO2)를 DM 포트(32)에 데이터(RXD_DM)로 출력하는 버퍼(G)와, 제어부(28)내 SIO2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SIO2)를 DM 포트(32)에 데이터(TXD_DM)로 출력하는 버퍼(D)와, DM 포트(32)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DM)를 제어부(28)내 SIO2 포트에 데이터(TXD_SIO2)로 출력하는 버퍼(F)와, 제어부(28)내 SIO1 포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TXD_SIO1)를 DM 포트(32)에 데이터(TXD_DM)로 출력하는 버퍼(E)와, 상기 버퍼(F)를 통과하는 DM 포트(32)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RXD_DM)를 데이터 포트(31)에 데이터(RXD_DATA)로 출력하는 버퍼(B)로 구성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3. WLL 교환기(6)에 연결된 PSTN(4) 또는 IWF(7)에 연결된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과의 연동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WLL 시스템내 RIU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방법에 있어서,
    RIU(10)내 DM 포트(32)와 PSTN용 모뎀(12)의 데이터 포트를 연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PC 또는 터미널(13)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경로 선택을 위한 다이얼 명령을 데이터 포트(31) 및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를 통해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 입력된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PSTN 번호인지 아니면 IWF 서버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IWF 번호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의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PSTN 번호인 경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D),(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제어부(28)의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킨 다음,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RIU(10)내 데이터 포트(31),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 DM 포트(32), PSTN용 모뎀(12), RIU(10)내 라인 포트(27-2), 슬릭부(26-2), 코덱부(25-2), 보코더(24-2), 타임 스위치(23-2), CDMA 모뎀부(22-2), RF부(21), RP(9), RPC(8), WLL 교환기(6)를 차례로 통과하여 PSTN(4)에 연결된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로 출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PC 또는 터미널(13)로부터의 다이얼 명령에 따른 번호가 IWF 번호인 경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만을 스위칭 온동작시킨 후, PC 또는 터미널(1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RIU(10)내 데이터 포트(31),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 제어부(28), 타임 스위치(23-2), CDMA 모뎀부(22-2), RF부(21), RP(9), RPC(8), IWF(7)를 차례로 통과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에 연결된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로 출력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PC 또는 터미널(13)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RPC(8) 및 RP(9)를 거쳐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의 경로정보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경로정보로부터 수신 데이터가 PSTN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지 아니면 IWF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수신 데이터가 PSTN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D),(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켜 RIU(10)내 DM 포트(32)를 DCE 모드에서 DTE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수행 후, 제어부(28)의 제어신호에 따라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만을 스위칭 온동작시킨 다음, PSTN 데이터/인터넷 서버(2)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PSTN(4), WLL 교환기(6), RPC(8), RP(9), RIU(10)내 RF부(21), CDMA 모뎀부(22-2), 타임 스위치(23-2), 보코더(24-2), 코덱부(25-2), 슬릭부(26-2), 라인 포트(27-2), PSTN 모뎀(12), RIU(10)내 DM 포트(32),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B),(E),(F), 데이터 포트(31)를 차례로 통과하여 PC 또는 터미널(13)로 출력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7단계에서 수신 데이터가 IWF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만을 스위칭 온동작시킨 후, 고속망 전용 데이터/인터넷 서버(3)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고속 데이터 서비스망/인터넷망(5), IWF(7), RPC(8), RP(9), RIU(10)내 RF부(21), CDMA 모뎀부(22-2), 타임 스위치(23-2), 제어부(28), RS-232C 버퍼 및 스위칭부(33)내 3개의 버퍼(A),(C),(G), 데이터 포트(31)를 차례로 통과하여 PC 또는 터미널(13)로 출력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방법.
KR1019980059841A 1998-12-29 1998-12-29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KR10028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41A KR100282804B1 (ko) 1998-12-29 1998-12-29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41A KR100282804B1 (ko) 1998-12-29 1998-12-29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59A KR20000043459A (ko) 2000-07-15
KR100282804B1 true KR100282804B1 (ko) 2001-03-02

Family

ID=1956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841A KR100282804B1 (ko) 1998-12-29 1998-12-29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21B1 (ko) 2016-02-01 2017-02-09 양무일 자동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59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3062A (en) Digital modem
US5884103A (en) Data terminal with adapter for selectively modifying data transmitted to and from
US5483531A (en) Digital mobile radio network station with speech signal exchange means and data signal exchange means
JPH09512978A (ja) アナログモデムとして、デジタルモデムとして、およ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として選択的に動作するデータ通信装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533826B2 (ja) 電話切替システム用加入者ル―プ試験装置
KR19980703147A (ko) 음성 및 데이터 통신
US5757792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communication mode transition
US4691342A (en) Multi-speed, full duplex modem
US5333182A (en) Arbitrary selecting of a terminal to be called in key telephone systems
KR10028280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EP0814623A2 (en) Mobile decision methodology for accessing multiple wireless data networks
US657431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V.24 data transmission system operating between a data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data telecommunication
KR20000043476A (ko) 모뎀 기능을 내장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가입자 장치
CA2226431C (en) Call set-up for f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82339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v.24 data transmission system operating between a data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data telecommunication
KR100682050B1 (ko) 다중채널 데이터송수신 모뎀
CN101594442B (zh) 一种视频协商的方法和系统
KR100258466B1 (ko) Adsl전송시스템의 보드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0167156B1 (ko) 근거리와 원거리 동시수용 통신방법 및 장치
JP3809928B2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JP3057870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950003663B1 (ko) 모뎀의 원격진단 방법
KR200187756Y1 (ko) 다 채널 루프방식의 주파수 가변형 데이터 통신 시스템
JP3542036B2 (ja) S/t点及びu点折り返し試験装置
JP2972650B2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