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732B1 -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732B1
KR100282732B1 KR1019980023853A KR19980023853A KR100282732B1 KR 100282732 B1 KR100282732 B1 KR 100282732B1 KR 1019980023853 A KR1019980023853 A KR 1019980023853A KR 19980023853 A KR19980023853 A KR 19980023853A KR 100282732 B1 KR100282732 B1 KR 10028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carrier frequency
receive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886A (ko
Inventor
한상훈
오성근
신영건
Original Assignee
신영건
주홍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건, 주홍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건
Priority to KR101998002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7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27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271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carrier recovery circuit uses only the de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동기 방식 수신단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정확한 샘플링 점을 찾아 주기 위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추출이 동시에 수행되는 동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된 신호를 심볼 주기의 두배, 2T 만큼 지연시킨 신호의 복소공액을 수신된 신호와 곱 연산하여 산출되는 결과의 평균을 구하여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고, 수신된 신호를 심볼 주기 T 만큼 지연시킨 신호의 복소공액을 수신된 신호와 곱 연산을 하여 심볼 전송률의 반에 해당하는 DFT 성분을 추출하여 심볼 타이밍을 추출함으로서, 종래의 주파수 변별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미분을 실행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이 증가되는 현상과 DFT를 취해야하는 복잡성을 개선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에 신뢰성을 제공하고 계산량을 줄인다.

Description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동기 방식 수신단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정확한 샘플링 점을 찾아주기 위한 심볼 타이밍(symbol timing)과 반송파 주파수 추출이 동시에 수행되는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뎀에서 심볼 타이밍 에러 복원과 반송파 복원을 위한 디지탈 기저대역 복조기의 구성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상(in-phase)성분과 이에 대한 직교(quadrature) 성분으로 복조되어 인가되는 복합 기저대역 신호를 미분하여 원래 신호의 위상을 추출하기 위한 주파수 변별기(1)와, 주파수 변별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대역의 신호만으로 추출하여 노이즈 성분의 제거와 신호의 정형을 실행하는 저역통과필터(2)와, 상기 저역통과필터(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서 동기 비트를 추출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빠른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하는 연산기(3)와, 상기 연산기(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값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전압제어 발진기(5)및, 저역통과필터(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상기 FFT 연산된 신호의 DC항으로 추출된 잔류편차(△f) 값을 감안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 복원을 실행하는 판단기(6)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모뎀에서 심볼 타이밍 에러의 복원과 반송파 에러의 복원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된 신호 r(t)는 채널과 검출전 필터링에 의해서 왜곡이 없다고 가정하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n(t)는 한쪽에만 존재하는 스펙트럼 밀도 N0를 갖는 부가적인 대역백색 잡음, Eb 는 비트 에너지, Tb 는 비트 주기, ψo 는 임의의 위상, ψs(t) 는 전송되는 캐리어의 주파수 변조된 위상이다.
또한, εTs 는 채널 필터링에 의해 생겨난 시간지연이며 신호가 샘플링 되어지는 최적의 시간이라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손실이 없다는 가정하에 εTs 의 범위는 로 제한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수학식 1과 같은 수신 신호에서 잡음을 무시한 경우 복합 기저대역 신호는 위상 성분(X)과 직교 변조성분(Y)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하기의 수학식 2와 수학식 3과 같다.
상기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f 는 주파수 잔류편차로서 f= fc- fc 이고, θ 는 각각 중심 주파수 fc 를 갖는 수신기의 전압제어발진기에 의해서 생성된 주파수 잔류편차와 위상 잔류편차이다.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와 같은 위상 성분 x(t) 와 직교 변조성분 y(t) 가 주파수 변별기(1)측에 인가되면 상기 주파수 변별기(1)의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연산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 φ(t) 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된다.
= 2 π ▵f+ φs(t - εTs)
상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주파수 변별기(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저역통과필터(2)를 통해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성분과 노이즈가 제거된 다음 판단기(6)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복원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저역통과필터(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동기 비트 검출수단의 연산기(2)에 의해 FFT 연산되어 수신되는 주파수 설정을 위한 값이 추출된 다음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전압제어발진기(5)의 발진 전압을 고정시켜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주파수로 수신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심볼 타이밍 에러와 주파수 잔류 편차를 동시에 추정하기 위하여 연산기(3)는 수신되는 주파수를 FFT연산한 다음 FFT 변환된 신호의 DC 항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주파수 잔류 편차 ▵f 를 구하고 비트 전송률 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FFT 변환한 것의 위상각으로 부터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심볼 타이밍 에러( ε )를 구한다.
상기와 같이 동기 방식 수신단에서 변별기를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만약 잡음의 성분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변별기는 미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도 같이 증폭되어지므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추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수신 품질을 저하시키고 DFT 연산과정이 필요하여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기 방식 수신단에서 높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이 증폭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지연시킨 신호의 곱을 이용하는 차등 검출방식을 통해 심볼 타이밍 복원과 반송파 복원으로 수신 데이터의 검출에 신뢰성을 제공하며 DFT를 취해야 하는 복잡성을 개선하여 계산량을 줄인다.
도 1은 종래 변별기를 이용하는 모뎀에서 심볼 타이밍 에러 복원과 반송파 복원을 위한 디지탈 기저대역 복조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를 동시에 추출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차등 검출기를 적용한 모뎀에서 출력되는 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저대역 데이터 신호 복원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를 심볼주기 T 만큼 지연시킨 신호의 복소공액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곱 연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심볼주기 2T 만큼 지연시킨 신호의 복소공액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곱 연산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추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기방식의 데이터 복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모뎀을 이용하여 기저대역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는데 있어, 데이터의 수신이 검출되면 각각의 지연수단을 통해 심볼 주기 T 와 심볼 주기의 두배 2T 만큼 지연시키고, 각각의 지연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복소공액을 취한 다음 수신된 신호와 곱 연산하며, 심볼 주기의 두배 2T 만큼 지연을 통해 연산된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 주기 T 만큼 지연을 통해 연산된 신호로부터 상기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DC 항을 제거하고 비트 전송률 반에 해당하는 DFT를 성분만을 추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는 제 1지연회로부(11)와, 제 1연산기(12), 제 2연산기(13), 제 2지연회로부(21), 제 3연산기(22), 제 4연산기(23), 반송파 추출부(24), 보상 회로부(31),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기(33) 및 판단기(34)로 이루어지는데, 제 1지연회로부(11)는 수신되는 신호 r (t) 를 심볼주기 T 만큼 지연한 다음 지연된 신호 r(t - T) 를 출력한다.
제 1연산기(12)는 제 1지연회로부(11)를 통해 지연되어 인가되는 신호 r(t - T) 에 복수공액을 취한 다음 그 신호 r*(t - T) 를 출력한다.
제 2연산기(13)는 심볼주기 T 만큼 지연된 다음 상기 복수 공액이 취해진 수신 데이터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 r (t) 를 곱 연산하여 신호 s (t) 를 출력한다.
제 2지연회로부(21)는 수신되는 데이터 r (t) 를 심볼주기의 2배, 즉 2T 만큼 지연한 다음 지연된 신호 r (t - 2T) 를 출력한다.
제 3연산기(22)는 제 2지연회로부(21)를 통해 지연되어 인가되는 신호 r(t - 2T) 에 복수공액을 취한 다음 그 신호 r*(t - 2T) 를 출력한다.
제 4연산기(23)는 심볼주기 2T 만큼 지연된 다음 복수 공액이 취해진 수신 데이터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 r (t) 를 곱 연산하여 c (t) 를 출력한다.
반송파 추출부(24)는 제 4연산기(23)에 의해 연산되어 인가되는 신호 c (t) 로 부터 반송파 주파수 fc 를 추출한다.
보상 회로부(31)는 상기 반송파 추출부(24)에서 추출되어 인가되는 반송파 주파수 fc 를 이용하여 상기 제 2연산기(13)에서 인가되는 신호 s (t) 의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DC 성분을 보상한다.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는 DC항의 제거로 위상 성분을 보상하고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이산 퓨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 DFT) 성분만을 추출한다.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기(33)는 차등 검출수단으로 상기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DFT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심볼 타이밍 에러를 추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판단기(34)는 상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심볼 타이밍 에러와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원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심볼 타이밍 에러 복원과 반송파 복원을 실행하는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무선 통신 설로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 r (t) 가 수신되면(스텝110) 제 1지연회로부(11)는 수신되는 데이터 r (t) 를 심볼주기 T 만큼 지연한 다음(스텝120) 지연된 신호 r(t - T) 를 제 1연산기(12)측에 인가한다.
제 1연산기(12)는 인가되는 지연된 신호 r(t - T) 에 복수공액을 취하여 r*(t - T) 신호를 형성한 다음(스텝121) 곱셈기인 제 2연산기(13)측에 인가하면, 제 2연산기(13)는 상기 복수 공액이 취해져 인가되는 r*(t - T)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 r (t) 를 곱 연산하여 연산된 결과 s (t) 를 보상회로부(31)측에 인가한다(스텝122).
또한, 데이터 신호 r (t) 가 수신되면 제 2지연회로부(21)는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r (t) 를 심볼주기의 2배, 즉 2T 만큼 지연한 다음 지연된 신호 r (t - 2T) 를 제 3연산기(22)측에 인가한다(스텝130).
제 3연산기(22)는 지연되어 인가되는 신호 r(t - 2T) 에 복수공액을 취하여 r*(t - 2T) 신호로 형성한 다음 곱셈기인 제 4연산기(23)측에 인가한다(스텝131).
제 4연산기(23)는 복수 공액이 취해져 인가되는 r*(t - 2T)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 r (t) 를 곱 연산하여 연산된 결과 c (t) 를 반송파 추출부(24)측에 인가한다(스텝132).
반송파 추출부(24)는 제 4연산기(23)에 의해 연산되어 인가되는 신호 c (t) 를 하기의 수학식 7으로 연산하여 반송파 주파수 fc 를 추출한 다음 제 2연산기(13)의 연산 결과 s (t) 가 인가되는 보상 회로부(31)측에 인가한다(스텝133).
보상 회로부(31)는 상기 반송파 추출부(24)에서 추출되어 인가되는 반송파 주파수 fc 를 이용하여 제 2연산기(13)에서 인가되는 신호 s (t) 와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연산하여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DC항을 제거시켜 위상 성분만을 보상함으로서 반송파 주파수의 복원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134).
s (t) ⋅ e-j 2 π fcT
상기 스텝134의 연산을 통해 반송파 주파수의 복원이 완료되면 보상 회로부(31)는 복원된 반송파 주파수를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측에 인가하며,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는 인가되는 복원된 반송파 주파수를 이산 퓨리에 변환(DFT)을 이용하여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DFT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신호를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기(33)측에 인가한다(스텝140).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기(33)는 인되는 주파수로부터 심볼 타이밍의 에러를 하기의 수학식 9와 같이 추출하며(스텝150), 심볼 타이밍 에러의 추출이 완료되는 경우 추출된 신호를 판단기(34)측에 인가한다(스텝160).
이때, 판단기(34)는 상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심볼 타이밍 에러와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복원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출력한다(스텝170).
일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신호 r (t) 를 하기의 수학식 10과 같다고 가정한다.
r (t) = ej ( 2 π fct + ψ ( t - εTs) + θ )
여기서, fc 는 반송파 주파수이고, ψ (t) 는 주기가 2T인 위상 신호이며, θ 는 초기 위상이다.
또한, εTs 는 채널 필터링에 의해 생겨난 시간 지연 즉, 타이밍 에러로 신호가 샘플링 되어지는 최적의 시간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손실이 없다는 가정하에 시간지연 εTs 의 범위는 로 제한 되어진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 fc 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신되는 신호 r (t) 를 제2 지연회로부(21)를 이용하여 신호의 심볼주기의 2배 만큼 즉, 2T 지연시켜 r ( t - 2T) 로 형성한 다음 이 신호를 제 3연산기(22)를 통해 복소공액을 취하여 r*(t - 2T) 신호로 형성하고, 이를 수신되는 신호 r (t) 와 곱셈기인 제4 연산기(23)를 통해 곱 연산한 다음 연산된 하기의 수학식 11을 반송파 추출부(24)측에 인가한다.
여기서, e= cosθ + jsinθ 이므로, 이다.
따라서, θ = 2 π fc2T 이므로 반송파 추출부(24)는 상기의 식으로부터 반송파 주파수 fc 를 하기의 수학식 12와 같이 추출한다.
상기의 수학식 12에서 분자 값은 tan-1 테이블을 이용하면 정확한 반송파 주파수 fc 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r (t) 는 제 1지연회로부(11)를 통해 신호의 심볼주기(T) 만큼 지연되어 r (t - T) 로 형성된 다음 제 1연산기(12)에 인가되면 인가되는 r (t - T) 신호는 복소공액이 취해져 r*(t - T) 신호로 형성되며, 이 신호는 곱셈기인 제 2연산기(13)측에 인가된다.
제 2연산기(13)는 복소공액이 취해진 r*(t - T)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신호 r (t) 를 하기의 수학식 13과 같이 연산하여 그 결과 s (t) 를 보상 회로부(31)측에 인가한다.
이때, 보상 회로부(31)는 인가되는 s (t) 에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 fc 를 이용하여 s (t)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DC 항을 제거하여 위상 성분이 보상된다.
상기와 같이 위상 성분이 보상된 신호를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측에 인가하면 DFT 협대역 주파수 추출기(32)는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산 퓨리에 변환(DFT)을 이용하여 심볼주기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추출한 다음 차등 검출기인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기(33)를 통해 위상각으로부터 심볼 타이밍 에러 εTs 를 추출하고 다음 수신 데이터를 복구한 후 출력한다.
일예를 들어 전제된 연습값이 일예를 들어 10101010 … 이라면 차등 검출기인 타이밍 에러 추출기(33)에서 출력되는 위상 신호 ψ (t) 는 주기가 2Tb 인 주기함수 일 것이고, 그 파형은 도 4같이 나타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파형은 2 π fcT 의 DC 값과 2 Tb 인 주기를 갖는 주기함수 파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14와 같이 된다.
여기서, gT(t) 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이 원점에 있고, 주기 T = 2 Tb 인 파형이다.
상기 수학식 14에서 2 π fcT 는 반송파 복원에서 반송파 주파수 fc 를 반송파 복원을 통하여 정확히 찾아 주었기 때문에 신호 s (t) 에서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L 개의 주기만을 고려한다면 차등 검출기인 타이밍 에러 판단 회로부(14)의 출력 위상 신호 ψ (t) 는 하기의 수학식 15으로 다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수학식 15에서 위상 신호 ψ (t) Ts 초마다 샘플링한 신호 ψ [n] 으로 표시하고, 샘플링한 신호 ψ [n] N 점에서 이산 퓨리에 변환한 신호를 Ψ [k] 라고 하게 되면, gT[n] 가 우함수이고 DC가 0인 실수함수라는 가정하에서 상기 이산 퓨리에 변환한 신호를 Ψ [k] 를 이용하면 이산 퓨리에 변환된 신호의 위상각으로부터 타이밍 에러 εTs 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샘플링 할 수 있는 지점을 하기의 수학식 16를 통해 찾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수학식 16은 송신한 신호가 r (t) 라고 가정하면 r (t) 가 일정시간 t0 만큼 지연되었을 경우 지연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 17와 같이 된다.
r (t -t0) = R ( f ) e-j 2 π f t0
여기서, r (t) 가 우함수이고, DC가 0인 실수함수이라면 우함수의 스펙트럼은 실수가 되기 때문에 단순히 시간의 지연에 관계된 주파수 텀(term)은 e-j 2 π f to 가 된다.
따라서, gT[n] 가 우함수이고, DC가 0인 실수함수이기 때문에 시간 지연이 εTs 라고 하면 시간지연에 관련된 주파수 텀은 e-j 2 π f εTs 가 된다.
또한, - j 2 π f εTs 는 하기의 수학식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Φ [K] L 번째 변수와 같다.
- j 2 π f εTs= Φ [L]
여기서, 이므로, f 를 상기의 수학식 16에 대입하면 하기의 수학식 19과 같이 된다.
따라서, 상기의 수학식 19를 εTs 에 대하여 정리하면 타이밍 에러를 상기의 수학식 16과 같이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되는 신호와 수신되는 신호의 설정된 심볼주기 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곱 연산하는 차등 검출기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주파수 변별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미분을 실행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이 증가되는 현상이 배제되어 수신되는 데이터에 신뢰성을 제공하고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DFT 과정 대신 심볼 전송률의 반에 해당되는 DFT 성분만을 계산해 주기 때문에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 신호 복원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심볼주기 T 만큼 지연시키는 제 1지연수단과;
    상기 지연된 신호에 복수공액을 취하는 제 1연산수단과;
    상기 복수 공액이 취해진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를 곱 연산하는 제 2연산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심볼주기의 2배(2T) 만큼 지연하는 제 2지연수단과;
    상기 2배(2T) 지연시킨 신호에 복수공액을 취하는 제 3연산수단과;
    상기 복수 공액이 취해진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데이터를 곱 연산하는 제 4연산수단과;
    상기 제 4연산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는 반송파 추출수단과;
    상기 제 2연산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성분을 보상하는 보상수단과;
    상기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성분의 제거로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이산 퓨리에 변환(DFT) 성분만을 추출하는 협대역 주파수 추출수단과;
    상기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으로 추출되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심볼 타이밍 에러를 추출하는 심볼 타이밍 에러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되어 인가되는 심볼 타이밍 에러와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보상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추출수단은 위상 신호의 주기적인 특성과 차등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등 검출에 의한 주기적인 신호의 위상 지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심볼 주파수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의 위상 값을 비교함으로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차등 검출에 의한 주기적인 신호의 위상 지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등 검출수단은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심볼주기 만큼 지연시킨 신호의 복소공액 신호와 수신된 원래의 신호를 곱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주파수 추출수단은 심볼 주파수의 반에 해당하는 DFT 성분만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7. 데이터 복원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지연수단을 통해 심볼주기 T 및 2T 만큼 지연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연된 각각의 신호에 복소공액을 취한 다음 수신된 원래의 신호와 각각 곱 연산하는 과정과;
    상기 복소공액이 취해진 다음 원래의 수신 신호와 곱 연산된 심볼주기 2T 만큼 지연된 신호의 평균을 구하여 반송파 주파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소공액이 취해진 다음 원래의 수신 신호와 곱 연산된 신호에 상기 추출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위상 DC 성분 보상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 보상된 신호를 심볼 전송율의 반에 해당하는 이산 퓨리에 변환(DFT) 성분만을 추출하여 심볼 타이밍 에러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심볼 타이밍 에러를 감안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는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방법.
KR1019980023853A 1998-06-24 1998-06-24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28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53A KR100282732B1 (ko) 1998-06-24 1998-06-24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53A KR100282732B1 (ko) 1998-06-24 1998-06-24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86A KR20000002886A (ko) 2000-01-15
KR100282732B1 true KR100282732B1 (ko) 2001-02-15

Family

ID=1954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853A KR100282732B1 (ko) 1998-06-24 1998-06-24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7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8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3080B1 (ja) チャープ信号による受信同期装置
CN107579756B (zh) 低复杂性、低功率且长距的无线电接收机
US5602835A (en) OFDM synchronization demodulation circuit
CA2103299C (en) Frequency offset estimation using the phase rotation of channel estimates
US5282228A (en) Timing and automatic frequency control of digital receiver using the cyclic properties of a non-linear operation
US5787123A (en) Receiver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US8976914B2 (en) Multi-tap IQ imbalance estimation and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KR20040031522A (ko) I 채널 및 q 채널 간 이득 및 위상 불일치를 보상하는직교 복조 장치
JPH09270827A (ja) デジタル直交変調信号のパラメータ測定装置
KR100256470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ofdm) 복조 장치
JPH07202750A (ja)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方法及び受信機
US62630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odulation accuracy
JPS6052147A (ja) タイミング同期方式
JP3041171B2 (ja) Ofdm受信同期回路
JPS644707B2 (ko)
US7075997B1 (en) OFDM frame synchronization
JP406498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の搬送波周波数のオフセット検出装置及びその周波数オフセット検出方法
KR100282732B1 (ko) 지연 결합을 이용한 심볼 타이밍과 반송파 주파수 동시 추출장치 및 그 방법
US6470056B1 (en) Offset QPSK modulation analytic system
KR100613602B1 (ko) Vsb 수신기에 적용되는 심벌 타이밍 복원 장치 및 그방법
JP6296453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US6859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signal
KR100764356B1 (ko) Oqpsk 복조기의 타이밍 추정기
JPH04346532A (ja) 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14912A (ko) 결정-지향 반송파 복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