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70B1 -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70B1
KR100282570B1 KR1019980055690A KR19980055690A KR100282570B1 KR 100282570 B1 KR100282570 B1 KR 100282570B1 KR 1019980055690 A KR1019980055690 A KR 1019980055690A KR 19980055690 A KR19980055690 A KR 19980055690A KR 100282570 B1 KR100282570 B1 KR 10028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essage
management
cli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138A (ko
Inventor
황희산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5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역 운영자 시스템이나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연결 초기화 단계와, 상기 초기화시 할당 받은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 명령을 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한 교환기가 수신한 관리 명령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함께 해당 클라이언트 및 TMN 관리 대행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TMN 관리 대행자가 그 결과 메시지에 실린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자신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비교하여 수신한 결과 메시지에 실린 클라이언트와 자신의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한 결과 메시지를 TMN 관리 명령 결과를 처리하는 루틴으로 전달하고, 다르면 지역 운영자 관리 행위 결과 처리 루틴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본 발명은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게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MN 시스템은 교환망을 관리하기 위해 관리하고자 하는 통신망 내의 임의의 교환기들과 원거리 온라인 통신을 통해 관리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교환기는 교환기의 하드웨어 교체,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그레이드, 시험 등의 직접적인 유지/보수 기능들을 지역 운영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운영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각 전화국에 설치된 교환기들은 어떠한 종류의 관리이냐에 따라 TMN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고 아니면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역 운영자에 의해 직접 관리되어질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상기 교환기에 대해 지역 운영자가 지역 운영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임의의 관리 행위를 명령하고 그 명령을 교환기가 실행하였다면 TMN 관리 대행자도 이 관리 행위에 대한 결과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TMN 시스템에 반영함으로써 관리 대행자가 유지하고 있는 관리 객체의 수많은 교환기 데이터 값들과 실제 교환기의 데이터 값들을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TMN 관리 대행자가 관리하는 관리 객체에 저장되는 교환기의 운용상태, 하드웨어 상태, 유지 보수 상태 등의 모든 관리 정보를 지역 운영자 관리 시스템에 의해 변환된 교환기의 실제 상태와 동일하게 일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교환기 정보들의 교환을 위해 TMN 관리 명령과 지역 운영자 명령을 구분할 수 있는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 또는 지역 운영자 시스템과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들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이 TMN 명령의 일방적인 처리를 위해서만 구현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리 대행자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교환기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연결시킨 후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시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부여 받고, 이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 관리 정보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진 관리 행위의 결과임을 식별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 또는 지역 운영자 시스템과 교환기간에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먼저, 지역 운영자 시스템이나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연결 초기화 단계와, 상기 초기화시 할당 받은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 명령을 교환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한 교환기가 수신한 관리 명령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함께 해당 클라이언트 및 TMN 관리 대행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TMN 관리 대행자가 그 결과 메시지에 실린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자신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비교하여 수신한 결과 메시지에 실린 클라이언트와 자신의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한 결과 메시지를 TMN 관리를 위한 명령을 처리하는 루틴으로 전달하고, 다르면 지역 운영자 관리 행위 결과 처리 루틴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MN 시스템과 교환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TMN 관리 대행자 혹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와 교환기간 클라이언트/서버 연결 개념도,
도 3은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 절차도,
도 4는 관리 메시지 식별을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 초기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 혹은 교환기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간의 관리 메시지 전달 포맷 구성도,
도 6은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 혹은 교환기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간의 통신 초기화 절차도,
도 7은 TMN 관리 대행자가 교환기로 관리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이 수행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관리 행위 결과 및 교환기 발생 메시지 전달을 위한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MN 단말기 20 : 망관리자
30 : 데이터 통신망 40 : 관리 대행자
50 : 교환기 60 : 지역운영자 인터페이스
100 : 서버 200 : 클라이언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시스템과 교환기의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TMN 시스템은 망 운영자가 망의 상태를 감시, 제어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한 그래픽 또는 문자 형태의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TMN 운용자 단말기(10)와, 실제 망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20)와, 데이터 통신망(30)에 의해 상기 관리자(20)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리 대행자(agent)(40)로 구성되는데, 상기 관리자(20)는 운용자에 의한 관리 명령들을 공통 정보 관리 프로토콜(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30)을 거쳐 물리적 혹은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관리 대행자들(40)에게로 전달함으로써, 그 관리 대행자들(40)에 의해 해당 교환기(50)에 대한 명령어를 수행시키며, 그 수행 결과나 교환기(50)의 상태들을 수집, 평가하여 유용한 망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관리 대행자(40)는 관리 대상이 되는 교환기를 객체 지향 모델에 의해 모델링된 관리객체(Managed Object)를 사용하여 교환기와 동일한 형상,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관리자(20)가 그 정보들에 대한 요구를 하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관리 객체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교환기(50)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관리자(20)에게 전달한다.
또한, 교환기(50)는 지역 운영자들에 의해 운용, 관리될 수 있도록 지역 운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 운영자와의 인터페이스(60)를 제공하며, 지역 운영자는 상기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에 관리 행위를 요구하거나 보고 메시지를 확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TMN 관리 대행자 혹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와 교환기간 클라이언트/서버 연결 개념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교환기와 관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200)/서버(100) 구조로 연결되어 하나의 서버(100)에 다수의 클라이언트(200)가 연결되며, 여기서 교환기는 서버(100)의 역할을 수행하며, TMN 관리 대행자 또는 지역 운영자 시스템과 같은 관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200)로서 동작한다.
이 때, 다수의 클라이언트(200) 중 단 한 개 클라이언트만이 TMN 관리 대행자가 되며, 나머지 클라이언트는 지역 운영자 시스템이 된다. 또한, 서버의 성능 문제를 고려하여 서버(100)로 연결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200) 수를 10개로 제한하였다.
도 3은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 절차도로서, 교환기와 관리 시스템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사용하여 어떠한 통신 절차를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데, 통신 초기화 단계의 경우 클라이언트(200)가 서버(100)로 접속을 요청(s301)하면, 접속 요청을 받은 서버(100)는 그 접속 요구에 응답(s302)을 하며, 관리 정보 통신 단계의 경우 클라이언트(200)가 관리 명령 수행을 서버(100)에게 요청(s301)하면, 서버(100)는 그 요청 명령의 수행 결과를 클라이언트(200)로 응답(s302)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관리 메시지 식별을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 초기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초기화를 위한 메시지(400)는 초기 접속을 요청할 서버(100)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서버 IP 어드레스(401)와, 상기 서버 IP 어드레스(401)로 지정된 시스템내에서 특정하게 사용할 통신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서버 포트 번호(402)와, 클라이언트(200)가 서버(100)로 초기 접속 요청시 할당받고자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초기 접속 응답시 서버(100)가 클라이언트(200)로 실제 할당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번호(403)와, 상기 초기 접속 요청시 클라이언트(200)가 동작중인 시스템의 IP 주소를 수록하여 전송하면 서버(100)가 응답시 그 수록된 IP 주소로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404)와, 클라이언트(200)가 서버(100)로 초기 접속 요청시 로그인 인증 절차에 필요한 로그인 이름과 암호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름(405) 및 사용자 암호(406)로 구성된다.
한편, 도 5는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 혹은 교환기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간의 관리 메시지 전달 포맷 구성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정보 통신 단계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200) 서버(100)간 메시지는 각종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500)와 실제 전송되어야 할 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부(600)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부(500)에는 통신 초기화 단계에서 할당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식별자(501)와, 상기 데이터부(600)의 정보가 명령어 요청에 대한 결과에 해당하는 것인지, 경보 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인지 아니면 상태 변경 보고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502)과, 관리 명령어 마다 유일하게 할당되어 있는 번호로서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명령어 번호(503)와, 상기 데이터부(600)에 수록된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메시지 길이(504)와, 상기 메시지 길이(504)가 하나의 데이터부(600)에 의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메시지 길이보다 커서 두개 이상의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수 도 있으므로, 이 때 메시지가 연속되는지 하나로 끝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연속 메시지 식별자(50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메시지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관리 명령을 전달할 때 클라이언트 식별자(501)와, 명령어 번호(503)와, 메시지 길이(504)를 수록하여 전달하며, 서버가 그에 대한 응답을 하는 명령 결과 전달 단계에서 나머지 영역을 모두 수록하여 전달한다.
도 6은 교환기와 관리 대행자 혹은 교환기와 지역 운영자 인터페이스간의 통신 초기화 절차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 초기화 단계는 먼저, 클라이언트인 TMN 관리 대행자 또는 지역 운영자 시스템이 서버인 교환기에게 접속을 요청(s601)하면, 상기 서버는 현재 자신에게 접속한 클라이언트 수가 제한된 접속 수(10개) 미만인지를 확인(s602)하여, 만약 이미 10개의 접속이 존재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거절하고, 클라이언트는 접속 요청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확인(s602)결과 10개 미만의 접속이 존재하면,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로그인을 요청(s603)하고,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 초기화 메시지(400)에서 전달된 로그인 이름(405)과 암호(406)를 확인(s604)하여 로그인이 틀리면 접속 요청을 종료하고, 맞으면 서버는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할당(s605)하여 접속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에 실어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면 클라이언트는 이후 관리 명령의 전달시 사용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저장(s606)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항상 양의 정수 값으로 할당한다.
도 7은 TMN 관리 대행자가 교환기로 관리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즉, TMN 관리 대행자나 지역 운영자 시스템이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관리 명령어를 서버인 교환기로 송신(s701)하면, 그 메시지를 수신(s702)한 서버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의 파라메터 및 문법 검사를 수행(s703)하여, 관리 명령어에 대한 문법이 부적합하면 상기 서버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해당되는 클라이언트로 명령어 오류 발생 및 원인을 송신(s709)하고, 해당 클라이언트는 이를 수신(s710)하여 자신이 보낸 명령어에 대한 오류 메시지인지를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이용해 확인한 후 명령어 오류 결과를 관리자에게 보고(s711)하고 수행을 끝마친다.
한편, 상기 문법 검사(s703) 결과가 적합하면 서버는 이 관리 명령 처리를 위한 자식 프로세스 하나를 생성(s704)하고,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상기 자식 프로세스의 식별자를 저장(s705)한다.
한편, 상기 생성된 자식 프로세스는 관리 명령을 부모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아 관리 명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저장(s705)한 후, 실제 명령을 처리할 교환기 프로세스에게 전달(s706)한다. 그러면, 해당 교환기 프로세스는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s707)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s708)한다.
도 8은 본 발명이 수행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관리 행위 결과 및 교환기 발생 메시지 전달을 위한 처리 흐름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해당 명령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서버 즉, 교환기는 그 처리 결과나 교환기 자체에서 발생한 경보 또는 상태 보고와 관련된 교환기 출력 메시지를 발생(s801)시킨다.
이 때, 상기 발생한 메시지가 관리 명령에 대한 결과 메시지이면(s802) 관리 명령에 대한 결과를 해당 자식 프로세스로 전달(s803)한다. 그러면, 상기 자식 프로세스는 출력 메시지를 조립 후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확인(s804)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와 TMN 관리 대행자로 결과 메시지를 송신(s805) 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TMN 관리 대행자의 것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확인(s806)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이 메시지는 다른 지역 운영자 시스템에 의해 요구된 명령의 수행 결과로 판단하여 지역 운영자 관리 명령 결과 처리 루틴을 실행(s807)하며, 식별자가 일치하면 일반적인 TMN 관리 명령어 결과 처리 루틴을 실행(s808)한다.
한편, 상기 서버에서 발생한 관리 메시지가 관리 명령 수행 결과가 아닌 경보나 상태 보고 메시지이면(s802), 경보나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자식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전달(s809)하는데, 상기 자식 프로세스는 서버 메시지를 현재 접속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송신(s810)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 식별자에는 '1'값을 저장하여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들 중 TMN 관리 대행자는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1임을 확인하고(s811), 보고 메시지 처리 루틴을 실행(s812)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TMN이 관리하는 관리 객체의 교환기 정보와 실제 교환기 정보간의 일치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둘째, TMN의 적용이 문제시되는 TMN이 고려되지 않고 만들어진 기존의 교환기에 TMN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환기가 사용하던 관리 시스템의 관리 행위를 TMN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은 유용하게 적용된다.
셋째, 통신에서 사용이 일반화된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방식을 이용하므로 타 TMN 시스템과 교환기에 적용이 용이하다.

Claims (4)

  1.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가 교환기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 별로 식별자를 부여한 후 통신 초기화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통신 초기 화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교환기와 통신 연결을 초기화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가 상기 할당 받은 식별자를 포함하여 관리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교환기가 수신한 관리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관리 명령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에 해당되는 식별자와 함께 해당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로 전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교환기로부터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지역 운영자 시스템 또는 TMN 관리 대행자가 그 결과 메시지에 실린 식별자와 자신의 식별자를 비교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의 비교 결과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결과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가 자신의 식별자와 동일하면 수신한 결과 메시지를 TMN 관리 명령 처리 루틴으로 전달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서로 다르면 수신한 결과 메시지를 지역 운영자 관리 행위 결과 처리 루틴으로 전달하는 제 5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TMN 관리 대행자와 교환기를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로 구성한 후,
    TMN 관리 대행자는 클라이언트로 간주하고,
    교환기는 서버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통신 초기화 메시지는
    초기 접속을 요청할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서버 IP 어드레스와,
    상기 서버 IP 어드레스로 지정된 시스템내에서 특정하게 사용할 통신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서버 포트 번호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초기 접속 요청시 할당받고자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초기 접속 응답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실제 할당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번호와,
    상기 초기 접속 요청시 클라이언트가 동작중인 시스템의 IP 주소를 수록하여 전송하면 서버가 응답시 그 수록된 IP 주소로 응답하도록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초기 접속 요청시 로그인 인증 절차에 필요한 로그인 이름과 암호를 나타내는 사용자 이름 및 사용자 암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생성되는 관리 명령 메시지는
    각종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와,
    실제 전송되어야 할 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부로 구성되며,
    상기 헤더부는
    통신 초기화 단계에서 할당된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부의 정보가 명령어 요청에 대한 결과에 해당하는 것인지, 경보 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인지 아니면 상태 변경 보고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과,
    관리 명령어 마다 유일하게 할당되어 있는 번호로서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명령어 번호와,
    상기 데이터부에 수록된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메시지 길이와,
    상기 메시지 길이가 하나의 데이터부에 의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메시지 길이보다 커서 두개 이상의 메시지가 연속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수 도 있으므로, 이 때 메시지가 연속되는지 하나로 끝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연속 메시지 식별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TMN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980055690A 1998-12-17 1998-12-17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KR100282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90A KR100282570B1 (ko) 1998-12-17 1998-12-17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90A KR100282570B1 (ko) 1998-12-17 1998-12-17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38A KR20000040138A (ko) 2000-07-05
KR100282570B1 true KR100282570B1 (ko) 2001-02-15

Family

ID=1956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690A KR100282570B1 (ko) 1998-12-17 1998-12-17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22B1 (ko) * 2001-07-05 2007-11-23 엘지노텔 주식회사 네트워크 관리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3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01676A (es) Sistema, metodo y producto de programa de computadora para la administracion centralizada de una red de area de sistema distribuido infiniband.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EP11229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transaction across a multi-hop network
CN101548263B (zh) 模拟用户和/或拥有者的不透明管理数据选项的方法和系统
CN111224828A (zh) 一种智能cpe设备的网络管理方法
CN111147285B (zh) 一种云安全产品统一管理方法
CN100375969C (zh) 集群管理系统、方法和装置
KR100282570B1 (ko) 지역 운영자에 의한 교환기 관리 행위의 결과를 티엠엔 관리 대행자에 반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KR20070037148A (ko) 네트워크 장치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6499B1 (ko) 티엠엔 관리 대행자와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1345850A (ja) コールエージェント用呼制御データの集中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EP1081900A2 (en) System for tracking the history of channel based network devices
KR100453823B1 (ko)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KR100415719B1 (ko) Tmn 에이전트 또는 snmp 에이전트 겸용 교환기간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3856B1 (ko) 장애 관리용 통신 프로토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장애 관리 방법
KR20000039704A (ko) 비동기전송모드에서 통신 관리망 에이전트와 공통 객체 요구 중계 구조 관리부간의 통지 변환 방법
KR100281662B1 (ko) 전기통신관리망 망관리요소계층에서의 가입자 주소 헤더정보 관리방법
KR100358154B1 (ko) 개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동적 서비스 조합 구성방법
JPH0779245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に於けるマネージャ包含木構築方式
KR100608615B1 (ko) 게이트웨이의 환경 설정방법
KR19990056206A (ko) 비동기전송모드교환기의 로컬관리를 이용한 통신관리망의 에이치엠아이의 운영결과 반영방법
KR100221513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 통신망 관리를 이용한 구성관리 방법
JP2002198968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279947B1 (ko) 전자교환기의터미널포트사용방법
KR100535310B1 (ko) 망관리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