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823B1 -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823B1
KR100453823B1 KR10-2002-0077582A KR20020077582A KR100453823B1 KR 100453823 B1 KR100453823 B1 KR 100453823B1 KR 20020077582 A KR20020077582 A KR 20020077582A KR 100453823 B1 KR100453823 B1 KR 10045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aintenance
operation management
maintenance inform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730A (ko
Inventor
심재찬
유윤식
강석민
허재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8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은,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는 단계,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관리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운용관리 및 유지 보수함에 있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형화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구조 및 처리방법을 정의하여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러한 운용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장치관리 시스템에서 표준화된 기술을 따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이나 개발 단계 및 개발 후 운용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Method for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multiple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망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에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은 통신망 환경의 관리를 점차 복잡하고 난해하게 만들고 있으며, 더욱이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더넷 PON(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 광통신망) 액세스 망의 관리는 망 운용자들에게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통신망 환경의 운용 상태를 쉽게 보여주고 문제 발생시 문제의 분석을 통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요구사항이 되어 왔으며,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통신관리망)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TMN은 통신망과 서비스에 대한 관리 기능 및 통신망과 서비스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표준화된 망관리 구조로, TMN의 기본 개념은 다양한 종류의 관리 시스템들과 통신 장비 사이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관리 정보의 교환을 위하여 구조화된 표준 아키텍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TMN 기반의 망관리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용화된 제품을 이용해야 함으로써 경제적인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즉, 통신망 관리를 위해서 기존에는 표준화된 TMN 기술을 망관리 분야에 적용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이는 상용화된 TMN 개발 툴을 추가적으로 요구하며, 개발 비용과 유지 측면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고, 장치 관리 시스템인 경우엔 굳이 표준화된 관리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운용관리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장비도 초기 설치 및 운용 중 유지함에 있어 적지 않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통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므로, 고도의 통신 접속 기술들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서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대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와 가입자들에 대한 관리가 복잡해지고 일관성 있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정보의 유지도 어렵게 되고 있다. 또한 이더넷 PON으로 구성되는 가입자망이 여러 개가 존재할 경우 이들 각각에 대한 운용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면 이 또한 망의 운용에 많은 어려움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인 난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망을 운용하는 운용자가 망의 운용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또한 망 운용자에게 복잡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 이들에게는 개발단계뿐 아니라 추후 운용단계에서도 부담을 지우게 된다. 게다가 통신망 운용을 위한 경제적인 추가비용은 이더넷 PON 시스템에 있어 적지 않은 비용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준화된 TMN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편리하게 여러 개의 모국 장치와 자국 장치들로 구성된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이 적용되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이 적용되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요소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은,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관리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은,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요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전달할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식별자; 관리의 대상이 되는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 액세스 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고 있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의 요구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요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능, 및 이러한 요구가 관리 요구, 응답, 일방적 통보, 또는 실행 결과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 전체의 총 길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가 여러 패킷에 분산되어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기능의 수행 요구인 경우에는 해당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부가적인 운용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처리부;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에서 전달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기능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기능처리부에서 처리된 기능의 결과를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메시지분배부; 및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거나,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에서 전달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상기 기능처리부에 전달하는 시스템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이 적용되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된 TMN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여러 개의 모국장치와 자국장치들로 구성된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편리하게 운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정보 패킷구조와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과감하게 지양하고, 기존의 통신 방식인 UDP/IP 및 TCP/IP 기술을 활용하며, 그와 함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고받던 망 및 장치 운용관리 정보를 그대로 수용한 새로운 운용관리정보 패킷의 구조 및 이의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서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하나의 운용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쉽게 관리가 가능하고, 망의 상태와 운용자가 관리하는 운용정보 사이에 항상 일관성을 제공함으로써 운용자는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운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더넷 PON 액세스 망(100)은 하나의 모국장치(Optical Line Terminator, OLT, 101)와 여러 개의 자국장치(103 또는 104)들로 구성된다. 자국 장치에는 ONU(Optical Network Unit)라 불리는 타입 1(103)과 ONT(Optical Line Terminator)라 불리는 타입 2(104)가 있다. 이 때 모국 장치(101)와 자국 장치(103 또는 104)들간에는 1Gbps/10Gbps급으로 접속되며, 물리적으로 광선로를 통해서 광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자국장치 타입 1(103)은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 광분배망)의 PON 스플리터(102)를 통해 최대 64개로 똑 같은 광신호가 분기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자국장치 타입 2(104)도 ODN의 PON 스플리터(102)를 통해 최대 64개로 똑 같은 광신호가 분기되어 접속된다. 이들 자국장치 타입 1(103)과 자국장치 타입 2는 같은 PON 스플리터(102)를 통해서 모국장치(101)에 연결될 수 있다. 모국 장치(101)는 오디오/비디오 망(105), IP망(106), ATM 망(107), TDM/PSTN망(108)들과 연결된다(110). 모든 자국 장치(103 또는 104)는 ADSL/VDSL 모뎀이나 10Mbps/100Mbps/1Gbps 이더넷, 또는 일반 전화 연결(114)을 통하여 가입자(104)와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이 적용되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요소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요소 관리 시스템(EMS)은 EMS 매니저(201)와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 구성된다.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은 EMS 에이전트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EMS 매니저 시스템은 여러 개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과 연결되어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100)을 관리하게 된다.
EMS 매니저(201)는 EMS 서버(203)와 EMS 클라이언트(204)로 구성된다. EMS 클라이언트(204)와 EMS 서버(205)는 TCP/IP 통신(206)을 이용하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전달한다. EMS 매니저(201)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의 대상이 되는 모국장치(101)나 자국장치(103, 104)들과는 별도의 장비에 탑재된다. 이때 EMS 서버(205)와 클라이언트(204)는 같은 장비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장비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주로 EMS 클라이언트(204)는 인터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EMS 서버(205)에 접속하게 된다.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은 망 관리 시스템 관점에서 보면 EMS 매니저(201)에 대응되는 EMS 에이전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구성하는 모국장치(101)와 자국장치들(103, 104)에 대한 구성관리, 장애관리, 성능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자국장치(103, 104)들에 대한 관리 정보는 자국장치에 탑재되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3)과 TCP/IP 통신(208)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리고 이러한 관리기능을 통해 수집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는 TCP/IP 통신(207)을 이용하여 EMS 매니저(201)에게전달된다.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은 모국장치(101)의 메인 프로세서 보드에 탑재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하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은 하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100)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블록인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EMS 매니저(201)는 여러 개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100)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더넷 PON EMS 매니저(201)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EMS 서버 블록(203)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인 EMS 서버 블록은 웹서버관리부(301), 메시지분배부(302), 기능처리부(310), 및 시스템접속부(306)를 포함한다.
웹서버관리부(301)는 EMS 클라이언트(204)와 연결되며, EMS 클라이언트(204)를 통해 접속한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자의 인증을 담당한다.
메시지분배부(302)는 웹서버 관리부(301)를 통해 전달된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를 분석하여 기능처리부(310) 내의 해당 관리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능처리부(310)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실제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구성관리부(303), 장애관리부(304), 성능관리부(305), 및 데이터베이스관리부(30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 관리부(303)는 관리 시스템의 형상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장애 관리부(304)는 관리 시스템의 장애 및 시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성능 관리부(305)는 관리 시스템의 성능 및 통계 관리 기능을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관리부(307)는 구성관리부(303), 장애관리부(304), 및 성능관리부(305)에서 처리된 운용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시스템접속부(306)는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서 보드에 실장된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과의 통신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각 기능 관리부는 시스템접속부(306)를 통해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에 요구하거나, 반대로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부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운용관리 유지보수 정보에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형상, 장애, 성능 관리 정보들이 포함된다.
구성 관리부(303), 장애 관리부(304), 성능 관리부(305)에서 처리된 운용관리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7)를 통해 저장, 관리된다. 또한 해당 관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는 IPC 메시지분배부(302)를 통해서 EMS 클라이언트(204)에 전달되며, EMS 클라이언트(204)는 이 정보를 운용자 화면에 표시하여 운용자가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의 구성도이다.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은, EMS 클라이언트(204)와 EMS 서버(205) 사이,EMS 서버(205)와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 사이, 그리고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과 자국장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3) 사이에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여러 기능 블록간에 운용 정보를 교환하며, 또한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도 가능하게 된다. EMS 클라이언트(204)와 EMS 서버(205)사이에는 TCP/IP 통신을 통해 서로 운용관리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에서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형식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CID(EMS Client Identifier, 404)는 EMS 클라이언트(204)의 식별자이다. 즉, EMS 클라이언트(204)를 통해 요구받은 기능의 수행 결과는 반드시 해당 기능을 요구한 EMS 클라이언트(2040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꼭 필요한 식별자이다.
EID(Ethernet PON Access Network Identifier, 405)는 관리의 대상이 되는 이더넷 PON 액세스 망(100)의 식별자이다. 하나의 EMS 매니저(201)가 다수의 EMS 에이전트, 즉 다수의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들과 연결되어 여러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관리하기 때문에, EMS 매니저(201)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가 어느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의 정보인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SNI(Source Node Identifier, 406)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블록이 동작하고 있는 장치의 식별자이고, SBI(Source Block Identifier, 407)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블록의 식별자이다.
DNI(Destination Node Identifier, 408)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의 요구를 받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는 장치의 식별자이며, DBI(Destination Block Identifier, 409)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요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블록의 식별자이다.
PID(Function Primitive Identifier, 410)는 요구 기능이 무엇인지의 식별자(414)와 함께 이 메시지의 정보가 요구(Request)인지(418), 응답(Response)인지(417), 일방적인 통보(Notification)인지(416), 그리고 실행결과(Result)가 어떤지(415)를 구별하는 식별자이다.
LEN(Message Length, 411)은 전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패킷의 총 길이를 나타낸다.
MOR(Message Continuous Flag, 412)은 응답 메시지인 경우에 하나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에 모든 정보를 다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정보를 나누어서 여러 패킷에 실어 보낼 경우에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413)는, 기능의 수행요구인 경우엔 해당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부가적인 운용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기능의 실행결과나 일방적인 보고인 경우에는 생성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갖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EMS 서버(205)가 동작을 시작하여 대기 상태(501)에서 도 4에 도시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IPC(Inter Process Protocol) 메시지 형태로전달받으면(502), 메시지의 헤더를 분석하게 된다(503). 헤더의 정보 중 SNI(406)를 이용하여, IPC 메시지가 EMS 클라이언트(204)로부터 왔는지,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부터 왔는지를 판단한다(504).
EMS 클라이언트(204)로부터 메시지가 왔다면 이는 관리 요구이며, 따라서 A1으로 분기하고,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부터 메시지가 왔다면 관리 요구에 대한 응답이거나 아니면 일방적인 보고이므로 A2로 분기한다.
도 5b는 EMS 클라이언트(204)로부터 요구 IPC 메시지가 온 경우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관리 요구를 처리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EMS 서버(205)는 DNI(408)와 DBI(409)를 분석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요구인지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 즉 EMS 에이전트로 전달할 요구인지를 판단한다(505). 내부에서 처리할 요구이면, 다시 헤더의 PID(410)를 확인하여 구성관리부(303), 장애관리부(304), 성능관리부(305) 중 어느 기능 관리부에서 처리할 요구인지를 판단하여(507) 기능을 각 해당 관리부로 분기시킨다. 각 관리부에서는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508, 509, 및 51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검색한다(511). 그리고 요구에 해당하는 응답 IPC 메시지를 생성하여(512), 이 기능을 요구한 EMS 클라이언트(204)에게 전달한다(513). 응답 IPC 메시지를 전달받을 EMS 클라이언트는 요구 IPC 메시지의 헤더에서 CID(404)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 전달해야 할 경우에는 요구IPC 메시지 헤더의 EID(405)를 확인하여(514) 해당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515).
이더넷 PON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블록(202)으로부터 IPC 메시지가 오면 이는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거나 아니면 망 운용 중에 발생하는 보고 메시지이다. 도 5c는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 헤더의 PID(410)에 포함된 기능 식별자(414)와 하위 네 비트의 정보(415, 416, 417, 및 418)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 관리부로 분기시킨다(521). 각 관리부에서는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522, 523, 및 524), 데이터베이스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정보를 변경한다(525). 그리고 응답 메시지인 경우에는 헤더에서 CID(404)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응답 IPC 메시지를 생성하고(527), 이를 해당 EMS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527).
만약에 관리하는 장치에 구성정보의 변경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라면 이를 요구한 EMS 클라이언트에게는 응답 메시지가 전달되지만, 그 외의 EMS 클라이언트들에겐 보고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한다.
만일 보고 메시지인 경우에는 현재 EMS 서버와 연결된 모든 EMS 클라이언트에게 보고 메시지가 전달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를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에 적용하면, 표준으로 정의한 관리 정보들을 굳이 CMIP(Common Management Interface Protocol)이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같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신 방식을 통해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을 하게 되므로 망을 구성하고 있는 통신 장치들의 상황을 편리하게 감시, 관리할 수 있고, 실제 이더넷 PON 액세스 망과 이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운용 상태와 운용자가 관리하는 운용 정보를 항상 일치시키기 때문에 신뢰성이 보장된 이더넷 PON 액세스 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으며, 하나의 EMS 매니저를 이용하여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이더넷 PON 액세스 망을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함에 있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형화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구조 및 처리방법을 정의하여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러한 운용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장치관리 시스템에서 표준화된 기술을 따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이나 개발 단계 및 개발 후 운용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개발환경에 종속됨이 없이 개발자들에게 친숙한 개발환경을 구성하여 개발 업무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10)

  1. (a)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관리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은,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요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전달할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식별자;
    관리의 대상이 되는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 액세스 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고 있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의 요구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요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능, 및 이러한 요구가 관리 요구, 응답, 일방적 통보, 또는 실행 결과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 전체의 총 길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가 여러 패킷에 분산되어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기능의 수행 요구인 경우에는 해당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부가적인 운용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관리 요구를 전달받아 처리할 부분이 어디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처리할 부분이 요소 관리 시스템 서버 내부인 경우, 상기 관리 요구를 해당하는 관리 부분에서 처리하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처리할 부분이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인 경우, 해당하는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로 상기 관리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b21) 상기 관리 메시지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 요구에서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22) 상기 요구하는 기능을 해당 관리부에서 수행하는 단계;
    (b23)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b24)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가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요구하는 기능을 해당 관리부에서 수행하는 단계;
    (c3)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c4) 상기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에서 상기 수행 결과를 전달할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c5)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6.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패킷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처리부;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에서 전달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기능처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기능처리부에서 처리된 기능의 결과를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메시지분배부; 및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거나,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에서 전달된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상기 기능처리부에 전달하는 시스템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처리부는,
    관리 시스템의 형상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관리부;
    관리 시스템의 장애 및 시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장애관리부;
    관리 시스템의 성능 및 통계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성능관리부; 및
    상기 구성관리부, 장애관리부, 및 성능관리부에서 처리된 운용관리 정보를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한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 액세스 망 운용자를 인증하는 웹서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은,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요구에 대한 수행 결과를 전달할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식별자;
    관리의 대상이 되는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 액세스 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고 있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의 요구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 동작하는 장치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요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 블록의 식별자;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능, 및 이러한 요구가 관리 요구, 응답, 일방적 통보, 또는 실행 결과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 전체의 총 길이;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가 여러 패킷에 분산되어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기능의 수행 요구인 경우에는 해당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부가적인 운용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장치.
  10. (a)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관리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이 요소 관리 시스템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된 것인 경우, 상기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정보 패킷에 포함된 응답 또는 보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2-0077582A 2002-12-07 2002-12-07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KR10045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82A KR100453823B1 (ko) 2002-12-07 2002-12-07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82A KR100453823B1 (ko) 2002-12-07 2002-12-07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730A KR20040049730A (ko) 2004-06-12
KR100453823B1 true KR100453823B1 (ko) 2004-10-20

Family

ID=3734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582A KR100453823B1 (ko) 2002-12-07 2002-12-07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28B1 (ko) 2020-01-21 2021-03-05 이현우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ip 영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9862C (zh) * 2004-12-06 200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元管理系统之间传递网管配置信息的方法
CN100407645C (zh) * 2005-08-19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以太网接口的联动倒换方法
KR100695272B1 (ko) * 2006-01-10 2007-03-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식물 세포융합장치
CN101083589B (zh) 2007-07-13 2010-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源光网络中的终端检测认证方法、装置及操作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88A (ko) * 2000-12-20 2002-06-26 오길록 Atm-pon olt 시스템에서 감시 제어처리 장치 및방법
KR20020051614A (ko) * 2000-12-23 2002-06-29 오길록 Atm-pon 액세스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KR20030046655A (ko) * 2001-12-0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정보를관리하는 장치관리시스템
KR100404051B1 (ko) * 2001-12-27 2003-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에 의한 웹기반 에이티엠-폰시스템 운용관리방법
KR20040046567A (ko) * 2002-11-27 200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기반의 수동 광통신망에서의 통신 노드 시스템,제어 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88A (ko) * 2000-12-20 2002-06-26 오길록 Atm-pon olt 시스템에서 감시 제어처리 장치 및방법
KR20020051614A (ko) * 2000-12-23 2002-06-29 오길록 Atm-pon 액세스망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KR20030046655A (ko) * 2001-12-0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정보를관리하는 장치관리시스템
KR100404051B1 (ko) * 2001-12-27 2003-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에 의한 웹기반 에이티엠-폰시스템 운용관리방법
KR20040046567A (ko) * 2002-11-27 200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기반의 수동 광통신망에서의 통신 노드 시스템,제어 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28B1 (ko) 2020-01-21 2021-03-05 이현우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ip 영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730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326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optical network termination configuration
US6330601B1 (en)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level communication network
US6260062B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800496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cal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TWI399056B (zh) 光纖網路系統及其管理方法
CA2385939C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broadband network providing multiple services
WO2006007789A1 (fr) Procede pour mettre en oeuvre une gestion de terminaux dans un dispositif reseau
US10091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thernet premise devices
KR100453823B1 (ko) 다수의 이더넷 수동 광통신망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CN100375969C (zh) 集群管理系统、方法和装置
CN101232404B (zh) 一种epon接入系统的远程网络管理方法
JP5142233B2 (ja) イーサネット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二重oss管理
KR20030021862A (ko) 이엠에스 서버와 에이전트 간의 장애 처리 방법
KR100495330B1 (ko)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1192B1 (ko) 비동기전송모드-수동형광가입자망 운용관리 정보를관리하는 장치관리시스템
KR100289576B1 (ko) 프로토콜에 독립적인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 관리 시스템
KR100386948B1 (ko) 아이티엠에이의 망 트래픽관리 및 인터페이스장치
KR20120032127A (ko) 사설 ip망을 가지는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0404051B1 (ko) 티씨피/아이피 프로토콜에 의한 웹기반 에이티엠-폰시스템 운용관리방법
JP4074990B2 (ja) 統計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統計情報処理制御方法
KR100679146B1 (ko) 디지털 홈 서비스 분배관리 시스템에서의 운용관리 장치및 방법
KR100772173B1 (ko) 이더넷 폰의 광 링크 터미널(epon-olt) 시스템 및그 시스템의 관리 방법
KR100850406B1 (ko) 분산 사설교환기 시스템의 디버깅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19616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교환장비 연동 장치 및 방법
KR20030026743A (ko) 정적 테이블 객체의 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