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56B1 - 로드리스 실린더 - Google Patents

로드리스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56B1
KR100282156B1 KR1019980063448A KR19980063448A KR100282156B1 KR 100282156 B1 KR100282156 B1 KR 100282156B1 KR 1019980063448 A KR1019980063448 A KR 1019980063448A KR 19980063448 A KR19980063448 A KR 19980063448A KR 100282156 B1 KR100282156 B1 KR 10028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ston
pulley
ai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715A (ko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최승환
주식회사 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환, 주식회사 프로텍 filed Critical 최승환
Priority to KR101998006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56B1/ko

Links

Landscapes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의 인출작동에 의한 상호 대향 설치된 작동피스톤이 전, 후진 반복작동하고 이들과 케이블로 연결된 서브피스톤의 연계왕복작동으로서 일체형으로 조립된 슬라이드테이블의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하는 케이블형과 밴드형 로드리스 실린더의 복합구조형을 제공하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케이블(와이어)의 변형을 자동으로 흡수 조정하여 장치작동의 오동작을 극소화하고, 또한 별도의 가이드기구의 부착사용이 필요치 않아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케이블의 텐션조정 및 사용 중에 간편하게 점검하여 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고, 적용범위에 따라 사용장비 장착이 외부에서 간편하게 제공되어 사용의 다양성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된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풀리(120)를 회전가능케 장착한 양방의 풀리하우징(100,100)과, 각각의 실린더실(201,202)에 서브피스톤(230)과 내부에 체크밸브(240)를 구비한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이 간격플런저(250)에 의하여 대향의 연결상태로 이동가능케 끼움 설치되되,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 각각은 상기 서브피스톤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풀리를 경유하는 2개의 케이블(260,260)의 각단과 연결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변형텐션흡수공간(A.P)을 갖고 이격 설치되고 상기 양방의 풀리하우징과 조립되는 실린더블록(200)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슬라이드홈(204)에 끼움 설치되는 이동슬라이더(270)와 상기 서브피스톤(230)에 조립되는 고정슬라이더(280)에 조립되는 슬라이드테이블(300)과, 상기 풀리하우징의 상단에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의 양단을 완충하면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블록(400)으로 이루어지는 로드리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
본 발명은 각종산업용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의 인출작동에 의한 상호 대향 설치된 작동피스톤이 전, 후진 반복작동하고 이들과 케이블로 연결된 서브피스톤의 연계왕복작동으로서 일체형으로 조립된 슬라이드테이블의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하는 케이블형과 밴드형 로드리스 실린더의 복합구조형을 제공하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케이블(와이어)의 변형을 자동으로 흡수 조정하여 장치작동의 오동작을 극소화하고, 또한 별도의 가이드기구의 부착사용이 필요치 않아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케이블의 텐션조정 및 사용 중에 간편하게 점검하여 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고, 적용범위에 따라 사용장비 장착이 외부에서 간편하게 제공되어 사용의 다양성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된 로드리스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의 트랜스퍼(Transfer) 이송공급장치 및 조립/반송라인 분야, 산업용 직교좌표형 로봇, 운반기계 및 리프트장치, CNC공작기계의 자동도어 및 이송장치, 산업용 자동도어분야, 포장, 용접, 도장기계의 직선운동장치 등의 각종산업용 기계장치에는 로드리스 실린더가 사용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로드리스 실린더는 그 운용방법에 따라서 마그네틱 타입(Magnetic Type), 밴드시일 타입(Band Seal Type), 케이블 타입(Cable Type), 메카니컬 타입(Mechanical Type) 등이 있다.
마그네틱형 로드리스 실린더는 실린더 튜브내의 내륜마그네틱과 외륜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한 구동형으로 엔드부위의 충격량에 대한 탈탁현상 발생 및 외부의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손실로 인한 오동작 발생이 높은 단점과, 피스톤로드의 외부노출로 분진 및 이물질에 대한 대책미흡으로 실린더 튜브의 습동부 손상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으로 수명이 짧은 단점과, 별도의 외부가이드기구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밴드형 로드리스 실린더는 실린더튜브내의 피스톤과 외부슬라이더와 일체화한 구조, 즉 실린더튜브 배럴면의 일부가 슬라이더의 운동부위(주행부위)만큼 개방홈을 2개의 상, 하 장착 및 탈착 조립시일(우레탄소재 또는 스테인리스)로써 밀폐 처리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의 반복적인 운동에 따른 직선시일의 변형이완으로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고 허용모우멘트에 따른 별도의 가이드기구를 부착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케이블형 로드리스 실린더는 피스톤로드 대신에 케이블(와이어)을 사용한 것으로써, 사용할 때에 별도의 가이드기구가 필요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케이블의 변형, 이완현상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며, 케이블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완방지기구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외형사이즈의 대형화로 적용공간의 효율이 떨어지고 적용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메카니컬형 로드리스 실린더는 기구적으로 실린더위 수압면적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한 후, 다시 회전운동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복잡한 구조형태로 이송매체인 이중체인(Chain), 스프로켓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발생으로 정밀성이 제공되지 못하고, 복잡한 구조에 따른 제작코스트가 높고, 대형화로 인한 공간효율성 및 적용범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의 인출작동에 의한 상호 대향 설치된 작동피스톤이 전, 후진 반복작동하고 이들과 케이블(와이어)로 연결된 서브피스톤의 연계왕복작동에 의한 상기 서브피스톤에 결합된 가이드기구(슬라이드테이블)의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하도록 하여 종래의 케이블형과 밴드형 로드리스 실린더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한 로드리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케이블형 로드리스 실린더의 단점인 케이블(와이어)의 변형량을 작동피스톤 사이에 형성된 변형텐션흡수공간에 의하여 흡수하고 각 피스톤에 내장된 체크밸브(check valve)의 연계작동에 의하여 실린더실의 평형화로서 장치작동의 오동작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밴드형 로드리스 실린더의 단점인 시일문제를 배제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이 극대화된 로드리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이드 기구의 부착사용이 필요 없어 제품의 소형화와, 적용범위에 따라 사용장비를 외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용공간의 활용성 및 적용범위가 넓고, 케이블의 텐션조정의 용이에 의한 사용의 편리성과, 급작스런 외부부하의 완충흡수가 가능하여 장치 사용수명의 극대화가 제공되는 로드리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에 점검에 의한 보수 및 수리의 용이성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극대화된 로드리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풀리를 회전가능케 장착한 양방의 풀리하우징과, 각각의 실린더실에 서브피스톤과 내부에 체크밸브를 구비한 2개의 작동피스톤이 간격플런저에 의하여 대향의 연결상태로 이동가능케 끼움 설치되되,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 각각은 상기 서브피스톤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풀리를 경유하는 2개의 케이블의 각단과 연결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변형텐션흡수공간을 갖고 이격 설치되고 상기 양방의 풀리하우징과 조립되는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슬라이드홈에 끼움 설치되는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서브피스톤에 조립되는 고정슬라이더에 조립되는 슬라이드테이블과, 상기 풀리하우징의 상단에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의 양단을 완충하면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블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3은 도 2의 "F"부 발췌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절결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발췌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G"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H"부 발췌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이 B-B선 발췌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평면도로써,
도 11은 작동전 상태도,
도 12는 작동후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I"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공기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풀리하우징 120 : 풀리
130 : 공기인출공 150 : 헤드커버
200 : 실린더블록 210A,210B : 작동피스톤
230 : 서브피스톤 240 : 체크밸브
250 : 간격플런저 260 : 케이블
270 : 이동슬라이더 280 : 고정슬라이더
300 : 슬라이드테이블 400 : 스토퍼블록
420 : 공기완충기 A.P : 변형텐션흡수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상으로 관통된 풀리장착공(110)에 풀리(120)를 회전가능케 장착하고, 상기 풀리장착공(110)은 수평중심선상의 양방에 관통되는 연결공(111)과 밸브공(112)이 각각 관통되되, 상기 밸브공(112)은 직교상으로 공기인출공(130)을 관통하여 이루는 양방의 풀리하우징(100,100)과,
길이방향의 양측에 공기실린더실(201)과 상부 일측이 개방된 개방실린더실(202)이 구획되되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의 양단과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밸브공(112)에는 상기 공기인출공(130)과 연통되어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는 헤드커버(150)가 각각 개재 설치되고, 상기 공기실린더실(201)과 개방실린더실(202)에는 각각의 체크밸브(240)를 구비한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과 서브피스톤(230)이 상기 풀리(120,120)에 권회되고 각 연결공(111) 및 헤드커버(150)를 통하여 인출되는 2개의 케이블(260,260)의 각단과 연결되어 이동가능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은 간격플런저(250)에 의하여 상호간이 대향으로 연결되어 변형텐션흡수공간(A.P)을 형성하고 상기 양방의 풀리하우징(100,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200)과,
상기 실린더블록(200)의 길이방향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04)에 설치되는 이동슬라이더(270)와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개방홈(203)을 통하여 상기 서브피스톤(230)과 나사 조립된 고정슬라이더(280)에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홈(310,320)으로 조립 고정되는 슬라이드테이블(300)과,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상부에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의 양단을 완충하면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블록(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풀리(120)는 도 1의 확대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 중앙축(121)을 상, 하부에 베어링(123)으로 지지하여 회전가능케 조립되되, 내부에는 나사공(124)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중앙축(121)의 나사공(124)에는 별도 엔코더를 설치하여 상기 풀리(120)의 회전량을 제어 조정할 수 있고,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회전풀리(510)가 각각 나사 조립되어 상호간이 벨트(520)로 연결되되, 상기 벨트(520)에는 왕복기구(슬라이드테이블)(500)를 상기 실린더블록(20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05)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각 풀리(120,120)의 회전작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어서 상기 왕복기구(500)의 왕복운동에 의한 별도의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커버(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각 밸브공(112)과 상기 실린더블록(200)의 공기실린더실(201)의 양단에 개재 설치되어서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에 공기공급 및 배출이 가능토록 상기 공기인출공(130)과 연통시키되,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의 기밀유지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헤드커버(150)는 밸브본체(151)의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밀유지링(16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인출공(130)과 일치되어 환홈(152)이 요설되며 이 환홈에는 중앙의 케이블통과공(155) 향하여 공기조절공(153)과 공기공급/배출공(154)이 관통되되, 상기 공기조절공(153)에는 오리피스(153a)가 길이방향으로 직교하여 연통되고,
상기 케이블통과공(155)에는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측에 쿠션패킹(156)을 설치하고, 상기 밸브공(112)측에 상기 케이블통과공(155)을 통과하는 케이블(260)의 외주연에 케이블패킹(159)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패킹(159)은 상기 밸브공(112)에 조립된 상태에서 외주연으로 기밀유지링(158)이 결합된 가이드부싱(157)에 의하여 압착된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공기조절공(153)에는 공기량조정볼트(170)가 나사 조립되어 상기 오리피스(153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은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다수의 기밀유지링(212)이 결합되고 내부에 슬라이드공(213)이 형성된 몸체(211)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공(213)과 연통된 단차상의 밸브설치공(215)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공기통과공(216)이 연통되되, 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상기 밸브설치공(215)의 일부분에 걸쳐 공기통과절개공(217)을 관통한 나사돌부(214)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설치공(215)에는 공기개폐공(222)이 관통된 밸브시트(221)를 상기 밸브설치공(215)에 나사조립하고 이의 내부에 스프링(223)으로 탄지되어 상기 공기개폐공(222)을 개폐하는 개폐플런저(224)로 구성된 체크밸브(22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돌부(214)에는 직교상의 공기통과공(226)이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케이블삽입공(261)이 관통된 쿠션슬리브(225)의 나사조립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260)의 일단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쿠션슬리브(225)는 상기 공기통과공(226)이 상기 공기통과절개공(217)과 일치되도록 나사 조립되되, 상기 케이블(260)은 상기 케이블삽입공(261)에 일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의 와이어를 상기 공기통과공(261)의 양측으로 벌리어 상기 나사돌부(214)의 외주연에 위치시키고 나사조임하여 상기 케이블(26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작동피스톤(210A,210B)은 간격플런저(250)에 의하여 상호간의 대향 내측에 변형텐션흡수공간(A.P)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상기 간격플런저(250)는 중앙로드(251)의 양방에 다수의 공기통과공(253)을 관통한 플랜지(252)가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 몸체(211)의 슬라이드공(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공(213)의 내주연 단부에 조립되는 스토퍼링(218)과 스냅링(219)으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공(213)의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어 연결된다.
상기 서브피스톤(230)은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31)의 중앙에 조정나사공(232)이 관통되고 이에 상기 각각의 케이블(260)의 타단을 공정한 텐션스크류(233)가 나사 조립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안내개방홈(203)의 폭치수로 면취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슬라이더(280)가 나사(281)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블록(200)은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피스톤(230)의 조정나사공(232)에 나사 조립된 텐션스크류(233)를 조여서 상기 케이블(260)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변형(이완)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조립홈(236)을 요설하고 분리커버(235)가 분리 가능케 슬라이드 조립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블록(400,400)은 각각의 본체(410)에 공기완충기(420)가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의 멈춤 구간을 조정하도록 나사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너트(430)로 고정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의 직선왕복운동의 정밀도 및 높은 모우멘트의 발생시 L,M가이드(Liner Motion Guide)(3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실린더블록(200)은 길이방향에 가이드레일(360)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60)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370)을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브록(300)에 별도의 산업용 작업기구(미도시함)를 장착하고,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공기인출공(130,130)에는 공압공급수단(미도시됨)의 연결호스(A.H)로 연결한 상태에서 가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공기는 헤드커버(150)의 밸브본체(151)에 요설된 환홈(152)을 경유하여 이와 연통된 공기공급/배출공(154)을 경유하여 공기실린더실(201)에 공급되고,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의 내부에 공기압의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가압공기의 작용을 받는 일측의 작동피스톤(210A)은 대향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러한 작동과 연계되어서 상기 작동피스톤(210A)과 연결된 케이블(260)이 서브피스톤(230)을 끌고 이동하게 되면서 일측의 풀리하우징(100)의 풀리(1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서브피스톤(230)은 상기 가압공기가 공급되는 대향측의 작동피스톤(210B)을 상호간 연결된 케이블(260)에 의하여 끌면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피스톤(210B)은 상기 대향측의 작동피스톤(210A)을 상호간에 연결된 간결플런저(250)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도 12참조)
이때, 상기 작동피스톤(210B)은 계속 이동하면서 대기압상태의 공기실린더실(201)의 공기를 가압하여 헤드커버(150)의 공기공급/배출공(154)을 통하여 배기하게 되고 상기 작동피스톤(210B)의 쿠션슬리브(225)의 선단이 상기 헤드커버(150)의 케이블통과공(155)의 쿠션패킹(156)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부터는 공기실린더실(201)의 공기는 서서히 압축이 되면서 일측의 오리피스(153a) 및 공기조절공(153)을 경유하여 배기되면서 작동피스톤(210B)은 완충이 되면서 멈추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작동피스톤(210B)측의 공기인출공(130)으로부터 가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작동과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공기의 교번적인 공급에 의하여 상기 서브피스톤(230)은 개방실린더실(202)을 반복적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된다.(도 14 참조)
이때, 상기 공기조절공(153)에 나사 조립된 공기량조정볼트(170)에 의하여 상기 공기조절공(153)으로 배기되는 공기량의 가감에 의하여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의 완충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계작동, 즉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은 가압공기가 공급되는 대향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서브피스톤(230)은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 이동방향의 반대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서브피스톤(230)에 고정슬라이더(280)와 이동슬라이더(270)로 연결 지지된 슬라이드테이블(300)은 상기 실린더블록(200)의 개방홈(203)과 슬라이드홈(204)에서 안정성 있게 안내되어 직선왕복운동이 수행되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에 조립된 산업용기구로 소정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할 때에 상기 케이블(260,260)이 변형되어 늘어나는 현상은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 사이에 형성된 변형텐션흡수공간(A.P)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흡수가 이루어져 텐션의 자동조정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있어, 일측의 가압공기에 의하여 작용하는 작동피스톤(210A)의 케이블(260)이 변형되어 늘어나게 되면,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 사이의 상기 변형텐션흡수공간(A.P)의 공기는 상기 케이블(260)의 늘어난 길이만큼 압축이 되면서 대향측의 작동피스톤(210B)을 밀게되고,
상기 케이블(260)의 늘어난 길이만큼 압축된 공기는 상기 간격플런저(250)의 플랜지(252)에 관통된 공기통과공(253)과 상기 작동피스톤(210B)의 몸체(211)의 슬라이드공(21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나사돌부(214)의 밸브설치공(215)에 설치된 체크밸브(220)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체크밸브(220)의 밸브시트(221)의 공기개폐공(226)을 경유하여 상기 밸브시트(221)의 내부에 스프링(223)으로 탄지된 개폐플런저(224)를 밀어 개방하여 배기되고 상기 밸브설치공(215)에 연통된 공기통과절개공(217) 및 쿠션슬리브(225)의 공기통과공(226)을 경유하여 상기 작동피스톤(210B)측의 상기 공기실린더실(201)로 배기되면서 평형상태를 이루는 자동조정으로 항상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13 참조)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동피스톤(210B)에 연결된 케이블(260)이 변형이 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역순의 작동으로 조정됨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케이블(260,260)의 텐션조정은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조립홈(236)에 조립된 분리커버(235)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피스톤(230)의 나사공(232)에 상기 케이블(260,260)을 연결하여 나사 조립된 텐션스크류(233)의 나사 조임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고 수리 및 보수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도 케이블(와이어)의 변형량을 자동으로 흡수하여 조정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텐션유지에 의하여 오동작을 극소화하는 효과가 있고,
슬라이드테이블의 왕복작동에 따른 실린더실과의 시일문제를 해소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가이드기구의 부착사용이 필요 없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적용범위에 따라 사용장비를 외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용공간의 활용성 및 적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고,
케이블의 텐션조정 및 보수점검, 수리가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극대화가 구현된다.

Claims (3)

  1. 수직선상으로 관통된 풀리장착공(110)에 풀리(120)를 회전가능케 장착하고, 상기 풀리장착공(110)은 수평중심선상의 양방에 관통되는 연결공(111)과 밸브공(112)이 각각 관통되되, 상기 밸브공(112)은 직교상으로 공기인출공(130)을 관통하여 이루는 양방의 풀리하우징(100,100)과,
    길이방향의 양측에 공기실린더실(201)과 상부 일측이 개방된 개방실린더실(202)이 구획되되 상기 공기실린더실(201)의 양단과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밸브공(112)에는 상기 공기인출공(130)과 연통되어 외부와의 기밀이 유지되는 헤드커버(150)가 각각 개재 설치되고, 상기 공기실린더실(201)과 개방실린더실(202)에는 각각의 체크밸브(240)를 구비한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과 서브피스톤(230)이 상기 풀리(120,120)에 권회되고 각 연결공(111) 및 헤드커버(150)를 통하여 인출되는 2개의 케이블(260,260)의 각단과 연결되어 이동가능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작동피스톤(210A,210B)은 간격플런저(250)에 의하여 상호간이 대향으로 연결되어 변형텐션흡수공간(A.P)을 형성하고 상기 양방의 풀리하우징(100,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블록(200)과,
    상기 실린더블록(200)의 길이방향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04)에 설치되는 이동슬라이더(270)와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개방홈(203)을 통하여 상기 서브피스톤(230)과 나사 조립된 고정슬라이더(280)에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조립홈(310,320)으로 조립 고정되는 슬라이드테이블(300)과,
    상기 풀리하우징(100,100)의 상부에 대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00)의 양단을 완충하면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블록(4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 실린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은 외주연에 다수의 기밀유지링(212)이 결합되고 내부에 슬라이드공(213)이 형성된 몸체(211)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공(213)과 연통된 단차상의 밸브설치공(215)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공기통과공(216)이 연통되되, 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상기 밸브설치공(215)의 일부분에 걸쳐 공기통과절개공(217)을 관통한 나사돌부(214)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설치공(215)에는 공기개폐공(222)이 관통된 밸브시트(221)를 상기 밸브설치공(215)에 나사조립하고 이의 내부에 스프링(223)으로 탄지되어 상기 공기개폐공(222)을 개폐하는 개폐플런저(224)로 구성된 체크밸브(22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돌부(214)에는 직교상의 공기통과공(226)이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케이블삽입공(261)이 관통된 쿠션슬리브(225)의 나사조립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260)의 일단이 연결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작동피스톤(210A,210B)은 간격플런저(250)에 의하여 상호간의 대향 내측에 변형텐션흡수공간(A.P)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되, 상기 간격플런저(250)는 중앙로드(251)의 양방에 다수의 공기통과공(253)을 관통한 플랜지(252)가 상기 작동피스톤(210A,210B) 몸체(211)의 슬라이드공(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공(213)의 내주연 단부에 조립되는 스토퍼링(218)과 스냅링(219)으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공(213)의 외부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대향 내측에 변형텐션흡수공간(A.P)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로드리스 실린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피스톤(230)은 몸체(231)의 중앙에 조정나사공(232)이 관통되고 이에 상기 각각의 케이블(260)의 타단을 공정한 텐션스크류(233)가 나사 조립되고,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안내개방홈(203)의 폭치수로 면취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슬라이더(280)가 나사(281)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개방실린더실(202)의 일측에는 슬라이드조립홈(236)을 요설하고 분리커버(235)를 일측에서 슬라이드식으로 각각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리스 실린더.
KR1019980063448A 1998-12-31 1998-12-31 로드리스 실린더 KR10028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448A KR100282156B1 (ko) 1998-12-31 1998-12-31 로드리스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448A KR100282156B1 (ko) 1998-12-31 1998-12-31 로드리스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715A KR19990045715A (ko) 1999-06-25
KR100282156B1 true KR100282156B1 (ko) 2001-08-07

Family

ID=6595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448A KR100282156B1 (ko) 1998-12-31 1998-12-31 로드리스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38A (ko) * 2002-09-10 2004-03-18 김용래 로드리스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715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899B1 (ko) 액추에이터
KR100380188B1 (ko) 직선작동장치
KR100416396B1 (ko) 선형 액츄에이터
US20170067455A1 (en) Linear actuator
JPH02248734A (ja) 液圧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6123008A (en) Compressed-air piston engine
KR100985469B1 (ko) 공기부상형 저마찰 고속 시일리스 실린더
KR102122559B1 (ko) 게이트 밸브 및 챔버
KR100282156B1 (ko) 로드리스 실린더
US5701798A (en) Linear actuating device
EP0263215A1 (en) Rodless cylinder
US5467685A (en) Rodless pneumatic cylinder having a pair of driven elements
CA2129768C (en) Piston compressor
CN111195828A (zh) 直动机构、平衡装置以及机床
US20230139315A1 (en) Gate valve
US20010035090A1 (en) Linear actuator with air cushion mechanism
KR100474754B1 (ko) 벨로우즈 타입의 저마찰 고속 리니어 액츄에이터
KR20210049935A (ko) 유체압 실린더
US7565859B2 (en) Power clamp with kinetic energy control
JPH10230474A (ja) 空気ビータ
CN114576235A (zh) 液压缸及作业机械
KR970000598Y1 (ko) 하이드로 체커형 로드리스 실린더
CN204783923U (zh) 一种液压缸
CN209604363U (zh) 一种使有杆缸达到无杆缸同等安装空间的装置
KR200383077Y1 (ko) 고정도 리니어 가이드 실린더의 비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