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938B1 -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938B1
KR100281938B1 KR19980023263A KR19980023263A KR100281938B1 KR 100281938 B1 KR100281938 B1 KR 100281938B1 KR 19980023263 A KR19980023263 A KR 19980023263A KR 19980023263 A KR19980023263 A KR 19980023263A KR 100281938 B1 KR100281938 B1 KR 10028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nit
product
telephon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8002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568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주식회사에스엘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주식회사에스엘텔레콤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1998002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9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568A/ko
Priority to PCT/KR1999/000315 priority patent/WO1999067752A1/en
Priority to AU43981/99A priority patent/AU4398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복권이나 전화카드, 버스표, 화장지 등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기능과 광고 기능을 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송수화기와, 화폐투입부와, 전화번호 버튼, 상품선택 버튼, 상품수량 지정버튼,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로서,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선택부, 기능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품선택부, 상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 사용자가 화폐투입부를 통해 투입한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감지하여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화폐판별부, 상기 화폐판별부에서 화폐로 판별하였으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신용카드로 판별하였으면 신용카드의 종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량선택부, 수량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수량 만큼의 상품을 배출하는 상품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기능을 하는 공중전화기 { Public telephone with vending machine }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자동판매기 기능과 광고 기능을 하는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에서는 몸체 전체에 걸쳐 송수화기와 송수화기 걸이, 주화 또는 카드삽입구, 동전 반환구, 금액표시창, 숫자판과 특수기능 버튼 등이 산재해 있다. 이렇게 종래의 공중전화기는, 그 크기에 비해 기능이 단순한데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각종 구성요소들이 몸체 전체에 산재해 있기 때문에 전화기 자체로서의 기능만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자리를 점유하고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공중전화기가 점유하는 공간은 그 면적에 비해 효용이 낮아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공중전화를 이용하는 점, 이용자가 상당한 시간동안 공중전화기를 쳐다보게 된다는 점, 공중전화기는 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쉽게 끌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유 때문에, 공중전화기는 그 자체로 훌륭한 자동판매기나 광고매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능 이외에도 전화카드나 복권, 버스표, 화장지 등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기능을 하는 공중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자동판매기 기능과 함께 광고 기능을 하는 공중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송수화기(1), 동전투입구(3),
지폐투입구(18), 신용카드투입구(19),
전화번호 버튼(5), 거스름돈 반환구(17),
상품선택 버튼(7), 상품수량 지정버튼(9),
기능선택 버튼(11), 표시창(13),
상품 배출구(15), 디스플레이영역(16),
기능선택부(21), 제1표시부(23),
전화부(25), 자동판매부(26),
상품선택부(27), 제2표시부(29),
화폐판별부(31), 제3표시부(33),
수량선택부(35), 상품배출부(37)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중전화기는 전화기능에 자동판매기능이 추가된 공중전화기이다. 이는 송수화기와, 동전.지폐.신용카드 등을 투입하는 화폐투입부와, 전화번호 버튼, 상품선택 버튼, 상품수량 지정버튼,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선택부, 기능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품선택부, 상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 사용자가 화폐투입부를 통해 투입한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감지하여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화폐판별부, 상기 화폐판별부에서 화폐로 판별하였으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신용카드로 판별하였으면 신용카드의 종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량선택부, 수량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수량 만큼의 상품을 배출하는 상품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선택부에 자동판매기능 선택버튼이 포함되어 있어서, 송수화기를 들면 기본적으로 전화기능을 하고 이 자동판매기능 선택버튼을 누를 때 자동판매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표시소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화번호 버튼과 상품수량 선택버튼은 하나의 키버튼 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중전화기의 외면에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영역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기는 송수화기(1), 동전투입구(3), 지폐투입구(18), 신용카드투입구(19), 전화번호 버튼(5), 거스름돈 반환구(17), 상품선택 버튼(7), 상품수량 지정버튼(9),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11), 다양한 정보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창(13), 상품 배출구(15)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 버튼(5)과 상품수량 지정버튼(9)을 따로 설치한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키버튼 한 벌을 사용하여 전화기능을 할 때에는 전화번호 버튼으로, 자동판매기능을 할 때에는 상품수량 지정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창(13)에는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선, 송수화기(1)를 들었을 때 '이 전화기는 자동판매기능을 겸하는 공중전화기'라는 취지의 안내와 '자동판매기 사용법'에 대한 안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전화기능으로 가면 통상의 전화기처럼, 투입금액, 남은 금액, 반환될 금액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자동판매기능으로 가면 상품목록 소개, 판매가능 여부, 가격표시, 지정한 수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다.
도2를 참조하여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하면 기능선택부(21)에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자면, 전화기능을 선택하면 논리 '0' 신호를 출력하고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하면 논리 '1' 신호를 출력하여 양 기능을 구별하거나, 더 간단하게 기계식 스위치나 릴레이 등을 사용하여 양 기능의 전원선을 단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능을 보다 단순화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송수화기(1)를 들면 기본적으로 전화기능을 하고 기능선택 버튼(11)을 눌렀을 때에만 자동판매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또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기능선택부(21)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으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1표시부(23)를 통하여 표시하고, 그에 따라 각각 전화부(25)와 자동판매부(26)가 동작을 한다. 제1표시부(2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화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현재 전화기능 중이라는 취지와 투입금액, 남은 금액, 반환될 금액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된 경우라면 현재 자동판매기능 중이라는 취지와 상품목록 소개, 판매가능 여부, 가격표시, 지정한 수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가 고객의 수요나 시장성에 맞게 임의로 결정할 사항이다. 한편, 이 제1표시부(23)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문자표시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현재 음성으로 안내를 하는 공중전화기가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도 음성으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에 의한 표시와 음성에 의한 표시를 함께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에 대해서만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화부(25)는 통상의 공중전화기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판매부(26)는 도2의 점선 내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 각 블록별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11)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7)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품선택부(27)에서 출력한다. 상품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액면가가 다른 여러 종류의 전화카드일 수도 있고, 여러 종류의 복권일 수도 있고, 화장지일 수도 있고, 버스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위에 열거한 모든 종류를 모두 구비하여 판매할 수 도 있다. 이 또한 설계자의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상품선택부(27)에서 각 상품종류에 상응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이 신호는 해 당 상품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의 개폐장치(미도시)로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2표시부(29)로 인가된다. 판매가능여부 표시는 해당상품의 재고가 있어 현재 판매가능한지 아니면 매진된 것이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 제2표시부(29)에 표시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기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항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도 제1표시부(23)와 마찬가지로, 음성으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에 의한 표시와 음성에 의한 표시를 함께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에 대해서만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제2표시부(29)에 표시된 내용을 보고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동전투입구(3), 지폐투입구(18), 신용카드투입구(19)를 통해 투입하면, 화폐판별부(31)에서는 투입된 것이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여 각각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투입된 것이 상기 화폐판별부(31)에서 화폐로 판별되었으면 투입된 금액을 제3표시부(33)에 표시하고, 신용카드인 것으로 판별되었으면 신용카드의 종류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33)에 표시한다. 이 제3표시부(33) 역시 음성으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에 의한 표시와 음성에 의한 표시를 함께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에 대해서만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제1표시부(23), 제2표시부(29), 제3표시부(33)는 모두 하나의 표시소자 또는 음성출력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성품인 LCD판넬이나 음성합성장치 하나에 상기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품수량 지정버튼(9)을 눌러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따른 신호를 수량선택부(35)에서 출력한다.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이 상품수량 지정버튼(9)을 전화버튼(5)과 따로 설치하지 않고 한데 통합하여, 전화기능을 할 때에는 전화번호를 누르는 버튼으로 자동판매기능을 할 때에는 상품수량을 지정하는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량선택부(35)에서 상품의 수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면 그 신호를 해석하여 상품배출부(37)에서 그 수량만큼의 상품을 배출한다. 상품의 수량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량에 따라 펄스수가 다른 신호를 출력하면 상품배출부(37)에서 이 펄스수를 계수하여 그 숫자만큼 상품이 저장된 용기의 개폐장치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실시예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광고용 디스플레이영역(16)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이 디스플레이영역(16)은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판매상품에 대한 광고판을 부착할 수도 있고, 기타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몇가지 특정 실시예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사상과 범위는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전화기의 기능을 확장하여 자동판매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전화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기로부터 전화요금 수익 이외에 상품의 판매수익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어차피 전화박스가 차지하고 있어야 할 공간에서 의 수익성을 높혀서 공간활용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영역을 활용하여 상품의 광고선전은 물론, 전화기를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공공홍보, 안내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전에 국가기관에서만 공급하던 공중전화기를 일반인이 구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전화기 자급제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고안에 따른 공중전화기의 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다.

Claims (4)

  1. 전화기능에 자동판매기능이 추가된 공중전화기로서 송수화기와, 동전·지폐·신용카드 등을 투입하는 화폐투입부와, 전화번호 버튼, 상품선택 버튼, 상품수량 지정버튼,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선택부,
    기능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품선택부,
    상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
    사용자가 화폐투입부를 통해 투입한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감지하여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화폐판별부,
    상기 화폐판별부에서 화폐로 판별하였으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신용카드로 판별하였으면 신용카드의 종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량선택부,
    수량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수량만큼의 상품을 배출하는 상품배출부, 및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2. 전화기능에 자동판매기능이 추가된 공중전화기로서 송수화기와, 동전·지폐·신용카드 등을 투입하는 화폐투입부와, 전화번호 버튼, 상품선택 버튼, 상품수량 지정버튼,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선택부,
    기능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품선택부,
    상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
    사용자가 화폐투입부를 통해 투입한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감지하여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화폐판별부,
    상기 화폐판별부에서 화폐로 판별하였으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신용카드로 판별하였으면 신용카드의 종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량선택부, 및
    수량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수량만큼의 상품을 배출하는 상품배출부를 포함하는 공중전화기로서,
    상기 제1, 제2, 제3 표시부는 각각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3. 전화기능에 자동판매기능이 추가된 공중전화기로서 송수화기와, 동전·지폐·신용카드 등을 투입하는 화폐투입부와, 전화번호 버튼, 상품선택 버튼, 상품수량 지정버튼, 전화기능인지 자동판매기능인지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전화기능을 선택하거나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했을 때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선택부,
    기능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화기능 또는 자동판매기능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
    사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을 통해 자동판매기능을 선택한 후 상품선택 버튼으로써 상품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품선택부,
    상품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명칭이나 단가, 판매가능여부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
    사용자가 화폐투입부를 통해 투입한 동전, 지폐, 신용카드 등을 감지하여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인지 신용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화폐판별부,
    상기 화폐판별부에서 화폐로 판별하였으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하고 신용카드로 판별하였으면 신용카드의 종류, 번호 등을 표시하는 제3표시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수량을 선택하면 이 수량에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량선택부, 및
    수량선택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수량만큼의 상품을 배출하는 상품배출부를 포함하는 공중전화기로서,
    상기 제1, 제2, 제3 표시부는 각각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합성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소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
KR19980023263A 1998-06-20 1998-06-20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KR10028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3263A KR100281938B1 (ko) 1998-06-20 1998-06-20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PCT/KR1999/000315 WO1999067752A1 (en) 1998-06-20 1999-06-19 Public telephone with automatic vending machine
AU43981/99A AU4398199A (en) 1998-06-20 1999-06-19 Public telephone with automatic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3263A KR100281938B1 (ko) 1998-06-20 1998-06-20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68A KR19980087568A (ko) 1998-12-05
KR100281938B1 true KR100281938B1 (ko) 2001-02-15

Family

ID=1954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23263A KR100281938B1 (ko) 1998-06-20 1998-06-20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1938B1 (ko)
AU (1) AU4398199A (ko)
WO (1) WO1999067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14A3 (en) * 2008-06-1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5308A1 (es) 2000-02-22 2002-03-01 Jofemar Sa Sistema combinado de venta automatica de productos y servicios.
KR20020084039A (ko) * 2002-10-12 2002-11-04 양창호 차량용 복권 판매기
EP2453420A1 (en) * 2010-11-10 2012-05-16 Lastinski inzeniring d.o.o.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ay phone extended functionality into vending device selling produ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854A (en) * 1986-12-08 1989-04-04 Unisys Corp. Ticket vending machine
US5704517A (en) * 1995-06-23 1998-01-06 Triangle Telephone Company Enclosure for housing and displaying a public telephone and foodstuff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854A (en) * 1986-12-08 1989-04-04 Unisys Corp. Ticket vending machine
US5704517A (en) * 1995-06-23 1998-01-06 Triangle Telephone Company Enclosure for housing and displaying a public telephone and foodstuff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14A3 (en) * 2008-06-1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68A (ko) 1998-12-05
WO1999067752A1 (en) 1999-12-29
AU4398199A (en) 200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740A (en) Money exchanging system
KR100281938B1 (ko) 자동판매기기능을하는공중전화기
AU777288B2 (en) Combined system of automatic selling of products and services
KR200278070Y1 (ko) 당첨금 지급기능을 갖는 복권 자동판매기
US6422373B1 (en) Money handling interface and method
JPH1063880A (ja) 接客装置
KR100421190B1 (ko) 자동판매기
KR20010058004A (ko) 화장품 자동 판매기
JPH02277192A (ja) プリペイドカード用自動販売機
KR20010058019A (ko) 안경 자동 판매기
KR20010065463A (ko) 꽃 자동 판매기
WO1997010576A1 (en) Integrated payphone and vending machine
JP2000285282A (ja) 自動販売機
JP2004185320A (ja) 自動販売機
JPH11110589A (ja) 自動券売機
KR20020022442A (ko) 자동판매기
KR970022852A (ko) 자동 판매기의 동전 투입 장치
JPH02295342A (ja) カード式電話機
JPH0865420A (ja) キャッシユ式電話料金表示板
KR20010058026A (ko) 옷 자동 판매기
KR20010058002A (ko) 곡식 자동 판매기
KR20010058006A (ko) 책 자동 판매기
KR20010065469A (ko) 우산 자동 판매기
JPH0636119A (ja) 硬貨等の計数機能付識別機
KR20010065487A (ko) 모자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