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635B1 -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 Google Patents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635B1
KR100281635B1 KR1019980026339A KR19980026339A KR100281635B1 KR 100281635 B1 KR100281635 B1 KR 100281635B1 KR 1019980026339 A KR1019980026339 A KR 1019980026339A KR 19980026339 A KR19980026339 A KR 19980026339A KR 100281635 B1 KR100281635 B1 KR 10028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elding machine
chamber
pip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908A (ko
Inventor
한인성
Original Assignee
한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성 filed Critical 한인성
Priority to KR101998002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6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635B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열이 발생하는 저항 용접기에 장착하여 용접기의 발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및 열화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배관에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분배관으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냉각수가 회수되는 쪽의 챔버와 분배유입관 사이마다 유량게이지를 설치하여 용접기의 각 발열부 마다 적정량의 유량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하고 유량조절밸브로 냉각수양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기의 각 발열부 마다 적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냉각수의 절약은 물론 용접기의 열화로 인한 치명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본 발명은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열이 발생하는 저항 용접기에 장착하여 용접기의 발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및 열화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저항 용접기에는 변압기, 용접건, 2차케이블, 제어회로부, 정류기, 저항기 등에는 고열이 발생하므로 냉각수 분배기를 설치하여 용접기의 발열부에 적당량의 냉각수를 공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용접기에 사용되었던 냉각수 분배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냉각수 분배기는 본체(10)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공급관(13)과 다수의 분배관(14)이 일측 챔버(1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냉각수를 용접기(A)의 발열부(a)로 분기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타측 상하부에는 각각 배출관(15)과 다수의 회수관(16)이 타측 챔버(1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용접기(A)의 발열부(a)를 통과한 냉각수를 회수토록 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는 1은 주공급밸브, 2는 유압게이지, 3은 에어밸브, 4는 주배출밸브, 5는 호스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배기는 주공급밸브(1)의 조작에 의해 냉각수의 총 공급량은 조절할 수는 있으나 분배관(14)으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은 조절할 수 없으므로 냉각수가 용접기(A)의 여러 발열부(a)로 일률적으로 공급되었다. 따라서 발열부(a)인 변압기, 용접건, 2차케이블, 제어회로부 등 각각의 발열량에 맞게 적정량의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고 일부 발열부(a)에는 냉각수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일부 발열부(a)에는 냉각수가 부족하게 공급되므로 용접기(A)의 작동중 과열로 인하여 치명적인 고장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분배기는 용접기(A)의 각 발열부(a)에 공급되는 유량을 검출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용접기(A)의 각 발열부(a) 마다 적정량의 유량이 공급되는 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용접기(A)의 발열부(a) 마다 유량공급이 적당치 않았을 경우에 이를 수정하지 못하므로 용접기(A)가 과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분배관에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분배관으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냉각수가 회수되는 쪽의 챔버와 분배유입관 사이마다 유량게이지를 설치하여 용접기의 각 발열부 마다 적정량의 유량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하고 유량조절밸브로 냉각수양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용접기에 사용되었던 냉각수 분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게이지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공급밸브 2 : 유압게이지
3 : 에어밸브 4 : 주배출밸브
5 : 호스 100 : 본체
110 : 챔버 120 : 통공
130 : 공급관 140 : 분배관
150 : 배출관 160 : 회수관
200 : 유량조절밸브 300 : 유량게이지
310 : 원통체 311 : 눈금
320 : 코일스프링 330 : 볼
340 : 고무링 350 : 와셔
A : 용접기 a : 발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게이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공급관(130)과 다수의 분배관(140)이 일측 챔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0)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냉각수를 용접기(A)의 발열부(a)로 분기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타측 상하부에는 각각 배출관(150)과 다수의 회수관(160)이 타측 챔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0)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용접기(A)의 발열부(a)를 통과한 냉각수를 회수토록 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140)에 유량조절밸브(200)를 설치하여 용접기(A)의 발열부(a)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가 회수되는 쪽의 챔버(110)의 통공(120)과 회수관(160)사이에 다수의 유량게이지(300)를 설치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량조절밸브(200)는 볼밸브 등 핸들을 갖는 통상적인 밸브로서 분배관(140) 마다 결합시켜 용접기(A)의 각 발열부(a)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량게이지(300)는 챔버(110)의 통공(120)과 회수관(160) 상하단이 일체로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눈금(311)이 새겨지고 내경을 상광하협으로 형성한 투명한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내경에 일치되도록 삽입되는 원추형 코일스프링(320)과, 상기 원추형 코일스프링(320)의 소단부에 위치하는 볼(330)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체(310)는 아크릴 등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되, 내면을 매끄럽게 하여 스케일이 잘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한 눈금(311)은 원통체(310)의 외면에 홈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나, 인쇄 등으로도 할 수 있으며 각 눈금(311)에는 유량을 알 수 있도록 숫자를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한 본체(100)는 유량게이지(300)를 설치하기 위하여 냉각수가 회수되는 쪽을 대략 ㄷ자 형으로 형성하여 본체(100)의 상측에는 챔버(110) 및 통공(120)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회수관(160)이 결합되어 있으며, 유량게이지(300)는 챔버(110)와 회수관(160)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부언하여, 분배관(140)과 회수관(160)은 동수로 구비되며 이 숫자는 용접기(A)의 발열부(a) 개소에 맞게 설정한다.
미설명 부호 340은 고무링이며 350은 와셔로서 유량게이지(300)의 조립시 기밀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급관(130)에는 주공급밸브(1)가 결합되며 이 주공급밸브(1)측에는 통상적으로 유압게이지(2)를 설치한다.
그리고 분배관(140)에 결합된 유량조절밸브(200)의 토출측에는 호스(5)가 연결되어 용접기(A)의 각 발열부(a)로 연결되고, 회수관(160)의 하측에는 각 발열부(a)로부터 냉각수가 회수되도록 호스(5)가 연결되며, 배출관(150)에는 주배출밸브(4)가 결합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용접기(A)의 측면 등 소정 위치에 고정되며 냉각수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수 탱크 및 펌프에 의하여 주공급밸브(1)측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3은 에어밸브로써 용접기(A)에 장치된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밸브이다.
이러한 구조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공급밸브(1)와 주배출밸브(4)를 개방시키면, 냉각수가 공급관(130)을 통하여 본체(100)의 일측 챔버(110)로 유입되고, 이 냉각수는 유량조절밸브(200)의 개방에 따라 분배관(140)을 통하여 용접기(A)의 각 발열부(a)로 공급된다. 이 냉각수는 각 발열부(a)를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고 회수관(160)을 통하여 각 유량게이지(300)로 유입되며, 유량게이지(300)를 통과한 냉각수는 본체(100)의 타측 챔버(110)를 거쳐 하나의 배출관(15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수조 등 외부로 배출된다.
냉각수가 유량게이지(300)를 통과할 때 속도에 비례적으로 볼(330)을 가압하여 코일스프링(320)을 압축시키고, 코일스프링(320)의 압축정도에 따라 볼(330)이 상승한다. 따라서 볼(330)이 위치한 눈금(311)으로 유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량이 부족하거나 과다한 쪽에 대하여는 이와 대응하는 유량조절밸브(200)의 개폐정도를 적절히 수정하면 된다.
한편, 유량게이지(300)에 있어서, 원통체(310)의 내주면이 상광하협으로 되어 있으므로 냉각수는 와류(소용돌이)가 되고, 이 와류에 의하여 볼(330)이 상하 및 좌우로 진동하면서 원통체(310)의 내면을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기(A) 내부에서 유출되어 원통체(310)의 내면에 부착된 녹 및 스케일이 제거되어 통로의 막힘과 볼(330)의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량게이지(300)로 용접기(A)의 각 발열부(a) 마다 적정량의 유량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하고 유량조절밸브(200)로 냉각수양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용접기(A)의 각 발열부(a) 마다 적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냉각수의 절약은 물론 용접기(A)의 열화로 인한 치명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량게이지(300)를 구성하는 원통체(310)의 내면에 부착된 녹 및 스케일이 제거되는 구조로 형성하였으므로 냉각수 통로의 막힘과 볼(330)의 작동불량으로 인한 유량게이지(300)의 기능상실을 방지한 장점 등이 있다.

Claims (2)

  1. 본체(100)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공급관(130)과 다수의 분배관(140)이 일측 챔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0)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냉각수를 용접기(A)의 발열부(a)로 분기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타측 상하부에는 각각 배출관(150)과 다수의 회수관(160)이 타측 챔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0)과 연통되게 결합하여 용접기(A)의 발열부(a)를 통과한 냉각수를 회수토록 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기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140)에 유량조절밸브(200)를 설치하여 용접기(A)의 발열부(a)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냉각수가 회수되는 쪽의 챔버(110)의 통공(120)과 회수관(160)과의 사이에 다수의 유량 게이지(300)를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게이지(300)는 챔버(110)의 통공(120)과 회수관(160)에 상하단이 일체로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눈금(311)이 새겨지고 내경을 상광하협으로 형성한 투명한 원통체(310)와, 상기 원통체(310)의 내경에 일치되도록 삽입되는 원추형 코일스프링(320)과, 상기 원추형 코일스프링(320)의 소단부에 위치하는 볼(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KR1019980026339A 1998-07-01 1998-07-01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KR10028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339A KR100281635B1 (ko) 1998-07-01 1998-07-01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339A KR100281635B1 (ko) 1998-07-01 1998-07-01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08A KR19980071908A (ko) 1998-10-26
KR100281635B1 true KR100281635B1 (ko) 2001-02-15

Family

ID=6589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339A KR100281635B1 (ko) 1998-07-01 1998-07-01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77B1 (ko) * 2014-09-26 2016-02-01 한국티앤엠(주) 용접건의 냉각수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08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3488B1 (en) Electrode for welding
HU194376B (en) Small steam generator for industrial and household purposes
KR100281635B1 (ko) 용접기용 냉각수 분배기
US8742284B2 (en) Steam plasma torch
US67493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oling air flow of a gas turbine
US5360032A (en) Control valve assembly
US6345980B1 (en) Gas bolt heater
KR20030043354A (ko) 압력조절식 사출기 금형용 유압실린더의 유압자동조절방법및 그 장치
CN219494959U (zh) 一种具有节流装置的储能温控系统
KR100825646B1 (ko) 전로의 후드압 제어장치
JP4201451B2 (ja) ボール弁型オリフィス切換式凝縮液排出装置
KR100292570B1 (ko) 보일러의 순간수압평형장치
SU150543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варки в защитных газах
KR101567188B1 (ko) 전기로 전극 수냉장치 및 그 운전제어방법
EP0722060B1 (en) One way valve
CN215787363U (zh) 一种钨极水冷密封焊枪枪头
CN216780639U (zh) 阳极组件、电子枪以及电子束焊机
CN109990117B (zh) 控制阀及具有其的集成管路
CA2313501C (en) Gas bolt heater
JPH01193508A (ja) 過熱低減器
JPH07232283A (ja) スポット溶接機用電極チップ冷却装置
KR20100006082A (ko) T자형 부싱 및 이를 구비하는 cnc 드릴장치
JP2021109216A (ja) 抵抗溶接機
KR980000742A (ko) 스폿 용접기의 냉각수 차단장치
KR100554733B1 (ko) 고로 출선구 개공기의 탭핑소켓 리크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