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557B1 -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557B1
KR100281557B1 KR1019980002821A KR19980002821A KR100281557B1 KR 100281557 B1 KR100281557 B1 KR 100281557B1 KR 1019980002821 A KR1019980002821 A KR 1019980002821A KR 19980002821 A KR19980002821 A KR 19980002821A KR 100281557 B1 KR100281557 B1 KR 10028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fault
data
failure
manag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906A (ko
Inventor
유재형
윤학수
임영숙
김기응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0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5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557B1/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가입자가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가입자 호 처리만 담당하는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중요 장애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써 통신망 자원의 이용을 극대화시키고, 가입자에게 지속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수의 모국교환기와 다수의 원격교환기(자국교환기)로 구성되는 통신망에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 저장하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 상기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에 의해 추출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 및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바람직하게는 장애 발생 현황)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원격 교환시스템 등의 장애 관리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FAULT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전화 교환망을 구성하는 모국교환기(ESS : Electronic Switching System)로부터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RSS : Remote Switching System)에 대한 장애 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고, 발생된 장애를 원격교환기 감시 화면으로 실시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용이하게 원격교환기의 운영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장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의 운용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시내교환망 관리시스템은 시내교환망을 구성하는 전자교환기로부터 전자교환기 및 교환망의 제반 상태(즉, 고장 및 통화량 통계 등)에 관한 메시지 출력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하여 트래픽 흐름 및 주요 장애 데이터를 실시간 감시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에 트래픽 흐름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내교환망 관리시스템은 가입자 호 처리 및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시스템과 이들 시스템을 연결하는 트렁크 그룹으로 구성되어 전화국사내에 설치된 교환기만을 관리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농어촌 지역의 무인국사에 설치된 소형의 원격교환기를 별도로 집중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원격교환기(RSS)는 전기통신망의 구성 자원중 하나로서 가입자가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가입자 호 처리를 담당하는 교환기로서, 호 중계 기능은 원격교환기를 수용하고 있는 모국교환기가 담당한다.
그러나, 원격교환기의 장애는 바로 교환기에 수용된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원할하게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체 통신망 자원의 이용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원격교환기의 상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하며, 감지된 원격교환기에 대하여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관리자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국교환기로부터 원격교환기에 대한 장애 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여 이를 원격교환기의 감시 화면으로 실시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용이하게 전체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입자가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가입자 호 처리만 담당하는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중요 장애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써 통신망 자원의 이용을 극대화시키고, 가입자에게 지속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상기 도 1의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상기 도 1의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상기 도 1의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 20 :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
30 :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 40 :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모국교환기와 다수의 원격교환기(자국교환기)로 구성되는 통신망에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 저장하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 상기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에 의해 추출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 및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바람직하게는 장애 발생 현황)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화 교환망의 구성요소의 일부분으로 가입자가 적은 지역에 설치 운영되는 무인국사내의 원격 교환시스템을 대상으로 이의 상태를 감시하여 장애 발생 상황을 감지하는 무인국사내의 원격 교환기 장애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 교환망을 구성하는 전자교환기(ESS : Electronic Switching System)로부터 무인국사에 설치되어 가입자 호 처리를 담당하는 원격교환기(RSS)에 대한 장애 출력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하여 주요 장애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원격교환기의 장애 발생 여부를 즉시 감시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전테 통신망 자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가입자에게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10)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 저장하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와,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에 의해 추출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와,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바람직하게는 장애 발생 현황)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40)를 포함한다.
도 2 는 상기 도 1의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1"은 데이터통신부, "22"는 메시지 수집 및 분류부, 및 "23"은 메시지 저장부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모국교환기 및 원격교환기로 구성된 전화 교환망내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수집하여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하여 메시지 저장부(23)에 저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21)와, 데이터 통신부(21)를 수신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중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하는 메시지 수집 및 분류부(22)와, 메시지 수집 및 분류부(22)에서 추출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부(23)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21)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 교환망내의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 수집 및 분류부(22)는 데이터 통신부(21)에서 수집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중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장애 메시지는 메시지 저장부(23)에 저장된다.
도 3 은 상기 도 1의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31"은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 "32"는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부, "33"은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34"는 원격교환기 식별정보 저장부를 각각 나타낸다.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의 메시지 저장부(23)에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한 후, 원격교환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하여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의 메시지 저장부(23)에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하는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31)와,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31)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부(32)와,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와, 장애 메시지의 특정 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와의 연관관계를 저장하고, 이 정보를 참조하여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부(32)에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원격교환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원격교환기 식별정보 저장부(34)를 포함한다.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31)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부(20)의 메시지 저장부(23)에 저장된 장애 메시지를 분석하여 장애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산출한다.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부(32)는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31)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탐지한다.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는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부(31)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탐지하기 위해 장애 메시지의 특정 데이터 및 원격교환기와의 연관 관계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식별하는데, 이를 위하여 원격교환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원격교환기 식별정보 저장부(34)를 구비한다.
도 4 는 상기 도 1의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41"은 원격교환기 운용상태 표시부, "42"은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부, 및 "43"은 그래픽 화면 출력부를 각각 나타낸다.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40)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의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장애관리 데이터로부터 원격교환기의 장애 발생 현황을 그래픽 화면으로 출력하여 전체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린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부(40)는,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장애관리 데이터로부터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그래픽 화면 출력부(43)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운용 상태 표시부(41)와,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장애관리 데이터로부터 원격교환기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보여주는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부(42)와, 원격교환기 운용 상태 표시부(41)와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부(42)로부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그래픽으로 출력하기 위한 그래픽 화면 출력부(43)를 포함한다.
원격교환기 운용 상태 표시부(41)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부(30)내의 장애관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래픽 화면 출력부(43)로 출력한다.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부(42)는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보여준다.
그래픽 화면 출력부(43)는 장애관리 데이터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입자가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가입자 호 처리만 담당하는 무인국사내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장애 발생 즉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교환망 자원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수용 가입자의 통신 서비스 이용의 불편을 해소하며, 지속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모국교환기와 다수의 원격교환기(자국교환기)로 구성되는 통신망에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 저장하는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
    상기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에 의해 추출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 및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바람직하게는 장애 발생 현황)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은,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모국교환기로부터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수단;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중 장애 관리에 필요한 메시지만을 추출하는 메시지 수집 및 분류수단; 및
    상기 메시지 수집 및 분류수단에서 추출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시지 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구축수단은,
    상기 실시간 장애 데이터 수집수단에 저장된 장애 및 경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장애 관리에 필요한 장애관리 데이터를 산출하는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수단;
    상기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감지하는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수단;
    상기 메시지 분석 및 장애관리 데이터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장애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애관리 데이터 저장수단; 및
    장애 메시지의 특정 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와의 연관관계를 저장하고, 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 감지수단에서 장애가 발생한 원격교환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원격교환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원격교환기 식별정보 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교환기 상태 감시수단은,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장애관리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원격교환기의 운용 상태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출력하는 원격교환기 운용 상태 표시수단;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장애관리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장애 발생 원격교환기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보여주는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수단; 및
    상기 원격교환기 운용 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장애관리 데이터 분석수단으로부터의 장애관리 데이터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교환기 장애 관리시스템.
KR1019980002821A 1998-02-02 1998-02-02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KR10028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821A KR100281557B1 (ko) 1998-02-02 1998-02-02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821A KR100281557B1 (ko) 1998-02-02 1998-02-02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906A KR19990068906A (ko) 1999-09-06
KR100281557B1 true KR100281557B1 (ko) 2001-02-15

Family

ID=6589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821A KR100281557B1 (ko) 1998-02-02 1998-02-02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622B (zh) * 2021-11-08 2023-07-25 深圳市锦昊安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故障监测的交换机及交换机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57A (ko) * 1992-11-27 1994-06-25 정용문 원격 정보처리를 위한 다단계 탄뎀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57A (ko) * 1992-11-27 1994-06-25 정용문 원격 정보처리를 위한 다단계 탄뎀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906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6804B (zh) 电力系统终端通信接入网告警集中监控系统及方法
CN108335449B (zh) 一种基于云平台的电气火灾联网监控系统
US5872911A (en) Method and system of service impact analysi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1007433B (zh) 基于物联网的智慧用电安全监管系统
CN105049223B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WO1997024839A9 (en) Fault impact analysis
CN100409125C (zh) 一种监控系统
CN212970114U (zh) 一种综合式电气设备智能监控系统
CN213934618U (zh) 一种多协议数据中心机房环境监控系统
CN105205591A (zh) 一种智能监控方法及系统
CN201022199Y (zh) 一种综合网管装置
CN115208059A (zh) 一种变电站动力与环境监控告警处理系统及方法
KR100281557B1 (ko) 무인국사내의원격교환기장애관리시스템
CN108683253A (zh) 一种输变电设备全景监视方法
FI104032B (fi) Menetelmä televerkon vianhallintaan ja telejärjestelmä
CN102195824B (zh) 数据业务系统退服告警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761234B1 (ko) 관제 서비스 간 연동을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방법
KR100272006B1 (ko) 교환기의 경보/과부하 트래픽데이터를 중앙집중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194181B1 (ko) 시내 교환망 관리시스템
KR20000061000A (ko) 교환망에 대한 지능형 서비스 감시 방법
TWI433062B (zh) Heterogeneous alarm message integration analysis and monitoring system
CN113783710B (zh) 基于自学习判据的过程层网络故障定位方法和装置
KR19990079110A (ko)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KR100221533B1 (ko) 분산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분산처리를 통한 경보통계 방법 및 경보 데이터 처리방법
RU40559U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етей "спайд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