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111B1 - 신호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신호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111B1
KR100281111B1 KR1019970067043A KR19970067043A KR100281111B1 KR 100281111 B1 KR100281111 B1 KR 100281111B1 KR 1019970067043 A KR1019970067043 A KR 1019970067043A KR 19970067043 A KR19970067043 A KR 19970067043A KR 100281111 B1 KR100281111 B1 KR 10028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pacitance
oscillator
resonance frequency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378A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6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1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11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2가지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 복수개의 버랙터 다이오드, 복수개의 컨덴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제 2 저항으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출력하는 전압회로와, 상기 전압회로의 제 1, 제 2 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외부 PLL 회로와, 상기 전압회로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하여 외부 PLL회로에 인가하는 오실레이터 오실레이터와, 상기 전압회로에서 오실레이터로 인가되는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두 라인에 각각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는 제 1,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단자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 2 컨덴서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입력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 발생회로{SINGAL GENERATOR}
본 발명은 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가지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신호 발생회로는 CR 발진회로, LC 발진회로, 수정 발진회로라고 하는 기본적인 것부터 디지탈 회로의 클럭회로나 여러 가지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 많은 종류가 있다.
수십년 전까지 자동차용 스테레오나 카세트 라디오의 튜너 부분에는 주로 LC 발진회로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주파수의 안정성이 나쁘고, 시간이 지나면 변동하기도 하며, 주파수의 설정도 가변 콘덴서를 사용하여 아날로그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주파수를 디지털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주파수의 안정성이 좋고, 주파수의 설정을 쉽게 할 수 있는 PLL 주파수 신시사이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외에 트랜시버에서는 수정 발진회로를 다수 사용하여 전환하고 있던 것을 PLL 주파수 수신사이저로 치환함으로써 저가격으로 다채널을 실현하고 있다.
이 PLL이라는 기술이 새로운 기술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어 1930년대에는 동기 검파식 라디오 수신기로 이미 연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PLL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좀처럼 보급되지 않았다.
현재는 IC 기술의 급속한 진보 덕분으로 PLL용 IC도 저가격으로 입수할 수 있게 되어 TV, 라디오, 스테레오 등의 민수기기, 모터의 속도 제어나 근년에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무선 전화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신호 발생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L), 버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VD1, VD2), 복수개의 컨덴서(C1, C2, C3),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1, R2)으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출력하는 전압회로(11)와, 상기 전압회로(11)의 저항(R1, R2)사이에 연결되는 외부 PLL(Phase Locked Loop) 회로(12)와, 상기 전압회로(11)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하여 외부 PLL 회로(12)에 인가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실레이터(13)는 반도체 IC(14)의 내부에 구성된다.
상기와 구성된 종래의 신호 발생회로의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에 인가되는 역방향 전압에 따라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달라져 오실레이터(13)에 인가되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Inductance)값의 공진주파수가 생겨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공진 주파수 f_0는 다음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토탈 커패시턴스, L은 코일의 리액턴스)이다.
그리고 토탈 커패시턴스는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의 커패시턴스 Cv는 오실레이터(13)의 공진 주파수 f_0가 외부 PLL 회로(12)에 인가되면, 상기 외부 PLL 회로(12)내부의 프리스칼라(Prescaller)와 위상 디텍터(Phase Detector) 등을 거쳐 출력으로서 DC 전압을 저항(R1, R2)을 거쳐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에 인가된다.
도 2는 토탈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기 위하여 반도체 IC의 기생 커패시턴스까지 고려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2의 등가회로도에 의한 토탈 커패시턴스는
Figure pat00002
(여기서, Cpp는 핀(Pin)에서 핀(Pin)의 커패시턴스이고, CPG는 핀(Pin)에서 그라운드(Ground)의 커패시턴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Band width)이 좁아 공진 주파수가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 고정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국형 셀룰러 폰(Cellular Phone)에서 중간 주파수(Intergrated Frequency : IF)는 85.38MHz로서 탱크 오실레이터는 2배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는데 170.76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PCS 폰에서는 중간 주파수(IF)가 210.38MHz로서 공진 주파수는 420.76MHz가 필요하므로 두 모드(셀룰러 폰과 PCS 폰) 겸용을 만들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토탈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기 위하여 반도체 IC의 기생 커패시턴스까지 고려한 등가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압회로 22 : 외부 PLL 회로
23 : 오실레이터 24,25 : 트랜지스터
26,27 : 컨덴서 28 : 반도체 I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발생회로는 코일, 복수개의 버랙터 다이오드, 복수개의 컨덴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제 2 저항으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출력하는 전압회로와, 상기 전압회로의 제 1, 제 2 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외부 PLL 회로와, 상기 전압회로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하여 외부 PLL회로에 인가하는 오실레이터 오실레이터와, 상기 전압회로에서 오실레이터로 인가되는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두 라인에 각각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는 제 1,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단자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 2 컨덴서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입력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발생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L), 버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VD1, VD2), 복수개의 컨덴서(C1, C2, C3),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R1, R2)으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출력하는 전압회로(21)와, 상기 전압회로(21)의 저항(R1, R2) 사이에 연결되는 외부 PLL(Phase Locked Loop) 회로(22)와, 상기 전압회로(21)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하여 외부 PLL 회로(22)에 인가하는 오실레이터(Oscillator)(23)와, 상기 전압회로(21)에서 오실레이터(23)로 인가되는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두 라인에 각각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는 제 1, 제 2 트랜지스터(24,25)와,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24,25)의 드레인과 접지단자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 2 컨덴서(26,27)와,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24,25)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입력 신호(PCS)(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실레이터(23) 및 제 1, 제 2 트랜지스터(24,25) 그리고 제 1,제 2 컨덴서(26,27)는 반도체 IC(28)의 내부에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호 발생회로는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에 인가되는 역방향 전압에 따라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달라져 오실레이터(23)에 인가되는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Inductance)값의 공진주파수가 생겨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3
(여기서 C는 토탈 커패시턴스, L은 코일)로서 높은 공진 주파수는 높은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L과 C를 정한다.
그리고 토탈 커패시턴스는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의 커패시턴스 Cv는 오실레이터(23)의 공진 주파수 f_0가 외부 PLL 회로(22)에 인가되면, 상기 외부 PLL 회로(22)내부의 프리스칼라(Prescaller)와 위상 디텍터(Phase Detector) 등을 거쳐 출력으로서 DC 전압을 저항(R1, R2)을 거쳐 버랙터 다이오드(VD1, VD2)에 인가된다.
한편, 반도체 IC(28) 내부의 제 1, 제 2 컨덴서(26,27)는 낮은 공진 주파수에 맞도록 커패시턴스의 값을 미리 세팅(Setting)된다.
그리고 제어 입력신호 PCS는 로직 레벨(Logic Level)이 하이(High)일 때 낮은 대역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로직 레벨이 로우(Low)일 때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4
이면,
먼저, 제어 입력신호 PCS가 High일 때 토탈 커패시턴스 C는
Figure pat00005
이고,
그리고 제어 입력신호 PCS가 Low일 때 토탈 커패시턴스 C는
Figure pat00006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하나의 LC 시정수 값으로 2가지 이상의 중간 주파수(IF)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셀룰러 폰과 PCS 폰등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일, 복수개의 버랙터 다이오드, 복수개의 컨덴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제 2 저항으로 구성되어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 값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조정회로와,
    상기 조정회로의 제 1, 제 2 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외부 PLL 회로와,
    상기 조정회로의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 값을 받아 공진주파수를 발생하여 외부 PLL회로에 인가하는 오실레이터와,
    상기 조정회로에서 오실레이터로 인가되는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두 라인에 각각 드레인 단자가 연결되는 제 1,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단자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제 2 컨덴서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제어입력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컨덴서는 낮은 공진 주파수에 맞도록 커패시턴스의 값을 미리 세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 및 제 1, 제 2 트랜지스터 그리고 제 1, 제 2 컨덴서는 반도체 IC의 내부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발생회로.
KR1019970067043A 1997-12-09 1997-12-09 신호발생회로 KR10028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043A KR100281111B1 (ko) 1997-12-09 1997-12-09 신호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043A KR100281111B1 (ko) 1997-12-09 1997-12-09 신호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378A KR19990048378A (ko) 1999-07-05
KR100281111B1 true KR100281111B1 (ko) 2001-02-01

Family

ID=6608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043A KR100281111B1 (ko) 1997-12-09 1997-12-09 신호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1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37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4351B1 (en) Lc oscillator with wide tuning range and low phase noise
US6906596B2 (en) Oscillation circuit and a communic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474166B2 (en) PLL frequency synthesizer circuit and frequency tuning method thereof
US74234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113112B (fi) Menetelmä oskillaattorin säätämiseksi
US20030227341A1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frequency synthesizer
JP4089938B2 (ja) 電圧制御発振器
JP3264811B2 (ja) 電圧制御可変同調回路
KR0153379B1 (ko) 디지탈 무선통신시스템의 업/다운컨버터용 전압제어발진기
US20060220757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mmunication
US6157821A (en) Voltage step up for a low voltage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JP3854912B2 (ja) 発振回路
US6836193B1 (en) Discretely variable capacitor f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uning
US20020090917A1 (en) Frequency synthesizer and method of generating frequency-divided signal
US7519342B2 (en) Tunable tracking filter
KR100281111B1 (ko) 신호발생회로
US20020109555A1 (en) Voltage-controlled variable tuning circuit for switching an oscillation frequency band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20080079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Local Oscillator (LO) Generator Architecture For Multi-Band Wireless Systems
EP1097512A2 (en) Multifrequency low-power oscillator for telecommunication ic's
KR20080029680A (ko) 이중 대역 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합성기
JP2944520B2 (ja) 無線電話装置
JP4277154B2 (ja) 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シンセサイザ受信機
JPH10107545A (ja) 電圧制御発振器
JP2001203603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用電圧制御発振器
JP2003324365A (ja) 高周波受信用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高周波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