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307B1 -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 Google Patents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307B1
KR100280307B1 KR1019970046706A KR19970046706A KR100280307B1 KR 100280307 B1 KR100280307 B1 KR 100280307B1 KR 1019970046706 A KR1019970046706 A KR 1019970046706A KR 19970046706 A KR19970046706 A KR 19970046706A KR 100280307 B1 KR100280307 B1 KR 10028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hicle speed
spool
solenoid valv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175A (ko
Inventor
김제덕
이병조
Original Assignee
밍루
주식회사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루, 주식회사만도 filed Critical 밍루
Priority to KR101997004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3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30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풀의 상,하측에 바이패스 오리피스와 입력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저속시 스풀의 위치가 입력 오리피스 및 바이패스 오리피스의 유로를 차단하고 고속시에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챔버에 압력이 발생하여 스풀의 상승으로 유로를 차단하여 조타특성이 향상되는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압력제어밸브(1)와, 상기 압력제어밸브(1)와 연결되는 스풀(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를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니트(4)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4)에 연결되고 차속을 감지시키는 차속센서(5)와, 상기 압력제어밸브(1)에 연결되는 파워 실린더(6)와 유압펌프(7) 및 리턴부(8),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에는 상기 스풀(2)의 상하측으로 바이패스 오리피스(10)와 입력 오리피스(11)가 형성되어 압력챔버(12)에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스풀(2)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차단하여 압력상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
본 발명은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스풀을 동작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풀의 상측으로 바이패스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입력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챔버에 압력이 발생하여 스풀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차단토록 함으로써 압력상승이 억제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차속 감응형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핸들의 조타력을 조절하는 차속 감응형 전자제어 스티어링장치는 차속에 따라서 전자제어 유니트가 압력제어밸브내의 스풀을 솔레노이드 밸브로 동작시켜 압력을 조절하므로서 차속이 증가하면 핸들의 조타력을 무겁게하고, 차속이 감소하면 핸들의 조타력을 가볍게하여 고속 주행시 안정감을 주고 저속시 조타력을 가볍게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력제어밸브(201)와 연결되는 스풀(20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솔레이드 밸브(203)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203)를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니트(204)와, 이 전자제어 유니트(204)에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센서(205)가 연결 구성되며, 압력제어밸브(201)에는 파워 실린더(206)와 유압펌프(207) 및 리턴부(208)가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종래의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차속센서(205)가 감지하면 이 신호를 전자제어 유니트(204)에서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3)를 동작시키게되어 스풀(202)이 동작된다.
이로써 압력제어밸브(201)의 유압이 조절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에서는 핸들의 조타력이 무겁게 되도록 압력(P)이 높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차속에 따라 압력제어밸브에 의해 유압이 바이패스 되도록 하고 있으나, 차속에 따라 제어되는 조타 특성은 기준 압력까지 상승되지 못하므로, 제어 토오크 범위가 더이상 넓어질 수 없었다. 즉, 조타특성이 저하되어 스티어링 장치의 성능과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의 상,하측에 바이패스 오리피스와 입력 오리피스를 형성하여 저속시 스풀의 위치가 입력 오리피스 및 바이패스 오리피스의 유로를 차단하고 고속시에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챔버에 압력이 발생하여 스풀의 상승으로 유로를 차단하여 조타특성이 향상되는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구성에 따른 입출력 특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 압력제어밸브 2: 스풀
3: 솔레노이드 밸브 4: 전자제어 유니트
5: 차속센서 6: 파워 실린더
7: 유압펌프 8: 리턴부
10: 바이패스 오리피스 11: 입력 오리피스
12: 압력챔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압력제어밸브와 연결되는 스풀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에 연결되고 차속을 감지시키는 차속센서와, 상기 압력제어밸브에 연결되는 파워 실린더와 유압펌프 및 리턴부를 구비하는 차속감응형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상기 스풀의 상하측으로 바이패스 오리피스와 입력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압력상승으로 압력챔버에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스풀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차단하여 압력상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에는 파워 실린더(6)와 유압펌프(7)와 리턴부(8)와 연결된 압력제어밸브(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압력제어밸브(1)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가 마련되는데, 이 솔레노이드 밸브(3)는 전자제어유니트와 연결되고, 이 전자제어유니트는 차속센서(5)와 연결된다.
도 4는 이러한 솔레노이드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제어밸브(1)와 연결되는 스풀(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의 내부에는 스풀(2)의 상,하측으로 바이패스 오리피스(10)와 입력 오리피스(11)를 형성된다.
그리고 스풀(2)과 입력 오리피스(11) 사이에는 압력챔버(12)가 형성되어 저속시에는 스풀(2)의 위치가 입력 오리피스(11) 및 바이패스 오리피스(10)의 유로를 차단하고 고속시에는 압력으로 상승으로 압력챔버(12)에 압력이 발생하여 스풀(2)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차단하여 토오크 압력 특성에서 압력상승이 억제되는 현상을 해소하게 된다.
즉, 자동차의 고속 선회주행시 조타력이 과다해져 조향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속센서(5)에 의해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를 동작시켜 스풀(2)을 동작시킴에 따라서 압력제어밸브(1) 내의 압력이 제어되면서 차속에 따라 조타력을 콘트롤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제어압력까지만 발생가능한 압력챔버(12)에 압력이 발생되면 스풀(2)이 상승됨에 따라서 압력상승이 억제되는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속 감응형 전자제어 스티어링 장치는, 압력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네 스풀의 상,하측이 바이패스 오리피스와 입력 오리피스를 형성함으로써 엑츄에이터인 솔레노이드의 입력선이 단선이 되면 차속과 콘트롤러의 기능과 상관없이 고속없이 고속상태의 특성으로만 유지되는 현상을 해소한다. 즉, 압력이 상승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속상태에서 단선이 되어있으면 매우 무거운 조타력을 발생하게 도는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력제어밸브(1)와, 상기 입력제어밸브(1)와 연결되는 스풀(2)을 공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를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니트(4)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에 연결되고 차속을 감지시키는 차속센서(5)와, 상기 압력제어밸브(1)에 연결되는 파워 실린더(6)와 유압펌프(7) 및 리턴부(8)를 구비하는 차속감응형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에는 상기 스풀(2)의 상하측으로 바이패스 오리피스(10)와 입력 오리피스(11)가 형성되어 압력상승으로 압력챔버(12)에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스풀(2)이 상승하면서 유로를 차단하여 압력상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19970046706A 1997-09-11 1997-09-11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KR10028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706A KR100280307B1 (ko) 1997-09-11 1997-09-11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706A KR100280307B1 (ko) 1997-09-11 1997-09-11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75A KR19990025175A (ko) 1999-04-06
KR100280307B1 true KR100280307B1 (ko) 2001-02-01

Family

ID=6604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706A KR100280307B1 (ko) 1997-09-11 1997-09-11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3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75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419A (en) Vehicle speed responsive power steering assembly
EP1614607B1 (en) Power steering system
JP424798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EP1900607B1 (en) Oil pressure supply circuit for industrial vehicle
US5168949A (en) Steering force control system for power steering
KR100280307B1 (ko) 차속감응형파워스티어링장치
JP368904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188067B2 (ja) 動力舵取装置
JPH0243672B2 (ko)
US5090726A (en) Suspension control system
US5012881A (en)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flow dividing valve
JP2547856Y2 (ja) 動力舵取装置
KR960016819B1 (ko) 부하압력보상펌프토출유량제어회로
KR0166181B1 (ko) 전자제어식 동력조향장치의 압력조정밸브
JPH0124664B2 (ko)
JPH08210305A (ja) 油圧制御装置
KR19990025174A (ko)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
JPH05178595A (ja) 産業車両の荷役制御方法
JP3994045B2 (ja) 流量制御装置
KR960012223B1 (ko) 전자제어식 동력조향장치의 압력조정밸브
KR100293062B1 (ko) 파워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 가변장치
US5158149A (en) Steer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power steering system
KR19990032895A (ko) 유압실린더의 충격완화장치
JPH0324883Y2 (ko)
JP2000211539A (ja) 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