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160B1 - 나사 없는 단자대 - Google Patents

나사 없는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160B1
KR100278160B1 KR1019980037846A KR19980037846A KR100278160B1 KR 100278160 B1 KR100278160 B1 KR 100278160B1 KR 1019980037846 A KR1019980037846 A KR 1019980037846A KR 19980037846 A KR19980037846 A KR 19980037846A KR 100278160 B1 KR100278160 B1 KR 10027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main body
hole
terminal block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649A (ko
Inventor
이찬열
Original Assignee
이찬열
화산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열, 화산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찬열
Priority to KR101998003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1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 없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적어도 판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장착한 컨덕터 바를 내부에 조립하여 이룬 본체와, 이 본체에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외부와 격리되도록 조립된 뚜껑체와, 인접하는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사 없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면에 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과, 상기 다수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 하방에 형성되는 테이퍼 구멍과, 경사진 양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한 라벨 부착면과, 중앙에 형성되는 점퍼삽입부 및 그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과, 양측 중앙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부가 바깥쪽으로 벌이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판스프링 유지체와, 상하 중앙 부분에 컨덕터 바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군데에 형성하는 컨덕터 바 유지체와, 하부 양측 부분에, 뚜껑체를 조립하였을 때의 공간부를 없애기 위하여 형성하는 살 두께부와, 하부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배면의 조립구멍과 조립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조립돌기와, 본체 배면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정면에 형성된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되는 개방부 및 돌기턱을 가지는 조립구멍과, 뚜껑체와 조립되기 위하여 본체 전체에 걸친 영역에 테이퍼면 및 오목 테두리홈을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체는, 내측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컨덕터 바 유지홈과, 본체의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과, 상기 다수개의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컨덕터 바는, 상기 본체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구멍과, 양끝단에 상측단을 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케이블 보호용 막음편 및 지지편과, 상기 점퍼구멍 부근에 형성하는 전류량 보상편과, 상측으로 소정의 구부림 각도로 수회 구부려지는 돌출편으로 구성되어 이룬다. 따라서,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하며 설치성이 좋고 컨덕터 바의 삽입 유지강도가 강하며, 점퍼를 슬라이드 삽입하고 그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며 테스터의 테스터 핀 가이드를 형성하여 테스트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하게 접촉하여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객관성 있는 검사의 실시가 가능하며 돌출편을 개선하여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판스프링이 적정한 클램핑 부위를 확보하게 하여 접점 포인트에 위치변동을 최소화함에 따라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사 없는 단자대
본 발명은 나사 없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블이나 점퍼 삽입 시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케이블을 가이딩 및 클램핑하며 컨덕터 바의 형상개선으로 판스프링을 정확하게 단자대에 유지하며 테스터의 테스터 플러그핀과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여 정확한 전기적 검사를 할 수 있는 나사 없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에는 여러개의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하기 위하여 단자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대는 낱개로 사용되거나 다수개의 전극을 접속하는 동체 접속용 이음쇠를 필요한 수대로 갖추어 하나의 단자대 집합물을 이루어 사용하게 된다.
또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 분리하기 위하여 암수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원형 커넥터, 각형 커넥터, 인쇄 배선반용 커넥터, 동축 커넥터로 분류되며, 여러 가닥의 신호선 또는 전선을 일괄 처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종래, 상기 단자대는 나사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조여서 접속하는 방식이었다. 도 1a는 종래 나사식 단자대의 일예인 클램프 단자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눌러조임 단자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0은 나사, 110은 각종 형태로 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클램프를 나타낸다. 이들 단자대 이외에도 터브 단자대, 러그 단자대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를 이용한 단자대의 경우, 그 결선과정에서 나사(100)를 조여서 케이블을 결선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한다. 더구나 결선할 케이블이 많은 회선일 경우에는 그 결선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 나사 없는 단자대(screwless terminal block)이다.
도 2a는 나사 없는 단자대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20은 나사 없는 단자대에 사용되는 판스프링(plate spring)이다. 이 판스프링(120)은 탄성을 발휘하도록 소정 형상으로 구부림 형성되어 있고, 컨덕터 바의 끝단, 케이블 삽입 시 드라이버, 판스프링(120)의 다른 끝단 및 케이블(200)을 삽입할 수 있는 작동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30은 상기 판스프링(120)을 지지하는 컨덕터 바(conductor bar)이다.
도 2b 및 도 2c는 상기 나사 없는 단자대에 케이블(200)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단자대 본체를 나타낸다.
먼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소정의 공구, 예를들면 드라이버(150)를 본체(10)의 드라이버 삽입구멍에 집어넣어 판스프링(120)을 일측으로 젖히면 상기 작동 구멍(122)이 개방되어 케이블(200)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생긴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에 케이블(200)의 끝단을 집어 넣고 상기 드라이버(150)를 빼내면 판스프링(120)이 원위치하여 상기 구멍을 조이게 되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120) 자체의 탄성력으로 케이블(200)을 물어서 케이블(200)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강제 구속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의 나사 없는 단자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 나사 없는 단자대는 10여개 이상으로 한 군(群)을 이루어 설치되는데, 이때 맨 바깥쪽의 단자대에만 뚜껑체가 씌워지게 때문에 완성품임에도 불구하고 외관이 엉성하여 반제품 같은 느낌을 준다.
2. 1바디(본체) 1뚜껑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 개소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
3. 라벨부착부가 삽입식으로 되어 있어 라벨부착이 까다롭고 특수 라벨을 사용함에 따라 성형성도 나쁘고 단가가 상승한다.
4. 여러 개의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body)와의 결합방식이 까다롭게 되어 있고, 뚜껑체에 컨덕터 바 삽입 유지홈이 없기 때문에 컨덕터 바의 삽입 유지강도가 약하다.
5. 본체와 본체를 통전하기 위한 점퍼(jumper)를 삽입하는 홈이 뚜껑체에 없기 때문에 점퍼 유지가 불안정하다.
6. 테스터기의 테스트 핀을 꼽을 때에 아무런 가이드 수단이 없기 때문에 테스트에 요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테스터기의 테스트 핀의 접촉부위가 불안정하여 테스트 시, 객관성 있는 검사가 어렵고 원하는 검출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불안정한 테스트를 초래한다.
7. 케이블(200)을 클램핑하는 판스프링(120)이 적정한 클램핑 부위를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케이블(200)에 진동이 부여될 경우, 접점 포인트에 위치변동을 가져오고 이에 따라 접촉불량(스파크)이 생기며 심할 경우에는 판스프링(12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선장치 구조상의 결함으로 전기기구의 단선의 원인이 된다.
8. 소선이나 단선 케이블을 막론하고, 케이블(200)을 꽂아 넣을 때에 아무런 가이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100% 완벽한 세팅을 보장할 수 없다.
9. 점퍼구멍이 같은 단면 상에 병렬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되고 단면적에 차이가 생겨 그 부분에 흐르는 통전량이 불균일하여 전기적 안정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나사 없는 단자대가 가지고 잇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블이나 점퍼 삽입 시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케이블을 가이딩 및 클램핑하며 컨덕터 바의 형상개선으로 판스프링을 정확하게 단자대에 유지하며 테스터의 테스터 플러그핀과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여 정확한 전기적 검사를 할 수 있는 나사 없는 단자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 나사식 단자대의 일예인 클램프 단자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눌러조임 단자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나사 없는 단자대의 개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 및 도 2c는 상기 나사 없는 단자대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의 뚜껑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의 뚜껑을 씌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4d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4e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4f는 도 4a의 D-D선 단면도
도 5는 뚜껑체의 결합돌기를 받아들여서 뚜껑체와 본체를 조립하기 위한 결합구멍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본체를 나타낸 배면도
도 6b는 조립구멍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6c는 조립돌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컨덕터 바를 나타낸 정면도
도 7b는 그 저면도
도 7c는 일부 확대도
도 7d는 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점퍼를 나타낸 정면도
도 8b는 그 측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점퍼의 일부품을 나타낸 정면도
도 8d는 그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뚜껑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9b는 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수개의 나사없는 단자대가 레일 상에 일괄 설치될 경우의 점퍼 삽입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케이블 삽입구멍
13 :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
14 : 드라이버 삽입구멍 16 : 접촉방지편
15,15a : 점착성 라벨 부착면 15b : 점착성 라벨
17 : 조립구멍 17a : 개방부
17b : 돌기턱 18 : 테이퍼 구멍
20 : 유지체 30 : 결합구멍
32 : 공구홈 33 : 테이퍼면
34 : 오목 테두리홈 41,42 : 컨덕터 바 유지체
50 : 조립돌기 50a : 조립구멍
52 : 테두리턱 62 : 살 두께부
64 : 단턱 65 : 단턱
64a : 테이퍼 가이드면 64b : 연장부
120 : 판스프링 122 : 작동 구멍
130 : 컨덕터 바(conductor bar) 132 : 점퍼구멍
133 : 막음편 134 : 지지편
135 : 전류량 보상편 136 : 돌출편
136a : 제 1곡선부 136b : 제 2곡선부
136c : 돌출 부위 136d : 모따기면
136f,136g : 테이퍼면 150 : 드라이버
200 : 케이블 300 : 뚜껑체
302 :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 304,304a : 점퍼삽입부
306,306a : 경사면 308 : 격벽
310 : 가이드면 320 : 돌기
322 : 테두리턱 330 : 컨덕터 바 유지홈
400 : 점퍼 410 : 점퍼핀
414 : 리벳구멍 415 : 모따기
420 : 탄성편 423 : 구부림부
430 : 손잡이부 432 : 제 1스토퍼
434 : 제 2스토퍼 440 : 드라이버 삽입홈
500 : 레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는,
적어도 판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장착한 컨덕터 바를 내부에 조립하여 이룬 본체와, 이 본체에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외부와 격리되도록 조립된 뚜껑체와, 인접하는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사 없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면에 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과, 다수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 하방에 형성되는 테이퍼구멍과, 경사진 양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한 라벨 부착면과, 중앙에 형성되는 점퍼삽입부 및 그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과, 양측 중앙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부가 바깥쪽으로 벌이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판스프링 유지체와, 상하 중앙 부분에 컨덕터 바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군데에 형성하는 컨덕터 바 유지체와, 하부 양측 부분에, 뚜껑체를 조립하였을 때의 공간부를 없애기 위하여 형성하는 살 두께부와, 하부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배면의 조립구멍과 조립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조립돌기와, 본체 배면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정면에 형성된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되는 개방부 및 돌기턱을 가지는 조립구멍과, 뚜껑체와 조립되기 위하여 본체 전체에 걸친 영역에 테이퍼면 및 오목 테두리홈을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체는,
내측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컨덕터 바 유지홈과, 본체의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과, 상기 다수개의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컨덕터 바는,
상기 본체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구멍과, 양끝단에 상측단을 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케이블 보호용 막음편 및 지지편과, 상기 점퍼구멍 부근에 형성하는 통전량 보상편과, 상측으로 소정의 구부림 각도로 수회 구부려지는 돌출편으로 구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다수개의 구멍은 적어도 케이블 삽입구멍,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 드라이버 삽입구멍을 포함하며, 점퍼삽입부는 그 일측에 격벽을 형성하여 점퍼의 오삽입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 상면과 점퍼삽입부의 측면이 만나는 부위를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 하부에 점퍼의 점퍼핀 및 탄성편을 슬라이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점퍼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며, 상기 드라이버 삽입구멍의 하부에 드라이버의 임의 삽입으로 인한 타 부품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방지편을 더 형성하여 드라이버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일지라도 뚜껑체에 직접 접촉하는 현상을 미리 예방하여 뚜껑체가 임의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컨덕터 바의 안쪽 측부에는 케이블 인입 가이드용 테이퍼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컨덕터 바의 돌출편은 그 상끝단을 모따기면으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소정의 아르(R)를 가지는 제 1곡선부, 제 2곡선부 및 상기 제 2곡선부의 바깥쪽을 돌출 부위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을 정확하게 가이드하고 케이블 클램핑 시 정확한 접점 포인트를 확보하거나 판스프링을 정위치에 장착시키며, 상기 점퍼는 통전용 점퍼핀과 고정되는 삽입유지용 탄성편 및 이들 통전용 점퍼핀과 삽입유지용 탄성편의 상단부를 인서트 몰딩으로 감싸는 손잡이부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점퍼구멍에 삽입되어 그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1군데 이상의 구부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통전용 점퍼핀과 삽입유지용 탄성편의 고정은 다수개의 리벳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퍼 삽입량을 규제하기 위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스토퍼 및 용이하게 점퍼구멍으로부터 해체하기 위한 공구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제작 코스트나 용이해체면에서 유리하며, 점퍼핀은 그 끝단에 모따기를 형성하여 점퍼가 용이하게 컨덕터 바의 점퍼구멍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있고,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배면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거나, 마운팅 레일에 밀착 조립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 각각에 뚜껑체가 씌워지게 때문에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하며 라벨부착부가 접착성 라벨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교체 및 사양 변경이 자유롭고 단가가 저렴하며, 여러 개의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와의 결합방식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어서 설치성이 좋고, 뚜껑체에 컨덕터 바 삽입 유지홈 및 본체와 본체를 통전용 점퍼를 삽입유도하기 위한 점퍼 삽입부가 있기 때문에 컨덕터 바의 삽입 유지강도가 강한 한편 점퍼 유지가 안정적이고, 본체 중앙에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점퍼를 슬라이드 삽입하고 그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고, 테스터의 테스터 핀 가이드를 형성하여 테스트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하게 접촉하여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객관성 있는 검사의 실시가 가능하며 상기 컨덕터 바는 판스프링을 정확하게 고정 유지하여 고장 발생률을 낮추었으며 컨덕터 바의 돌출편을 개선하여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판스프링이 적정한 클램핑 부위를 확보하게 하여 접점 포인트에 위치변동을 최소화함에 따라 접촉불량을 방지하며, 케이블 가이드 수단을 채택하여 100% 완벽한 세팅을 보장하며 점퍼 구멍이 종방향으로 직렬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강화되는 한편 그 부근에 통전량보상편을 형성하여 단면적 차이로 인한 통전량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설명과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의 뚜껑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의 뚜껑을 씌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4d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4e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4f는 도 4a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같은 나사 없는 단자대는 필요에 따라 그 접속단자의 수가 2P, 3P, 4P...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응용가능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2P형의 나사 없는 단자대(이하, '단자대'라 약칭함)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2P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나머지 3P,4P 등의 단자대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0) 내에는 판스프링(120)을 탄성적으로 장착한 컨덕터 바(130)가 설치되고 뚜껑체(300)가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외부와 격리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사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들이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다. 이 단자대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서 왼쪽부분 쪽만을 왼쪽에서부터 설명하면, 케이블 삽입구멍(12),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13), 드라이버 삽입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에는 드라이버 삽입구멍(14),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13), 케이블 삽입구멍(12)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면 및 상면 중앙은 라벨부착면으로서 경사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 끼워맞춤식에서 점착성 라벨 부착면(15)으로 교체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10) 상면의 중앙은 일부절결되어 점퍼삽입부(304)를 이루고 있고 절결된 하부에는 점퍼(400)를 꼽기 위한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이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이 종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상기 점퍼삽입부(304)의 일측에는 격벽(308)을 형성하여 점퍼(400)가 일정 깊이만 삽입되도록 하고 점퍼(400)의 꽂음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에 점퍼(400)의 삽입 시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과 점퍼삽입부(304)의 측면이 만나는 부위를 경사면(306)으로 하고 있다. 부호 310은 후술하는 점퍼의 점퍼핀 및 탄성편을 슬라이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이다.
정면에서 보아 본체(10) 양측의 중앙에는 각각의 판스프링(120)의 수에 대응하여 이 판스프링(120)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부가 바깥쪽으로 벌이지는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부호 30은 뚜껑체(300)와 결합하기 위하여 본체(10)의 군데군데에 형성한 다수개의 결합구멍이다. 본체(10)의 중앙 부분에는 컨덕터 바(130)를 유지하기 위하여 컨덕터 바 유지체(41),(42)가 형성되고 아래 부분은 뚜껑체(300)를 조립하였을 때 측면에서 보아 공간부를 없애기 위하여 살 두께부(62)를 일체형성하고 있다.
상기 뚜껑체(300)에 있어서 원래의 숫자에 영문 'a'를 덧붙인 각각의 부호 15a, 304a, 306a는 본체(1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 즉 점착성 라벨 부착면(15), 점퍼삽입부(304), 경사면(306)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의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이다. 이 뚜껑체(300)의 특징은 내측에 상기 컨덕터 바(130)를 유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컨덕터 바 유지홈(33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도 9a 참조).
그리고 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본체(10)의 배면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돌기(5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덕터 바(130)의 양측에는 판스프링(120)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본체(10)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에 대응하는 점퍼구멍(132)이 점퍼핀의 수에 대응하여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133은 케이블(200) 끝단이 조여질 때에 피복이 벗겨진 부분을 외보와 격리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막음편이다.
이 막음편(133)은 단면이 'ㄴ'자형상으로 되어 판스프링(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34)과 일체 형성된다.
부호 32는 본체(10)를 후술하는 마운팅 레일(500)에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에 사용되는 공구(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홈, 64,65는 레일에 걸리는 단턱, 64a는 상기 단턱(64)의 입구면에 형성되는 테이퍼 가이드면, 64b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운팅 레일에 긴밀하게 조립되기 위하여 단턱과 대향하도록 연장형성한 연장부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체(10)의 하단부는 본체(10)에 뚜껑체(300)를 조립하였을 때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살 두께부(62)를 형성하고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드라이버(150)를 상기 드라이버 삽입구멍(14)에 삽입할 때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으면 뚜껑체(300)의 측부와 접촉하여 뚜껑체(30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방지편(16)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버 삽입구멍(14)의 하방에는 테이퍼 구멍(18)을 형성하여 케이블(200)을 삽입했을 때에 원활하게 케이블이 집속되어 판스프링(120)과 컨덕터 바(130)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뚜껑체의 결합돌기를 받아들여서 뚜껑체(300)와 본체(10)를 조립하기 위한 결합구멍(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 33은 결합돌기를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면, 34는 결합구멍(30)의 중간부위에 형성한 오목 테두리홈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본체(10)를 나타낸 배면도, 도 6b는 조립구멍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6c는 조립돌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특징은 인접하는 다른 본체(10)와 조립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된 점이다. 부호 17은 인접하는 다른 본체(10)의 정면에 형성된 조립돌기(50)와 조립되는 조립구멍, 52는 상기 조립돌기(50)의 끝단에 고리형으로 형성된 테두리턱이다. 상기 조립구멍(17)은 한쪽이 개방된 개방부(17a)를 이루며 그 입구단에는 돌출된 돌기턱(1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돌기(50)를 개방부(17a)를 통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돌기턱(17b)이 조립돌기(50)를 물어서 임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컨덕터 바(130)를 나타낸 정면도, 도 7b는 그 저면도, 도 7c는 일부 확대도, 도 7d는 그 측면도이다.
컨덕터 바(130)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2개의 점퍼구멍(132)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점퍼(400) 조립방식에서 크게 변화된 방식으로서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강도가 매우 향상된다. 본 발명의 컨덕터 바(130)는 점퍼구멍(132)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실되는 통전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통전량 보상편(135)을 90도 각도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점퍼구멍(132)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실되는 통전량이 보상되어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된다.
또 이들 도면에서 부호 136은 상측으로 소정의 구부림 각도로 수회 구부려지는 돌출편이다. 이 돌출편(136)은 판스프링(120)을 유지하면서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13)으로 테스터기의 테스터 플러그 핀을 원활히 가이드하거나 접촉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부호 136a는 소정의 아르(R)를 가지는 제 1곡선부로서 휘어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테스터기의 테스터 플러그 핀과 정확하게 접촉한다. 136b는 오목하게 들어간 제 2곡선부로서 판스프링(120)의 한 끝단을 받아들여서 유동이 없도록 하고 있다. 136c는 상기 제 2곡선부의 바깥쪽을 구성하는 돌출 부위로서 케이블(200)을 고정할 때에 정확한 클램핑력을 발휘하여 케이블 요동 시 접점포인트에 위치변동을 없게 하고 있다. 즉 접촉불량이 없게 하고 있다.
또 이 돌출편(136)의 상끝단은 모따기면(136d)으로 형성하여 테스트 플러그를 삽입할 때에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고, 도 7d를 참조하면, 컨덕터 바(130) 안쪽 측부에 테이퍼면(136f)을 형성하여 소선이나 단선 케이블일 경우에 전선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다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막음편(133)의 상측단도 테이퍼면(136f)으로 형성하여 판스프링(120) 작동 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점퍼를 나타낸 정면도, 도 8b는 그 측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점퍼의 일 부품을 나타낸 정면도, 도 8d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410은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을 통과하여 점퍼구멍(132) 내에 삽입되는 점퍼핀, 420은 상기 점퍼핀(410)의 측부에 탄성 고정되어 점퍼구멍(132)에 고정됨으로써 점퍼(400)를 컨덕터 바(130)에 고정 유지하는 탄성편이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연결편(412)을 통하여 한쪽이 연결되어 역(逆) 'U'자형으로 형성된 점퍼핀(410)과, 이 점퍼핀(410)의 측부에 탄성편(420)을 미리 리벳고정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인서트 몰딩으로 합성수지재 손잡이부(430)를 형성하며, 이때 점퍼(400)의 정확한 삽입을 보장하기 위하여 삽입량을 규제하는 제 1, 제 2스토퍼(432),(434)를 형성하고, 점퍼(400)를 용이하게 해체하기 위하여 드라이버 삽입홈(440)을 형성하고 있다. 부호 414는 리벳구멍, 415는 상기 점퍼핀(410) 끝단에 형성한 모따기, 423는 상기 탄성편(420)의 하단에 구부림 형성한 구부림부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뚜껑체(300)를 나타낸 정면도, 도 9b는 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50a는 상기 조립돌기(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조립구멍, 320은 상기 본체(10) 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구멍(30)에 삽입되는 테두리턱(322)을 가지는 다수개의 돌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컨덕터 바(130)는 판스프링(120)을 이미 장착하고 있다. 이 컨덕터 바(130)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부분에 형성한 컨덕터 바 유지체(41),(42)에 의하여 본체(10) 내에 조립된다. 이때 본체(10)의 점퍼(400)가 원활하게 통과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과 컨덕터 바(130)의 점퍼구멍(132)을 일치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300)를 본체(10)에 조립하는데, 이 때에는 뚜껑체(300) 측의 다수개의 돌기(320)를 본체(10)의 다수개의 결합구멍(30)에 끼워넣음으로써 테두리턱(322)이 오목 테두리홈(34)에 삽입됨으로써 양자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며, 한편 결합구멍(30) 입구부를 테이퍼면(33)으로 형성하여 돌기(320)의 가이드하여 원활하게 끼워맞춤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체(10)와 뚜껑체(300)는, 상기 본체(10) 측 하부에 살 두께부(6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측부에서 보아 아무런 공간부가 없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렇게 조립되어 완성되는 단자대는, 먼저 상기 드라이버 삽입구멍(14)에 드라이버(150)를 삽입하여 판스프링(120)을 일측으로 밀어낸다. 이어서 상기 케이블 삽입구멍(12)에 케이블(200)을 넣고 드라이버(150)를 빼내면 판스프링(12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블(200)은 판스프링(120)의 작동 구멍(122)을 통과하여 이 작동 구멍(122)의 일단부와 컨덕터 바(130)의 제 3곡선부(136c) 사이에서 완전히 클램핑된다. 이때, 상기 드러이버(15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본체(10)에 접촉방지편(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치우치더라도 뚜껑체(300)에 드라이버(150)가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어 뚜껑체(300)가 임의 이탈하는 일은 없게 된다.
양측면 및 상면 중앙에는 점착성 라벨(15b)을 부착하기 위하여 점착성 라벨 부착면(15)이 경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 뒷면 종이를 벗겨내고 간단하게 부착함으로써 해당 단자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인접하는 본체(10)끼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점퍼(400)를 사용하는데, 상기 점퍼(400)는 점퍼삽입부(304)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302)을 통하여, 컨덕터 바(130)의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점퍼구멍(132)에 꽂아진다.
상기 점퍼구멍(132)이 종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강도가 향상된다. 이때, 점퍼(400)에는 제 1, 제 2스토퍼(432),(43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점퍼삽입부(304)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308) 등에 접촉하여 항상 일정 깊이만 삽입되고 점퍼(400)의 꽂음 위치를 유지하며, 경사면(306), 가이드면(310)이 형성되어 점퍼(400)의 삽입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체(10)에는 상기 판스프링(120)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20)가 일측으로 경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120)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드라이버(150)를 드라이버 삽입구멍(14)에 삽입하여 판스프링(120)을 일측으로 제칠 때에 판스프링(120)의 안쪽면과 이 유지체(20)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또 전기적인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테스터기의 테스터 플러그 핀을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13)에 끼워넣을 때에, 돌출편(136)의 상끝단을 모따기면(136d)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스트 플러그를 삽입할 때에 가이드 역할을 하여 삽입되는 것이며, 컨덕터 바(130)의 돌출편(136)에 면접촉함으로써 접촉특성이 양호함에 따라 원활하게 전기적인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돌출편(136)은 판스프링(120)을 유지하면서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13)으로 테스터기의 테스터 플러그 핀을 원활히 가이드하거나 면접촉하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도 7c에서와 같이 소정의 아르(R)를 가지는 제 1곡선부(136a)가 도시하지 않은 테스터 플러그 핀과 정확하게 면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여 정밀측정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통상 다수개의 단자대를 마운트 레일(500)에 일괄 고정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본체(10)의 배면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돌기(50)가 돌출형성하고 있고 다른 본체(10)의 배면에는 상기 조립돌기(50)와 조립되는 조립구멍(17)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조립으로 다수개의 단자대가 질서정연하게 마운트 레일(500) 상에 정렬 배치된다. 상기 조립돌기(50)는 끝단을 테두리턱(52)으로 형성하고 있고 조립구멍(17)의 입구부에는 돌기턱(17b)을 형성하고 있어 개방부(17a)를 통하여 용이하게 조립돌기(50)를 끼워넣고 최종적으로 조립구멍(17)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호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를 마운팅 레일(500)에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에는 소정의 공구(드라이버)를 공구홈(32)에 삽입하여 한쪽으로 제치면 용이하게 마운트 레일(500)로부터 한쪽이 이탈하게 되고, 즉 단턱(64)이 레일(500)로부터 빠지게 됨으로 해체를 하게 되며, 조립할 때에는 일단 한쪽의 단턱(65)을 레일(500)에 미리 걸고 다른 한쪽을 밀어 넣으면, 상기 본체(10)의 하단부(단턱 부위)는 구조상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500) 단부가 테이퍼 가이드면(64a)을 따라서 밀려 들어감으로써 '찰칵'하는 경쾌음을 내면서 용이하게 조립된다.
이어서 컨덕터 바(130) 및 점퍼(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덕터 바(130)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2개의 점퍼구멍(132)을 형성하고 있는데, 먼저 점퍼(400)의 한쪽 점퍼핀(410)은 최초의 본체(10)의 점퍼구멍(132)에 꽂고 다른 쪽의 점퍼핀(410)은 인접하는 두 번째 본체(10)의 점퍼구멍(132)에 꽂는다. 하나의 컨덕터 바(130)에는 2개의 점퍼구멍(1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남아있는 두 번째 본체(10)의 점퍼구멍(132)에 새로운 점퍼(400)의 한쪽 점퍼핀(410)을 꽂는 방식으로 점퍼(400)를 조립하여 전체 본체(10)(단자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퍼 꽂는 방식은 일반적인 점퍼(400)의 꽂는 방식에서 크게 변화된 것으로서, 종래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되어 다수개의 점퍼구멍을 가지는 구조에 비하여 강도가 매우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덕터 바(130)는 점퍼구멍(132)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실되는 통전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통전량 보상편(135)을 90도 각도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실되는 통전량이 보상되어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컨덕터 바(130)의 돌출편(136)은 오목하게 들어간 제 2곡선부(136b)를 가지고 있어 판스프링(120)의 한 끝단을 받아 들여서 튼튼하게 고정함으로써 유동이 없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 2곡선부(136b)의 바깥쪽을 구성하는 돌출 부위(136c)는 케이블(200)을 고정할 때에 정확한 클램핑력을 발휘하여 케이블 요동 시 접점포인트에 위치변동을 없게 하여 접촉불량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덕터 바(130) 안쪽 측부 및 상기 막음편(133)의 상측단에 각각 테이퍼면(136f),(136g)을 형성하여 소선이나 단선 케이블을 불문하고 전선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점퍼(400)는 통전 목적의 점퍼핀(410)과 꽂이 목적용 탄성편(320)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스토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통전되고 점퍼구멍(132)에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정확한 깊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점퍼핀(410) 끝단에는 모따기(415)를 형성하여 비교적 작은 구멍인 점퍼구멍(132)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는 본체 부분, 점퍼, 컨덕터 바 등의 요소를 개선하여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사 없는 단자대에 의하면, 본체 각각에 뚜껑체가 씌워지게 때문에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하며 라벨부착부가 접착성 라벨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교체 및 사양 변경이 자유롭고 단가가 저렴하며, 여러 개의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와의 결합방식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어서 설치성이 좋고, 뚜껑체에 컨덕터 바 삽입 유지홈이 있기 때문에 컨덕터 바의 삽입 유지강도가 강하며, 본체 중앙에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점퍼를 슬라이드 삽입하고 그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고, 테스터의 테스터 핀 가이드를 형성하여 테스트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하게 접촉하여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객관성 있는 검사의 실시가 가능하며 상기 컨덕터 바는 판스프링을 정확하게 고정 유지하여 고장 발생률을 낮추었으며 컨덕터 바의 돌출편을 개선하여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판스프링이 적정한 클램핑 부위를 확보하게 하여 접점 포인트에 위치변동을 최소화함에 따라 접촉불량을 방지하며, 케이블 가이드 수단을 채택하여 100% 완벽한 세팅을 보장하며 점퍼 구멍이 종방향으로 직렬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강화되는 한편 그 부근에 통전량보상편을 형성하여 단면적 차이로 인한 통전량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등, 그 효과는 지대하다.

Claims (7)

  1. 적어도 판스프링을 탄성적으로 장착한 컨덕터 바를 내부에 조립하여 이룬 본체와, 이 본체에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외부와 격리되도록 조립된 뚜껑체와, 인접하는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사 없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면에 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과,
    상기 다수개의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 하방에 형성되는 테이퍼 구멍과,
    경사진 양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한 라벨 부착면과,
    중앙에 형성되는 점퍼삽입부 및 그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과,
    양측 중앙에,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부가 바깥쪽으로 벌이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판스프링 유지체와,
    상하 중앙 부분에 컨덕터 바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군데에 형성하는 컨덕터 바 유지체와,
    하부 양측 부분에, 뚜껑체를 조립하였을 때의 공간부를 없애기 위하여 형성하는 살 두께부와,
    하부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배면의 조립구멍과 조립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조립돌기와,
    본체 배면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정면에 형성된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되는 개방부 및 돌기턱을 가지는 조립구멍과,
    뚜껑체와 조립되기 위하여 본체 전체에 걸친 영역에 테이퍼면 및 오목 테두리홈을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체는,
    내측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컨덕터 바 유지홈과,
    본체의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점착성 라벨 부착면, 점퍼삽입부, 경사면과,
    상기 다수개의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테두리턱을 가지는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컨덕터 바는,
    상기 본체의 점퍼 삽입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점퍼구멍과,
    양끝단에 상측단을 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케이블 보호용 막음편 및 지지편과,
    상기 점퍼구멍 부근에 형성하는 통전량 보상편과,
    상측으로 소정의 구부림 각도로 수회 구부려지는 돌출편으로 구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구멍은 적어도 케이블 삽입구멍, 테스터 플러그 핀 삽입구멍, 드라이버 삽입구멍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삽입구멍의 하부에는 드라이버의 임의 삽입으로 인한 타 부품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방지편을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적어도 소정의 아르(R)를 가지는 제 1곡선부 및 제 2곡선부를 형성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의 삽입유지용 탄성편은, 그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1군데 이상의 구부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본체의 배면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돌기가 뚜껑체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운팅 레일에 긴밀하게 조립되기 위한 단턱과 대향하도록 연장부를 연장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없는 단자대.
KR1019980037846A 1998-09-14 1998-09-14 나사 없는 단자대 KR100278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846A KR100278160B1 (ko) 1998-09-14 1998-09-14 나사 없는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846A KR100278160B1 (ko) 1998-09-14 1998-09-14 나사 없는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49A KR20000019649A (ko) 2000-04-15
KR100278160B1 true KR100278160B1 (ko) 2001-01-15

Family

ID=1955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846A KR100278160B1 (ko) 1998-09-14 1998-09-14 나사 없는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733B1 (ko) * 2005-02-16 2006-11-03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CN114142315B (zh) * 2021-11-24 2023-12-26 常州市钱璟康复股份有限公司 轨道用的机头导电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49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667B2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US5450469A (en) Subscriber interface box
JPH01154597A (ja) ジャックモジュール及びジャックフィールド
US20070099448A1 (en) Electrical device carrier contact assembly
EP3474383A1 (en) Din rail installing portion structure of electrical appliance and socket
KR100278160B1 (ko) 나사 없는 단자대
US9385486B2 (en) Socket module, electrosurgical device, and set with a socket module
US6882138B2 (en) Modular test adapter for rapid action engagement interface
US5411418A (en) Repairable solderless connector arrangement
US98127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heath clamp
US4533189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8287307B2 (en) Fastening device for detachable holding of an electrical distributor by latching
US6383004B1 (en)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electrical leads
US5911596A (en) Strain relief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US6232552B1 (en) Replacement and adjustable wire holder block and clip
JPS59169031A (ja) 母線に取着可能なスライダ−フユ−ズホルダ
US20110217857A1 (en) Cradle for fastening a terminal block to a mounting frame and arrangement for earthing a terminal block
GB223038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278159B1 (ko) 판스프링
CN113334288B (zh) 固定夹具
KR20030038764A (ko) 유리 섬유 커넥터용 커플링 장치
KR102039747B1 (ko) 조인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0676A (ko) 커넥터
US4615577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332489B1 (ko) 단자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