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884B1 -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884B1
KR100276884B1 KR1019980050894A KR19980050894A KR100276884B1 KR 100276884 B1 KR100276884 B1 KR 100276884B1 KR 1019980050894 A KR1019980050894 A KR 1019980050894A KR 19980050894 A KR19980050894 A KR 19980050894A KR 100276884 B1 KR100276884 B1 KR 10027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uter network
snmp
network management
collection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847A (ko
Inventor
신효정
허태성
진영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8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산망관리시스팀에서 전산망장비에 대하여 SNMP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때 수집횟수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산망 관리 서버와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데이타 수집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주기 설정 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데이타 유통량을 계산하여 새로운 수집주기를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수집주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SNMP를 이용한 전산망 관리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할 때 주기가 과도하게 설정되어 이로 인하여 전산망 및 장비에 부하가 많아지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매일 직전 일정시간동안 전산망의 사용형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데이터 수집주기를 산정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망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본 발명은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산망관리시스팀에서 전산망장비에 대하여 SNMP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때 수집횟수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전산망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로써 전산망 관리자와 장비 상호간에 전달할 정보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로 미리 정의되어 있다. SNMP를 이용한 전산망 관리에서는 MIB를 이용하여 특정 변수의 값을 변경하고 검사하는 기능을 이행하여 전산장비를 관리하게 되는데 MIB의 의미와 MIB을 통해서 얻어지는 값의 형태는 미리 정의되어 있다. MIB는 표준으로 정의되어 여러 장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과 제조업체에서 고유하게 정의하여 특정 장비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MIB를 통해서 얻어지는 값의 구문 (syntax) 은 몇 가지로 정의되어있는데 그 중에서 계속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 값들은 카운터(counter)로 정의되어 사용되는데, 카운터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넘어서면 0으로 리셋되어 다시 증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SNMP를 이용한 관리시스팀에서 MIB 데이터를 수집할 때는 이를 고려하여 수집주기를 설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고정된 값인 주기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고정주기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카운터의 리셋 주기를 고려하지 않고 너무 자주 또는 너무 드물게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수집되는 데이터의 신뢰도 부족 또는 전산망 장비 과부하등의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웍의 상황에 맞게 데이터 수집 주기를 유동적으로 설정하여 SNMP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전산망에 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전상망 관리 서버와 복수의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전산망 관리를 위한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은 (a) 상기 전산망 관리 서버와 상기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데이타 수집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집주기 설정 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데이타 유통량을 계산하여 새로운 수집주기를 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새로운 수집주기를 재설정한 후 상기 단계 (b) 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제1도는 SNMP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일반적인 전산망 관리 방법.
제2도는 SNMP 데이터 수집 주기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산망 관리서버 2. 전산망 구성장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첨부된 도 1 은 SNMP를 이용하여 전산망을 관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전산망관리서버(1)에서 관리할 대상인 전산망장비(2)로 SNMP 질의를 보내면 관리장비가 응답하는 방식이다. 질의 대상인 값의 구문이 카운터인 경우 질의/응답을 지속적으로 이행하여 전산망의 상황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측정된 값은 절대치로 사용하지 않고 직전 시각에 측정한 값과의 차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 계산식 (식1)에서 처럼 시각 T에서 측정된 값과 T-d시각에 측정된 값과의 차이값이 전산망을 관리하는데 의미있는 값으로 이용된다.
Result (K, T) = poll (K, T) - poll (K, T-d) --- 식1
K: MIB object ID 로 사전에 설정됨
T: 시각
d: 측정 간격
poll ( ) : SNMP가 응답하는 값
(식 1) 을 실제 이용하는 경우 Result(K, T)의 값이 음수로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카운터의 특성상 최대치를 넘어가면 자동으로 리셋되어 0부터 다시 시작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경우에는 Result(K, T)의 값은 카운터의 최대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야 한다.
Result (K, T) = poll ( K, T) + (카운터의 최대치) - poll (K, T-d) --- 식2
K: MIB object ID
T: 시각
d: 측정 간격
poll ( ) : SNMP가 응답하는 값
측정 간격인 d 기간동안 카운터가 n번 리셋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위의 식은 'Result (K, T) = poll (K, T) + (카운터의 최대치)*n - poll (K, T-d) '와 같이 바뀌어야 한다. 측정간격이 길어져서 n값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n이 1이 되도록, 즉 카운터가 한번 리셋되는 경우만 발생하도록 측정 주기를 설정해야 신뢰도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전산망 장비 인터페이스의 사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SNMP를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의 입출력 량을 저장하는 값의 구문은 32비트 카운터로 되어있으므로 45Mbps속도의 인터페이스의 경우 12분 동안 카운터가 리셋되지 않고 유지되는 반면 1.544Mbps속도의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370분 동안 유지된다. 이를 산정하는 계산식은 아래의 (식3)과 같고 인터페이스의 속도가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 전산장비는 무한대의 시간동안 작동됨을 가정하여 장비의 재시동으로 인한 카운터의 리셋은 고려하지 않는다.
x <= (232-1)*8 / 인터페이스속도(bps) --- 식3
위의 식에서 x 값의 범위가 수집 주기로 설정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x가 가질 수 있는 최대치를 수집 주기로 설정하면 수집 주기내에 카운터가 2번 이상 리셋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식 중에서, 232-1 은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타 처리량과 관계된다. 8 은 인터페이스 속도를 비트로 표시하였기에 나타나는 표현이며, 따라서 인터페이스 속도를 비트 외의 다른 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필요없을 수도있다.
그러나, 위의 계산식은 해당 인터페이스가 유통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인터페이스의 속도에 비해서 실제 네트웍의 이용율이 저조한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페이스의 속도 대신에 실제 전산망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량을 위의 계산식의 분모로 이용하며 (식4)는 이에대한 계산식이다.
x <= (232-1)*8 / 실제데이타유통량(bps) --- 식4
전산망관리시스팀의 초기 설정(21)에는 인터페이스의 속도를 고려한 계산식(식3)을 이용하고 하루 동안 데이터가 수집한 뒤에는 하루 중 최번시의 유통량을 bps단위로 환산한 값을 넣는 (식4)를 이용(22)하고 이 새로운 값으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23)한다. 식3 과 마찬가지로, 232-1 은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타 처리량과 관계된다. 8 은 실제데이타 유통량을 비트로 표시하였기에 나타나는 표현이며, 따라서 실제 데이타 유통량을 비트 외의 다른 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필요없을 수도있다.
따라서, 하루에 한번씩 정해진 시간마다 직전 24시간 동안의 최번시 유통량을 계산하여 (식4)에 넣을 패러미터를 변경함으로써 네트웍 사용량 증가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절차는 도 2 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데이타 유통량을 계산하는 경우 위의 경우와 같이 24 시간으로 설정하는 대신에 24 시간보다 짧게 하거나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전산 시스템의 환경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실제 전산망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양태는 하루를 주기로 비슷한 형태로 증감하고 일간 데이터 사용량은 비슷하나 조금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하루에 한번씩 데이터 수집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페이스에 유통되는 데이터량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Packet의 개수, Unicast/NonUnicast 패킷의 개수등의 값을 이용하여 네트웍의 상황을 관찰하는 경우 이 값들은 인터페이스의 속도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값의 특성상 네트웍의 사용량보다 긴 주기를 사용하여 수집이 가능하므로 초기에는 (식3)을 적용하여 초기값을 설정(21)한다. 하루 동안 데이터가 수집된 뒤에는 하루 중 최번시에 유통된 패킷의 개수 (Packet/second)를 분모에 적용한 (식5)를 이용(22)하고 이 새로운 값으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설정한다. 여기서도 역시 하루에 한번씩 정해진 시간마다 직전 24시간 동안의 최번시 변화량을 계산하여 (식5)에 넣어 매일 패러미터를 변경함으로써 네트웍 사용량 증가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하였다.
x <= (232-1)/ 최번시에 유통된 패킷의 개수(Packet/sec) --- 식 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 수집주기 결정 방법에 의하여 망관리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데이타 수집으로 인한 전산망 관리서버 및 전상망 장비에 대한 부하가 감소하며, 인터페이스 속도를 기준으로하여 수집주기를 결정하는 종래의 경우보다 효율적인 수집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SNMP 를 이용한 전산망 관리와 관련하여, SNMP 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는 경우 그 수집주기가 과도하게 설정되어 이로 인하여 전산망 및 장비에 부하가 많아지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매일 직전 24 시간동안 또는 일정시간동안 실제 데이타 유통량 또는 유통된 패킷의 개수 등으로 전산망의 사용형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데이타 수집주기를 산정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망을 관리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되었으며, 본 발명과 관련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하다고 보아야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판단되며 후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한다.

Claims (4)

  1. 전상망 관리 서버와 복수의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전산망 관리를 위한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산망 관리 서버와 상기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데이타 수집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집주기 설정 후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데이타 유통량을 계산하여 새로운 수집주기를 산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새로운 수집주기를 재설정한 후 상기 단계 (b) 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에서 설정되는 수집주기는 상기 전산망 관리 서버와 상기 전산망 구성 장비간의 인터페이스 속도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에서 결정되는 상기 새로운 수집주기는 상기 데이타 유통량이 가장 최대일 때를 기준으로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에서 결정되는 상기 새로운 수집주기는 유통되는 상기 데이타의 패킷의 개수가 최대일 때를 기준으로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SNMP 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KR1019980050894A 1998-11-26 1998-11-26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KR10027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94A KR100276884B1 (ko) 1998-11-26 1998-11-26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94A KR100276884B1 (ko) 1998-11-26 1998-11-26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47A KR20000033847A (ko) 2000-06-15
KR100276884B1 true KR100276884B1 (ko) 2001-01-15

Family

ID=1955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894A KR100276884B1 (ko) 1998-11-26 1998-11-26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51B1 (ko) * 2001-07-25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프와 관리부간 수행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방법
US10911329B2 (en) 2019-05-13 2021-02-02 Cisco Technology, Inc. Path and cadence optimization for efficient data collection from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44A (ko) * 1999-12-07 2001-07-02 박종섭 통신 운용 관리망 에이젼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관리목표시간 결정방법
KR20040020343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케이티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51B1 (ko) * 2001-07-25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프와 관리부간 수행 모니터링 데이터의 전송방법
US10911329B2 (en) 2019-05-13 2021-02-02 Cisco Technology, Inc. Path and cadence optimization for efficient data collection from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47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922B2 (en) Load balancing mechanism using resource availability profiles
US6704284B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ress in a network
US575196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thresholds in network management
US7634671B2 (en) Determining power consumption in IT networks
US7302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nd collective adjustment of sensor reporting ranges for long-lived queries
EP1819096B1 (en) A method for acquiring network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groupware thereof
CN111200526B (zh) 网络设备的监控系统及方法
CN101421979B (zh) 监视网络使用
US66617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istics collection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0832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a computer system
CN112187512A (zh) 一种基于流量监控的端口自动扩容方法、装置和设备
KR100276884B1 (ko) Snmp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 주기 최적화 방법
US10057857B2 (en) System power management and optimization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CN111585815A (zh) 一种端口数据采集方法及装置
JP2015011408A (ja) 電力抑制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WO2015184850A1 (zh) 过期数据采集方法、装置及系统
CN113452576A (zh) 网络环境的监控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010054327A (ko) 다중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성능 통계 데이터 수집 장치및 그 방법
CN100495980C (zh) 一种性能统计数据收集方法
CN102567470A (zh) 系统级性能数据的处理方法及设备
JP2004274289A (ja) マネージャ−エージェント型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のロードバランス方法及び装置
KR101826061B1 (ko) Sdn 상의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ąbrowski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of network devices impacting system load in terms of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implementation
KR101027549B1 (ko) 적응력있는 임계치를 이용한 이상 트래픽 검출 방법
WO2022242524A1 (zh) 建模方法、网元数据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