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304B1 -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304B1
KR100276304B1 KR1019960061973A KR19960061973A KR100276304B1 KR 100276304 B1 KR100276304 B1 KR 100276304B1 KR 1019960061973 A KR1019960061973 A KR 1019960061973A KR 19960061973 A KR19960061973 A KR 19960061973A KR 100276304 B1 KR100276304 B1 KR 10027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ainless steel
corrosion resistance
toughness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982A (ko
Inventor
유도열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6006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3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Cr함유 스테인레스강에 Nb 및 Al을 복합첨가하고, 적절한 열처리를 행하여 내식성 및 인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비로 C: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25%이하, Cr:26∼35%, Mo:4%이하, N:0.02%이하, Nb:0.6%이하, Al:0.2%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면서, (C+N):0.03% 이하, (Cr+Mo):30%이상 및 (Nb+Al)%/(C+N)%=10∼25를 만족하는 스테인레스강을 1180∼25O℃ 온도범위에서 열간압연한후, 800∼900C온도범위에서 사상압연하여 급냉하고, 1000∼1100℃온도범위에서 열연소둔후 급냉하고, 냉간압연한 다음 1000∼1100℃온도범위에서 냉연소둔후 급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각종 화학 플랜트(plant), 식품 플랜트, 해수용 열교환기, 담수설비, 건축용 외장재 및 지붕재로 사용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고 Cr함유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Ni를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STS304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보다 가격면에서는 유리하나, 내식성, 성형성 및 인성이 STS304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떨어져 그 사용용도에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C,N을 낮게 관리하고, 안정화원소인 Ti, Nb, Al 및 Zr 등을 첨가하여 내식성 및 성형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Cr 및 Mo를 높게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STS304강과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얻고자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각종 화학 플랜트, 식품 플랜트, 해수용 열교환기, 담수설비 및 건축용 외장재 및 지붕재로 사용되고 고 Cr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수요와 용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이 C,N를 저감시키고 기타원소를 첨가 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 및 인성을 개선한 종래의 제안으로서 한국 특허공개공보 95-701001호, 94-700552호 및 92-008206호 등을 들수 있다.
상기 한국 특허공개공보 95-701001호는 중량%로 Cr:13∼25%, Nb, Ti, Al 및 V중 한 원소 또는 그 이상의 총량 0.05%∼1%, C:0.03% 또는 그 이상, N:0.03% 그 이하 및 필요에 따라 Mo:0.3∼3.0%를 함유하며, P(%)=420C+470N-23Ni+9Cu+7Mn-11.5Cr-11.5Si-12Mo-23V-47Nb-49Ti-52Al+189 (각 성분 중량%)로서 정의되는 P값이 0% 또는 그 이하의 값을 가진, 두께가 10mm 또는 그 이하인 Cr-스테인레스강을 주조하고, 1150∼950℃온도에서 압하율 구50%로 열간압연하여 20℃/sec도는 그 이하의 속도로 냉각하거나 5초 또는 그 이상 박판 스트림을 방치한 다음 700℃이하의 온도에서 코일링하는 것올 특징으로한 고인성을 가진 Cr스테인레스강의 박판 스트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94-700552호는 중량비로, C:0.02%이하, Si:1.0%이하, Mn∴1.0%이하, S:0.03%이하, Cr:20%이상 40%이하, N:0.015%이하, AlL0.5%이하, P:0.06%이상 0.2%이하를 함유하는, 잔여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내후성이 우수한 고Cr, P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92-008206호는 중량비로, C:0.03%이하, Si:0.25%미만, Mn:0.25%미만, P:0.03%이하, S:0.001%미만, Cr:15∼25%, Al:3∼6% 1종 이상의 REM, V 및 알카리 토류원소 : 0.01내지 0.2%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고온산화특성과 인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95-701001호는 Cr함량이 낮아 내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94-700552호는 인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92-008206호는 Cr함량이 낮아 내식성이 저하하는 문제와 Al함량이 높기 때문에 Al개재물에 의한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안들은 내식성 및 인성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데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올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 Cr함유 스테인레스강에 Nb 및 Al을 복합첨가하고, 적절한 열처리를 행하여 내식성 및 인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제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중의 합금원소 함량변화에 따른 충격천이온도(DBTT, Dutile 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2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중의 합금원소 함량변화에 따른 공식부식발생온도(CPT, Critical Pitting Temperature,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비로 C: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0.0025%이하, Cr:26∼35%, Mo:4%이하, N:0.02%이하, Nb:0.6%이하, Al:0.2%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 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C+N):0.03%이하, (Cr+Mo):30%이상 및 (Nb+Al)%/(C+N)%=10∼25를 만족하는 스테인레스강을 1180∼250℃범위에서 열간압연 한후, 800∼900℃범위에서 사상압연하여 급냉하고, 1000∼1100℃범위에서 열연소둔후 급냉하고, 냉간압연한 다음 1000∼110O℃범위에서 냉연소둔후 급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조성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상기 C 및 N는 Cr탄질화물 힝성원소로서 침입형 원소로 고용하면 강도를 높이지만, 연신율, 충격인성, 내식성 및 성형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낮게 할수록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두 원소 모두 0.02%이하로 하면서 두 원소의 합(C+N)을 0.03%이하로 한정 한다.
상기 Si는 페라이트 형성원소로 첨가량이 증가하면 페라이트상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고 내산화성이 향상되나 0.5%이상 첨가하면 Si개재물의 함량이 증가되고, 경도, 강도를 높이고, 연신율 및 n(가공경화지수)값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성형성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의 함량을 0.5%이하로 한정한다.
상기 Mn은 함량이 높아지면 MnS개재물의 함량이 증가하여 내공식성이 나빠지며, 경도, 강도를 높이고, 연신율 및 n(가공경화지수)값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성형성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을 0.5%이하로 한정한다.
상기 P, S는 P화합물 및 MnS를 형성하여 공식부식발생온도[CPT (℃)]을 낮추고, 열간가공성을 저해하며, 특히 P는 n값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가능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0.03%이하, S:0.0025%이하로 한정한다.
상기 Cr은 함량이 너무 낮으면 내식성이 저하하고, 6% FeCl3용액에서 공식부식발생온도(CPT)가 50℃이상으로 내해수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Cr+Mo함량이 30%이상 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대 4%Mo 첨가시 최소 Cr함량은 26%이상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Cr 함량이 35%이상으로 너무 높아지면 강도가 높아지고 연신율, n값 및 r값(평균 랭크포드값)이 낮아 성형성이 나빠진다. 또한, 고 Cr강에서는 냉각시 시그마상 석출로 인성 및 내식성이 급격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내해수성을 해친다.
따라서, 제조시 용이하게 시그마상 석출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량을 26-35%로 한정한다.
상기 Mo은 내식성을 개선시키지만 그 함량이 증가하면 연신율, n값을 저하시켜 성형성이 나빠진다. 또한 Cr과 동일하게 시그마상을 석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식성, 성형성 및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4%이하로 한정한다.
상기 Nb은 C,N와 결합하여 Nb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Cr탄화물 생성을 억제하므로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Nb을 O.6%이상으로 과잉 첨가하면 성형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6%이하로 한정한다.
상기 Al은 N와 결합하여 AlN석출물이 석출되므로 모재내 질소를 감소시켜 모재연화 작용으로 인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그 함량이 0.2%이상이 되면 C,N과 결합하지 못한 잉여의 Al때문에 오히려 인성 및 성형성을 저하시키고, 산소와 결합하여 Al산화물 생성을 조장시켜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함량은 0.2%이하로 한정한다.
그리고, (Nb+Al)%/(C+N)%비가 10이상이면 용접부 입계부식성이 방지되고, 디프드로잉(deep drawing)성을 나타내는 r값 및 장출성형성을 나타내는 에리센(Erichsen)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식성 및 성형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10∼25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강은 열간압연, 사상압연, 열연소둔, 냉간압연, 냉연소둔 등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간압연을 위한 주편과 주괴의 가열은도, 사상압연온도 및 권취온도는 낮을수록 성형성 및 리찡싱이 개선된다. 그러나 열간압연온도가 너무 낮아지면 스라브 표층부가 압연롤(roll)에 묻어나는 스티킹(Sticking)현상이 나타나므로 열연코일 표면에 결함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1170∼250C의 온도범위에서 열가압연후, 750-900℃의 온도범위에서 사상압연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연소둔을 하고 냉간압연을 행한 후 냉연소둔을 하는데 상기 열연 및 냉연소둔의 온도가 1OOO℃이하로 낮아지면, 재결정 온도를 높이는 Nb가 첨가된 강에서는 재결정 및 재결정립 성장이 불충분하여 충격특성, 연신율 및 성형성이 저하하며, 1100℃이상으로 소둔온도가 높아지면 결정립이 조대해져 충격특성, 성형후 오렌지 필(orange peel) 및 리찡 저항성등이 나빠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열연 및 냉연소둔 처리온도를 1000∼1100℃범위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열연 및 내연소둔후 냉각은 고온취화 및 시그마상 석출을 방지하고 기계적성질, 성형성 및 내식성이 양호하도록 하기 위해 급냉을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표 1의 조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을 진공유도 용해로에서 용해하여 30Kg주괴(Ingot)를 제조하고, 1230℃에서 150 분 가열한후 850℃로 사상압연하여 12mm, 6mm, 두께의 열연판을 제조하고, 800℃에서 권취한 다음, 1050℃에서 6분간 상소둔로(Box furnace)에서 연속 소둔 처리후 급냉하고 산세처리하였다.
6mm열연소둔판을 51.7%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2.8mm두께의 냉연판을 제조하고, 상기 열연판의 소둔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6분간 상소둔로에서 냉연소둔하여 급냉하고 산세처리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표 1]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인성은 12mm, 6mm(열연소둔판) 및 2.9mm(냉연소둔판)을 10,5mm 및 2.5mm샤프피(Sharpy) V-노치 충격시편을 가공하여 500(Joule)샤프피 충격시험기로 충격시험온도 -150∼+200(℃)범위내에서 실시하여 충격천이온도(DBTT)를 구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발명강(1) 및 비교강(5,8,9,10,11,12 및 13)을 대상으로 행했으며, 그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내식성은 염화 제2철 부식시험방법(JIS G O578)으로 6% FeCl3용액중에 시편을 넣고 용액온도를 2.5(℃)씩 상승시켜 가며 공식 부식이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여 공식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최대 용액온도를 공식 부식발생 온도(CPT,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명강(Nb+Al 복합첨가강)은 1Omm, 5mm, 2.5mm 충격시편 모두 충격천이온도가 가장 낮아 충격인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공식부식발생 온도(CPT, ℃)에서도 발명강은 비교강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l의 적정량과 Nb와의 복합첨가, Cr+Mo의 범위 선정 및 (Nb+Al)/(C+N)의 비율을 한정하는 것에 의해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량비로 C:0.02%이하, Si:0.5%이하, Mn:0.5%이하, P:0.03%이하, S:O.0O25%이하, Cr:26∼35%, Mo:4%이하, N:0.O295이하, Nb:0.6%이하, Al:0.2%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C+N):0.03% 이하,(Cr+Mo):30%이상 및 (Nb+Al)%/(C+N)%=10∼25를 만족하는 스테인레스강을 1180∼1250℃범위에서 열간압연한후, 800∼900℃범위에서 사상압연하여 급냉하고, 1000∼1100℃범위에서 열연소둔후 급냉하고, 냉간압연한 다음 1000∼1100℃범위에서 냉연소둔후 급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19960061973A 1996-12-05 1996-12-05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027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73A KR100276304B1 (ko) 1996-12-05 1996-12-05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73A KR100276304B1 (ko) 1996-12-05 1996-12-05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82A KR19980043982A (ko) 1998-09-05
KR100276304B1 true KR100276304B1 (ko) 2000-12-15

Family

ID=1948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973A KR100276304B1 (ko) 1996-12-05 1996-12-05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3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18A (ko) * 1995-07-05 1997-02-21 김종진 성형성 및 리찡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18A (ko) * 1995-07-05 1997-02-21 김종진 성형성 및 리찡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82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504A (en) Duplex structure stainless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elonga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teel
USRE40950E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KR1007992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 및 그것의제조 방법
EP3696292A1 (en) A high tensile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anti-crush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94213B1 (ko) 딥드로잉성과내시효성이양호한냉연강판과그제조방법
JP4065579B2 (ja) 面内異方性が小さく耐リジング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32424B2 (ja) 高耐候性、高加工性の熱延鋼板の製造方法
US20130014555A1 (en) Quenchable steel sheet having high hot press work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839087A1 (en) Hot rolled and unannea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220260A1 (en) Low chrome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tch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194507A (ja) 加工性に優れ面内異方性の小さい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76304B1 (ko) 내식성 및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JP2001303175A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0535238A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for forming and production thereof
KR100276319B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1035767B1 (ko) 연질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2155317A (ja) 深絞り性および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0146798B1 (ko) 성형성 및 리찡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0276301B1 (ko) 고내식성 및 고성형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JPH0559491A (ja) プレス加工用の高張力薄鋼板とその製造法
JP4562281B2 (ja) 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07495B1 (ko) 성형성, 리찡(Ridging)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제조방법
KR101042454B1 (ko) 딥드로잉성이 우수한 연질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482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0057B1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