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533B1 -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 Google Patents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533B1
KR100275533B1 KR1019980047737A KR19980047737A KR100275533B1 KR 100275533 B1 KR100275533 B1 KR 100275533B1 KR 1019980047737 A KR1019980047737 A KR 1019980047737A KR 19980047737 A KR19980047737 A KR 19980047737A KR 100275533 B1 KR100275533 B1 KR 10027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carrier
bag
bowling ba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615A (ko
Inventor
배성환
Original Assignee
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환 filed Critical 배성환
Priority to KR101998004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533B1/ko
Priority to US09/263,461 priority patent/US6109627A/en
Publication of KR2000003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2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0Spor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 하부에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내측 좌우로 볼링공 받침접시가 형성되어 볼링공을 전면에서 넣거나 꺼낼 수 있게 한 합성수지 가방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가방케이스 상측으로 별도로 들고 다닐 수 있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캐리어 하부의 가방케이스까지 총 3단의 볼링가방을 적층시켜 볼링가방 하나에 수납된 좌우 2개 즉 6개의 볼링공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단이상 3단까지 적층하여 볼링가방을 운반해도 캐리어에 전혀 무리가 따르지 않도록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의 구조를 대폭 개선한 즉,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95-28868호와 제 96-1151호(미국특허 5,791,469호)를 개량한 개량발명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리어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볼링가방 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는 전면을 개방시켜 전면테두리에 직포로 된 뚜껑을 봉재하거나 합성수지로 된 뚜껑을 경첩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케이스 전면을 통해 볼링공을 넣거나 꺼낼 수 있게 하고, 상기, 케이스 저부의 전면과 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받침구와 바퀴를 부설하였으며, 케이스 상측으로는 분해 조립되는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2단으로 적층되는 별도로 들고 다닐 수 있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견고하게 고정토록 하고, 상기 2단으로 적층되는 볼링가방은 볼링공을 위에서 꺼내거나 넣도록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장치 상측으로는 다시 3단으로 적층되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적층하여 볼링가방케이스 양측손잡이에 형성된 밴드홀에 끼워진 밴드를 이용한 결착수단으로 고정시켜, 볼링가방을 3단까지 적층하되 적층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스럽고 견고한 상태로 운반가능토록 하고 있다.
[색인어]
캐리어, 가방, 볼링가방, 캐리어부설, 캐리어부설볼링가방

Description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본 발명은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 하부에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내측 좌우로 볼링공 받침접시가 형성되어 볼링공을 전면에서 넣거나 꺼낼 수 있게 한 합성수지 가방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가방케이스 상측으로 별도로 들고 다닐 수 있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캐리어 하부의 가방케이스까지 2단 또는 3단의 볼링가방을 적층시켜 볼링가방 하나에 수납된 좌우 2개 즉, 6개의 볼링공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링을 즐기는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혹은 볼링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우거나 즐기려는 의도에서 여러 개의 볼링공으로 볼링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런데 과거에는 여러 개의 볼링공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캐리어에 볼링가방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밴드같은 결속수단으로 결속하여 볼링가방을 운반하였기 때문에 볼링가방에서 볼링공을 꺼내거나 넣기 위해서는 위쪽에 적재된 볼링가방을 내려야만 아래쪽에 위치한 볼링가방에서 볼링공을 꺼낼 수 있어 그 상용이 매우 번거롭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적층된 볼링가방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판손되는 등의 폐단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95-28868호에서 이를 개선한바 있지만 이 역시 볼링가방을 다수 적층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볼링공을 넣거나 꺼내기가 불편하였을 뿐 아니라 볼링가방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거나 위쪽에 적재된 가방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함과 아울러 장시간의 사용으로 파손변경등이 쉽게 발생하는 폐단 등이 있어 본 출원인은 상기한 시행착오를 계속 연구 거듭하여 본인의 선출원고안 제 96-1151호에서 이를 개선하여 미국에까지 출원하여 미국특허(5,791,469호)까지 득하였는바,
상기한 바는 다수 적층된 볼링가방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캐리어에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고 또 볼링공을 넣고 꺼내는데 아무런 장애가 없도록 하는데는 일조하였으나 2단까지의 적층에 적합한 구조였으므로 2단이상 3단까지 적층할 경우 캐리어에 무리가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2단이상 3단까지 적층하여 볼링가방을 운반해도 캐리어에 전혀 무리가 따르지 않도록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의 구조를 대폭 개선한 즉,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95-28868호와 제 96-1151호(미국특허 5,791,469호)를 개량한 개량발명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의하여 본 발명은 캐리어 하부에 합성수지재의 볼링가방케이스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는 전면을 개방시켜 전면테두리에 직포로 된 뚜껑을 봉재하거나 합성수지로 된 뚜껑을 경첩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케이스 전면을 통해 볼링공을 넣거나 꺼낼 수 있게 하고,
상기, 케이스 저부의 전면과 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받침구와 바퀴를 부설하였으며, 케이스 상측으로는 분해 조립되는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2단으로 적층되는 별도로 들고 다닐 수 있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견고하게 고정토록 하고,
상기 2단으로 적층되는 볼링가방은 볼링공을 위에서 꺼내거나 넣도록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수단 상측으로는 다시 3단으로 적층되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적층하여 볼링가방케이스 양측손잡이에 형성된 밴드홀에 끼워진 밴드를 이용한 결착수단으로 고정시켜. 볼링가방을 3단까지 적층하되 적층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스럽고 견고한 상태로 운반가능토록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캐리어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 전면으로 직포뚜껑이 부착되는 상태,
제3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캐리어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 전면으로 동일재질인 합성수지뚜껑이 부착되는 상태,
제4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캐리어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 전면으로 직포뚜껑이 부착되는 상태,
제5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측단면 구성도,
제6도는 제2도의 정면 구성도,
제7도는 제3도의 정면 구성도,
제8도는 제2도, 제3도의 배면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볼링가방 케이스 상면에 직포뚜껑이 부착되는 부분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직포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의 측단면 구성도,
제13도는 제9도의 신축손잡이를 생략한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2,2' : 캐리어
5,5' : 볼링가방케이스 6,6' : 좌,우지주
14 : 전면테두리 15,15' : 상측, 하측보스
20, 20' : 보강지주 21 : 괘정금구
29,54 : 고정장치 30,30' : 결속파이프
31 : 연결횡바 32,32' : 연결구
33,33' : 하부관 34,34' : 상부관
35,35' : 지지간 36 : 횡바
37,37' : 삽입관 38 : 회동편
40 : 괘정편 40' : 걸림후크
43 : 고정파이프 44 : 경계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캐리어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 전면테두리에 직포로 된 뚜껑을 봉재방식으로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캐리어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 전면테두리 양측으로 경첩을 부설하여 케이스와 동일재질인 합성수지뚜껑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상단으로 손잡이(7)가 형성되고 좌,우지주(6)(6')하부로 볼링가방케이스(5)가 일체화되며,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 전면과 후면으로는 받침구(3)와 바퀴(4)가 형성되는 캐리어(2)가 부설된 볼링가방(1)에 있어서,
캐리어(2)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5)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 배면 좌우로 볼링공 받침접시(8)(8')가 형성되고
케이스(5)의 내측 정중앙에는 양측으로 곡면부(9)(9')를 형성한 격판(10)이 형성되어 격판(10)전면으로 덮개(11)가 나사(12)로 고정되어지되, 덮개(11)는 덮개테두리(13)가 곡면처리 되어 있다.
다음, 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와 연접하는 상하측의 좌우로는 보스(15)(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보스(15)의 외측과 하측보스(15')의 내측으로는 나사홈(16)(16')이 형성되며.
케이스(5)의 양측판(17)(17')상에는 절곡손잡이(18)(18')가 힌지결합되고, 손잡이(18)(18')상에는 밴드 관통홀(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내측으로는 보강지주(20)(20')가 나란히 직립 설치되어 그 상단은 손잡이(7)에 나사로 고정되고, 하단은 좌,우지주(6)(6')의 중간에 고정 설치된 괘정금구(21)에 관통되며, 괘정금구(21)의 전면에는 해제구멍(23)과 걸림돌기(24) 그리고 받침편(25)이 차례로 형성되고, 괘정금구(21)의 하부로는 받침금구(26)가 좌,우지주(6)(6')에 관통되면서 볼링가방케이스(5)상면에 안착되며 받침금구(26)의 전면에는 받침틀(27)과 좌우양측으로 상측보스(15)와 일치되는 고정공(28)이 형성된다.
상기에는 괘정금구(21)는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돌부(69)(69')를 통하는 나사에 의해 좌,우지주(6)(6')에 고정 설치되며, 받침금구(26)는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돌부(70)(70')를 통하는 나사에 의해 볼링가방케이스(5)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다른 한편 볼링가방케이스(5) 상측보스(15)와 일치되는 받침금구(26)의 고정공(28)에는 고정장치(29)하부의 결속파이프(30)(30')가 관통 고정되고, 결속파이프(30)(30')는 다시 연결횡바(31) 양측의 연결구(32)(32')하부관(33)(33')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관(34)(34')에는 지지간(35)(35')이 직립되게 삽입되어 그 단부에 힌지역활을 하는 횡바(36)양측의 삽입관(37)(37')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의 삽입관(37)(37')상측에는 회동편(38)이 힌지결합되고, 회동편(38)은 좌,우연결파이프(39)(39')에 의해 괘정편(40)과 연결되며, 괘정편(40)의 정중앙에는 걸림후크(40')가 형성되고, 회동편(38)과 괘정편(40)의 양측단에는 받침봉(41)(41')이 형성되며, 괘정편(40)의 걸림후크(40')는 괘정금구(21)의 해제구멍(23)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4)에 상호 계합된다.
상술한 바에서 받침구(3)에는 손잡이(42)가 부설되어 그 후면으로 고정 파이프(4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고정파이프(43)에는 단차를 두어 단차를 갖는 경계부(44)에 고정돌편(45)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에서 볼링가방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직포뚜껑(46)이 봉재방식으로 봉착되어 테두리에 형성된 지퍼(47)에 의해 직포뚜껑(46)이 개폐되어 볼링가방케이스(5)내에 수납된 볼링공(48)을 전면에서 꺼낼 수 있게 되고,
도 3에서와 같이 직포뚜껑(46) 대신에 케이스(5)와 동일재질일 합성수지뚜껑(49)을 좌,우경첩(50)으로 연결하되, 합성수지 뚜껑(49)은 전면에서 여닫이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어 볼링가방케이스(5)내에 수납된 볼링공(48)을 전면에서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 본 발명 또다른 실시에에서와 같이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상단으로 손잡이(7')가 형성되고 좌,우지주(6")(6"')하부로 볼링가방케이스(5')가 일체화 되며,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 전면과 후면으로는 받침구(3')와 바퀴(4')가 형성되는 캐리어(2')가 부설된 볼링가방(1')의 캐리어(2')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5')는 상면이 개방되고 그 위로 합성수지 뚜껑(50)이 상면에서 열고 닫게 형성되어 볼링가방케이스(5')내에 수납된 볼링공(48)을 상면에서 꺼낼 수 있게 되고 뚜껑(50)의 중앙에는 요입부(51)가 형성되어 2단으로 또다른 볼링가방(52)을 적층시 또다른 볼링가방(52)의 저면돌부(53)가 안착된다.
한편 2단으로 적층되는 볼링가방(52)을 고정하는 고정장치(54)에서 좌,우 신축간(55)(55')은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전면에 형성되어 받침구(3')에 단부가 삽입 고정된 좌,우지지간(56)(56')상단에 형성된 연결횡바(57)를 통해 좌,우지지간(56)(56')내에 관삽되어 신축되며, 좌,우신축간(55)(55')은 상단이 힌지역활을 하는 횡바(58) 양측의 삽입관(59)(59')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의 삽입관(59)(59')상측에는 회동편(60)이 힌지결합되며 회동편(60)은 좌,우연결파이프(61)(61')에 의해 괘정편(62)과 연결되고 괘정편(62)의 정중앙에는 걸림후크(63)가 형성되며 회동편(60)과 괘정편(62)의 양측단에는 받침봉(41)(41')이 형성되고, 괘정편(62)의 걸림후크(63)는 괘정금구(64)의 해제구멍(65)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6)에 상호 계합되는 구조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67)은 잠금장치
(68)은 좌,우지주(6)(6')(6")(6"') 및 보강지주(200(20')(20")(20"')의 신축상태를 조정하는 조정버튼을 지칭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은 먼저, 볼링가방케이스(5) 내측 정중앙의 격판(10)전면으로 덮개(11)를 나사(12)로 고정한 후, 볼링가방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에 직포뚜껑(46)을 봉재방식으로 봉착시키거나, 합성수지뚜껑(49)을 좌,우경첩(50)으로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링가방케이스(5)의 하측보스(15')에 받침구(3)의 고정파이프(43)를 삽입하여 고정파이프(43)의 경계부(44)가 하측보스(15')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보스(15')내측의 나사홈(16')에 나사를 조여 받침구(3)를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을 마치면 다시 볼링가방케이스(5)의 상측보스(15)에 고정장치(29) 연결횡바(31) 양측의 연결구(32)(32') 하부관(33)(33')에 삽입 고정된 결속파이프(30)(30')를 관통시켜 결속파이프(30)(30')의 단부를 받침금구(26)의 고정공(28)에 삽입 고정시킨 후, 하부관(33)(33') 외측의 돌부를 통해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서 볼링가방케이스(5)상에 고정장치(29)가 견고하게 조립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사용방식은 직포뚜껑(46)일 경우 테두리의 지퍼(47)를 이용해 직포뚜껑(46)을 열고 격판(10)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 수납부에 볼링공을 수납시켜 볼링공받침접시(8)(8')에 볼링공을 받쳐지게 하거나, 합성수지뚜껑(49)일 경우는 뚜껑의 전면 상하부에 형성된 잠금장치(67)를 풀고 뚜껑을 여닫이 방식으로 열어 상기와 같이 볼링공을 수납하는 것인바, 상기에는 볼링공의 수납은 볼링가방케이스(5)의 전면을 통해 볼링공을 수납하는 방식이므로 볼링가방케이스(5)상측으로 또다른 볼링가방이 적층되어 있어도 볼링가방을 내리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볼링공을 꺼내거나 수납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볼링공(48)을 수납할 때 격판(10)에 씌워진 덮개(11) 덮개테두리(13)가 곡면 처리되어 있어 볼링공(48)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다음, 볼링가방케이스(5) 상측에 또다른 볼링가방을 적층할 경우는 고정장치(29)의 괘정편(40) 정중앙에 형성된 걸림후크(40')를 괘정금구(21)의 해제구멍(23)을 통해 걸림돌기(24)에서 탈리한 후,
좌,우연결파이프(39)(30')에 의해 회동편(38)과 연결된 괘정편(40)을 상향 회전시키면 회동편938)에 의해 괘정편(40)과 좌,우연결파이프(39)(39')가 직립되면서 고정장치(20) 상면이 개방되며, 이 상태에서 또다른 볼링가방을 고정장치(29)의 연결횡바(31) 양측 연결구(320(32')의 하부관(33)(33')상에 얹게 되면 볼링가방의 저면이 받침금구(26)의 받침틀(27)과 하부관(33)(33')상에 안정되게 적층되고, 적층된 상태에서는 다시 회동편(38)을 이용 직립된 괘정편(40)과 좌,우연결파이프(39)(39')를 수평상태로 회전시켜 괘정편(40)저면과 좌,우연결파이프(39)(39')의 저면을 볼링가방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괘정편(40) 정중앙의 걸림후크(40')를 걸림돌기(24)에 괘지시키게 되면 괘정편(40)의 저면은 받침편(25)에 받쳐지면서 고정장치(29)에 의해 적층된 볼링가방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2단 적층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장치(29)를 구성하는 회동편(38)과 괘정편(40)의 양측단에 형성된 받침봉(41)(41')상에는 또다른 볼링가방을 적층시키되, 3단 적층된 볼링가방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볼링가방케이스(5) 양측의 손잡이(18)(18')상에 형성된 밴드관통홀(19)에 결속된 밴드(미도시됨)의 결착수단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적층된 2,3단의 볼링가방에 볼링공을 수납 또는 꺼내고자 할 경우는 상기 결착수단과 고정장치를 풀고 3단의 볼링가방을 들어낸 후 각각의 볼링 가방 상면뚜껑을 열고 볼링공을 꺼내거나 수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은 볼 발명 또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공을 전면에서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상면에서 꺼낼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캐리어(2')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5')상측으로 합성수지뚜껑(50)이 형성되어 있고 뚜껑(50)의 중앙에는 요입부(51)가 형성되어 있어 합성수지 뚜껑(50)상으로 또다른 볼링가방(52)을 2단으로 적층시 상기 요입부(51)상에 또다른 볼링가방(52) 저부에 돌출된 돌부(53)가 안착되면서 적층상태가 안정스럽게 되고,
상기와 같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고정장치(54)에 의해 본 발명 주요부 방식과 같이 고정되는바, 상기의 고정장치(54)에서 좌,우신축간(55)(55')은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 전면에 형성된 좌,우지지간(56)(56')에 삽입 관통되어 출몰되면서 신축조절이 된다.
한편, 2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고정장치(54)에 의해 고정된 2단의 볼링가방(52)상에는 다시 3단으로 별도의 볼링가방을 적층할 수 있는바, 이 역시 고정방식은 밴드 등을 이용한 결속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 즉 실시예와 또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2')의 좌,우지주(6)(6')(6")(6"') 내측의 보강지주(20)(20')(20")(20"')는 볼링가방을 3단으로 적층하여 운반할 때 좌,우지주(6)(6')(6")(6"')가 중량으로 인해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캐리어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상에 또다른 볼링가방을 2단 또는 3단까지 안전하게 적층시켜 손쉽게 운반할 수가 있고 또, 볼링공을 수납 또는 꺼낼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한 것이고 구조가 견고하여 볼링가방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특히, 2단이상 3단까지 볼링가방을 적층하여 운반하여도 캐리어에 전혀 무리가 따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스럽고 견고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상단으로 손잡이(7)가 형성되고 좌,우지주(6)(6')하부로 볼링가방케이스(5)가 일체화 되며,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전면과 후면으로는 받침구(3)와 바퀴(4)가 형성되는 캐리어(2)가 부설된 볼링가방(1)에 있어서,
    캐리어(2)가 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5)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 배면좌우로 볼링공받침접시(8)(8')가 형성되고,
    케이스(5)의 내측 정중앙에는 양측으로 곡면부(9)(9')를 형성한 격판(10)이 일체로 형성되어 격판(10) 전면으로 덮개테두리(13)가 곡면 처리된 덮개(11)가 나사(12)로 고정되고,
    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와 연접되는 상하측의 좌우로는 외측과 내측에 각각 나사홈(16)(16')이 형성된 보스(15)(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스(5)의 양측판(17)(17')상에는 절곡손잡이(18)(18')가 힌지결합되어 손잡이 상에는 밴드관통홀(19)이 형성되며,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내측으로는 보강지주(20)(20')가 나란히 직립 설치되어 그 상단은 손잡이(7)에 나사로 고정되고 하단은 좌,우지주(6)(6')의 중간에 고정 설치된 괘정금구(21)에 관통되며, 괘정금구(21)의 하측으로는 받침금구(26)가 좌,우지주(6)(6')에 관통되고,
    상기 괘정금구(21)와 받침금구(26)에는 고정장치(29)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괘정금구(21)에 좌,우지주(6)(6')가 관통되며, 괘정금구(21)의 전면에는 해제구멍(23)과 걸림돌기(24) 그리고 받침편(25)을 차례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괘정금구(21)의 하부로 받침금구(26)가 좌,우지주(6)(6')에 관통되면서 볼링가방케이스(5)상면에 안착되며 받침금구(26)의 전면에는 받침틀(27)과 좌우양측으로 볼링가방케이스(5)의 상측보스(15)와 일치되는 고정공(28)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장치(29)는 하부의 결속파이프(30(30')가 받침금구(26)의 고정공(28)에 관통 고정되고, 결속파이프(30((30')는 다시 연결횡바(31)양측의 연결구(32)(32') 하부관(33)(33')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관(34)(34')에는 지지간(35)(35')이 직립되게 삽입되어 그 단부에 힌지역활을 하는 횡바(36)양측의 삽입관(37)(37')이 삽입 고정되고, 삽입관(37)(37')상측에는 회동편(38)이 힌지 결합되며, 회동편(38)은 좌,우연결파이프(39)(39')에 의해 괘정편(40)과 연결되고, 괘정편(40)의 정중앙에는 걸림후크(40')가 형성되어 괘정금구(21)의 해제구멍(23)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4)에 상호 계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받침구(3)에는 손잡이(42)가 부설되어 그 후면으로 고정파이프(4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고정파이프(43)에는 단차를 두러 단차를 갖는 경계부(44)에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돌편(4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볼링가방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에는 직포뚜껑(46)이 봉착되어 지퍼(47)에 의해 직포뚜껑(46)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볼링가방케이스(5)의 전면테두리(14)에는 합성수지뚜껑(49)이 좌,우경첩(50)으로 연결되어 합성수지뚜껑(49)을 케이스(5)전면에서 여닫이 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8. 신축 조절되는 좌,우지주(6")(6"')의 상단으로 손잡이(7)가 형성되고 좌,우지주(6")(6"')하부로 볼링가방케이스(5)가 일체화 되며,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 전면과 후면으로는 받침구(3')와 바퀴(4')가 형성되는 캐리어(2')가 부설된 볼링가방에 있어서,
    볼링가방(1')의 캐리어(2')하부에 일체화된 볼링가방케이스(5')는 상면이 개방되고 그 위로 합성수지뚜껑(50)이 상면에서 열고 닫게 형성되어 볼링가방케이스(5')에 볼링공(48)을 상면에서 수납 또는 꺼낼 수 있게 되며 뚜껑(50)의 중앙에는 요입부(51)가 형성되어 또다른 볼링가방을 적층시 또다른 볼링 가방 저면 돌부가 안착되고, 고정장치(54)는 받침구(3')에 삽입 고정된 좌,우지간(56)(56')과 괘정금구(64)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장치(54)에는 좌,우신축간(55)(55')은 볼링가방케이스(5')의 저부 전면에 형성된 받침구(3')에 단부가 삽입 고정된 좌,우지지간(56)(56')상단에 형성되어진 연결횡바(57)를 통해 좌,우지지간(56)(56')내에 관삽되어 신축되며,
    좌,우신축간(55)(55')은 상단이 힌지역할을 하는 횡바(58)양측의 삽입관(59)(59')에 삽입 고정되고, 삽입관(59)(59')상측에는 회동편(60)이 힌지 결합되며, 회동편(60)은 좌,우연결파이프(61)(61')에 의해 괘정편(62)과 연결되고, 괘정편(62)의 정중앙에는 걸림후크(63)가 형성되며 회동편(60)과 괘정편(62)의 양측단에는 괘정금구(64)가 형성되고, 괘정편(62)의 걸림후크(63)는 괘정금구(64)의 해제구멍(65)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6)에 상호 계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KR1019980047737A 1998-11-06 1998-11-06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KR10027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37A KR100275533B1 (ko) 1998-11-06 1998-11-06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US09/263,461 US6109627A (en) 1998-11-06 1999-03-05 Bowling ball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37A KR100275533B1 (ko) 1998-11-06 1998-11-06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15A KR20000031615A (ko) 2000-06-05
KR100275533B1 true KR100275533B1 (ko) 2000-12-15

Family

ID=1955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737A KR100275533B1 (ko) 1998-11-06 1998-11-06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09627A (ko)
KR (1) KR100275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465B2 (en) * 2003-05-07 2006-12-19 Darling Iii Charles W Mission adaptable portable cart/utility table arrangement
US20080087484A1 (en) * 2000-04-14 2008-04-17 Airtrax, Inc. Omni-directional wheels and methods and vehicles employing same
KR20020024866A (ko) * 2000-09-27 2002-04-03 배성환 볼링가방용 밑판케이스
US20030057668A1 (en) * 2000-12-12 2003-03-27 Frank Peters Hand truck attachment
US6722671B2 (en) * 2001-02-20 2004-04-20 Sung Hoan Be Bag body for bowling bags
US6761366B1 (en) * 2001-06-04 2004-07-13 Waterloo Industries Mobile tool carrier
US20050051247A1 (en) * 2003-09-09 2005-03-10 Johnson Sheila E. Traveling bag protector
US7322585B2 (en) 2004-11-02 2008-01-29 Strikeforce Bowling, Llc Bowling ball carrier
US20080093238A1 (en) * 2004-11-02 2008-04-24 Strikeforce Bowling, Llc Bowling ball carier
KR100633056B1 (ko) * 2005-01-21 2006-10-12 김태욱 가방 부착용 핸드 캐리어 및 이 캐리어가 부착된 가방
US7445216B1 (en) * 2005-05-24 2008-11-04 Eht Worldwide Co., Ltd. Multifunctional handcart
US9132543B2 (en) 2009-09-01 2015-09-15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Rolling container assembly with adjustable storage units
US8567796B2 (en) 2009-09-01 2013-10-29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Rolling container assembly with adjustable storage units
USRE47022E1 (en) 2009-12-11 2018-09-04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Container
US20130313058A1 (en) * 2011-02-18 2013-11-28 Highest Common Factory Co., Ltd. Rolling bag and stopper for rolling bag handle
US10575417B2 (en) 2014-09-08 2020-02-25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Jobsite communications center
US11267119B2 (en) 2015-12-14 2022-03-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orage device system
CN110893610A (zh) 2016-05-02 2020-03-20 凯特尔塑料有限公司 实用组件和联接机构
WO2018213560A1 (en) 2017-05-17 2018-11-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torage device system
USD896517S1 (en) 2017-08-09 2020-09-22 Keter Plastic Ltd. Tool box
IL274908B2 (en) 2017-12-20 2024-04-01 Keter Home And Garden Products Ltd A trolley and a mechanical braking system for it
WO2019147801A2 (en) 2018-01-24 2019-08-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ool storage
IL257294A (en) 2018-02-01 2018-03-2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Connectable box
IL260225A (en) 2018-06-24 2018-07-31 Keter Plastic Ltd pushcart
USD898320S1 (en) 2019-02-26 2020-10-06 Keter Plastic Ltd. Dolly
USD967693S1 (en) 2019-02-26 2022-10-25 Keter Plastic Ltd. Mounting plate
IL265964A (en) 2019-04-11 2019-07-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A matching system and adapter for it
USD917977S1 (en) 2019-05-31 2021-05-04 Keter Plastic Ltd. Cooler
USD923935S1 (en) 2019-05-31 2021-07-06 Keter Plastic Ltd. Toolbox
USD919296S1 (en) 2019-05-31 2021-05-18 Keter Plastic Ltd. Crate
US11413506B2 (en) * 2020-01-23 2022-08-16 Sung Hwan BAE Horizontally movable bowling bag capable of preventing movement of bowling ball
KR102460681B1 (ko) * 2022-05-09 2022-10-28 배성환 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평이동 볼링가방
KR102548946B1 (ko) * 2022-09-08 2023-06-28 배성환 중량물 지지용 받침대가 일체로 성형되는 다용도 케이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230A (en) * 1974-08-05 1975-06-24 Fred Mayer Wheeled cart supported luggage
US4066156A (en) * 1976-07-01 1978-01-03 John Basile Equipment carrier
US5074571A (en) * 1990-12-05 1991-12-24 Reese Charles F Spare bowling ball carrier
US5295565A (en) * 1992-12-15 1994-03-22 Purdy Neat Things Company Wheeled luggage
US5374073A (en) * 1993-02-08 1994-12-20 Hung-Hsin; Hsieh Tractive baggage handcart
US5549318A (en) * 1993-10-15 1996-08-27 Ho; Ching-Feng Trolley with luggage securing device
KR960008631Y1 (ko) * 1994-07-13 1996-10-07 배성환 가방밑판
US5758886A (en) * 1996-01-18 1998-06-02 Mayer; Susan M. Multiple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US5664652A (en) * 1996-09-26 1997-09-09 Romar International Corp. Vetically expandable luggage with integral wheeled carrier
US5769194A (en) * 1996-10-15 1998-06-23 Tandu Incorporation Canniness Import-Export Associated Ltd. Luggage truck
US5730264A (en) * 1996-11-15 1998-03-24 Ting Cheng Co., Ltd. Luggage structure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cases
US5791469A (en) * 1997-05-14 1998-08-11 Be; Sung Hoan Bowling ball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15A (ko) 2000-06-05
US6109627A (en)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33B1 (ko) 캐리어가 부설된 볼링가방
EP3806690B1 (en) Luggage article split along front and rear major faces
US6170100B1 (en) Self-opening towel
EP3351130B1 (en) Adjustable divider arrangement for a luggage case
US6109402A (en) Soft sided luggage with separable pouches
US20050189388A1 (en) Framed soft sided carrier for tools
CA2020221A1 (en) Zipped suitcase
US6945442B2 (en) Framed soft sided carrier for tools
US20030209396A1 (en) Soft-sided carrying case
DK2900108T3 (en) MATTRESS COVERING CONSTRUCTION AND PROCEDURE
US20200114230A1 (en) Golf bag
JP2000193191A (ja) 立設器材の安定具
US5178245A (en) Suitcase construction including removable loop frames
CN107073321A (zh) 用于高尔夫附件的承载器
EP3590381B1 (en) A luggage article comprising bottom structure
US20060244242A1 (en) Multifunctional bag structure
KR101447551B1 (ko) 골프백 상부 하드 커버
WO2007086821A1 (en) Luggage with low-profile hanger bracket and harness
KR200289295Y1 (ko) 착탈식 매트를 내장한 가방
FR2894939A3 (fr) Dispositif de stockage combine
CA2677250A1 (en) Widemouth bag
JPH10122A (ja) 衣服収納体
JPH04314401A (ja) スーツケース
JPH054736Y2 (ko)
KR0113535Y1 (ko) 골프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