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424B1 -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 Google Patents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424B1
KR100275424B1 KR1019930015587A KR930015587A KR100275424B1 KR 100275424 B1 KR100275424 B1 KR 100275424B1 KR 1019930015587 A KR1019930015587 A KR 1019930015587A KR 930015587 A KR930015587 A KR 930015587A KR 100275424 B1 KR100275424 B1 KR 10027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et
manipulator
bolt
bear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169A (ko
Inventor
개리알.버겐
데이빗머샤피(엔엠아이)
Original Assignee
존월터랜덜
엠하아트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월터랜덜, 엠하아트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월터랜덜
Publication of KR94000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58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non-destructive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1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disconnecting the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10T292/0989Plural rollback elements directionally selectively effective
    • Y10T292/0991On a tubular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8Knob bear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로크 세트(20)은 삽입부(26)상에 설치된 내부 노브(24)와 삽입부(64)상에 설치된 외부 노브(62)를 포함한다. 로즈 라이너(30) 및 커버(58)은 삽입부상에 설치되며, 노브(24)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지지하는 이격된 베어링 지지부를 마련한다. 로즈 라인너(70)은 삽입부(64)상에 설치되며, 노브(62)를 포함하는 외부 조립체를 지지하는 이격된 베어링 지지부를 마련하도록 안전 보호판(146)과 베어링(148)을 결합시킨다. 노브(62)는 로크 세트(20)의 부재를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과도한 힘이 인가됨에 따라 삽입부 상의 노브의 모든 활주 범위에 이르기까지 딤플(164)와 돌기(168)을 통해 삽입부(64)에 조립된다.

Description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로크 세트의 부재들을 도시한 분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특징을 도시한 제1도의 로크 세트의 조립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제1도의 로크 세트의 노브 슬리브와 삽입부의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보호판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베어링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
제10도는 나사 리테이너의 정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 구현하는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도어 로크세트 24 : 노브
26 : 삽입부 28 : 로즈 조립체
30 : 라이너 32 : 커버
52, 54 : 태브 56 : 슬로트
114 : 볼트 148 : 베어링
163 : 리테이너 166 : 슬리브
본 발명은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크세트의 여러 부품들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를 강화하기 위한 구조물을 갖는 도어 로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어에 조립되게 설계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로크 세트에서, 로크 세트 내의 구성 부품 중 일부는 충분히 지지되기는 하지만 견고한 방식으로 지지되지는 못한다. 그 결과, 도어에 대한 도어 조작기 또는 노브의 처짐 및/또는 흔들림이 생기며, 로크 세트 내에 포함된 이들의 베어링 표면상에 심각한 응력을 부과하게 된다. 이는 또한, 베어링 표면 및 인접 부재들의 심각한 마모를 유발하게 되어 로크 세트의 조기 마멸을 초래한다.
대개, 도어에는 로크 세트의 내측부를 수납하기 위해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있다. 로크 세트의 내측부를 구멍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체결 나사가 사용되는 데, 이 체결 나사는 도어와 함께 로크 세트의 내측부를 도어의 대향 외측부에 유지하는 작용도 한다. 이들 나사가 견고하게 조여지지 않거나 나중에 느슨해지면 로크 세트는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처지게 된다. 이 결과로 도어의 구멍의 일부가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게 된다. 더 심한 경우에는 노출된 구멍을 이용해서 외부인이 구멍 안에 공구를 집어넣어 래치 기구를 조작하거나 볼트를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구멍의 외관이 나빠지고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로크 세트 내부에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몇몇 도어 노브들은 노브 삽입부의 정합 슬리브에 적층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적층된 부재들의 대항력 이상으로 노브를 비틀어서 강제로 도어를 열려고 시도하면 몇및 부재들이 파괴되며 이를 교체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볼 때, 로크 세트의 부재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작동 기구를 조작하여 외부인이 무단 출입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노브가 이의 정상 작동 한계를 넘는 힘을 받게 되는 강제 침입에 대해 파괴되지 않는 도어 로크 세트가 필요하다.
상술한 필요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로크 세트의 부재들을 견고한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내부 베어링 구조물을 갖는 도어 로크 세트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인이 로크 세트 작동 기구를 파괴하여 침입할 기회를 줄여주는 도어 로크 세트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크 세트의 노브를 이의 정상 작동 한계를 넘는 힘으로 비틀어서 강제로 출입하려고 할 때 로크 세트의 부재들이 파괴되지 않는 도어 로크 세트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의 여러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조립되게 설계되고 래치 볼트와 이 볼트에 결합된 볼트 조작 기구를 포함하는 도어 로크 세트를 제안한다. 노브와 같은 조작기는 도어 래치 조립체와 같은 볼트 조작 기구에 결합되고 볼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볼트 조작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동 가능하다. 삽입부와 같은 지지부는 상기 조작기에 부착되어 이와 함께 이동한다. 라이너와 같은 제1 베어링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베어링 표면을 형성한다. 베어링 지지 표면은 상기 제1 베어링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커버 또는 보호판과 같은 제2 베어링 부재는 제2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데, 이 표면은 제1 베어링 표면과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고 이 베어링 지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들은 제1 베어링 부재와 제2 베어링 부재를 도어에 조립된 상태로 그리고 도어 로크 세트의 베어링 지지부를 이격시키기 위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는 도어 로크 세트(20)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로크 세트(20)를 완전 분해 상태로 도시하기 위하여 제1도와 제2도는 중심선 화살표(A)로 연결하고 제2도와 제3도는 중심선 화살표(B)로 연결하였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노브(24)는 다른 부품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노브 삽입부(26)를 수납한다. 로즈 조립체(28)는 라이너(30)와 커버(32)를 포함한다. 커버(32)는 삽입부(26) 및 노브(24)의 생크(34)위에 위치하며, 라이너(30)는 삽입부의 위에 위치하고 삽입부 상에 위치한 보유 링(36)에 의해 이 위치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와셔(38) 및 토오크 스프링(40)은 삽입부(26)상에 위치한다. 정지판(42) 및 토오크 스프링 하우징(44)은 삽입부(26)상에 위치하여 보유 링(46)에 의해 고정 유지된다.
하우징(44)의 한 쌍의 반경방향 내향 태브(48, 50)는 노브(24) 및 삽입부가 회전할 때 하우징이 회전하도록 삽입부(26)의 수납 슬로트(51, 한 개만 도시됨) 안에 끼워진다. 한 쌍의 태브(52, 54)는 하우징(4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원호형 슬로트(56)와 정지판(42)의 원호형 모서리(57)를 통해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커버(58, 제2도)는 삽입부(26)상에 위치하여 보유 링(60, 제2도)에 의해 고정 유지된다.
노브(24)가 회전함으로써 삽입부(26)와 하우징(44)이 회전하게 되어 태브(52, 54)가 스프링(40)을 압축하게 된다. 또한, 태브(52, 54)는 노브(24)의 회전 경로를 제한하도록 원호형 슬로트(56)와 모서리(57)의 단부들을 결합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노브(62)는 이 노브의 전방에 있는 개구를 통해 노브 삽입부(64)를 수납하도록 설계되며, 노브의 생크(66)의 내향 단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라이너(70) 및 커버(72)로 이루어진 로즈 조립체(68)는 라이너의 개구(73)가 삽입부 상에 위치하도록 삽입부(64)의 내향 연장 단부 상에 위치하며 보유 링(74)에 의해 고정 유지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로크 실린더 조립체(75)는 실린더 본체(76), 실린더 커버(78), 플러그(80) 및 플러그 커버(82)를 포함한다. 플러그(80)는 플러그의 텀블러 핀 구멍(84)이 본체의 텀블러 핀 구멍(86)에 정렬되도록 실린더 본체(76)의 원통형 개구(83)안에 삽입된다. 바닥부 핀(88), 상부 핀(90) 및 스프링(92)은 상기 정렬된 구멍(84, 86) 내에 각각 위치한다. 커버(94)는 본체의 구멍(86) 상부에 위치한다. 클립(96)은 본체(76)를 갖춘 플러그를 유지하도록 플러그(80)의 내향 단부 위에 위치한다.
실린더 본체(76)는 측면 하우징(98)을 형성한다. 하우징(98)은 본체(76)를 통해 축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개구(83)와 연통하는 슬로트(100)를 형성한다. 로킹 바아(104)는 슬로트(100)내에 위치하고 헤어 핀 스프링(106)에 의해 개구(83)쪽으로 편향된다. 슬로트(도시 생략)는 플러그(80)의 외주연 벽의 일부에 형성되어 바아(104)와 함께 위치할 수 있으며, 슬로트식 제거 키이(108)를 사용하여 실린더 조립체(75)를 삽입부(64) 및 노브(62)와 조립 및 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75)는 이의 외향 단부에서 삽입부(64)의 관통 개구(111) 내에조립되며, 따라서 노브(62)의 외향 단부 내에 조립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114)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조립체(112)는 조립체의 후미 프레임(120)에 있는 개구(118)를 통해 제1 반원형 스핀들(116, 제1도)을 수납하도록 위치한다. 스핀들(116)은 노브(24) 및 제1도에 도시된 구동 부재에 결합되어 이에 의해 구동된다. 로크 하우징(122)은 상술한 로크 세트(20)의 부재들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로킹 활주부(124)와 저지 스프링(126) 및 저지 활주부(128)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제공한다. 제2 반원형 스핀들(130)은 하우징(122)의 개구(132)를 통해서 연장되며, 스핀들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노브(62)에 결합된다. 스핀들(130)도 래치 조립체(112)의 개구(118)안으로 연장된다.
원형 스핀들(134)은 그 한쪽 단부에 장방형 개구(136)를 그리고 다른 쪽 단부 가까이에는 캠 램프(138)를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버튼(140)은 노브(24)의 축방향 개구(144)내에 그리고 스핀들(134)의 장방형 개구(136)안에 위치하는 장방형 생크(142)를 갖는다. 원형 스핀들(134)의 대향 단부는 플러그(80)의 내향 단부에 있는 축방향 개구(147, 제3도)안에 삽입되는 크로스 링크(145)를 형성하고 있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서 캠 램프(138)는 하우징(122)의 개구(132)내에 위치한다. 회전 버튼(140)이 해당 도어의 내측으로부터 로크 세트(20)를 로킹하기 위해 회전하거나 플러그(80)가 도어의 외측으로부터 로킹 위치로 회전되면, 캠 램프(138)는 외부 노브(62)를 회전시키려고 함에 따른 반원형 스핀들(1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로킹 작동은 활주부에 형성된 노치(151)가 라이너(7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포스트 주위에 위치하도록 활주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킹 활주부(124)의 추종 표면(149)을 결합하는 캠 램프(138)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프링(126)의 단부들은 라이너(70)의 내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러그(153, 제3도)의 인접 이격 측면들에 대해 정상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브(62)가 작동되면 스프링(126)의 단부 중 하나가 최인접 포스트(162) 쪽으로 이동된다. 스핀들(130)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으면 스프링(126)의 단부들은 노브(62)의 정상 작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최인접 포스트(162)를 결합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판(146) 및 베어링(148)은 다른 부재들과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보호판(146)은 고정 위치에 설치되며, 원형 림(150)과 기부판(152) 및 한 쌍의 원호형 편향기(154)를 형성하고 있다. 기부판(152)은 분할 베어링(148)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156)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반원형 스핀들(130)은 베어링(148)의 개구(158)를 통해 위치하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이 회전하도록 베어링 개구 내의 표면을 결합한다. 베어링(148)은 이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기부판(152)의 개구(156)내에 표면(161, 제6도)을 결합하는 러그(159, 제8도 및 제9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스핀들(13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고 따라서 외부 노브(62)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만곡된 표면(167)을 갖는 한 쌍의 돌기(165)는 개구(156)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며 표면(161)을 제공한다. 따라서, 개구(156)는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의 수직 이격된 벽들에 의해 형성된 대직경부와 반대측으로 이격된 내향 돌기(165)에 의해 형성된 소직경부를 갖는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나사(160, 제1도)는 로즈 커버(32), 로즈 라이너(30), 정지판(42). 커버(58), 보호판(146) 및 도어 래치 조립체(112)에 형성된 개구들을 통해서 내부에 나사형성된 한 쌍의 포스트(162)안에 위치하는데, 상기 포스트는 로즈 라이너(7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3도 및 제5도에서.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만곡 딤플(164)들은 삽입부(64)의 내향 슬리브(166)의 외주연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만곡 돌기(168)들은 노브(62)의 생크(66)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다. 조립 시에, 노브(62)의 반원형 돌기(168)는 노브를 삽입부와 함께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부(164)의 반원형 딤플(64) 내에 위치한다. 상술한 수준 이상의 회전력이 노브(62)에 작용하면 돌기(168)가 삽입부(64)의 독립적인 활주 또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딤플(164) 외부로 이동한다.
로크 세트(20)의 부품들은 제조 시에 2개의 소조립체로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조립체는 제1도의 내부 노브(24) 및 부재들과 커버(58) 및 보유 링(60)을 포함하는 로크 세트(20)의 내측부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의 조립 후에 나사(160)는 제4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부품들의 정렬된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어 커버(58)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한 쌍의 와셔형 플라스틱 리테이너(163, 제4도 및 제10도)는 나사(160)의 나사형성 단부 위에 위치하며 이 위치에 나사들을 보유하기 위해 커버(58)에 인접하게 이동한다. 나사(160)들은 이들이 처지지 않고 이들의 단부들이 제 위치에 그리고 나사형성 포스트(162)내에서의 용이한 조립을 위한 정렬 상태로 유지되도록 나사들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라이너(30) 및 커버(58)의 구멍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소조립체는 제3도의 외측 노브(62)와 다른 부품들 그리고 로크 하우징(122), 활주부(124), 스프링(126), 활주부(128), 반원형 스핀들(130), 원형 스핀들(134), 보호판(146) 및 베어링(148)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노브 슬리브를 삽입부에 적층시켜서 노브를 합체된 삽입부와 함께 조립하였다. 노브를 이의 정상 작동 한계 이상으로 돌려서 강제로 출입하려고 하면 상기 적층된 연결부 영역이 파괴되어 노브가 강제 출입을 저지하도록 삽입부에 대해 활주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로크 세트의 일부가 파괴되므로 이를 교체하여야 한다. 이는 로크 세트 조립체롤 분해하여 부품을 교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거나 파괴된 로크 세트를 새로운 로크 세트로 교체해야 하는 데에 따른 비용을 수반하게 한다.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부(64)의 슬리브(166)에 형성된 만곡 딤플(164)쌍은 이 딤플의 기부로부터 슬리브(166)의 외주연에 이르기까지 약간 상승되면서 연장되는 얇은 만곡 램프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의 곡률은 반경(r)을 갖는 원의 원호에 의해 결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딤플(164)에 대한 원호의 반경은 0.478cm(0.188 inch)이다. 삽입부(64)의 슬리브(166)에 내측으로 형성된 만곡 돌기(168)는 반경(r)에서 슬리브(166)의 두께를 뺀 값에 의해 결정된 딤플(164)에 대한 보상 곡률을 갖고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슬리브(166)의 두께는 0.0635 cm(0.025 inch)이다.
이러한 작은 곡률을 가짐으로써 딤플(164)과 돌기(168) 사이에는 노브가 래치볼트(114)를 후퇴시키기 위해 정상 사용되는 경우에 노브(62)를 삽입부(64)와 조립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 접촉이 이루어진다. 노브(62)를 소정의 한계 이상으로 비틀어서 강제 출입을 시도하게 되면, 돌기(168)가 얇은 딤플(164) 외측으로 안내되어 슬리브(166)의 외주연 상에 안내된다. 이 작동은 딤플(164) 또는 돌기(168)를 파괴시키지 않고 노브(62)가 삽입부(64)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결국, 돌기(168)는 딤플(164) 및 노브(62) 안으로 재차 삽입될 수 있어서 정상 사용을 위해 삽입부(64)와 재조립된다.
제5도에서 한 쌍의 받침부(172)는 삽입부(64)의 개구(111)내의 대향 벽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반원형 스핀들(130)은 스핀들 결합 받침부(172) 부분을 갖춘 삽입부(64)의 개구(111)내에 위치한다. 노브(62)의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받침부(172)는 스핀들(130)에 결합되어 로크 세트(2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이로써 볼트(114)가 후퇴된다.
삽입부(26)는 삽입부(64)가 개구(111) 및 받침부(172)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구 및 받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노브(24)가 회전하면 반원형 스핀들(116)이 로크 세트(2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볼트(114)를 후퇴시키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 래치 조립체(112)는 케이스(174)에 설치되어 이의 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볼트(114)를 포함한다. 프레임(120)은 케이스(174)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스프링(176)은 볼트(114)를 케이스(174)의 외향으로 정상적으로 밀어낸다. 반원형 스핀들(116) 또는 반원형 스핀들(130)이 작동하면 프레임(120) 내에 위치한 활주부(178)가 케이스(17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 캠(18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래치 캠(180)은 볼트 연장부(184)를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종동기(182, 하나만 도시했음)에 결합되어 이를 이동시키며, 이로써 볼트(114)가 케이스(174)안으로 후퇴된다.
제2도, 제4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58)는 반경 방향 외향 플랜지(186)와 이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된 허브(188)를 형성하고 있다. 허브(188)는 이의 내측면 상에 보강 리브(192)를 갖춘 축방향 개구(190)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리세스 영역(194)은 허브(188)에 내향하게 형성되며 나사(160)의 통행을 위한 구멍(196)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대향한 슬로트(198, 제2도 및 제11도)가 플랜지(186)에 형성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너(70)는 원형 측벽 또는 림(200)을 갖는 디스크 형상으로 성형된다. 한 쌍의 러그(202, 제3도)는 림(200)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림과 나사형성 포스트(162)의 기부 사이에 위치한다.
유사하게, 라이너(30)는 림(204, 제1도 및 제4도)과, 러그(202)와 유사한 한 쌍의 러그(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있다. 로크 세트(20)의 조립 중에 커버(58)는 플랜지(186)가 림(204)의 아래에 그리고 반경방향 내측에 끼워지도록 라이너(30)에 대해 위치한다. 이는 라이너(30)와 커버(58)의 서로에 대한 어떠한 반경방향 측면 이동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커버(58)의 슬로트(198)는 라이너(30)의 러그 위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며, 또한 라이너의 한 쌍의 나사 구멍(206, 제1도 및 제4도)을 커버의 나사 구멍(196)에 대해 위치시킨다.
이러한 배열을 가짐으로써. 라이너(30)의 중심 개구(208, 제1도)는 삽입부(26)에 인접한 표면을 갖는 제1 베어링을 제공하며, 커버(58)의 개구(190)가 제1 베어링으로부터 이격되게 삽입부 상의 베어링 지지면에 인접한 표면을 갖는 제2 베어링을 제공한다. 삽입부(26)는 이에 조립된 여러 부품들을 수납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이는 내부 노브 조립체를 이격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너(30)와 커버(58)를 포함한다.
조립 시에, 커버(58)의 허브(188)는 구멍의 축에 대한 커버의 반경방향 측면이동을 방지하는 도어의 보족 구멍(도시 생략)내에 위치한다. 라이너(30)와 커버(58)가 상술한 것처럼 서로에 대해 반경방향 측면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라이너의 도어 구멍의 축에 대한 반경방향 이동도 방지된다. 따라서, 로크 세트(20)가 처지거나 도어 구멍이 노출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이는 노출된 도어의 구멍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래치 작동 요소들을 조작하여 무단으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노브(24)는 개구(208, 190)에서 라이너(30) 및 커버(58)에 의해 상술한 베어링 지지부에 마련된 삽입부(26) 상에 설치된다. 삽입부(26)에 대해 이격된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노브(24)의 흔들림이 거의 방지된다.
제2도,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호판(146)은 라이너(70)의 나사형성 포스트(162)위에 보호판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통로(20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보호판(146)은 림(150)의 외측면의 직경방향 대향 측면들 상에 한 쌍의 슬로트(210)를 형성한다.
보호판(146)과 라이너(70)의 조립 중에, 보호판의 림(150)은 보호판과 라이너 사이에 반경방향 측면 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라이너의 림(200) 내에 위치한다. 또한, 보호판(146)의 슬로트(210)는 보호판과 라이너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라이너(70)의 러그(202) 위로 안내된다. 또한, 이는 나사형성 포스트(162)와 통로(208)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렬 이외에도 라이너(70)와 보호판(146)의 적절한 정렬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반원형 스핀들(130)과 원형 스핀들(134)은 스핀들의 자유단을 노츨시키도록 노브(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호판(146)의 개구(156)를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개구(156)는 스핀들의 어느 부분도 개구에 결합되지 않도록 스핀들(130, 134)의 단면보다 크다.
제2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148)은 플랜지(212)와, 이 프랜지의 한쪽 측면에서 연장되는 허브(214)를 형성하는데, 상기 허브는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되는 러그(159)를 갖는다. 개구(158)는 베어링(148)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한 쌍의 견부(218) 및 대체로 반원형인 부분(220)을 형성한다.
조립 시에, 허브(214)가 기부판(152) 쪽으로 향하므로 베어링(148)이 스핀들(130)의 자유단에 위치하고 스핀들(130, 134) 위로 이동하며, 이로써 스핀들(130)이 그 모서리가 견부(218)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반원형 부분(220) 안에 끼워진다. 스핀들(134)은 개구(158)내에 중심적으로 위치하지만, 개구의 벽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베어링(148)은 스핀들(130, 134)위로 더 이동되며, 이로써 허브(214)가 대향 이격된 만곡 표면(167)에 의해 형성된 보호판(146)의 소직경 개구 안에 끼워진다. 또한, 러그(159)는 대직경 개구(156)에 의해 마련된 공간 안에 끼워지며 표면(161)에 결합되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반원형 스핀들(130)은 베어링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개구(158)의 반원형 부분(220)의 표면에 인접한다.
소조립체가 완성되면 제1 베어링은 삽입부(64)에 인접한 자체의 개구(73)에 의해 마련된 제1 베어링 표면을 갖는 라이너(70)에 의해 마련된다. 제2 베어링은 베어링(148)의 개구(156)의 반원형 부분(220)의 표면에 의해 마련된 제1 베어링 표면을 갖는 보호판(146)에 의해 마련된다. 베어링 지지 표면은 반원형 스핀들(130)에 의해 마련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베어링은 삽입부(64)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 베어링은 삽입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반원형 스핀들(130)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함으로써 제1 및 제2 베어링이 노브(62)의 흔들릴 가능성을 거의 없애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호판(146)의 편향기(154)는 도어 구멍 안에 매끈하게 끼워지며 도어구멍의 축에 대한 반경방향 측면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배열은 도어 개구가 노출되어 상술한 단점을 수반하는 범위까지 로크 세트(20)의 처짐을 거의 방지해 준다.
또한, 편향기(154)는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볼트(114)를 작동시키는 도어내의 내부 기구 위로 연장된다. 편향기(154)는 라이너(70) 뒤쪽에 공구를 삽입하여 도어 구멍 안에 삽입한 후에 내부 기구를 조작하여 무단 출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또 다른 안정성을 제공한다.
노브(62)가 작동되면, 삽입부(64)의 받침부(172, 제5도)는 반원형 스핀들(130)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스핀들을 회전시킨다. 스핀들(130)이 이동되므로써 베어링(148)은 러그(159)가 노브(6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보호판(146)의 표면(161)에 결합될 때까지 스핀들과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베어링(148)은 지지 요소로써 작용하며, 또한 스핀들(130) 및 노브(62) 이동 제한 요소로써 작용한다.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청구 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성도 가능하다.

Claims (20)

  1. 도어에 조립하기 위한 도어 로크 세트에 있어서, 래치 볼트와, 이 볼트에 연결된 볼트 조작 기구와, 볼트 조작 기구에 연결되고 볼트를 이동시키도록 볼트 조작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동 가능한 조작기와, 조작기에 부착되어 이와 함께 이동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1 베어링 표면을 갖는 제1 베어링 부재와, 제1 베어링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베어링 지지 표면과, 상기 제1 베어링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베어링 표면을 갖는 제2 베어링 부재와, 제1 베어링 부재와 제2 베어링 부재를 도어에 조립된 상태로 그리고 도어 로크 세트에 베어링 지지부를 마련하도록 이격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체결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세트가 지지부와 볼트 조작 기구 사이에 삽입된 스핀들과, 베어링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스핀들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세트가 제2 베어링 부재와 베어링 지지 표면 사이에 삽입된 베어링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제2 베어링 부재가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의 서로에 대한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1 베어링 부재의 리세스 내에 위치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도어가 자체 내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며, 제2 베어링 부재는 측면 이동이 방지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구멍에 보족 관계로 끼워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그 구멍 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조작기의 일부분 내에 위치한 삽입부이며, 제1 베어링 부재와 제2 베어링 부재가, 제1 베어링 부재와 제2 베어링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이격된 베어링 지지부를 제공하는 삽입부에 인접하여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의 이격 부분들이 이격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사를 그 안에 지지하기 위한 정렬된 구멍들을 형성하고 있어서 나사가 정렬된 구멍들에 정확한 축방향 정렬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세트가 나사를 로크 세트의 나사형성 수납기와 나사와의 조립 상태로 남아 있는 이격된 베어링 부재들에 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나사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9. 도어에 조립하기 위한 도어 로크 세트에 있어서, 래치 볼트와, 이 볼트에 연결된 볼트 조작 기구와, 볼트 조작 기구에 연결되고 볼트를 이동시키도록 볼트 조작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동 가능한 조작기와, 조작기와 볼트 조작 기구 사이에 삽입되고 조작기와 함께 이동 가능한 스핀들과, 스핀들 상에 위치하여 이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형성한 부착부와, 부착부와 스핀들 및 조작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돌기의 이동 통로에 고정 위치한 정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부착부가 스핀들의 마찰식 수납을 위한 중심 개구와 스핀들과의 이동을 위해 수핀들의 모서리에 결합된 개구 내에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삽입부에 의해 형성되고, 돌기가 삽입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1. 제9항에 있어서, 스핀들이 반원형 단면을 취하며, 부착부가 스핀들을 개구내에 형태 체결하기 위해 스핀들의 단면에 맞는 형상의 개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돌기가 부착부의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 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세트가, 도어 로크 세트 및 도어와의 조립 상태로 고정 위치에 유지된 판과, 판을 통해 형성된 개구와, 판의 개구 내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서 회전하도록 위치한 스핀들과, 정지 표면을 형성하는 판의 개구 안으로 연장되는 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스핀들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삽입부에 의해 형성된 부착부와, 스핀들과의 판의 개구 내에서의 회전 운동을 위해 판의 개구 내에 설치된 삽입부와, 조작기의 회전에 따른 삽입부와 스핀들 및 조작기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정지 표면을 포함하는 통로 내의 판의 개구 안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에 의해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로크 세트가 볼트 조작 기구에 부정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판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볼트 조작 기구 주위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된 편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4. 제12항에 있어서, 판의 개구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게 이격된 벽들에 의해 형성된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있고, 판의 개구가 판의 개구안으로 연장되고 만곡된 대면 모서리들을 갖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이격된 돌기들에 의해 형성된 소직경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삽입부가 돌기의 만곡된 대면 모서리들에 의해 형성된 소직경부 내에서 회전하기 위해 위치하고, 러그가 대직경부에서 이동하기 위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삽입부가 판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판의 개구에 인접한 판에 결합된 플랜지를 삽입부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크 세트.
  17. 도어에 조립하기 위한 도어 로크 세트에 있어서, 래치 볼트와, 이 볼트에 연결된 볼트 조작 기구와, 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볼트 조작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기와, 조작기를 볼트 조작 기구에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조작기에 부착된 결합기와, 상기 형상의 예비 성형된 구조물을 갖는 결합기의 일부분과, 결합기의 예비 성형된 구조물과의 조립체를 이루는 상기 형상의 예비 성형 구조물을 갖는 조작기의 일부분과, 조작기의 예비 성형 구조물의 조작기 표면부와 결합된 상태인 결합기 표면부를 가짐으로써 조작기의 정상 조작으로 결합기와 함께 이동하도록 된 결합기의 예비성형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결합기의 예비 성형 구조물이 결합기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딤플이고, 조작기의 예비 성형 구조물이 상기 딤플에 끼워지는 형상을 취하고 조작기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19. 제18항에 있어서, 딤플이 얕게 형성된 오목한 기부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만곡 램프를 갖는 얕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고, 조작기의 돌기가 얕은 오목부 안에 끼워지는 보족 구조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20. 제17항에 있어서, 결합기 표면부와 조작기 표면부 사이의 마찰식 결합이, 소정 수준까지의 힘이 조작기를 이동시키도록 인가될 때 결합기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소정 수준 이상의 힘이 조작기에 인가되어 조작기가 결합기로부터 자유롭게 이동가능해 질때 조작기의 표면부가 결합기 표면부와의 비파괴식 결합 해제 방식으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로크 세트.
KR1019930015587A 1992-08-13 1993-08-12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KR100275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28,585 US5335950A (en) 1992-08-13 1992-08-13 Door lockset with spindle bearing
US7/928,585 1992-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169A KR940004169A (ko) 1994-03-14
KR100275424B1 true KR100275424B1 (ko) 2000-12-15

Family

ID=2545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587A KR100275424B1 (ko) 1992-08-13 1993-08-12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35950A (ko)
EP (2) EP0592085B1 (ko)
JP (1) JPH06180082A (ko)
KR (1) KR100275424B1 (ko)
CN (1) CN1070256C (ko)
AU (1) AU660899B2 (ko)
BR (1) BR9303073A (ko)
CA (1) CA2103954C (ko)
DE (1) DE69304852T2 (ko)
EC (1) ECSP930964A (ko)
ES (1) ES2092774T3 (ko)
MX (1) MX93048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0700A (en) * 1994-08-03 1996-02-13 Emhart Inc. Sheet metal U.L. screw
US5460417A (en) * 1994-08-03 1995-10-24 Emhart Inc. Tubular lock assembly
US5482335A (en) * 1994-08-03 1996-01-09 Emhart Inc. Tubular lock assembly
US5657653A (en) * 1995-08-10 1997-08-19 Schlage Lock Company Dual lock with simultaneous retraction of latch and deadbolt by inside lever and uncoulpler between driving spindle and the lever
US5820178A (en) * 1996-07-19 1998-10-13 Baldwin Hardware Corporation Spring retainer for lock mechanism
US5845522A (en) * 1997-03-10 1998-12-08 Shen; Mu-Lin Fastening arrangement for a cylindrical lock
US6131970A (en) * 1997-09-25 2000-10-17 Yale Security Inc. Latch assembly with keyed rose plate for adjustment to doors of differing thickness
WO2001012478A1 (en) * 1999-08-13 2001-02-22 Emhart Inc. Lockset having keyed egg-shaped knob
US6568727B2 (en) 2001-02-05 2003-05-27 Newfrey Llc Retention and reinforcement system for knobs and levers
US6527314B2 (en) 2001-02-20 2003-03-04 Jackson Corporation Clutch handle
US6921116B2 (en) * 2003-01-14 2005-07-26 Hoppe North America, Inc. Door handle assembly
US8393654B2 (en) * 2003-08-26 2013-03-12 Kwikset Corporation Turn-button with leading helical end portion
US7178842B2 (en) * 2004-09-13 2007-02-20 Newfrey, Llc Push button lock mechanism for a handle set
US7222508B2 (en) * 2004-11-17 2007-05-29 Schlage Lock Company Door lock unlockable two ways
US7281401B2 (en) * 2006-02-08 2007-10-16 I-Tek Metal Mfg. Co., Ltd. Protective sleeve for latch mechanism for lock
US8789864B2 (en) * 2012-02-16 2014-07-29 Te-Yu Chen Spring box for door handle
CN107002427B (zh) * 2015-07-14 2020-05-08 索斯科公司 具有减小的突起的压缩闩锁
CN105068241B (zh) * 2015-08-28 2017-08-11 深圳市亚泰光电技术有限公司 内窥镜
US10508468B2 (en) * 2016-03-23 2019-12-17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lock chassis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6152A (en) * 1923-04-23 1924-11-18 Joseph R Dumont Doorknob
US1668403A (en) * 1926-12-13 1928-05-01 Mckinney Mfg Co Locking door knob
US1904210A (en) * 1931-08-25 1933-04-18 H S Getty And Company Inc Lock
US2160611A (en) * 1936-12-03 1939-05-30 Grover C Alexander Automobile door handle
US2461085A (en) * 1945-11-14 1949-02-08 Louis P Roy Replacement door handle
US2657567A (en) * 1951-10-23 1953-11-03 Nat Brass Co Lost motion cartridge for keys in knob locks
US2741502A (en) * 1953-11-19 1956-04-10 Hollymade Hardware Mfg Company Door knob latch set
US3020073A (en) * 1958-03-06 1962-02-06 Dexter Ind Inc Simplified latch assembly
US3014748A (en) * 1959-09-21 1961-12-26 American Hardware Corp Operating handle assembly for latch or lock mechanism
US3269158A (en) * 1963-07-03 1966-08-30 Schlage Lock Co Lock
US3233439A (en) * 1964-05-04 1966-02-08 Constantine S Papas Lock installation
US3621685A (en) * 1969-10-01 1971-11-23 Thomas J Sargent Cylindrical lock
US3955387A (en) * 1974-11-14 1976-05-11 Best Lock Corporation Cylindrical lock set
US4012929A (en) * 1976-05-19 1977-03-22 Emhart Industries, Inc. Latch construction with improved anti-violation features
US4195502A (en) * 1978-06-02 1980-04-01 Best Lock Corporation Break-away door knob
US4312201A (en) * 1979-08-31 1982-01-26 Best Lock Corporation Cylinder lock with force-immune knob
AU533454B2 (en) * 1980-07-16 1983-11-24 Masco Building Products Corpoation Latch/bolt lock
US4338804A (en) * 1980-09-26 1982-07-13 Emhart Industries, Inc. Latch bolt operating device having improved shield construction to deter probe manipulation
US4550581A (en) * 1981-06-05 1985-11-05 Best Lock Corporation Break-away knob driver
US4655059A (en) * 1981-06-05 1987-04-07 Best Lock Corporation Lever handle
US4631944A (en) * 1984-09-20 1986-12-30 Kwikset Corporation Knob assembly for doorlatches including free knob rotation and front end loading
US4679420A (en) * 1985-01-02 1987-07-14 Yang Tai Her Force immune door latch
US4869083A (en) * 1988-04-26 1989-09-26 Sargent Manufacturing Corporation Cylindrical lever handle lock
CA1308762C (en) * 1988-05-12 1992-10-13 Aaron M. Fish Cylindrical and permutation lock arrangements
US4966399A (en) * 1989-04-19 1990-10-30 Lin Jui C Lock set with spindle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0899B2 (en) 1995-07-06
KR940004169A (ko) 1994-03-14
ES2092774T3 (es) 1996-12-01
US5335950A (en) 1994-08-09
AU4460693A (en) 1994-02-17
JPH06180082A (ja) 1994-06-28
EP0698705A1 (en) 1996-02-28
EP0592085B1 (en) 1996-09-18
CN1070256C (zh) 2001-08-29
CA2103954C (en) 1998-06-16
MX9304894A (es) 1994-04-29
DE69304852D1 (de) 1996-10-24
ECSP930964A (es) 1994-04-12
CA2103954A1 (en) 1994-02-14
DE69304852T2 (de) 1997-02-06
EP0592085A1 (en) 1994-04-13
CN1089324A (zh) 1994-07-13
BR9303073A (pt) 1994-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424B1 (ko) 스핀들 베어링을 갖춘 도어 로크 세트
EP0583951B1 (en) Cylinder for door lockset
US5769472A (en) Drive in housing halves for mounting a latch assembly in a do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same
US5335948A (en) Cylindrical lockset
US6349576B2 (en) Lockable sash assembly
US5441318A (en) Lever operated door lock assembly
EP0659962A2 (en) Cylinder lock resistible against breaking
RU2584112C2 (ru) Элемент оконной или дверной фурнитуры
KR0173323B1 (ko) 스위벨 래치를 포함하는 문조립체
KR100759316B1 (ko) 키 실린더 및 키 실린더의 조립 방법
US6616203B1 (en) Door latch operator mount
US5438856A (en) Cylinder assembly for plate tumbler lock
US5232255A (en) Button assembly
US5551263A (en) Lock with dead bolt camming action on 90 degree lock cylinder rotation
US20080196455A1 (en) Lock with Rotor Fixing Element
US4977766A (en) Universal lock mount
KR100191045B1 (ko) 원통형 로크조립체
US4065165A (en) Door handle mechanisms
CN112709497B (zh) 锁芯
US4138870A (en) Lock cylinder plug stop
GB2122887A (en) Door furniture
RU2090722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шифровой замок "квадрат zk"
GB2054729A (en) Mounting cylinder locks
KR20040078332A (ko) 로터리 디스크 텀블러 자물쇠 및 열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